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周易正義(4)

주역정의(4)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주역정의(4)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疏]正義曰:‘聖人設卦’至‘不利此’ 第二章也.
前章言天地成象成形簡易之德, 明乾坤之大旨, 此章明聖人設卦觀象, 爻辭吉凶悔吝之細別.
聖人設卦觀象하니
[注]此 總言也
[疏]‘聖人’至‘觀象’
○正義曰:謂聖人設畫其卦之時, 莫不瞻觀物象, 法其物象, 然後設之,
卦象則有吉有凶, 故下文云“吉凶者, 失得之象也, 悔吝者, 憂虞之象, 變化者, 進退之象, 剛柔者, 晝夜之象.”
是施設其卦, 有此諸象也.
[疏]○注‘此總言也’
繫辭焉而明吉凶하고 剛柔相而生變化하니라
[注]繫辭 所以明吉凶이요 剛柔相推 所以明變化也 吉凶者 存乎人事也 變化者 存乎運行也
[疏]正義曰:‘繫辭焉而明吉凶’者, 卦象․爻象有吉有凶, 若不繫辭, 其理未顯,
故繫屬吉凶之文辭於卦爻之下, 而顯明此卦爻吉凶也.
案吉凶之外, 猶有悔吝憂虞, 直云“而明吉凶”者, 悔吝憂虞, 是凶中之小, 別擧吉凶則包之, 可知也.
‘剛柔相推而生變化’者, , 卦之與爻, 其象旣定, 變化猶少,
若剛柔二氣相推, 陰爻陽爻交變, 分爲六十四卦, 有三百八十四爻, 委曲變化, 事非一體, 是“而生變化”也.
繫辭而明吉凶, 明繫辭之意, ‘剛柔相推而生變化’, 明其推引而生雜卦之意也.
是故 吉凶者 失得之象也
[注]由有失得故 吉凶生이라
[疏]正義曰:, 總明諸象不同之事.
辭之吉者, 是得之象, 辭之凶者, 是失之象, 故曰“吉凶者, 是失得之象也.”
初時於事, 有失有得, 積漸成著, 乃爲吉凶也.
然易之諸卦及爻, 不言吉凶者, 義有數等. 或吉凶據文可知, 不須明言吉凶者.
若乾“元亨利貞”及九五“飛龍在天, 利見大人”之屬, 尋文考義, 是吉可知, 故不須云吉也.
若其剝“不利有攸往”, 離之九四“突如其來如, 焚如, 死如, 棄如”之屬, 據其文辭, 其凶可見, 故不言凶也.
亦有爻處吉凶之際, 吉凶未定, 行善則吉, 行惡則凶, 是吉凶未定, 亦不言吉凶.
若乾之九三“君子終日乾乾, 夕惕, 若厲, 无咎”,
若屯之六二“屯如邅如, 乘馬班如, 匪寇, 婚媾, 女子貞不字, 十年乃字”, 是吉凶未定, 亦不言吉凶也.
[疏]又諸稱无咎者, 若不有善應則有咎, 若有善應則无咎, 此亦不定言吉凶也.
諸稱吉凶者, 皆嫌其吉凶不明, 故言吉凶以正之.
若坤之六五“黃裳元吉”, 以陰居尊位, 嫌其不吉, 故言吉以明之, 推此, 餘可知也.
亦有於事无嫌, 吉凶灼然可知, 而更明言吉凶者,
若剝之初六“剝牀以足, 蔑貞凶”, 六二“剝牀以辨, 蔑貞凶”者, 此皆凶狀灼然而言凶也.
或有一卦之內, 或一爻之中, 得失相形, 須言吉凶.
若大過九三“棟橈凶”, 九四“棟隆吉”, 是一卦相形也, 屯卦九五“屯其膏, 小貞吉, 大貞凶”, 是一爻相形也.
亦有一事相形, 終始有異. 若訟卦“有孚, 窒惕, 中吉, 終凶”之類是也, 大略如此.
原夫易之爲書, 曲明萬象, 苟在釋辭, 明其意, 達其理, 不可以一爻爲例, 義有變通也.
悔吝者 憂虞之象也
[注]失得之微者 足以致憂虞而已 曰 悔吝이라하니라
[疏]正義曰:經稱悔吝者, 是得失微小, 初時憂念虞度之形象也, 以憂虞不已, 未是大凶, 終致悔吝.
‘悔’者, 其事已過, 意有追悔之也.
‘吝’者, 當事之時, 可輕鄙恥, 故云“吝”也.
吝旣是小凶, 則易之爲書, 亦有小吉, 則无咎之屬, 善補過是也. 此亦小吉, 而不言者, , 故於此不言.
其餘元․亨․利․貞, 則是吉象之境, 有四德別言, 故於此不言也. 其以祉․有慶․有福之屬, 各於爻卦別言, 故不在此而說.
且易者, 戒人爲惡, 故於惡事備言也.
變化者 進退之象也
[注]往復相推하여 迭進退也
[疏]正義曰:萬物之象, 皆有陰陽之爻, 或從始而上進, 或居終而倒退,
以其往復相推, 或漸變而頓化, 故云“進退之象也.”
剛柔者 晝夜之象也
[注]晝則陽剛이요 夜則陰柔 始總言吉凶變化하고 而下 別明悔吝晝夜者 悔吝 則吉凶之類 晝夜亦變化之道
吉凶之類 則同因繫辭而明하고 變化之道 則俱由剛柔而著
始總言之하고 下則明失得之輕重하고 辨變化之小大 別序其義也니라
[疏]‘剛柔’至‘象也’
○正義曰:晝則陽日照臨, 萬物生而堅剛, 是晝之象也.
夜則陰潤浸被, 萬物而皆柔弱, 是夜之象也.
[疏]○注‘始總’至‘變化’
○正義曰:云‘始總言吉凶變化’者, 謂上文云“繫辭焉而明吉凶, 剛柔相推而生變化”, 是始總言吉凶變化也.
云‘而下別明悔吝晝夜’者, 謂次文云“悔吝者, 憂虞之象”․“剛柔者, 晝夜之象”, 是別明悔吝晝夜也.
言‘悔吝則吉凶之類’者, 案上文“繫辭而明吉凶”,
次又別序云“吉凶者, 失得之象”․“悔吝者, 憂虞之象”, 是吉凶之外, 別生悔吝, 是悔吝亦吉凶之類.
大略總言吉凶, 是細別之, 吉凶之外, 別有悔吝也, 故云“悔吝則吉凶之類.”
云‘晝夜亦變化之道’者, 案上文云“剛柔相推而生變化”,
次文別云“變化者, 進退之象”․“剛柔者, 晝夜之象”, 變化之外, 別云晝夜,
總言之則變化晝夜是一, 分之則變化晝夜是殊, 故云“晝夜亦變化之道”也.
[疏]云‘吉凶之類則同因繫辭而明’者, 案上文云“繫辭焉而明吉凶”, 次文別序云“吉凶”․“悔吝”, 兩事同因上繫辭而明之也,
故云“吉凶之類, 則同因繫辭而明”也.
云‘變化之道則俱剛柔而著’者, 上文“剛柔相推而生變化”,
次文別序云“變化者, 進退之象, 剛柔者, 晝夜之象”, 上文則變化剛柔合爲一, 次文則別序變化剛柔分爲二.
合之則同, 分之則異, 是變化從剛柔而生, 故云“變化之道 俱由剛柔而著”也.
[疏]云‘故始總言之’, 上文“繫辭焉而明吉凶”, 不云悔吝, 是總言之也.
又上文“剛柔相推而生變化”, 不云晝夜, 是總變化言之也.
云‘下則明失得之輕重 辨變化之小大 故別序其義’者, 案次文別序云“吉凶者, 失得之象”, 是失得重也,
“悔吝者, 憂虞之象”, 是失得輕也.
又次經云“變化者, 進退之象”, 是變化大也, “剛柔者, 晝夜之象.” 是變化小也.
兩事並言, 失得別明輕重, 變化別明小大, 是別序其義.
六爻之動 三極之道也
[注]三極 三材也 兼三材之道 能見吉凶하여 成變化也
[疏]正義曰:此覆明變化進退之義. 言六爻遞相推動而生變化, 是天地人三才至極之道.
以其事兼三才, 故能見吉凶而成變化也.
是故 君子所居而安者 易之序也
[注]序 易象之次序
[疏]正義曰: 以此之故, 君子觀象, 知其所處.
治之位, 而安靜居之, 是易位之次序也.
若居在乾之初九, 而安在勿用, 若居在乾之九三, 而安在乾乾, 是以所居而安者, 由觀易次序也.
所樂而玩者 爻之辭也 是故 君子居則觀其象而玩其辭하고 動則觀其變而玩其占이라
是以 自天祐之하여 吉无不利하나니라
[疏]‘所樂’至‘无不利’
○正義曰:‘所樂而玩者 爻之辭也’者, 言君子愛樂而習玩者, 是六爻之辭也.
辭有吉凶悔吝, 見善則思齊其事, 見惡則懼而自改, 所以愛樂而耽玩也.
卦之與爻, 皆有其辭, 但爻有變化, 取象旣多, 以知得失, 故君子尤所愛樂, 所以特云“爻之辭”也.
‘是故君子居則觀其象而玩其辭’者, 以易象則明其善惡, 辭則示其吉凶,
故君子自居處其身, 觀看其象, 以知身之善惡, 而習玩其辭, 以曉事之吉凶.
‘動則觀其變而玩其占’者, 言君子出行興動之時, 則觀其爻之變化, 而習玩其占之吉凶.
若乾之九四“或躍在淵”, 是動則觀其變也.
‘是以自天祐之 吉无不利’者, 君子旣能奉遵易象, 以居處其身, 无有凶害.
是以從天以下, 悉皆祐之, 吉无不利, 此大有上九爻辭.


정의왈正義曰의 [聖人設卦]에서 [不利此]까지 제2장이다.
앞 장에서는 ‘천지天地을 이루고 을 이루며 간이簡易을 소유함’을 말하여 건곤乾坤의 큰 뜻을 밝혔고, 이 장은 성인聖人를 만들 적에 을 관찰하여 효사爻辭길흉吉凶회린悔吝을 세세히 분별하였음을 밝혔다.
성인聖人를 만들 적에 을 관찰하니,
이는 〈이 의 아래 경문經文을〉 총괄하여 말한 것이다.
의 [성인聖人]에서 [관상觀象]까지
정의왈正義曰:‘성인聖人를 만들어 그을 적에 물건의 을 보지 않음이 없어서 물건의 을 본받은 뒤에 〈를〉 만듦’을 말하였으니,
괘상卦象에는 길함이 있고 흉함이 있기 때문에 아래 글에 “길흉吉凶실득失得이고, 회린悔吝우우憂虞이고, 변화變化진퇴進退이고, 강유剛柔주야晝夜이다.”라고 한 것인바,
이는 를 만들어 배치함에 이 여러 이 있는 것이다.
의 [此總言也]
정의왈正義曰:이는 ‘를 만들 적에 을 봄’이 아래 경문을 총괄하여 말한 것이므로 “이는 총괄하여 말한 것이다.”라고 한 것이다.
글을 달아 길흉吉凶을 밝히고, 가 서로 바뀌어[] 변화變化를 낳았다.
‘글을 달음’은 을 밝힌 것이고, ‘가 서로 바뀜’은 변화變化를 밝힌 것이니, 길․흉은 인사人事에 달려 있고, 변화는 운행運行에 있다.
정의왈正義曰:[繫辭焉而明吉凶] 괘상卦象효상爻象함이 있고 함이 있으니, 만약 괘사卦辭효사爻辭를 달지 않으면 그 이치가 드러나지 못한다.
그러므로 길․흉의 글을 의 아래에 달아서 이 의 길․흉을 드러내어 밝힌 것이다.
살펴보건대 길․흉 외에도 가 있는데, 다만 “길과 흉을 밝힌다.”라고 한 것은, 는 바로 흉함 중에 작은 것이니, 특별히 길․흉을 들었으면 이것을 포함하였음을 알 수 있다.
[剛柔相推而生變化] 8개의 순괘純卦가 그 이 이미 정해져서 변화變化가 오히려 적지만,
만약 두 기운이 서로 바뀌어서 음효陰爻양효陽爻가 서로 변화함으로 말하면, 나뉘어 64가 되어서 384가 있어 곡진히 변화해서 그 일이 한 가 아니니, 이것이 ‘변화變化를 낳음’이다.
‘글을 달아 길흉을 밝힘’은 글을 단 뜻을 밝힌 것이요, ‘강과 유가 서로 바뀌어 변화를 낳음’은 바뀌고 이끌어서 여러 를 낳은 뜻을 밝힌 것이다.
이러므로 이요,
〈일에〉 (잘못함)과 (잘함)이 있음으로 말미암아 이 생겨난 것이다.
정의왈正義曰:이 아래 네 구의 경문經文은 여러 이 똑같지 않은 일을 총괄하여 밝힌 것이다.
글(괘사卦辭효사爻辭) 중에 한 것은 이고, 글 중에 한 것은 이다. 그러므로 “이다.”라고 말한 것이다.
처음에는 일에 있어서 이 있고 이 있다가 점점 쌓여 드러나게 됨에 비로소 이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의 여러 중에 을 말하지 않은 것은 그 뜻이 몇 가지 있다. 혹은 글을 근거해보면 그 길․흉을 알 수 있어서 굳이 길․흉을 분명히 말하지 않은 것이 있다.
예컨대 건괘乾卦의 “하고 하고 하고 하다.”는 것과, 구오九五 효사爻辭의 “나는 이 하늘에 있는 것이니, 대인大人을 봄이 이롭다.”는 것과 같은 등속은 글을 찾아보고 뜻을 상고해보면 길함을 알 수 있으므로 굳이 길함을 말하지 않은 것이다.
박괘剝卦의 “가는 바를 둠이 이롭지 않다.”는 것과, 이괘離卦구사九四 효사爻辭의 “갑자기 오니, 불타며 죽으며 버림받으리라.”는 것과 같은 등속은 글을 근거해보면 흉함을 알 수 있으므로 흉함을 말하지 않은 것이다.
또한 가 길과 흉의 중간에 처하여 길과 흉이 아직 정해지지 않아서 을 행하면 길하고 을 행하면 흉한 것이 있으니, 이는 길과 흉이 아직 정해지지 않아서 또한 길과 흉을 말하지 않은 것이다.
예컨대 건괘乾卦구삼九三 효사爻辭의 “군자君子가 종일토록 부지런히 힘써서 저녁까지도 두려워하면 위태로운 듯하나 허물이 없으리라.”는 것과,
둔괘屯卦육이六二 효사爻辭의 “어려워하고 머뭇거리며 말을 타고서 맴도니, 이 아니면 혼구婚媾이다. 여자가 정조貞操를 지켜서 사랑하지 않다가 10년이 되어서야 비로소 사랑한다.”는 것은 바로 길과 흉이 아직 정해지지 않았으므로 또한 길과 흉을 말하지 않은 것이다.
또 여러 〈에〉 ‘무구无咎’라고 말한 것은, 이 있지 않으면 허물[]이 있고 이 있으면 허물이 없는 것이니, 이 또한 길과 흉을 정해 말하지 않은 것이다.
여러 〈에〉 ‘길․흉’을 말한 것은, 모두 길과 흉이 분명하지 않음을 혐의하였으므로 길과 흉을 말하여 바로잡은 것이다.
예컨대 곤괘坤卦육오六五 효사爻辭의 “누런 치마처럼 하면 크게 길할 것이다.”는 것은 존위尊位에 거하여 길하지 못함을 혐의하기 때문에 길함을 말하여 밝힌 것인바, 이것을 미루어보면 나머지를 알 수 있다.
또한 일에 혐의가 없어서 길과 흉을 분명히 알 수 있는데도 다시 길과 흉을 분명히 말한 경우가 있으니,
예컨대 박괘剝卦초륙初六 효사爻辭의 “을 깎되 상의 발을 함이니, 바름을 깎아 흉하다.”는 것과, 육이六二 효사爻辭의 “을 깎되 에 이름이니, 바름을 깎아 흉하다.”는 것은 모두 흉한 형상이 분명한데도 을 말한 경우이다.
혹은 한 의 안이나 혹 한 의 가운데에 이 서로 나타나서 마땅히 을 말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예컨대 대과괘大過卦구삼九三 효사爻辭의 “들보 기둥이 휘어지니, 흉하다.”는 것과, 구사九四 효사爻辭의 “들보 기둥이 높이 솟아 길하다.”는 것은 이는 한 안에서 서로 나타난 것이요, 둔괘屯卦구오九五 효사爻辭의 “은택을 어렵게 함이니, 조금 바르게 함은 길하고 크게 바르게 함은 흉하다.”는 것은 한 가운데에 서로 나타난 것이다.
또한 똑같은 일이 서로 나타났는데도 에 차이가 있는 것이 있다. 예컨대 송괘訟卦의 “진실이 있으나 막혀 두려워하여 중지하면 길하고, 끝까지 하면 흉하다.”는 것과 같은 따위가 이것이니, 대략 이와 같다.
따져보건대, ≪주역周易≫ 책은 만 가지 을 곡진히 밝힌 것이어서 진실로 괘사卦辭효사爻辭를 해석함에 달려 있으니, 그 뜻을 밝히고 그 이치를 이해함에 한 를 준례로 삼을 수가 없어서 뜻에 변통함이 있는 것이다.
(앞으로 닥칠 우환을 미리 헤아림)의 이요,
중에 작은 것은 를 이룰 뿐이다. 그러므로 “회린悔吝”이라고 한 것이다.
정의왈正義曰경문經文에서 ‘회린悔吝’이라고 한 것은, 바로 이 작아서 처음에 근심하고 헤아리는 형상이니, 근심과 헤아림을 그치지 않으면 크게 하지는 않으나 끝내 을 이루는 것이다.
[] 일이 이미 지나감에 마음에 뒤늦게 뉘우침이 있는 것이다.
[] 일을 당했을 때에 가볍고 비루하고 부끄럽게 여길 만한 것이므로 “”이라고 말한 것이다.
이 이미 소흉小凶이면 ≪주역周易≫ 책에는 소길小吉도 있으니, 천구天咎와 같은 등속이니 허물을 잘 보전補塡한 것이 이것이다. 이 또한 소길小吉인데 말하지 않은 것은, 아래 경문에 자세히 말했으므로 여기에서 말하지 않은 것이다.
그 외 의 경계이나 사덕四德에서 특별히 말했으므로 여기에서 말하지 않은 것이다. 이지以祉, 유경有慶, 유복有福과 같은 등속은 각각 효사爻辭괘사卦辭에서 특별히 말했으므로 여기에서 말하지 않은 것이다.
또 ≪주역≫은 사람들이 을 행함을 경계하였으므로 악한 일에 대해 자세히 말한 것이다.
는 나아가고 물러가는 이요,
가고 옴이 서로 바뀌어서 번갈아 나아가고 물러가는 것이다.
정의왈正義曰:만물의 에 모두 음효陰爻양효陽爻가 있어서 혹은 시초始初로부터 위로 나아가고 혹은 종말終末에 거하여 거꾸로 물러가니,
가고 옴이 서로 바뀌어서 혹은 점점 하고 갑자기 하므로 “나아가고 물러가는 이다.”라고 말한 것이다.
는 낮과 밤의 이요,
낮은 이요 밤은 이다. 처음에는 길흉吉凶변화變化를 총괄하여 말하고 아래에서는 별도로 회린悔吝주야晝夜를 밝힌 것은 〈다음과 같은 이유이다.〉 회린悔吝은 길흉의 종류이고 주야晝夜는 또 변화變化이니,
길흉의 종류는 똑같이 ‘글을 달음’을 인하여 밝혔고 변화變化는 모두 강유剛柔를 따라 드러난다.
그러므로 처음에는 총괄하여 말하였고, 아래에서는 실득失得의 경중을 밝히고 변화變化소대小大를 구별하였다. 그러므로 그 뜻을 별도로 서술한 것이다.
의 [강유剛柔]에서 [象也]까지
정의왈正義曰:낮에는 의 해가 비추고 임하여서 만물이 생겨남에 견고하고 강해지니, 이는 낮의 이다.
밤에는 습윤濕潤이 두루 입혀져서 만물이 생겨남에 모두 유약하니, 이는 밤의 인 것이다.
의 [始總]에서 [변화變化]까지
정의왈正義曰:[始總言吉凶變化] 윗글에 “글을 달아 길흉吉凶을 밝히고, 가 서로 바뀌어 변화變化를 낳았다.”라고 한 것이 바로 처음에 길흉吉凶변화變化를 총괄하여 말한 것임을 이른다.
[而下別明悔吝晝夜] 다음 글에 “의 상이다.”라고 한 것과, “는 낮과 밤의 이다.”라고 한 것이 바로 별도로 회린悔吝주야晝夜를 밝힌 것임을 이른다.
[悔吝則吉凶之類] 살펴보건대 윗글에서 “글을 달아 길흉吉凶을 밝혔다.”라 하고,
다음에 또 별도로 서술하기를 “이다.”라고 하고 “의 상이다.”라고 하였으니, 이는 길흉 외에 별도로 회린悔吝이 생긴 것이니, 이 회린悔吝은 또한 길흉의 종류이다.
대략 총괄하여 말하면 길흉인 것이고 세세히 구별하면 길흉 외에 별도로 회린悔吝이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회린悔吝은 길흉의 종류이다.”라고 한 것이다.
[晝夜亦變化之道] 살펴보건대 윗글에서 “가 서로 바뀌어 변화變化를 낳았다.”라 하고,
다음 글에 별도로 “는 나아가고 물러가는 이다.”, “는 낮과 밤의 이다.”라 하여 변화變化 외에 별도로 주야晝夜를 말했으니,
총괄하여 말하면 변화變化주야晝夜가 하나이고 나누면 변화變化주야晝夜가 다르다. 그러므로 “주야晝夜 또한 변화變化이다.”라고 말한 것이다.
[吉凶之類則同因繫辭而明] 살펴보건대 윗글에 “글을 달아 을 밝혔다.”라 하고, 다음 글에 별도로 서술하기를 “길흉吉凶”, “회린悔吝”이라고 하여, 두 가지 일을 똑같이 위의 ‘글을 달음’을 인하여 밝혔다.
그러므로 “길흉의 종류는 똑같이 ‘글을 달음’을 인하여 밝혔다.”라고 말한 것이다.
[變化之道則俱由剛柔而著] 윗글에 “가 서로 바뀌어 변화變化를 낳았다.”라 하고,
다음 글에 별도로 서술하기를 “는 나아가고 물러가는 이요, 는 낮과 밤의 이다.”라고 하여, 윗글에서는 변화變化강유剛柔를 합하여 하나로 만들었는데 다음 글에서는 변화變化강유剛柔를 별도로 서술하여 나누어서 둘로 만들었다.
합하면 같고 나누면 다르니, 이는 변화變化강유剛柔를 따라 생겨난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변화變化는 모두 강유剛柔를 따라 드러난다.”라고 말한 것이다.
[故始總言之] 윗글에 “글을 달아 을 밝혔다.”라고 하여 회린悔吝을 말하지 않았으니, 이는 총괄하여 말한 것이다.
또 윗글에 “가 서로 바뀌어 변화變化를 낳았다.”라고 하여 주야晝夜를 말하지 않았으니, 이는 변화變化를 총괄하여 말한 것이다.
[下則明失得之輕重 辨變化之小大 故別序其義] 살펴보건대 다음 글에 별도로 서술하기를 “이다.”라고 하였으니 이는 이 중한 것이고,
이다.”라고 하였으니 이는 이 가벼운 것이다.
또 다음 경문에 “는 나아가고 물러나는 이다.”라고 하였으니 이는 가 큰 것이고, “는 밤과 낮의 이다.”라고 하였으니 이는 가 작은 것이다.
두 가지 일을 함께 말하여 을 구별하여 밝히고 를 구별하여 밝혔으니, 이는 그 뜻을 별도로 서술한 것이다.
육효六爻의 동함은 삼극三極이다.
삼극三極삼재三材(삼재三才)이니 삼재三材를 겸하였으므로 능히 길흉吉凶을 보아서 변화變化를 이룬 것이다.
정의왈正義曰:이는 변화變化진퇴進退의 뜻을 반복해 밝힌 것이다. ‘육효六爻가 번갈아 서로 바뀌고 움직여서 변화를 낳으니, 이는 삼재三才의 지극한 임’을 말한 것이다.
이 일이 삼재三才를 겸하였으므로 능히 길흉吉凶을 보아서 변화變化를 이룬 것이다.
이 때문에 군자君子가 거처하면서 편안히 여기는 것은 차서次序요,
역상易象의 차서이다.
정의왈正義曰:윗자리에 있기 때문에 길흉吉凶에 그 득실得失이 드러나고 변화變化에 그 진퇴進退를 밝히니, 이 때문에 군자君子가 그 을 보고서 거처할 바를 아는 것이다.
그러므로 다스릴 수 있는 지위에 거하여 안정安靜하게 거처하니, 이는 역위易位의 차서인 것이다.
예컨대 건괘乾卦초구初九에 거하면 편안함이 ‘쓰지 않음’에 있고, 건괘乾卦구삼九三에 거하면 편안함이 ‘부지런히 힘씀’에 있으니, 이 때문에 거처하면서 편하게 여기는 것은 역위易位의 차서를 봄에 말미암은 것이다.
즐거워하면서 익숙히 보는 것은 의 글이다. 이 때문에 군자君子가 거처하면(동하지 않고 가만히 있으면) 을 보고 효사爻辭를 익숙히 보며 동하면 을 보고 을 익숙히 본다.
이 때문에 하늘로부터 도와서 하여 이롭지 않음이 없는 것이다.
의 [所樂]에서 [无不利]까지
정의왈正義曰:[所樂而玩者 爻之辭也] 군자君子가 사랑하고 좋아하여 익숙히 보는 것은 육효六爻효사爻辭임을 말한 것이다.
효사爻辭길흉吉凶회린悔吝이 있으니, 을 보면 그 일과 똑같기를 생각하고 을 보면 두려워하여 스스로 잘못을 고치기 때문에 〈효사爻辭를〉 사랑하고 좋아하여 익숙히 보는 것이다.
에 모두 가 있으나 다만 변화變化가 있어서 을 취함이 이미 많아 득실得失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군자君子가 〈효사爻辭를〉 더욱 사랑하고 좋아하는 것이니, 이 때문에 특별히 “”라고 말한 것이다.
[是故君子居則觀其象而玩其辭] 선악善惡을 밝히고 길흉吉凶을 보여준다.
그러므로 군자君子가 자기 몸을 거처함에 그 을 자세히 살펴보아서 자신의 선악善惡을 자세히 알고, 그 효사爻辭를 익숙히 보아서 일의 길흉吉凶을 깨닫는 것이다.
[動則觀其變而玩其占] 군자君子가 출행하고 일어나 움직일 때에는 의 변화를 관찰하여 점괘占卦길흉吉凶을 익숙히 봄을 말한 것이다.
예컨대 건괘乾卦구사九四의 “혹 뛰어올라 연못에 있다.”는 것은 동함에 그 변화를 보는 것이다.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에 “선왕先王정행征行하기 5년 전에 점을 쳤다.”라고 하고, 또 “점은 의심을 결단하기 위하여 치는 것이다.”라고 하였으니, 이는 동함에 그 점을 익숙히 보는 것이다.
[是以自天祐之 吉无不利] 군자君子가 이미 을 받들어 따라서 자기 몸을 거처하여 흉해凶害가 없다.
이 때문에 하늘로부터 이하가 모두 다 도와주어서 길하여 이롭지 않음이 없는 것이니, 이것은 대유괘大有卦 상구上九효사爻辭이다.


역주
역주1 此設卦觀象……故云此總言也 : 韓康伯과 孔穎達은 ‘聖人設卦觀象’을 아래의 여러 節을 총괄한 말로 보았다.
반면 朱子는 이 절의 ‘觀象’을 아래의 ‘繫辭焉而明吉凶’과 연결시켜, “이는 聖人이 易을 지을 적에 卦爻의 象을 보고 글을 달았음을 말한 것이다.[此言聖人作易 觀卦爻之象 而繫以辭也]”라고 하였다.
역주2 : ‘移(바뀌다)’의 뜻이다.
역주3 八純之卦 : 上卦와 下卦가 같은 卦로 이루어진 8개의 卦로, 重天乾䷀․重地坤䷁․重水坎䷜․重火離䷝․重雷震䷲․重風巽䷸․重山艮䷳․重澤兌䷹이다.
역주4 此下四句經 : ‘吉凶者 失得之象也’부터 ‘剛柔者 晝夜之象也’까지 4개의 節을 가리켜 말한 것이다.
역주5 下經備陳之也 : 아래 3장에 “无咎는 허물을 잘 補塡한 것이다.[无咎者 善補過也]”라고 한 것을 가리킨다.
역주6 [生] : 저본에는 ‘生’이 없으나, 글 뜻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
역주7 (田)[由] : 저본에는 ‘田’으로 되어 있으나, 注에 의거하여 ‘由’로 바로잡았다.(北京大 整理本 참조)
역주8 (也)[者] : 저본에는 ‘也’로 되어 있으나, 疏의 체제에 의거하여 ‘者’로 바로잡았다.
역주9 以其在上……變化明其進退 : 여기에서 말한 ‘易의 차서’는 乾․坤․屯․蒙……, 즉 64괘의 순서보다는 卦의 爻에 따른 위치를 가리킨 듯하다. 六爻는 天位․人位․地位로 나뉘는바, 人位의 四爻와 天位의 五爻는 사람으로 비유하면 大臣과 君主의 자리에 해당한다. 윗사람의 得失(잘잘못)은 吉․凶에 크게 나타나고, 윗사람의 변화는 進․退에 직접 관련되는바, 이를 말한 것으로 보인다.
역주10 (可居)[居可] : 저본에는 ‘可居’로 되어 있으나, 監本과 毛本에 의거하여 ‘居可’로 바로잡았다.(阮元의 〈校勘記〉 참조)
역주11 (之位)[位之] : 저본에는 ‘之位’로 되어 있으나, 글 뜻에 의거하여 ‘位之’로 바로잡았다.(北京大 整理本 참조) 바로 위에도 ‘易位之次序’라고 보인다.
역주12 春秋傳云先王卜征五年 : 이 말은 ≪春秋左氏傳≫ 襄公 13년조에 보이는바, ≪春秋左傳正義≫의 孔穎達의 疏에 “征行하기 5년 전에 그 길흉을 점친 것이니, 征行 5년 전에 미리 점침을 말한 것이다. ‘征’은 行의 뜻이다.[先征五年而卜其吉凶也者 以謂征前五年而預卜之也 征 訓行也]”라고 한 것에 의거하여 아래와 같이 번역하였다. ‘征行’은 ‘멀리 출행함’의 뜻이다.
역주13 又云卜以決疑 : 이 말은 ≪春秋左氏傳≫ 桓公 11년조에 보이는바, 楚나라 屈瑕가 鬪廉에게 군대의 운용에 대해 점쳐보라 명하자, 투렴이 “점은 의심을 결단하기 위하여 치는 것이니, 의심스럽지 않은데 어찌 점을 치겠습니까.[卜以決疑 不疑何卜]”라고 답하였다.

주역정의(4) 책은 2022.01.2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