동양고전종합DB

孝經注疏

효경주소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효경주소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夫然故 生則親安之하고 祭則鬼享之하니라
[注]夫然者 上孝理하야 皆得懽心이니 則存安其榮하고 沒享其祭
是以 天下和平하야 하니라
[注]上敬下懽하야 存安沒享하야 人用和睦하야 以致太平하니 則災害禍亂 無因而起
故明王之以孝治天下也 如此하니라
[注]言明王 以孝爲理하니 則諸侯以下 化而行之 故致如此福應이라
[疏]‘夫然’至‘如此’
○正義曰:此摠結天子‧諸侯‧卿大夫之孝治也. 言明王孝治其下, 則諸侯以下各順其敎, 皆治其國家也.
如此各得懽心, 親若存則安其孝養, 沒則享其祭祀, 故得和氣降生, 感動昭昧.
是以普天之下, 和睦太平, 災害之萌不生, 禍亂之端不起. 此謂明王之以孝治天下也, 能致如此之美.
[疏]○注‘夫然者’至‘其祭’
○正義曰:云“夫然者 上孝理 皆得懽心”者, 此謂明王‧諸侯‧大夫能行孝治, 皆得其懽心也.
云“則存安其榮”者, 釋“生則親安之”. 云“沒享其祭”者, 釋“祭則鬼享之”也.
[疏]○注‘上敬’至‘而起’
○正義曰:此釋“天下和平”, 以皆由明王孝治之所致也.
皇侃云 “天反時爲災, 謂風雨不節. 地反物爲妖, 妖卽害物, 謂水旱傷禾稼也. 善則逢殃爲禍, 臣下反逆爲亂也.”
[疏]○注‘言明’至‘福應’
○正義曰:云“言明王 以孝爲理 則諸侯以下 化而行之”者, 案上文有明王‧諸侯‧大夫三等, 而經獨言明王孝治如此者,
言由明王之故也. 則諸侯以下奉而行之, 而功歸於明王也.
云“故致如此福應”者, 福謂天下和平, 應謂災害不生‧禍亂不作.


그렇기 때문에 살아계실 때는 어버이가 편안히 여기고, 제사 지내면 귀신이 흠향하였다.
‘그렇다[부연夫然]’는 것은 윗사람이 효도로 다스려서 모두에게 환심을 얻었다는 것이다. 이렇게 하자 〈어버이가〉 살아계실 때는 그 영화를 편안히 누리고, 돌아가시고 나서는 〈귀신이〉 그 제사를 흠향하였다.
이러므로 천하가 화평하여 재해災害가 생기지 않고 화란禍亂이 일어나지 않았다.
윗사람을 공경하고 아랫사람의 환심을 얻어 〈부모가〉 살아계실 때는 편안하고 죽어서는 제사를 흠향하였다. 이리하여 사람들이 화목하여 태평을 이룩했으니, 그렇다면 재해와 화란禍亂이 일어날 까닭이 없었다.
이 때문에 영명한 제왕이 로 천하를 다스린 것(효과)이 이와 같았다.
‘영명한 제왕이 효도로 다스리자 제후 이하가 감화 받아 효를 행하였다. 이 때문에 이와 같은 응험應驗을 이루게 되었다.’라는 말이다.
의 [부연夫然]부터 [여차如此]까지
정의왈正義曰:이는 천자天子, 제후諸侯, 대부大夫가 효도로 다스린 일을 총결한 것이다. ‘영명한 제왕이 효도로 아랫사람들을 다스리자 제후 이하가 각기 그 가르침을 따라서 모두 그들의 나라와 집안을 다스렸다.
이와 같이 하여 각기 환심을 얻으면, 만약 어버이가 살아계시다면 그 효성스러운 봉양을 편안히 받으시고, 돌아가셨다면 그 제사를 흠향하신다. 이 때문에 화기和氣가 〈천하에〉 내려와 생겨서 산 자와 죽은 자를 모두 감동시켰다.
이리하여 온 하늘 아래가 모두 화목하고 태평하여 재해의 싹이 생기지 않고 화란禍亂의 꼬투리가 일어나지 않았다.’라고 하였다. 이는 영명한 제왕이 효도로 천하를 다스려 이와 같이 아름다운 일을 이룰 수 있었다는 말이다.
의 [부연자夫然者]부터 [기제其祭]까지
정의왈正義曰:[부연자 상효리夫然者 上孝理 개득환심皆得懽心] 이는 ‘영명한 제왕, 제후, 대부가 효도로 다스리기를 잘하여 모두 그(아랫사람들의) 환심을 얻었다.’는 말이다.
[즉존안기영則存安其榮] 〈경문의〉 ‘살아계실 때는 어버이가 편안히 여기고’를 풀이한 것이다. [몰향기제沒享其祭] 〈경문의〉 ‘제사 지내면 귀신이 흠향하였다’를 풀이한 것이다.
의 [상경上敬]부터 [이기而起]까지
정의왈正義曰:이는 〈경문의〉 ‘천하가 화평하여’를 풀이한 것으로, 모두 영명한 제왕이 효도로 통치함을 말미암아 이룩된 일들이라는 말이다.
황간皇侃은 “하늘이 때를 위반하는 것이 재앙[]이니, 바람과 비가 절기에 맞지 않음을 일컫는다. 땅이 사물〈의 본성〉을 위반하는 것이 변괴[]이니, 변괴는 사물에 를 입히는 것으로, 홍수와 가뭄이 곡식을 손상시킴을 일컫는다. 한 사람이 재앙을 당하는 것이 이고, 신하가 반역하는 것이 이다.”라고 하였다.
의 [언명言明]부터 [복응福應]까지
정의왈正義曰:[언명왕 이효위리言明王 以孝爲理 즉제후이하 화이행지則諸侯以下 化而行之] 살펴보건대 앞 글에 영명한 제왕‧제후‧대부의 세 등급이 언급된 〈데 비해 이곳의〉 경문에서 유독 영명한 제왕이 효도로 통치한 것이 이와 같았다고만 말한 것은,
〈이러한 효과가 나타난 것이 궁극적으로는〉 영명한 제왕 때문이라고 말한 것이다. 곧, 제후 이하가 받들어 행하고서 그 을 영명한 제왕에게 돌린 것이다.
[고치여차복응故致如此福應] 은 천하가 화평和平함을 일컫고, 재해災害가 생기기 않고 화란禍亂이 일어나지 않음을 일컫는다.


역주
역주1 災害不生 禍亂不作 : 董鼎은 “災害는 홍수‧가뭄‧전염병과 같은 것으로 자연에서 생기는 것이고, 禍亂은 임금을 해치고 아버지를 죽이는 것과 같은 것으로 사람에게서 일어나는 것이다.”라고 하였다.(鄭太鉉 譯註, ≪孝經大義≫, 傳統文化硏究會, 2009, 64쪽)
역주2 (然) : 저본에는 ‘然’자가 있으나, 御注에 의거하여 ‘然’자를 삭제하였다.

효경주소 책은 2019.11.08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