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周易正義

주역정의(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주역정의(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元, 亨하고 利牝馬之貞이라
[注]坤 貞之所利 利於牝馬也
在下而行者也 而又牝焉 順之至也 至順而後 乃亨이라
唯利於牝馬之貞이라
[疏]‘坤元亨利牝馬之貞’
○正義曰:此一節, 是文王於坤卦之下, 陳坤德之辭.
乾‧坤, 合體之物, 故乾後次坤, 言地之爲體, 亦能始生萬物, 各得亨通,
故云‘元亨’, 與乾同也.
‘利牝馬之貞’者, 此與乾異.
乾之所貞, 利於萬事爲貞, 此唯云“利牝馬之貞”, 坤是陰道,
當以柔順爲貞正, 借柔順之象, 以明柔順之德也.
牝對爲柔, 馬對龍爲順, 還借此柔順, 以明柔道,
故云“利牝馬之貞”.
牝馬, 外物自然之象, 此亦聖人因坤元亨利牝馬之貞自然之德, 以垂敎也.
不云牛而云馬者, 牛雖柔順, 不能行地无疆, 无以見坤廣生之德, 馬雖比龍爲劣, 所亦能廣遠, 象地之廣育.
[疏]○注‘至順而後乃亨’至‘唯利於牝馬之貞’
○正義曰:‘至順而後乃亨 故唯利於牝馬之貞’者, 案, 牝馬是至順,
牝馬在元亨之下, 在貞之上, 應云“至順而後乃貞”, 今云“至順而後乃亨”, 倒取上文者,
輔嗣之意, 下句旣云“牝馬之貞”, 避此貞文, 故云“乃亨”.
但亨貞相將之物, 故云至順之貞, 亦是至順之亨.
此坤德以牝馬至順, 乃得貞也, 下文又云“東北喪朋”, 去陰就陽, 乃得貞吉, 上下義反者, 但易含萬象, 一屈一伸.
此句與乾相對, 不可純剛敵乾, 故利牝馬, 下句論凡所交接, 不可純陰, 當須剛柔交錯, 故喪朋吉也.
君子有攸往인댄 先迷後得主利하니 西南得朋이요 東北喪朋하니 安貞吉하리라
[注]西南 致養之地 與坤同道者也 故曰得朋이요 東北 反西南者也 故曰喪朋이라
陰之爲物 必離其黨하여 之於反類而後 獲安貞吉이라
[疏]‘君子有攸往’至‘安貞吉’
○正義曰:‘君子有攸往’者, 以其柔順利貞, 故君子利有所往.
‘先迷後得主利’者, 以其至柔, 當待唱而後和.
凡有所爲, 若在物之先, 卽迷惑, 若在物之後, 卽得主利, 以陰不可先唱, 猶臣不可先君, 卑不可先尊故也.
‘西南得朋’者, 此假象以明人事.
西南坤位, 是陰也, 今以陰詣陰, 乃得朋, 俱是陰類, 不獲吉也.
猶人旣懷陰柔之行, 又向陰柔之方, 是純陰柔弱, 故非吉也.
‘東北喪朋 安貞吉’者, 西南旣爲陰, 東北反西南, 卽爲陽也.
以柔順之道, 往詣於陽, 是喪失陰朋, 故得安靜貞正之吉, 以陰而兼有陽故也.
若以人事言之, 象人臣離其黨而入君之朝, 女子離其家而入夫之室.
莊氏云“先迷後得主利者, 唯據臣事君也, 得朋‧喪朋, 唯據婦適夫也.” 其褊狹, 非復弘通之道.
[疏]○注‘西南致養之地’至‘後獲安貞吉’
○正義曰:坤位居西南.
說卦云“坤也者, 地也. 萬物皆致養焉.”
坤旣養物, 若向西南, 與坤同道也.
‘陰之爲物 必離其黨 之於反類而後 獲安貞吉’者, 若二女同居, 其志不同, 必之於陽, 是之於反類, 乃得吉也.
凡言朋者, 非唯人爲其黨, 性行相同, 亦爲其黨.
假令人是陰柔而之剛正, 亦是離其黨.
彖曰
至哉 坤元이여
萬物資生하나니 乃順承天하여 坤厚載物 德合无疆이라
含弘光大하여 品物咸亨하니 牝馬 地類 行地无疆하나니라
[注]地之所以得无疆者 以卑順行之故也
以龍御天하고 以馬行地
[疏]‘彖曰’至‘行无疆’
○正義曰:‘至哉坤元’至‘德合无疆’, 此五句, 總明坤義及二德之首也.
但元是坤德之首, 故連言之, 猶乾之元德與乾相通共文也.
‘至哉坤元’者, 歎美坤德, 故云至哉.
至謂至極也, 言地能生養至極, 與天同也.
但天亦至極, 包籠於地, 非但至極, 又大於地,
故乾言大哉, 坤言至哉.
‘萬物資生’者, 言萬物資地而生.
初稟其氣謂之始, 成形謂之生.
乾本氣初, 故云資始, 坤據成形, 故云資生.
‘乃順承天’者, 乾是剛健, 能統領於天, 坤是陰柔, 以和順承於天.
‘坤厚載物 德合无疆’者, 以其廣厚, 故能載物, 有此生長之德, 合會无疆.
凡言无疆者, 其有二義, 一是廣博无疆, 二是長久无疆也.
自此已上, 論坤元之氣也.
[疏]‘含弘光大 品物咸亨’者, 包含厚, 光著盛大, 故品類之物, 皆得亨通.
但坤比, 卽不得大名, 若比衆物, 其實大也,
故曰含弘光大者也.
此二句釋亨也.
‘牝馬地類 行地无疆’者, 以其柔順, 故云地類, 以柔順爲體, 終无禍患, 行地无疆, 不復窮已.
此二句釋利貞也.
故上文云“利牝馬之貞”, 是也.
柔順利貞 君子攸行이니 先迷失道하고 後順得常이라
西南得朋하니 乃與類行이요 東北喪朋이라야 乃終有慶하리니 安貞之吉 應地无疆이니라
[注]地也者 形之名也 坤也者 用地者也
雄必爭하고 二主必危하나니 有地之形하여 與剛健爲耦하여 而以永保无疆하니 用之者 不亦至順乎
若夫行之不以牝馬하고 利之不以永貞하여 方而又剛하고 柔而又圓이면 求安 難矣
[疏]‘柔順利貞’至‘應地无疆’
○正義曰:‘柔順利貞 君子攸行’者, 重釋利貞之義, 是君子之所行, 兼釋前文“君子有攸往”.
‘先迷失道’者, 以陰在之先, 失其爲陰之道.
‘後順得常’者, 以陰在物之後, 陽唱而陰和, 人得主利, 是後順得常.
‘西南得朋 乃與類行’者, 以陰而造坤位, 是乃與類俱行.
‘東北喪朋 乃終有慶’者, 以陰而詣陽, 初雖離群, 乃終久有慶善也.
‘安貞之吉 應地无疆’者, 安謂安靜, 貞謂貞正, 地體安靜而貞正,
人若得靜而能正, 卽得其吉, 應合地之无疆, 是慶善之事也.
[疏]○注‘行之不以牝馬’至‘求安難矣’
○正義曰:‘行之不以牝馬’, 牝馬謂柔順也.
‘利之不以永貞’, 永貞謂貞固剛正也.
言坤旣至柔順, 而利之卽不兼剛正也.
‘方而又剛’者, 言體旣方正, 而性又剛强, 卽太剛也, 所以須牝馬也.
‘柔而又圓’者, 謂性旣柔順, 體又圓曲, 謂太柔也.
故須永貞也, 若其坤无牝馬, 又无永貞, 求安難矣.
云永貞者, 是下用六爻辭也, 東北喪朋, 去陰就陽, 是利之永貞.
象曰
地勢坤이니
[注]地形不順이나 其勢順이라
[疏]正義曰:地勢方直, 是不順也, 其勢承天, 是其順也.
君子以厚德載物하나니라
[疏]正義曰:君子用此地之厚德, 容載萬物.
言‘君子’者, 亦包公卿‧諸侯之等, 但厚德載物, 隨分多少, 非如至聖載物之極也.
初六 履霜하면 堅冰至하나니라
[注]始於履霜하여 至于堅冰하니 所謂至柔而動也剛이라
陰之爲道 本於卑弱하여 而後積著者也
取履霜以明其始 陽之爲物 非基於始以至於著者也
以出處明之하여 則以初爲潛하니라
[疏]‘初六履霜堅冰至’
○正義曰:初六陰氣之微, 似若初寒之始, 但履踐其霜, 微而積漸, 故堅冰乃至.
所謂陰道, 初雖柔順, 漸漸積著, 乃至堅剛.
凡易者, 象也, 以物象而明人事, 若詩之比喩也.
或取天地陰陽之象以明義者, 若乾之“潛龍”‧“見龍”, 坤之“履霜堅冰”‧“龍戰”之屬, 是也.
或取萬物雜象以明義者, 若屯之六三“卽鹿无虞”, 六四“乘馬班如”之屬, 是也, 如此之類, 易中多矣.
或直以人事, 不取物象以明義者, 若乾之九三“君子終日乾乾”, 坤之六三“含章可貞”之例, 是也.
聖人之意, 可以取象者, 則取象也, 可以取人事者, 則取人事也.
故文言注云“至於九三, 獨以君子爲目者, 何也.
乾乾夕惕, 非龍德也,
故以人事明之.” 是其義也.
象曰
履霜堅冰 陰始凝也 馴致其道 至堅冰也하나니라
[疏]‘象曰履霜堅冰’至‘至堅冰也’
○正義曰:夫子所作象辭, 元在六爻經辭之後, 以自卑退, 不敢亂先聖正經之辭, 及至輔嗣之意, 以爲象者本釋經文, 宜相附近, 其義易了,
故分爻之, 各附其當爻下言之, 猶如元凱注左傳分經之年, 與傳相附.
‘陰始凝也’者, 釋履霜之義, 言陰氣始凝, 結而爲霜也.
‘馴致其道 至堅冰也’者, 馴猶狎順也, 若鳥獸馴狎然, 言順其陰柔之道, 習而不已, 乃至堅冰也.
褚氏云“履霜者, 從初六至六三, 堅冰者, 從六四至上六.”
陰陽之氣无爲,
故積馴履霜, 必至於堅冰, 以明人事有爲, 不可不制其節度,
故於履霜而逆以堅冰爲戒, 所以防漸慮微, 愼終于始也.
六二 直方大
不習无不利하니라
[注]居中得正하여 極於地質하여 任其自然而物自生하여 不假修營而功自成이라
不習焉而无不利
[疏]‘六二’至‘无不利’
○正義曰:文言云“直, 其正也.” 二得其位, 極地之質,
故亦同地也.
俱包三德, 生物不邪, 謂之‘直’也, 地體安靜, 是其‘方’也, 无物不載, 是其‘大’也.
旣有三德, 極地之美, 自然而生, 不假修營,
故云“不習无不利”.
物皆自成, 无所不利, 以此爻居中得位, 極於地體,
故盡極地之義.
此因自然之性, 以明人事, 居在此位, 亦當如地之所爲.
[疏]○注‘居中得正’
○正義曰:‘居中得正 極於地質’者, 質謂形質, 地之形質, 直方又大, 此六二居中得正, 是盡極地之體質也.
所以直者, 言氣至卽生物, 由是體正直之性.
其運動生物之時, 又能任其質性, 直而且方,
故象云“六二之動, 直以方也.”
象曰
六二之動 直以方也
[注]動而直方 任其質也
[疏]‘象曰’至‘直以方也’
○正義曰:言六二之體, 所有興動, 任其自然之性,
故云‘直以方’也.
[疏]○注‘動而直方’
○正義曰:是質以直方, 動又直方, 是質之與行, 內外相副.
物有內外不相副者,
故略例云“形躁好靜, 質柔愛剛.” 此之類, 是也.
不習无不利 地道光也
[疏]正義曰:言所以不假修習, 物无不利, 猶地道光大故也.
六三 含章可貞이니 或從王事하여 无成有終이로다
[注]三處下卦之極이로되 而不疑於陽하여 應斯義者也
不爲事始하여 須唱乃應하고 待命乃發하여 含美而可正者也
曰 含章可貞也라하고 有事則從하여 不敢爲首
曰 或從王事也라하고 不爲事主하여 順命而終이라
曰 无成有終也라하니라
[疏]‘六三’至‘无成有終’
○正義曰:‘含章可貞’者, 六三處下卦之極, 而能不被疑於陽.
章, 美也, 旣居陰極, 能自降退, 不爲事始, 唯內含章美之道, 待命乃行, 可以得正,
故曰“含章可貞.”
‘或從王事 无成有終’者, 言六三爲臣, 或順從於王事,
故不敢爲事之首, 主成於物, 故云无成, 唯上唱下和, 奉行其終, 故云有終.
[疏]○注‘三處下卦之極’
○正義曰:‘三處下卦之極’者, 欲見三雖陰爻, 其位尊也.
‘不疑於陽’者, 陰之尊極, 將與陽敵, 體必被陽所忌, 今不被疑於陽, 言陽不害也.
‘應斯義’者, 斯, 此也, 若能應此義, 唯行含章可貞已下之事, 乃應斯義.
此爻全以人事明之.
象曰
含章可貞 以時發也 或從王事 知光大也
[注]知慮光大 不擅其美
[疏]‘象曰’至‘知光大也’
○正義曰:‘含章可貞 以時發’者, 夫子釋含章之義.
以身居陰極, 不敢爲物之首, 但內含章美之道, 待時而發, 是以時發也.
‘或從王事 知光大’者, 釋无成有終也.
旣隨從王事, 不敢主成物始, 但奉終而行, 是知慮光大, 不自擅其美, 唯奉於上.
六四 括囊이면 无咎 无譽리라
[注]處陰之卦하여 以陰居陰하고 履非中位하여 无直方之質하고 不造陽事하여 无含章之美하여 括結否閉하여 賢人乃隱하니 施愼則可 非泰之道
[疏]‘六四’至‘无譽’
○正義曰:括, 結也, 囊, 所以貯物, 以譬心藏知也. 閉其知而不用, 故曰‘括囊’.
功不顯物, 故曰‘无譽’, 不與物忤, 故曰‘无咎’.
[疏]○注‘不造陽事’至‘非泰之道’
○正義曰:‘不造陽事 无含章之美’者, 六三以陰居陽位, 是造爲陽事, 但不爲事始, 待唱乃行, 是陽事猶在,
故云含章, 章卽陽之美也.
今六四以陰處陰, 內无陽事, 是不造陽事, 无含章之美, 當括結否閉之時, 是賢人乃隱.
唯施謹愼則可, 非通泰之道也.
象曰
括囊无咎 愼不害也
[疏]正義曰:‘愼不害’者, 釋所以‘括囊无咎’之義, 曰其謹愼, 不與物競, 故不被害也.
六五 黃裳이면 元吉이라
[注]黃 中之色也 下之飾也 坤爲臣道하여 美盡於下
夫體无剛健이로되 而能極物之情 通理者也 以柔順之德으로 處於盛位 任夫文理者也 垂黃裳以獲元吉 非用武者也
極陰之盛이로되 不至疑陽 以文在中이니 美之至也
[疏]‘六五黃裳元吉’
○正義曰:黃是中之色, 裳是下之飾. 坤爲臣道, 五居君位, 是臣之極貴者也.
能以中和, 通於物理, 居於臣職,
故云黃裳元吉.
元, 大也, 以其德能如此, 故得大吉也.
[疏]○注‘黃中之色’
裳, 下之飾, 則上衣比君, 下裳法臣也.
‘垂黃裳以獲元吉 非用武’者, 以體无剛健, 是非用威武也. 以內有文德, 通達物理,
故象云“文在中也.”
象曰
黃裳元吉 文在中也
[注]用黃裳而獲元吉 以文在中也일새라
[疏]正義曰:釋所以黃裳元吉之義, 以其文德在中故也.
旣有中和, 又奉臣職, 通達文理,
故云“文在其中.” 言不用威武也.
上六 龍戰于野하니 其血玄黃이로다
[注]陰之爲道 卑順不盈이라야 乃全其美어늘 盛而不已하여 固陽之地 陽所不堪이라
戰于野
[疏]‘上六’至‘其血玄黃’
○正義曰:以陽謂之龍, 上六是陰之至極, 陰盛似陽, 故稱龍焉.
盛而不已, 固陽之地, 陽所不堪,
故陽氣之龍, 與之交戰, 卽說卦云“戰乎乾”, 是也.
戰於卦外, 故曰“于野.” 陰陽相傷, 故其血玄黃.
[疏]○注‘盛而不已’
○正義曰:‘盛而不已 固陽之地’者, 固爲占固, 陰去則陽來, 陰乃盛而不去, 占固此陽所生之地,
故陽氣之龍, 與之交戰.
象曰
龍戰于野 其道窮也
用六 利永貞하니라
[注]用六之利 利永貞也
[疏]正義曰:‘用六 利永貞’者, 此坤之六爻總辭也.
言坤之所用, 用此衆爻之六, 六是柔順, 不可純柔, 故利在永貞.
永, 長也, 貞, 正也, 言長能貞正也.
象曰
用六永貞 以大終也
[注]能以永貞大終者也
[疏]正義曰:‘以大終’者, 釋永貞之義,
旣能用此柔順, 長守貞正, 所以廣大而終也.
若不用永貞, 則是柔而又圓, 卽前注云“求安難矣”.
此永貞, 卽坤卦之下“安貞吉”, 是也.
文言曰
至柔而動也剛하고 至靜而德方이라
[注]動之方直하여 不爲邪也 柔而又圓 消之道也
其德至靜하니 德必方也
[疏]正義曰:此一節, 是第一節, 明坤之德也. 自積善之家以下, 是第二節也, 分釋六爻之義.
‘坤至柔而動也剛’者, 六爻皆陰, 是至柔也.
體雖至柔, 而運動也剛, 柔而積漸, 乃至堅剛, 則上云“履霜堅冰”, 是也.
又地能生物, 初雖柔弱, 後至堅剛而成就.
‘至靜而德方’者, 地體不動, 是至靜, 生物不邪, 是德能方正.
後得主而有常하여 含萬物而化光하니 坤道其順乎인저
承天而時行하나니라
[疏]正義曰:‘後得主而有常’者, 陰主卑退, 若在事之後, 不爲物先, 卽得主也, 此陰之恒理,
‘含萬物而化光’者, 自明彖辭含弘光大, 言含養萬物而德化光大也.
‘坤道其順乎 承天而時行’者, 言坤道柔順, 承奉於天, 以量時而行, 卽不敢爲物之先, 恒相時而動.
積善之家 必有餘慶이요 積不善之家 必有餘殃하나니 臣弑其君하며 子弑其父 非一朝一夕之故
其所由來者漸矣 由辯之不早辯也
易曰 履霜堅冰至라하니 蓋言順也
[疏]‘積善之家’至‘蓋言順也’
‘積善之家 必有餘慶 積不善之家 必有餘殃’者, 欲明初六其惡有漸, 故先明其所行善惡事, 由久而積漸, 故致後之吉凶.
‘其所由來者漸矣’者, 言弑君弑父, 非一朝一夕率然而起, 其禍患所從來者, 積漸久遠矣.
‘由辯之不早辯’者, 臣子所以久包禍心, 由君父欲辯明之事, 不早分辯故也, 此戒君父防臣子之惡.
‘蓋言順’者, 言此‘履霜, 堅冰至’, 蓋言順習陰惡之道, 積微而不已, 乃致此弑害.
凡萬事之起, 皆從小至大, 從微至著,
故上文善惡竝言, 今獨言弑君弑父有漸者, 以陰主柔順, 積柔不已, 乃終至禍亂, 故特於坤之初六言之,
欲戒其防柔弱之初, 又陰爲弑害, 故寄此以明義.
其正也 其義也
君子敬以直內하고 義以方外하여 敬義立而德不孤하나니 直方大不習无不利 則不疑其所行也니라
[疏]‘直其正也’至‘所行也’
○正義曰:此一節, 釋六二爻辭.
‘直 其正’者, 經稱直, 是其正也.
‘方 其義’者, 經稱方, 是其義也.
義者, 宜也, 事得宜, 故曰義.
‘君子敬以直內’者, 覆釋直其正也, 言君子用敬以直內, 內謂心也, 用此恭敬, 以直內理.
‘義以方外’者, 用此義事, 以方正外物, 言君子法地正直而生萬物, 皆得所宜, 以方正.
然卽前云“直其正也”, “方其義也”, 下云“義以方外”,
卽此應云“正以直內”, 改云“敬以直”者, 欲見正則能敬, 故變正爲敬也.
‘敬義立而德不孤’者, 身有敬義, 以接於人, 則人亦敬, 義以應之, 是德不孤也.
直則不邪, 正則謙恭, 義則與物無競, 方則凝重不躁, 旣不習無不利, 則所行不須疑慮,
故曰“不疑其所行.”
陰雖有美 含之하여 以從王事하면 弗敢成也 地道也 妻道也 臣道也
地道 無成하고 而代有終也
[疏]‘陰雖有美’至‘有終也’
○正義曰:此一節, 明六三爻辭.
言‘陰雖有美 含之 以從王事’者, 釋含章可貞之義也.
言六三之陰, 雖有美道包含之德, 苟或從王事, 不敢爲主先成之也.
‘地道也 妻道也 臣道也’者, 欲明坤道處卑, 待唱乃和,
故歷言此三事, 皆卑應於尊, 下順於上也.
‘地道無成 而代有終’者, 其地道卑柔, 无敢先唱成物, 必待陽始先唱而後, 代陽有終也.
天地變化하면 草木蕃하고 天地閉하면 賢人隱하나니 易曰 括囊无咎无譽라하니 蓋言謹也
[疏]‘天地變化’至‘蓋言謹也’
○正義曰:此一節, 明六四爻辭.
‘天地變化’, 謂二氣交通, 生養萬物, 故草木蕃滋.
‘天地閉 賢人隱’者, 謂二氣不相交通, 天地否閉, 賢人潛隱.
天地通則草木蕃, 明天地閉, 草木不蕃, 天地閉, 賢人隱, 明天地通則賢人出, 互而相通, 此乃括囊无咎,
故賢人隱, 屬天地閉也.
‘蓋言謹’者, 謹謂謹愼, 蓋言賢人君子於此之時須謹愼也.
君子黃中通理하여 正位居體하여 美在其中하여 而暢於四支하며 發於事業하나니 美之至也
[疏]‘君子’至‘美之至也’
○正義曰:此一節, 明六五爻辭也.
‘黃中通理’者, 以黃居中, 兼四方之色, 奉承臣職, 是通曉物理也.
‘正位居體’者, 居中得正, 是正位也, 處上體之中, 是居體也.
黃中通理, 是美在其中, 有美在於中, 必通暢於外,
故云“暢於四支”.
四支猶人手足, 比于四方物務也.
外內俱善, 能宣發於事業.
所營謂之事, 事成謂之業, 美莫過之,
故云“美之至也”.
陰疑於陽하면 必戰하나니
[注]辯之不早하여 疑盛乃動이라
故必戰이라
[疏]正義曰:此一節, 明上六爻辭.
‘陰疑於陽 必戰’者, 陰盛, 爲陽所疑, 陽乃發動, 欲除去此陰, 陰旣强盛, 不肯退避,
故必戰也.
爲其嫌於无陽也
[注]爲其嫌於非陽而戰이라
稱龍焉하며
[疏]正義曰:上六陰盛似陽, 爲嫌純陰非陽,
故稱龍以明之.
猶未離其類也
[注]猶未失其陰類하여 爲陽所滅이라
稱血焉하니라
[注]猶與陽戰而相傷이라
故稱血이라
[疏]正義曰:言上六雖陰盛似陽, 然猶未能離其類,
故爲陽所傷而見也.
夫玄黃者 天地之雜也 天玄而地黃하니라
[疏]正義曰:釋其血玄黃之義.
莊氏云“上六之爻, 兼有天地雜氣, 所以上六被傷, 其血玄黃也.
天色玄, 地色黃,
故血有天地之色.”
今輔嗣注云“猶與陽戰而相傷.” 是言陰陽俱傷也, 恐莊氏之言, 非王之本意, 今所不取也.


하고 하고 암말의 함이 이롭다.
의 이로운 바가 암말이 이로운 것이다.
말은 아래에 있으면서 가는 것이요, 또 암컷은 함의 지극한 것이니, 지극히 한 뒤에야 형통하다.
그러므로 오직 암말의 함이 이로운 것이다.
의 [坤元亨利牝馬之貞]
정의왈正義曰:이 한 문왕文王곤괘坤卦의 아래에 을 진술한 말씀이다.
다만 가 합하는 물건이므로 의 뒤에 을 다음으로 놓아서 땅의 가 또한 능히 만물을 처음 낳아 각각 형통함을 얻음을 말하였다.
그러므로 ‘원형元亨’을 말한 것이 과 같은 것이다.
[利牝馬之貞] 이는 건괘乾卦와 다르다.
건괘乾卦함은 만사에 하는 것이 이롭고, 여기서는 “오직 암말의 함이 이롭다.”고 말하였으니, 은 바로 음도陰道이다.
마땅히 유순함을 정정貞正함으로 삼아야 하니, 유순한 을 빌려서 유순한 을 밝힌 것이다.
암컷은 수컷과 상대하면 유순함이 되고 말은 과 상대하면 순함이 되니, 다시 이 유순함을 빌려서 유순한 를 밝혔다.
그러므로 “암말의 함이 이롭다.”고 말한 것이다.
빈마牝馬’는 외물의 자연한 이니, 이 또한 성인聖人이 ‘하고 하고 암말의 함이 이롭다.’는 자연의 을 인하여 가르침을 남기신 것이다.
‘소’라고 말하지 않고 ‘말’이라고 말한 것은, 소가 비록 유순하나 땅을 가기를 끝없이 할 수가 없어서 이 넓게 낳는 을 나타낼 수 없으니, 말은 비록 에 비하여 열등하지만 가는 바가 또한 넓고 멀어서 땅이 넓게 길러주는 것을 형상할 수 있다.
의 [至順而後乃亨]에서 [唯利於牝馬之貞]까지
정의왈正義曰:[至順而後乃亨 故唯利於牝馬之貞] 살펴보건대, ‘빈마牝馬’는 바로 지극히 한 것이다.
빈마牝馬’가 ‘원형元亨’의 아래에 있고 ‘’의 위에 있으니, 응당 “지극히 한 뒤에 비로소 하다.”고 말해야 하는데, 지금 “지극히 한 뒤에 비로소 형통하다.”고 말하여 위의 글을 거꾸로 취하였으니,
왕보사王輔嗣(王弼)의 뜻은 아래 에 이미 ‘빈마지정牝馬之貞’이라고 말하였으므로 이 ‘’자를 피하려 하였기 때문에 ‘비로소 형통하다.’고 말한 것이다.
다만 은 서로 함께하는 물건이므로 지극히 을 말하였으니, 또한 지극히 한 형통함인 것이다.
이는 곤괘坤卦이 암말의 지극히 함 때문에 비로소 함을 얻는 것인데, 아래 글에 또 “동북東北으로 가면 벗을 잃는다.”고 말한 것은 을 떠나 으로 나가야 비로소 정길貞吉함을 얻는다는 것으로 위와 아래의 뜻이 반대되니, 이는 다만 《주역周易》이 만상萬象을 포함하여 한 번 굽히고 한 번 펴는 것이다.
건괘乾卦와 상대가 되어 순강純剛으로 을 대적할 수가 없으므로 암말이 이로운 것이요, 아래 에서 논한 무릇 교제하는 것은 순음純陰으로 해서는 안 되고 마땅히 를 교차해야 하므로 벗을 잃는 것이 길한 것이다.
군자君子가 갈 바를 둘진대, 먼저 하면 혼미하고 뒤에 하면 얻어서 이로움을 주장하니, 서남西南으로 가면 벗을 얻고 동북東北으로 가면 벗을 잃으니, 편안하고 하여 길할 것이다.
서남西南은 길러줌을 지극히 하는 땅이니, 를 함께하는 것이므로 ‘벗을 얻는다.’ 하였고, 동북東北서남西南과 반대되는 것이므로 ‘벗을 잃는다.’ 한 것이다.
이란 물건은 반드시 그 무리를 떠나 반대되는 무리로 간 뒤에야 편안하여 하고 길함을 얻는 것이다.
의 [君子有攸往]에서 [安貞吉]까지
정의왈正義曰:[君子有攸往] 유순하고 함이 이롭기 때문에 군자君子가 갈 바를 둠이 이로운 것이다.
[先迷後得主利] 지극히 유순하니, 마땅히 선창先唱하기를 기다린 뒤에 화답和答하여야 한다.
무릇 무슨 일을 할 적에 만약 사물의 앞에 있으면 바로 미혹되고, 만약 사물의 뒤에 있으면 곧 ‘이로움을 주장함’을 얻으니, 선창先唱해서는 안 됨은 신하가 인군人君보다 먼저 해서는 안 되고 낮은 사람이 높은 사람보다 먼저 해서는 안 되는 것과 같기 때문이다.
[西南得朋] 이것은 을 빌려 사람의 일을 밝힌 것이다.
서남西南의 자리이니 바로 인바, 이제 으로서 으로 나아가면 벗을 얻으니 모두 이기 때문에 길함을 얻지 못하는 것이다.
이는 사람이 이미 음유陰柔의 행실을 품고 또 음유陰柔의 방향으로 향하면 이는 순음純陰이어서 유약柔弱하기 때문에 길함이 아닌 것과 같다.
[東北喪朋 安貞吉]서남西南이 이미 이면 동북東北서남西南과 반대여서 바로 이 되는 것이다.
유순한 에 나아가면 이는 의 벗을 잃는 것이므로 안정安靜하고 정정貞正한 길함을 얻는 것이니, 으로서 을 겸하여 소유하기 때문이다.
만약 사람의 일을 가지고 말한다면 신하가 그 무리를 떠나 인군人君의 조정에 들어가고, 여자가 자기 집을 떠나 남편의 집에 들어가는 것을 형상한 것이다.
장씨莊氏는 “‘선미후득주리先迷後得主利’는 오직 신하가 군주를 섬김을 근거로 한 것이요, ‘득붕得朋’과 ‘상붕喪朋’은 오직 부인이 남편에게 시집가는 것을 근거로 한 것이다.” 하였으니, 이 말은 편협하여서 다시 넓게 통하는 방도가 아니다.
의 [西南致養之地]에서 [後獲安貞吉]까지
정의왈正義曰:곤위坤位서남西南쪽에 있다.
설괘전說卦傳〉에 “이라는 것은 땅이니, 만물이 모두 기름을 받는다.” 하였다.
이 이미 물건을 길러주니 만약 서남쪽으로 향하면 를 함께하는 것이다.
[陰之爲物 必離其黨 之於反類而後 獲安貞吉] 만약 두 여자가 함께 살면 그 뜻이 똑같지 아니하여 반드시 에게 가는 것과 같으니, 이는 반대되는 무리로 가야 반드시 길함을 얻는 것이다.
무릇 벗이라고 말한 것은 비단 사람만 그 무리가 되는 것이 아니요, 성품과 행실이 서로 같은 것도 그 무리가 된다.
가령 사람이 음유陰柔이면서 강정剛正한 데로 가면 이 또한 그 무리를 떠나는 것이다.
단전彖傳〉에 말하였다.
“지극하다, 이여.
만물이 자뢰하여 생겨나니, 마침내 하늘을 순히 받들어서 의 두터움으로 물건을 실어줌은 무강无疆(끝이 없음)에 합한다.
포용하고 너그러우며 빛나고 위대하여 여러 가지 물건이 다 형통하니, 암말은 땅의 종류라서 땅을 가기를 끝없이 하는 것이다.
땅이 무강无疆함을 얻는 이유는 낮고 함으로써 행하기 때문이다.
으로써 하늘을 제어하고 은 말로써 땅을 다니는 것이다.
의 [彖曰]에서 [行地无疆]까지
정의왈正義曰:‘지재곤원至哉坤元’에서 ‘덕합무강德合无疆’까지, 이 다섯 의 뜻과 두 의 머리 부분을 총괄하여 밝힌 것이다.
다만 곤덕坤德의 머리이므로 이어서 말하였으니, 과 서로 연결하여 함께 글을 쓴 것과 같다.
[至哉坤元]을 탄미하였으므로 ‘지재至哉’라고 말한 것이다.
’는 지극함을 이르니, 땅의 능히 낳고 기름이 지극하여 하늘과 같음을 말한 것이다.
다만 하늘 또한 지극하나 땅을 감싸고 있어서 비단 지극할 뿐만이 아니요, 또 땅보다 크다.
그러므로 건괘乾卦에서는 ‘대재大哉’라고 말하고, 곤괘坤卦에서는 ‘지재至哉’라고 말한 것이다.
[萬物資生] 만물이 땅을 자뢰하여 생겨남을 말한 것이다.
처음 그 기운을 받는 것을 ‘’라 하고, 형체를 이룸을 ‘’이라 한다.
건괘乾卦의 처음을 근본으로 하였으므로 ‘자시資始’라 하였고, 곤괘坤卦는 이루어진 형체를 근거로 하였으므로 ‘자생資生’이라 한 것이다.
[乃順承天]강건剛健하여 하늘을 통령統領할 수 있고, 음유陰柔여서 화순和順함으로 하늘을 받들 수 있다.
[坤厚載物 德合无疆] 땅이 넓고 두텁기 때문에 능히 물건을 실어주어서 이 생장시키는 이 있어 무강无疆에 합하는 것이다.
무릇 ‘무강无疆’이라고 말하는 것에 두 가지 뜻이 있으니, 하나는 넓어서 끝이 없는 것이고, 두 번째는 장구하여 끝이 없는 것이다.
이로부터 이상은 기상氣象을 논하였다.
[含弘光大 品物咸亨] 포함하고 넓고 두텁고 빛나고 성대하므로 여러 종류의 물건이 다 형통함을 얻는 것이다.
다만 에 비하면 크다는 이름을 얻을 수 없으나, 만약 여러 물건에 비하면 그 실재가 크다.
그러므로 ‘함홍광대含弘光大’라 말한 것이다.
이 두 을 해석한 것이다.
[牝馬地類 行地无疆] 유순하기 때문에 ‘지류地類’라 하였고, 유순柔順함을 로 삼아서 끝내 화환禍患이 없기 때문에 ‘땅을 가기를 끝없이 하여[行地无疆]’ 다시 다하지 않는 것이다.
이 두 이정利貞을 해석한 것이다.
그러므로 위 글에 “암말의 함이 이롭다.” 한 것이 이것이다.
유순하여 이정利貞함이 군자의 행하는 바이니, 먼저 하면 혼미하여 를 잃고 뒤에 하면 하여 떳떳함을 얻는다.
서남西南으로 가면 벗을 얻으니 바로 동류同類와 함께 감이요, 동북東北으로 가서 벗을 잃어야 마침내 경사가 있을 것이니, 안정安貞의 길함이 땅의 무강无疆함에 응하는 것이다.”
라는 것은 형체의 이름이요, 이라는 것은 땅을 운용하는 것이다.
영웅英雄은 반드시 다투고 두 군주君主는 반드시 위태로우니, 땅의 형체를 가지고 있으면서 강건剛健과 짝이 되어서 길이 무강无疆을 보존하니, 운용하는 것이 또한 지극히 하지 않겠는가.
만약 행하기를 암말로써 하지 않고 이롭게 하기를 영정永貞으로써 하지 아니하여, 모나면서 또 강하고 부드러우면서 또 둥글다면 편안함을 구하기 어려운 것이다.
의 [柔順利貞]에서 [應地无疆]까지
정의왈正義曰:[柔順利貞 君子攸行] ‘이정利貞’의 뜻을 해석한 것이니, 이는 군자君子가 행하는 것인바, 앞글의 “군자君子가 갈 바를 둔다.”를 겸하여 해석한 것이다.
[先迷失道]으로서 사물의 앞에 있으면 이 된 를 잃는 것이다.
[後順得常]으로서 사물의 뒤에 있어서 선창先唱한 뒤에 이 화답하면 사람이 이로움을 주장함을 얻으니, 이것이 ‘뒤에 하면 하여 떳떳함을 얻는 것[後順得常]’이다.
[西南得朋 乃與類行]으로서 의 자리에 나아가니, 이것이 바로 동류同類와 함께 가는 것이다.
[東北喪朋 乃終有慶]으로서 에게 나아가니, 처음은 비록 무리를 떠나나 끝내는 오랫동안 복경福慶과 좋음이 있는 것이다.
[安貞之吉 應地无疆] ‘’은 안정安靜을 이르고 ‘’은 정정貞正을 이르니, 땅의 안정安靜하고 정정貞正하다.
사람이 만약 고요함을 얻고 능히 바르게 하면 바로 길함을 얻어서 땅의 무강无疆에 응하고 합하니, 이는 경사스럽고 좋은 일인 것이다.
의 [行之不以牝馬]에서 [求安難矣]까지
정의왈正義曰:[行之不以牝馬] ‘빈마牝馬’는 유순함을 이른다.
[利之不以永貞] ‘영정永貞’은 정고貞固하고 강정剛正함을 이른다.
이 이미 지극히 유순한데 이롭게 함에 강정剛正을 겸하지 않음을 말한 것이다.
[方而又剛]가 이미 방정方正한데 성품이 또 강강剛强하면 바로 너무 강함을 말한 것이니, 이 때문에 반드시 암말이어야 하는 것이다.
[柔而又圓] 성품이 이미 유순한데 가 또 둥글고 굽음을 이르니, 너무 유순함을 말한 것이다.
그러므로 모름지기 ‘영정永貞’해야 하는 것이니, 만약 곤괘坤卦가 암말이 없고 영정永貞함이 없으면 편안함을 구하기 어려운 것이다.
영정永貞’이라고 말한 것은 아래 용육用六효사爻辭이니, 동북東北으로 가면 벗을 잃어서 을 버리고 에 나아가야 바로 이로움이 영정永貞한 것이다.
상전象傳〉에 말하였다.
지세地勢이니,
지형地形은 순하지 않으나 그 형세는 순하다.
정의왈正義曰:지세地勢가 네모지고 곧음은 바로 순하지 않은 것이요, 그 형세가 하늘을 받듦은 바로 순한 것이다.
군자君子가 이것을 응용하여 후한 으로 물건을 실어준다.”
정의왈正義曰:군자君子가 이 땅의 후한 을 응용하여 만물을 포용하고 실어주는 것이다.
군자君子’라고 말한 것은 또한 공경公卿제후諸侯 등을 포함한 것이나, 다만 후한 으로 물건을 실어주는 것은 분수의 많고 적음에 따르니, 지극한 성인聖人이 물건을 실어주는 지극함과는 같지 않다.
초육初六은 서리를 밟으면 단단한 얼음이 이른다.
서리를 밟는 데서 시작하여 단단한 얼음에 이르니, 이른바 ‘지극히 하나 동함이 강하다.’는 것이다.
는 낮고 약함을 근본으로 한 뒤에 쌓여 드러난다.
그러므로 서리를 밟음을 취하여 그 처음을 밝혔고, 이란 물건은 시작함을 기반으로 하여 드러남에 이르는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출처出處를 가지고 밝혀서 〈건괘乾卦의〉 초효初爻잠룡潛龍이라 한 것이다.
의 [初六履霜堅冰至]
정의왈正義曰:초육初六음기陰氣가 미약한 것이니, 날씨가 추워지기 시작하는 초기에 다만 그 서리를 밟아서 작은 것이 점점 쌓이므로 단단한 얼음이 마침내 이르는 것과 같은 것이다.
뜻은, 이른바 ‘음도陰道는 처음은 비록 유순하나 점점 쌓이고 드러나서 마침내 견고하고 강함에 이름’을 취한 것이다.
무릇 이니, 물상物象을 가지고 사람의 일을 밝힌 것은 비유比喩와 같다.
혹은 천지음양天地陰陽을 취하여 뜻을 밝힌 것은, 건괘乾卦의 “잠룡潛龍”, “현룡見龍”과 곤괘坤卦의 “이상견빙履霜堅冰”, “용전龍戰”과 같은 등속이 이것이요,
혹은 만물의 여러 가지 을 취하여 뜻을 밝힌 것은, 둔괘屯卦육삼六三에 “사슴에 나아가되 우인虞人이 없다.”는 것과, 육사六四에 “말을 타고서 맴돈다.”는 것과 같은 등속이 이것이니, 이와 같은 따위가 《주역周易》 가운데에 많다.
혹은 곧바로 사람의 일을 가지고 말하고 물건의 을 취하여 뜻을 밝히지 않은 것은, 건괘乾卦구삼九三에 “군자君子가 종일토록 부지런히 힘쓴다.”는 것과, 곤괘坤卦육삼六三에 “아름다움을 머금으면 할 수 있다.”는 가 이것이다.
성인聖人의 뜻은 을 취할 수 있는 것은 을 취하고, 사람의 일을 취할 수 있는 것은 사람의 일을 취하였다.
그러므로 〈문언전文言傳〉의 에 “구삼九三에 이르러 유독 군자君子로써 지목한 것은 어째서인가?
부지런히 힘써서 저녁까지도 두려워함은 이 아니다.
이 때문에 사람의 일로써 밝혔다.” 하였으니, 이것이 그 뜻이다.
상전象傳〉에 말하였다.
“서리를 밟으면 단단한 얼음이 이름은 이 처음 응결한 것이니, 길들여 그 를 이루어서 단단한 얼음에 이른 것이다.”
의 [象曰履霜堅冰]에서 [至堅冰也]까지
정의왈正義曰:부자夫子가 지은 〈상전象傳〉의 글은 원래 육효六爻경문經文(爻辭) 뒤에 있어서 스스로 자신을 낮추고 겸손하여 감히 선성先聖정경正經의 글을 침범하여 어지럽히지 못하였는데, 왕보사王輔嗣의 뜻에 이르러서는 이라는 것은 본래 경문經文을 해석한 것이니 마땅히 서로 가까이 붙어야 그 뜻을 알기 쉽다고 여겼다.
그러므로 상사象辭를 나누어서 각각 그 해당된 에 붙여 말하였으니, 이는 마치 두원개杜元凱(杜預)가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에 를 내면서 의 연도를 나누어서 과 서로 붙인 것과 같은 것이다.
[陰始凝也] ‘서리를 밟음[履霜]’의 뜻을 해석한 것이니, 음기陰氣가 처음 엉겨서 맺혀 서리가 됨을 말한 것이다.
[馴致其道 至堅冰也] ‘’은 길들여 함을 이르니, 새와 짐승을 길들여 친한 것과 같은바, 음유陰柔히 하여 익히고 그치지 않아서 마침내 단단한 얼음에 이름을 말한 것이다.
저씨褚氏(褚仲都)는 “‘서리를 밟는 것’은 초육初六으로부터 육삼六三까지이고, ‘단단한 얼음’은 육사六四로부터 상육上六까지이다.”라고 하였다.
의 기운은 하는 것이 없다.
그러므로 서리를 밟는 것을 쌓아 길들여 단단한 얼음에 이르는 것이니, 이로써 사람의 일에 있어 어떤 일을 할 적에 그 절도節度를 제재하지 않으면 안 됨을 밝혔다.
그러므로 서리를 밟을 때에 미리 단단한 얼음이 이르는 것을 가지고 경계하였으니, 점점 불어남을 막고 은미함을 염려하여 시작에서 끝마침을 삼간 것이다.
육이六二는 곧고 방정方正하고 크다.
익히지 않아도 이롭지 않음이 없다.
에 거하고 을 얻어서 땅의 성질을 지극히 하여, 자연에 맡겨도 물건이 저절로 생겨나서, 닦고 경영함을 빌리지 않아도 이 저절로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익히지 않아도 이롭지 않음이 없는 것이다.
의 [六二]에서 [无不利]까지
정의왈正義曰:〈문언전文言傳〉에 이르기를 “은 바름이다.” 하였으니, 육이六二가 제자리를 얻어서 땅의 성질을 지극히 하였다.
그러므로 또한 땅과 같은 것이다.
의〉 세 가지 을 모두 포함하니, 물건을 낳음에 간사하지 않음을 ‘’이라 이르고, 땅의 형체가 안정安靜됨은 바로 ‘’이고, 물건을 싣지 않음이 없음은 바로 ‘’이다.
이미 세 가지 을 소유해서 땅의 아름다움을 지극히 하여 자연히 물건을 낳으므로 닦고 경영함을 빌리지 않는다.
그러므로 ‘익히지 않아도 이롭지 않음이 없다.[不習无不利]’라고 말한 것이다.
물건이 모두 스스로 이루어져서 이롭지 않은 바가 없으니, 이 에 거하고 정위正位를 얻어서 땅의 형체를 지극히 하였다.
그러므로 땅의 를 극진히 한 것이다.
이는 자연의 성질을 인하여 사람의 일을 밝힌 것이니, 〈사람이〉 이 지위에 있으면 또한 마땅히 땅이 하는 바와 같이 해야 한다.
의 [居中得正]
정의왈正義曰:[居中得正 極於地質] ‘’은 형질形質을 이르니, 땅의 형질이 곧고 방정方正하고 또 크니, 이는 육이六二에 거하고 을 얻은 것으로, 이는 땅의 체질體質을 극진히 한 것이다.
곧은 까닭은 가 이르면 즉시 물건을 낳아서 이 의 정직한 성질을 따름을 말한 것이다.
운동하여 물건을 낳을 때에 또 형질과 성질에 맡겨서 곧고 또 방정方正하다.
그러므로 〈상전象傳〉에 “육이六二의 동함은 곧고 방정方正하다.” 한 것이다.
상전象傳〉에 말하였다.
육이六二의 동함은 곧고 방정方正하다.
동하여 곧고 방정方正함은 그 형질에 맡기는 것이다.
의 [象曰]에서 [直以方也]까지
정의왈正義曰:육이六二흥동興動하는 바가 있어서 자연의 성질에 맡김을 말하였다.
그러므로 ‘곧고 방정方正하다.[直以方]’라고 말한 것이다.
의 [動而直方]
정의왈正義曰:이 형질이 곧고 방정方正한데 동하기를 또 곧고 방정方正하게 하니, 이는 형질과 행실이 안팎으로 서로 부응하는 것이다.
물건은 안과 밖이 서로 부응하지 않는 것이 있다.
그러므로 《주역약례周易略例》에 이르기를 “형체가 조급하면 고요함을 좋아하고 이 부드러우면 강함을 좋아한다.” 하였으니, 이러한 따위가 이것이다.
익히지 않아도 이롭지 않음이 없음은 땅의 가 빛나는 것이다.”
정의왈正義曰:닦고 익힘을 빌리지 않고도 물건이 이롭지 않음이 없는 까닭은 땅의 광대光大하기 때문인 것과 같음을 말한 것이다.
육삼六三은 아름다움을 머금어 할 수 있으니, 혹 의 일에 종사하여 이룸이 없고 끝마침이 있다.
육삼六三하괘下卦에 처하였으나 에게 의심받지 않아서 이 뜻에 응하는 자이다.
일의 시작이 되지 아니하여 선창先唱하기를 기다려 비로소 응하고 명령을 기다려 비로소 나와서 아름다움을 머금어 바르게 할 수 있는 자이다.
그러므로 “아름다움을 머금어 할 수 있다.”고 말하였고, 일이 있으면 따라서(순종하여) 감히 머리가 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혹 의 일에 종사한다.”고 말하였고, 일의 주체가 되지 않고 명령에 순종하여 끝마친다.
그러므로 “이룸이 없고 끝마침이 있다.”고 말한 것이다.
의 [六三]에서 [无成有終]까지
정의왈正義曰:[含章可貞]육삼六三하괘下卦에 처하였으나 능히 에게 의심을 받지 않는다.
’은 아름다움이니, 이미 에 처하였으나 능히 스스로 낮추고 물러가서 일의 시작이 되지 않고, 오직 안에 아름다운 를 머금어서 명령을 기다린 뒤에 비로소 행하여 바름을 얻을 수 있다.
그러므로 “아름다움을 머금어 할 수 있다.” 한 것이다.
[或從王事 无成有終]육삼六三이 신하가 되어서 혹 의 일에 순종함을 말하였다.
그러므로 감히 일의 머리가 되어 물건을 주장하여 이루지 않으므로 ‘무성无成’이라 말하였고, 오직 위가 선창先唱하면 아래가 화답하여 그 끝마침을 받들어 행하므로 ‘유종有終’이라 한 것이다.
의 [三處下卦之極]
정의왈正義曰:[三處下卦之極]이 비록 음효陰爻이나 그 지위가 높음을 나타내려 한 것이다.
[不疑於陽]의 높음이 지극해서 장차 과 대등하게 되면 가 반드시 에게 시기를 받지만, 이제 에게 의심을 받지 않으니, 이 해치지 않음을 말한 것이다.
[應斯義] ‘’는 이것이니, 만약 이 뜻에 능히 응하려면, 오직 ‘함장가정含章可貞’ 이하의 일을 행하여야 비로소 이 뜻에 응하는 것이다.
는 온전히 사람의 일을 가지고 밝혔다.
상전象傳〉에 말하였다.
“아름다움을 머금어 할 수 있음은 때로써 발하는 것이요, 혹 의 일에 종사함은 지려智慮(智慧와 사려思慮)가 광대光大한 것이다.”
지려智慮광대光大하기 때문에 그 아름다움을 차지하지 않는 것이다.
의 [象曰]에서 [知光大也]까지
정의왈正義曰:[含章可貞 以時發]부자夫子가 ‘함장含章’의 뜻을 해석하신 것이다.
자신이 에 처하였으나 감히 물건의 머리가 되지 않고 다만 안으로 아름다운 를 머금어서 때를 기다려 발하니, 이것이 ‘이시발以時發’이다.
[或從王事 知光大] ‘이룸이 없고 끝마침이 있음’을 해석한 것이다.
이미 의 일을 따라서 감히 물건의 시작을 주장하여 이루지 않고 다만 끝마침을 받들어 행하니, 이것은 지려智慮광대光大하여 스스로 그 아름다움을 차지하지 않고서 오직 윗사람을 받드는 것이다.
육사六四는 주머니 끈을 묶듯이 하면 허물이 없으며 칭찬이 없으리라.
에 처하여 음효陰爻로서 의 자리에 거하며 밟고 있는 것이 의 자리가 아니어서 곧고 방정方正한 형질이 없고, 의 일을 하지 않아서 함장含章하는 아름다움이 없어서 맺히고 폐색되어 현인賢人이 마침내 은둔하니, 신중함을 베풀면 할 것이요, 통태通泰(통하여 편안함)한 가 아니다.
의 [六四]에서 [无譽]까지
정의왈正義曰:‘’은 맺음이요, ‘’은 물건을 저장하는 것이니, 마음에 지려智慮를 감추고 있음을 비유한 것인데, 지려智慮를 닫고 쓰지 않으므로 ‘괄낭括囊’이라 한 것이다.
이 사물에 드러나지 않으므로 ‘무예无譽’라 하였고, 물건과 거스르지 않으므로 ‘무구无咎’라 한 것이다.
의 [不造陽事]에서 [非泰之道]까지
정의왈正義曰:[不造陽事 无含章之美]육삼六三음효陰爻로서 의 자리에 있으니, 이는 의 일을 하는 것이나 다만 일의 시작이 되지 않고, 선창先唱하기를 기다려 비로소 행하니, 이는 의 일이 그대로 남아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함장含章’이라 하였으니, ‘’은 바로 의 아름다움이다.
이제 육사六四음효陰爻로서 의 자리에 처하여 안에 의 일이 없으니 이는 ‘의 일을 하지 않아서 함장含章하는 아름다움이 없는 것[不造陽事 无含章之美]’이고, 맺히고 폐색되는 때를 당하니 이는 ‘현인賢人이 마침내 은둔하는 것[賢人乃隱]’이다.
이는 오직 근신謹愼함을 베풀면 할 것이요, 통태通泰가 아니다.
상전象傳〉에 말하였다.
“주머니 끈을 묶듯이 하면 허물이 없다는 것은 삼가면 해롭지 않은 것이다.”
정의왈正義曰:[愼不害] ‘주머니 끈을 묶듯이 하면 허물이 없다.’는 뜻을 해석한 것이니, 근신謹愼하여 물건과 다투지 않기 때문에 해를 입지 않음을 말한 것이다.
육오六五는 누런 치마처럼 하면 크게 길할 것이다.
황색黃色은 중앙의 색이요 치마는 아래의 꾸밈이니, 은 신하의 가 되어서 아래에서 아름다움을 다하였다.
강건剛健함이 없으나 물건의 실정實情을 지극히 함은 이치를 통달한 자요, 유순柔順을 가지고 한 지위에 처함은 문리文理에 맡기는 것이요, 누런 치마를 드리우고 있으면 크게 길함을 얻음은 무력武力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다.
의 성함이 지극하나 에게 의심받음에 이르지 않음은 에 있기 때문이니, 아름다움이 지극한 것이다.
의 [六五黃裳元吉]
정의왈正義曰:황색黃色은 바로 중앙의 색이요 치마는 아래의 꾸밈이니, 곤괘坤卦는 신하의 가 되는데 육오六五인군人君의 자리에 거하였으니, 이는 신하 중에 지극히 귀한 자이다.
능히 중화中和로써 사물의 이치에 통달하여 신하의 직책에 거하였다.
그러므로 “누런 치마처럼 하면 크게 길할 것이다.[黃裳 元吉]”라고 말한 것이다.
’은 큼이니, 그 이 이와 같기 때문에 크게 길함을 얻은 것이다.
의 [黃中之色]
정의왈正義曰:[黃 中之色 裳 下之飾]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소공昭公 12년의 전문傳文이다.
치마가 아래의 꾸밈이면, 윗옷은 군주君主에 비유하고 아래 치마는 신하臣下를 본받은 것이다.
[垂黃裳以獲元吉 非用武]강건剛健함이 없으니 이는 위엄威嚴무력武力을 쓰는 것이 아니요, 안에 문덕文德이 있어서 사물의 이치를 통달한다.
그러므로 〈상전象傳〉에 “이 가운데 있다.”고 한 것이다.
상전象傳〉에 말하였다.
“‘누런 치마처럼 하면 크게 길함’은 이 가운데 있는 것이다.”
황상黃裳을 사용하여 원길元吉을 얻음은 이 가운데에 있기 때문이다.
정의왈正義曰:‘누런 치마처럼 하면 크게 길함’의 뜻을 해석한 것이니, 문덕文德이 가운데 있기 때문이다.
이미 중화中和를 소유하고 또 신하의 직책을 받들어서 문리文理를 통달하였다.
그러므로 “이 가운데 있다.[文在其中]”고 말하였으니, 위엄威嚴무력武力을 쓰지 않음을 말한 것이다.
상육上六이 들에서 싸우니, 그 피가 검고 누렇다.
는 낮추고 순히 하여 가득 차지 않아야 비로소 그 아름다움을 온전히 할 수 있는데, 하고 그치지 않아서 의 자리를 굳게 차지하면 이 견디지 못하게 된다.
그러므로 들에서 싸우는 것이다.
의 [上六]에서 [其血玄黃]까지
정의왈正義曰:이라 하니, 상육上六은 바로 이 지극한 것인데, 하여 과 같으므로 이라 칭한 것이다.
하고 그치지 않아서 의 자리를 굳게 차지하면 이 견디지 못하게 된다.
그러므로 양기陽氣이 더불어 서로 싸우는 것이니, 바로 〈설괘전說卦傳〉에 “에서 싸운다.”는 것이 이것이다.
밖에서 싸우므로 “들에서[于野]”라고 말하였고, 이 모두 상하므로 ‘그 피가 검고 누런[其血玄黃]’ 것이다.
의 [盛而不已]
정의왈正義曰:[盛而不已 固陽之地] ‘’는 점거하기를 굳게 하는 것이니, 이 떠나가면 이 오는데 이 마침내 하고 떠나가지 않아서 이 이 생기는 자리를 굳게 점거한다.
그러므로 양기陽氣이 더불어 서로 싸우는 것이다.
상전象傳〉에 말하였다.
이 들에서 싸움은 그 가 궁극한 것이다.
용육用六영정永貞함이 이롭다.”
용육用六의 이로움은 영정永貞함이 이로운 것이다.
정의왈正義曰:[用六 利永貞] 이 곤괘坤卦의 여섯 를 총괄한 말이다.
을 쓰는 것은 여러 을 사용하니, 은 바로 유순柔順한 것으로, 순수하게 유순해서는 안 되므로 이로움이 영정永貞함에 있다.’고 말한 것이다.
’은 긺이요, ‘’은 바름이니, 길게 정정貞正함을 말한 것이다.
상전象傳〉에 말하였다.
“‘용육영정用六永貞’은 광대廣大하여 끝마치는 것이다.”
능히 영정永貞함으로써 크게 끝마치는 것이다.
정의왈正義曰:[以大終] ‘영정永貞’의 뜻을 해석한 것이다.
이미 능히 이 유순柔順함을 사용하여 길이 정정貞正함을 지키니, 이 때문에 광대廣大하여 끝마치는 것이다.
만약 영정永貞함을 쓰지 않으면 이는 유순하면서 또 둥근 것이니, 바로 앞 의 “편안함을 구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영정永貞은 바로 곤괘坤卦 아래의 “안정하여 길하다.”는 것이 이것이다.
문언전文言傳〉에 말하였다.
곤괘坤卦는 지극히 유순하나 함이 하고 지극히 고요하나 방정方正하다.
하기를 방정方正하고 곧게 함은 간사함을 하지 않는 것이니, 부드럽고 또 둥근 것은 사라지는 이다.
이 지극히 고요하니, 이 반드시 방정方正해야 하는 것이다.
정의왈正義曰:이 한 은 첫 번째 이니 을 밝힌 것이요, ‘적선지가積善之家’ 이하는 두 번째 이니 여섯 의 뜻을 나누어 해석하였다.
[坤至柔而動也剛] 여섯 가 모두 이니 이것이 ‘지유至柔’이다.
가 비록 지극히 유순하나 함이 하니, 부드러우면서 점점 쌓여서 마침내 단단하고 강함에 이르니, 위에서 “서리를 밟으면 단단한 얼음이 이른다.”고 말한 것이 이것이다.
또 땅은 물건을 낳을 수 있으니, 처음은 비록 유약하나 뒤에 단단하고 강함에 이르러 성취한다.
[至靜而德方] 땅의 가 동하지 않으니 이는 ‘지정至靜’이요, 물건을 낳음이 간사하지 않으니 이는 이 능히 방정方正한 것이다.
뒤에 하여 주장함을 얻어서 떳떳함이 있으며 만물을 포함하여 덕화德化가 빛나니, 가 순하구나!
하늘을 받들어 때로 행한다.
정의왈正義曰:[後得主而有常]은 낮고 물러감을 주장하니, 만약 일의 뒤에 있어서 물건의 먼저가 되지 않으면 바로 주장함을 얻는 것이니, 이는 의 떳떳한 이치이다.
그러므로 “떳떳함이 있다.[有常]”고 말한 것이다.
[含萬物而化光] 〈단전彖傳〉의 ‘함홍광대含弘光大’를 스스로 밝힌 것이니, 만물을 포함하여 길러서 덕화德化광대光大함을 말한 것이다.
[坤道其順乎 承天而時行]가 유순하여 하늘을 받들어서 때를 헤아려 행함을 말한 것이니, 이는 바로 감히 물건의 먼저가 되지 아니하여 항상 때를 살펴 동하는 것이다.
을 쌓은 집안은 반드시 남은 경사가 있고, 불선不善을 쌓은 집안은 반드시 남은 재앙이 있으니, 신하가 군주를 시해하며 자식이 부모를 시해하는 것은 하루아침과 하루저녁의 변고가 아니다.
그 유래가 점차적으로 이루어진 것이니, 〈군주와 부모가〉 분변分辯하여 밝히기를 일찍 분변하지 않은 데에서 말미암은 것이다.
주역周易》에 이르기를 “서리를 밟으면 단단한 얼음이 이른다.” 하였으니, 아마도 순차적으로 이루어짐을 말한 것이다.
의 [積善之家]에서 [蓋言順也]까지
정의왈正義曰:이 한 초육初六효사爻辭를 밝힌 것이다.
[積善之家 必有餘慶 積不善之家 必有餘殃]초육初六의 그 함이 점진적으로 되었음을 밝히고자 하였으므로, 먼저 그 행한 바의 한 일과 한 일이 오래되어 점진적으로 쌓인 것에 말미암았으므로 뒤의 을 이룸을 밝힌 것이다.
[其所由來者漸矣] 군주를 시해하고 부모를 시해하는 것이 하루아침이나 하루저녁에 갑자기 일어난 것이 아니니, 그 화환禍患소종래所從來가 점점 쌓이고 오래됨을 말한 것이다.
[由辯之不早辯] 신하와 자식이 오랫동안 의 마음을 품고 있는 것은 군주와 부모가 분변分辯하여 밝혀주기를 바라던 일을 일찍 분변分辯하지 않았기 때문이니, 이는 군주와 부모가 신하와 자식의 을 막아야 함을 경계한 것이다.
[蓋言順] 이 ‘서리를 밟으면 단단한 얼음이 이름’은 아마도[蓋]를 순차적으로 익혀서 작은 것을 쌓아 그치지 아니하여 마침내 이 시해弑害를 이루게 되었음을 말한 것으로 보인다는 말이다.
’라고 칭한 것은 의문사이다.
무릇 만사萬事가 일어남은 모두 작은 것으로부터 큰 것에 이르고 은미隱微한 것으로부터 현저顯著함에 이른다.
그러므로 위 글에서는 을 함께 말하였고, 여기서는 군주를 시해하고 부모를 시해하는 것이 점차적으로 이루어졌음만을 말하였으니, 이는 이 유순함을 주장해서 를 쌓아 그치지 아니하여 끝내 에 이르기 때문에 곤괘坤卦초육初六에서 특별히 이것을 말한 것이다.
이는 유약柔弱한 처음을 막아야 함을 경계하고자 한 것이요, 또 은 시해가 되므로 여기에 붙여서 뜻을 밝힌 것이다.
’은 바름이요 ‘’은 의로움이다.
군자君子하여 안을 곧게 하고 롭게 하여 밖을 방정하게 해서, 가 서면 이 외롭지 않으니, ‘곧고 방정方正하고 커서 익히지 않아도 이롭지 않음이 없다는 것’은 그 행하는 바를 의심하지 않는 것이다.
의 [直其正也]에서 [所行也]까지
정의왈正義曰:이 한 육이六二효사爻辭를 해석한 것이다.
[直 其正]경문經文에서 말한 ‘’은 바로 바름이다.
[方 其義]경문經文에서 말한 ‘’은 바로 의로움이다.
’라는 것은 마땅함[宜]이니, 일에 마땅함을 얻기 때문에 라고 말한 것이다.
[君子敬以直內] ‘ 기정其正’을 반복하여 해석한 것으로, ‘군자君子가 공경을 사용하여 안을 곧게 하니, 안은 마음을 이르니 이 공경함을 사용하여 안의 이치를 곧게 함’을 말한 것이다.
[義以方外] 이 의로운 일을 사용하여 외물을 방정方正하게 하는 것이니, ‘군자君子가 땅의 정직함을 본받아서 만물을 낳아 모두 마땅한 바를 얻어서 각각 방정方正함으로써 함’을 말한 것이다.
그러나 바로 앞에서는 “직기정야直其正也”, “방기의야方其義也”라 하였고, 아래에는 “의이방외義以方外”라고 말하였으니,
여기에서는 응당 “정이직내正以直內”라고 말하여야 할 터인데 “경이직내敬以直內”라고 바꿔 말한 것은, ‘바르면 능히 공경함’을 나타내고자 하였으므로 ‘’을 바꾸어 ‘’이라고 한 것이다.
[敬義立而德不孤] 몸에 를 소유하여 남을 접하면 남 또한 공경하고 의롭게 대응하니, 이는 ‘덕불고德不孤’이다.
곧으면 간사하지 않고, 바르면 겸손하고 공손하며, 의로우면 남과 다툼이 없고, 방정하면 의젓하고 후중하여 조급하지 않으니, 이미 익히지 않아도 이롭지 않음이 없으면 행하는 바를 굳이 의심하고 생각할 것이 없다.
그러므로 “그 행하는 바를 의심하지 않는다.[不疑其所行]”고 말한 것이다.
은 비록 아름다움을 가지고 있으나 이것을 머금어서(감추어서) 의 일에 종사하면 감히 이루지 못하니, 이는 땅의 이며 아내의 이며 신하의 이다.
땅의 는 이룸이 없고 대신하여 끝마침이 있는 것이다.
의 [陰雖有美]에서 [有終也]까지
정의왈正義曰:이 한 육삼六三효사爻辭를 밝힌 것이다.
[陰雖有美 含之 以從王事] ‘아름다움을 머금어 할 수 있음’의 뜻을 해석한 것이다.
육삼六三이 비록 아름다운 를 포함한 이 있으나 만일 혹 의 일을 따르면 감히 주체가 되어 먼저 이루지 않음을 말한 것이다.
[地道也 妻道也 臣道也]곤도坤道가 낮은 데에 처하여 선창先唱하기를 기다려서 비로소 화답和答함을 밝히고자 하였다.
그러므로 이 세 가지 일을 차례로 말하였으니, 이는 모두 낮은 이가 높은 이에게 응하고 아랫사람이 윗사람에게 순한 것이다.
[地道無成 而代有終] 땅의 가 낮고 유순해서 감히 선창先唱하여 물건을 이루지 않고, 반드시 이 시작하여 선창先唱하기를 기다린 뒤에 을 대신하여 끝마침이 있는 것이다.
천지天地가 변화하면 초목草木이 번성하고 천지가 막히면 현인賢人이 은둔하니, 《주역周易》에 이르기를 “주머니 끈을 묶듯이 하면 허물도 없고 칭찬도 없다.” 하였으니, 아마도 삼가야 함을 말한 것이다.
의 [天地變化]에서 [蓋言謹也]까지
정의왈正義曰: 이 한 육사六四효사爻辭를 밝힌 것이다.
[天地變化] 〈〉 두 기운이 서로 통하여 만물을 낳고 기름을 말한 것이니, 이 때문에 초목이 번성하는 것이다.
[天地閉 賢人隱] 〈〉 두 기운이 서로 통하지 못하여 천지가 비색否塞하고 막히면 현인賢人이 은둔함을 말한 것이다.
천지가 통하면 초목이 번성함은 천지가 닫히면 초목이 번성하지 못함을 밝힌 것이요, 천지가 막히면 현인이 은둔함은 천지가 통하면 현인이 나옴을 밝힌 것이니, 서로 통하는바, 이것이 바로 ‘주머니 끈을 묶듯이 하면 허물이 없다는 것[括囊无咎]’이다.
그러므로 현인賢人이 은둔함은 천지가 막힘에 속하는 것이다.
[蓋言謹] ‘’은 근신謹愼을 이르니, 아마도 현인賢人군자君子가 이때에 모름지기 근신謹愼해야 함을 말한 것이다.
군자君子으로 에 있고 이치를 통하여 자리를 바로하고 에 거해서, 아름다움이 그 가운데 있어 사지四支통창通暢하며 사업에 발로되니, 아름다움이 지극한 것이다.
의 [君子]에서 [美之至也]까지
정의왈正義曰:이 한 육오六五효사爻辭를 밝힌 것이다.
[黃中通理]으로서 에 거하여 사방의 색깔을 겸해서 신하의 직책을 받들어 행하니, 이는 사물의 이치를 통달한 것이다.
[正位居體]에 거하고 을 얻었으니 이는 ‘정위正位’요, 상체上體의 가운데에 처하였으니 이는 ‘거체居體’이다.
으로 에 있고 이치를 통했다.[黃中通理]’는 것은 바로 ‘아름다움이 그 가운데 있다.[美在其中]’는 것이니, 아름다움이 그 가운데 있으면 반드시 밖에 통창通暢한다.
그러므로 “사지四支에 통창한다.[暢於四支]”고 말한 것이다.
사지四支’는 사람의 손발과 같으니, 사방의 물건과 일에 비유한 것이다.
밖과 안이 모두 하면 능히 사업事業에 발로된다.
경영하는 바를 ‘’라 이르고, 일이 이루어진 것을 ‘’이라 이르니, 아름다움이 이보다 더할 수 없다.
그러므로 “아름다움이 지극하다.[美之至也]”고 말한 것이다.
에게 의심받으면 반드시 싸우니,
분변分辯하기를 일찍 하지 않아서 의심이 하여 마침내 발동한다.
그러므로 반드시 싸우는 것이다.
정의왈正義曰:이 한 상육上六효사爻辭를 밝힌 것이다.
[陰疑於陽 必戰]하여 에게 의심받으면 이 마침내 발동하여 이 을 제거하고자 하는데, 이 이미 강성해져서 물러가고 피하려 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반드시 싸우는 것이다.
이 없음을 혐의하였다.
이 아니면서 싸우는 것을 혐의한 것이다.
그러므로 ‘’이라 칭하였으며,
정의왈正義曰:상육上六하여 과 비슷하니, 순음純陰이어서 이 아님을 혐의하였다.
그러므로 ‘’이라 칭하여 밝힌 것이다.
아직 그 종류를 떠나지 않았다.
아직 를 떠나지 않아서 에게 멸망당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피’라고 칭한 것이다.
아직도 과 싸워 서로 상한다.
그러므로 ‘피’라고 칭한 것이다.
정의왈正義曰:상육上六은 비록 하여 과 비슷하나 아직도 를 떠나지 못하였다.
그러므로 에게 상함을 당하여 피를 봄을 말한 것이다.
검고 누름은 하늘과 땅의 색깔이 뒤섞인 것이니, 하늘은 검고 땅은 누르다.
정의왈正義曰:‘그 피가 검고 누르다.[其血玄黃]’는 뜻을 해석한 것이다.
장씨莊氏는 “상육上六는 하늘과 땅의 섞인 기운을 겸하여 보유하였으니, 이 때문에 상육上六이 상함을 당하여 그 피가 검고 누른 것이다.
하늘의 색깔은 검고 땅의 색깔은 누르다.
그러므로 피에 하늘과 땅의 색깔이 있는 것이다.” 하였다.
그러나 지금 왕보사王輔嗣에 “아직도 과 싸워 서로 상한다.” 하였는바, 이는 이 모두 상함을 말한 것이니, 장씨莊氏의 말은 왕보사王輔嗣의 본뜻이 아닐 듯하므로 이제 취하지 않는 바이다.


역주
역주1 (蓋)[但] : 저본에는 ‘蓋’로 되어 있으나, 宋本에 의거하여 ‘但’으로 바로잡았다.[阮刻本 참조]
역주2 (牝)[牡] : 저본에는 ‘牝’으로 되어 있으나, 毛本에 의거하여 ‘牡’로 바로잡았다.[阮刻本 참조]
역주3 (而)[行] : 저본에는 ‘而’로 되어 있으나, 錢本‧宋本에 의거하여 ‘行’으로 바로잡았다.[阮刻本 참조]
역주4 (合)[地] : 저본에는 ‘合’으로 되어 있으나, 阮刻本 〈校勘記〉에 의거하여 ‘地’로 바로잡았다.
역주5 (平)[奉] : 저본에는 ‘平’으로 되어 있으나, 錢本‧宋本에 의거하여 ‘奉’으로 바로잡았다.[阮刻本 참조]
역주6 (以)[宏] : 저본에는 ‘以’로 되어 있으나, 錢本‧宋本에 의거하여 ‘宏’으로 바로잡았다.[阮刻本 참조]
역주7 (元)[乾] : 저본에는 ‘元’으로 되어 있으나, 錢本‧宋本에 의거하여 ‘乾’으로 바로잡았다.
역주8 (順)[故] : 저본에는 ‘順’으로 되어 있으나, 錢本‧宋本에 의거하여 ‘故’로 바로잡았다.[阮刻本 참조]
역주9 (用)[兩] : 저본에는 ‘用’으로 되어 있으나, 岳本‧監本‧毛本에 의거하여 ‘兩’으로 바로잡았다.[阮刻本 참조]
역주10 (是)[物] : 저본에는 ‘是’로 되어 있으나, 錢本‧宋本에 의거하여 ‘物’로 바로잡았다.[阮刻本 참조]
역주11 [取] : 저본에는 ‘取’가 없으나, 錢本‧宋本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阮刻本 참조]
역주12 (于)[干] : 저본에는 ‘于’로 되어 있으나, 錢本‧監本에 의거하여 ‘干’으로 바로잡았다.[阮刻本 참조]
역주13 (辭象)[象辭] : 저본에는 ‘辭象’으로 되어 있으나, 錢本‧宋本에 의거하여 ‘象辭’로 바로잡았다.[阮刻本 참조]
역주14 黃……左氏昭十二年傳文也 : 魯나라 季氏의 私邑인 費 땅의 邑宰인 南蒯는, 季平子가 大夫가 되어 자기를 예우하지 않자 반란을 일으킬 마음을 먹었다. 이때 점을 쳤는데 坤卦䷁가 比卦䷇로 간 것을 얻었다.
점을 치는 법에서는 한 爻가 변하였을 경우에는 본래 卦의 變爻의 爻辭로 점을 치는바, 南蒯는 坤卦 六五의 爻辭인 ‘黃裳元吉’을 보고 매우 길하다고 생각하고서 반란을 실행하려고 이 일을 子服惠伯에게 물었는데, 惠伯이 답하기를 “忠信의 일이라면 괜찮지만, 그렇지 않다면 반드시 패할 것입니다. 밖은 강하고 안은 온순한 것이 忠이요, 和로써 貞을 따름이 信이니, 그러므로 ‘黃裳元吉’이라고 말한 것입니다. 黃은 중앙의 色이요, 치마는 아래의 꾸밈이요, 元은 善의 으뜸이니, 中心이 不忠하면 그 色을 얻지 못한 것이요, 아랫사람이 공손하지 않으면 그 꾸밈을 얻지 못한 것이요, 일이 善하지 않으면 그 極을 얻지 못한 것입니다.[忠信之事則可 不然必敗 外彊內溫 忠也 和以率貞 信也 故曰 黃裳元吉 黃 中之色也 裳 下之飾也 元 善之長也 中不忠 不得其色 下不共 不得其飾 事不善 不得其極]”라고 하였다.
南蒯는 이 말을 듣지 않고 반란을 일으켰다가 실패하고 齊나라로 도망하였다. 《春秋左氏傳 昭公 12년》
역주15 後得主而有常者……故云有常 : 孔穎達은 ‘後得主’를 ‘陰이 뒤로 물러나서 주장을 얻는 것’으로 풀이하였으나, 일반적으로 주장함이라는 것은 앞으로 나아가 先唱함과 상통하므로 뜻이 순하지 않다. 程伊川과 朱子는 이 說을 따르지 않고, ‘主’자 뒤에 ‘利’자가 빠진 것으로 보았다. 程伊川은 “뒤에 거함이 얻음이 되어 만물을 이롭게 함을 주장하니, 이것이 坤의 떳떳함이다.[居後爲得而主利成萬物 坤之常也]”라고 하였는바, 이를 따르면 經文은 “後得하여 主而有常이라”고 현토하고 “뒤에 하면 얻어서 이로움을 주장하여 떳떳함이 있다.”고 번역해야 한다.
역주16 此一節 明初六爻辭也 : 孔穎達은 坤卦 〈文言傳〉의 앞부분은 坤의 德을 서술한 것이고, 이 이하는 여섯 爻의 爻辭를 해설한 것으로 보았으나, 朱子는 앞부분은 〈彖傳〉을 해설한 것으로, 이 이하는 〈象傳〉을 해설한 것으로 보았다.
역주17 稱蓋者 是疑之辭 : ‘疑之辭’는 의심하여 단정하지 않음을 나타나는 것으로, ‘아마도’의 뜻이다.
역주18 (故)[於] : 저본에는 ‘故’로 되어 있으나, 錢本‧宋本에 의거하여 ‘於’로 바로잡았다.[阮刻本 참조]
역주19 (名)[各] : 저본에는 ‘名’으로 되어 있으나, 錢本‧宋本에 의거하여 ‘各’으로 바로잡았다.[阮刻本 참조]
역주20 (正)[內] : 저본에는 ‘正’으로 되어 있으나, 阮刻本에 “살펴보건대, ‘正’은 ‘內’로 써야 한다.”고 한 것에 의거하여 ‘內’로 바로잡았다.
역주21 (陽)[陰] : 저본에는 ‘陽’으로 되어 있으나, 毛本에 의거하여 ‘陰’으로 바로잡았다.[阮刻本 참조]
역주22 (成)[血] : 저본에는 ‘成’으로 되어 있으나, 監本‧毛本에 의거하여 ‘血’로 바로잡았다.[阮刻本 참조]

주역정의(1)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50 서울시 종로구 삼봉로81, 1332호(두산위브파빌리온)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