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周易正義(4)

주역정의(4)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주역정의(4)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注]雜卦者 雜糅衆卦하고 錯綜其義하여 或以同相類하고 或以異相明也
[疏]正義曰:上序卦, 依文王上下而次序之, 此雜卦, 孔子更以意錯雜而對辨, 其次第不與序卦同.
故韓康伯云“雜卦者, 雜糅衆卦, 錯綜其義, 或以同相類, 或以異相明也.”
虞氏云“雜卦者, 雜六十四卦以爲義, 其於序卦之外, 別言也.”
者聖人之興, 因時而作, 隨其時宜, 不必皆相因襲, 當有損益之意也,
故歸藏名卦之次, 亦多異於時. 王道蹖駁, 聖人之意, 或欲錯綜以濟之, 故次序卦以其雜也.
乾剛坤柔하고 比樂師憂
[注]親比則樂하고 動衆則憂
臨觀之義 或與或求
[注]以我臨物故 曰 與 物來觀我故 曰 求
[注]屯 利建侯하니 君子經綸之時 雖見而磐桓하며 利貞하여 不失其居也
雜而著
[注]雜而未知所定也 求發其蒙이면 則終得所定이라 定也
起也 止也 損益 盛衰之始也
[注]極損則益하고 極益則損이라
大畜 時也
[注]因時而畜故 能大也
无妄 災也
[注]无妄之世 妄則災也
而升 不來也
[注]來 還也 方在上升故 不還也
이요 而豫 怠也
[注]謙者 不自重大
噬嗑 食也 无色也
이요 而巽 伏也
无故也 則飭也
[注]隨時之宜하여 不繫於故也 隨則有事하여 受之以蠱 整治也 所以整治其事也
爛也
[注]物熟則剝落也
反也 晝也 明夷 誅也
[注]誅 傷也
이요 而困 相遇也
[注]井 物所通用而不吝也
速也
[注]物之相應 莫速乎咸이라
久也 離也 止也 緩也 難也 外也
[注]相疏外也
家人 內也 否泰 反其類也 大壯 則止 則退也
[注]大正則小人 小人則君子退也
大有 衆也 同人 親也 去故也 取新也 小過 過也 中孚 信也 多故也
親寡 旅也
[注]親寡故 寄旅也
이요 而坎 下也
[注]火炎上하고 水潤下
小畜 寡也
[注]不足以兼濟也
不處也
不進也
[注]畏而止也
不親也 大過 顚也
[注]
遇也 柔遇剛也 女歸 待男行也
[注]女從男也
養正也 旣濟 定也 歸妹 女之終也
[注]女終於出嫁也
未濟 男之窮也
[注]剛柔失位하여 其道未濟 曰 窮也
決也 剛決柔也 君子道長하고 小人道憂也


잡괘전雜卦傳〉은 여러 를 뒤섞어서 그 뜻을 번갈아 종합하여 혹은 같음을 가지고 서로 묶고 혹은 다름을 가지고 서로 밝혔다.
정의왈正義曰:위의 〈서괘전序卦傳〉은 문왕文王상경上經하경下經을 따라 차례를 매겼고, 이 〈잡괘전雜卦傳〉은 공자孔子가 다시 당신의 뜻으로 뒤섞어 대거對擧해서 분변한 것이어서 그 차례가 〈서괘전〉과 같지 않다.
그러므로 한강백韓康伯이 말하기를 “〈잡괘전〉은 여러 를 뒤섞어서 그 뜻을 번갈아 종합하여 혹은 같음을 가지고 서로 묶고 혹은 다름을 가지고 서로 밝혔다.”라고 하였고,
우씨虞氏(우번虞翻)는 말하기를 “〈잡괘전〉은 64를 뒤섞어 뜻을 삼아서 〈서괘전〉 외에 별도로 말한 것이다.”라고 하였다.
옛날 성인聖人이 일어날 적에 때에 따라 일어나 시의時宜에 따라서 굳이 다 서로 인습하지는 아니하여 마땅히 손익損益하는 뜻이 있었다.
그러므로 ≪귀장歸藏≫에 이름을 지은 차례가 또한 때에 따른 다름이 많은 것이다. 왕도王道가 뒤섞이므로 성인의 뜻에 혹 종합하여 구제하고자 하였다. 그러므로 〈서괘전〉의 다음에 뒤섞어 〈잡괘전〉을 놓은 것이다.
하고 하며, 는 즐겁고 는 근심한다.
친하면 즐겁고, 무리를 동원하면 근심하는 것이다.
의 뜻은 혹은 주고, 혹은 구하는 것이다.
나로서 남에게 임하므로 ‘’라 하고, 남이 와서 나를 보므로 ‘’라 한 것이다.
은 나타나나 그 거처를 잃지 않고,
은 제후를 세움이 이로우니, 이는 군자君子경륜經綸하는 때인바, 비록 나타나나 반환磐桓(머뭇거림)하여 함이 이로워서 그 거처를 잃지 않는 것이다.
은 섞여 있으나 정해진다.
뒤섞여서 정할 바를 알지 못하니, 몽매함을 개발하기를 구하면 끝내 정할 바를 얻는다. 는 정함이다.
은 일어남이요, 은 그침이다. 은 성쇠의 시작이다.
덜기를 지극히 하면 유익하고, 더하기를 지극히 하면 감손하게 된다.
대축大畜은 때이고,
때에 따라 모이므로 능히 큰 것이다.
무망无妄은 재앙이 오는 것이다.
무망无妄의 세상에 망령됨을 행하면 재앙이 오는 것이다.
는 모임이고, 은 오지 않음이다.
는 돌아옴이니, 위로 막 올라가고 있으므로 돌아오지 않는 것이다.
은 〈자기를〉 가벼이 여기는 것이고, 는 태만히 하는 것이다.
은 스스로 자신을 중하고 크게 여기지 않는 것이다.
서합噬嗑은 먹는 것이고, 는 〈일정한〉 이 없는 것이다.
꾸밈은 여러 사람에게 합함을 귀하게 여겨서 일정한 색깔이 없다.
는 나타남이고, 은 엎드림이다.
는 드러나게 기뻐함을 귀하게 여기고, 은 낮추고 물러감을 귀하게 여긴다.
는 옛것에 〈매임이〉 없는 것이고, 는 정돈하여 다스리는 것이다.
때의 마땅함을 따라서 옛것에 매여 있지 않은 것이니, 따르면 일이 있으므로 고괘蠱卦로써 받은 것이다. 은 정돈하여 다스림이니, 는 그 일을 정돈하여 다스리는 것이다.
은 물러짐이고,
물건이 익으면 물러서 떨어진다.
은 돌아옴이다. 은 낮이고, 명이明夷함이다.
는 상함이다.
은 통함이고, 은 서로 만남이다.
은 사람들이 함께 써서 인색하지 않은 것이요, 은 만나는 바를 편안히 여겨서 넘치지 않는(분수에 넘는 짓을 하지 않는) 것이다.
은 빠름이고,
물건이 서로 응함이 (감동함)보다 더 빠른 것이 없다.
은 오램이다. 은 떠남이고, 은 그침이다. 는 늦춰짐이고, 은 어려움이다. 는 밖(소외함)이고,
는〉 서로 소외함이다.
가인家人은 안이다. 는 그 를 뒤집어놓은 것이다. 대장大壯은 멈춤이고, 은 물러감이다.
크게 바르면 소인小人이 멈추고(저지되고), 소인이 형통하면 군자君子가 물러간다.
대유大有는 많음이고, 동인同人은 친함이다. 은 옛 것을 버림이고, 은 새 것을 취함이다. 소과小過는 과함이고, 중부中孚는 믿음이다. 은 연고가 많음이고,
비어 있는 자는 위태로움을 두려워하고 가득한 자는 넘침을 경계하니, 풍부하고 큰 자는 근심하는 연고가 많은 것이다.
친한 사람이 적음은 이다.
친한 사람이 적기 때문에 나그네로 부쳐 있는 것이다.
는 올라감이고, 은 내려옴이다.
불은 불타 올라가고, 물은 적셔주며 내려간다.
소축小畜은 적음이고,
〈적으므로〉 겸하여 구제하지 못한다.
는 〈정위正位에〉 처하지 않는 것이다.
왕필王弼이 이르기를 “이괘履卦양효陽爻는 모두 정위正位에 처하지 않음을 함으로 삼는다.”라고 하였다.
는 나아가지 않음이고,
험함을 두려워하여 그치는 것이다.
은 친하지 않음이다. 대과大過는 넘어짐이고,
이 약한 것이다.
는 만남이니 을 만남이고, 은 여자가 시집감이니 남자를 기다려 가는 것이다.
여자는 남자를 따른다.
는 바름을 기름이고, 기제旣濟는 정함이다. 귀매歸妹는 여자의 마침이고,
여자(처녀)는 출가함에 끝마친다.
미제未濟는 남자의 함이다.
가 지위를 잃어서 그 가 아직 이루어지지 못하였으므로 “하다.”라고 한 것이다.
는 터놓음이다. 를 터놓는 것이니, 군자君子가 자라나고 소인小人가 근심스럽다.


역주
역주1 (此)[昔] : 저본에는 ‘此’로 되어 있으나, 閩本․監本․毛本에 의거하여 ‘昔’으로 바로잡았다.(阮元의 〈校勘記〉 참조)
역주2 屯 見而不失其居 : 이 경문에 대한 朱子의 註는 다음과 같다. “屯䷂은 震☳이 坎☵을 만난 것이니, 震은 動하므로 나타나고[見] 坎은 험하여 나아가지 못한다.”
역주3 飾貴合衆 无定色也 : 朱子는 ‘无色’을 “白色이 채색을 받는다.[白受采]”라고 풀이하였다.
역주4 兌貴顯說 巽貴卑退 : 朱子는 “兌는 陰이 밖으로 나타난 것이요, 巽은 陰이 안에 엎드려 있는 것이다.[兌 陰外見 巽 陰內伏]”라고 하였다. 兌卦䷹는 上卦와 下卦의 上爻가 陰爻이고, 巽卦䷸는 上卦와 下卦의 初爻가 陰爻이기 때문에 이렇게 말한 것이다.
역주5 困 安於所遇而不濫也 : 朱子는 “剛과 柔가 서로 만나는데 剛이 가려진 것이다.[剛柔相遇而剛見揜也]”라고 하였는바, 困卦䷮는 上卦가 陰卦인 兌卦☱이고 下卦가 陽卦인 坎卦☵이기 때문에 이렇게 말한 것이다.
역주6 (也)[止] : 저본에는 ‘也’로 되어 있으나, 阮元의 〈校勘記〉에 “‘也’는 ‘止’가 되어야 하니, 字形이 비슷해서 잘못된 것이다.”라고 한 것에 의거하여 ‘止’로 바로잡았다.
역주7 (享)[亨] : 저본에는 ‘享’으로 되어 있으나, 閩本․監本․毛本․古本에 의거하여 ‘亨’으로 바로잡았다.(阮元의 〈校勘記〉 참조)
역주8 虛者懼危……豐大者多憂故也 : 朱子는 “이미 밝고 또 동하니, 연고가 많다.[旣明且動 其故多矣]”라고 하였는바, 豐卦䷶는 밝음을 상징하는 離卦☲와 동함을 상징하는 震卦☳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이렇게 말한 것이다.
역주9 王弼云……皆以不處其位爲吉也 : 王弼의 ≪周易略例≫에 “履卦는 〈雜卦傳〉에 ‘履는 처하지 않음이다.’라고 하고, 또 ‘履는 禮이니, 謙으로써 禮에 제재된다.’라고 하였으니, 陽이 陰의 자리에 처함이 謙이다. 그러므로 이 한 卦는 모두 陽으로서 陰에 처함이 아름다움이 되는 것이다.[履雜卦曰 履不處也 又曰 履者 禮也 謙以制禮 陽處陰位 謙也 故此一卦 皆以陽處陰爲美也]”라고 하였다.
반면 朱子는 經文의 ‘不處也’를 ‘머물지 않음’의 뜻으로 보아 “不處는 행하여 나아가는 뜻이다.[不處 行進之義]”라고 하였다.
역주10 (駭)[險] : 저본에는 ‘駭’로 되어 있으나, 阮元의 〈校勘記〉에 “‘駭’는 ‘險’이 되어야 하니, 毛本에는 ‘險’자로 되어 있다.”고 한 것에 의거하여 ‘險’으로 바로잡았다.
역주11 本末弱也 : 本은 初爻를 이르고 末은 上爻를 이르는바, 〈繫辭傳 下〉에 “初는 알기 어렵고 上은 알기 쉬우니, 本과 末이다.[其初難知 其上易知 本末也]”라고 보인다. 大過卦䷛는 本에 해당하는 初爻와 末에 해당하는 上爻가 모두 陰爻이므로 ‘본과 말이 약하다.’고 말한 것이다. 게다가 가운데에 있는 九二․九三․九四․九五가 모두 陽剛이어서 初六과 上六이 더욱 약하게 보인다. 易에 있어 陽은 크고 陰은 작으며, 陽은 강하고 陰은 약하다.

주역정의(4) 책은 2022.01.2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