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周易正義(4)

주역정의(4)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주역정의(4)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疏]正義曰:‘二與四’至‘易之道也’ 此第八章也.
明諸卦二․三․四․五爻之功用, 又明三才之道, 幷明易興之時, 總贊明易道之大也, 各隨文釋之.
二與四同功이나
[注]同陰功也
而異位하여
[注]
其善不同하니 二多譽하고
[注]二處中和故 多譽也
四多懼 近也일새니
[注]位逼於君故 多懼也
柔之爲道 不利遠者하고 其要无咎 其用柔中也일새라
[注]四之多懼 以近君也 柔之爲道 須援而濟故 有不利遠者 二之能无咎 柔而處中也일새라
[疏]正義曰:‘柔之爲道 不利遠’者, 此覆釋上“四多懼”之意.
凡陰柔爲道, 當須親附於人以得濟, 今乃遠其親援, 而欲上逼於君, 所以多懼, 其不宜利於疎遠也.
‘其要无咎 其用柔中’者, 覆釋上“二多譽”也.
言二所多譽者, 言二所以要會, 无罪咎而多譽也, 所以然者, 以其用柔而居中也.
三與五同功하나
[注]同陽功也
而異位하여
[注]有貴賤也
三多凶하고 五多功하니 貴賤之等也일새니 其柔하고 其剛 勝邪인저
[注]三五陽位 柔非其位 處之則危 居以剛健이면 勝其任也
夫所貴剛者 하여 動而不違其節者也
所貴柔者 하여 順而不失其貞者也
若剛以犯物이면 則非剛之道 柔以卑佞이면 則非柔之義也
[疏]正義曰:‘貴賤之等 其柔危 其剛勝邪’者, 此釋“三與五同功”之義, 五爲貴, 三爲賤, 是貴賤之等也.
此並陽位, 若陰柔處之則傾危, 陽剛處之則剋勝其任. 故云“其柔危, 其剛勝.”也.
諸本“三多凶五多功”之下, 皆有注, 今定本无也. 三居下卦之極, 故多凶, 五居中處尊, 故多功也.
易之爲書也 廣大悉備하여 有天道焉하며 有人道焉하며 有地道焉하니
故六이니 六者 非它也 三材之道也니라
[注]說卦備矣
[疏]正義曰:‘易之爲書’至‘吉凶生焉’ 此節明三材之義․六爻相雜之理也.
‘六者非他 三材之道也’者, 言六爻所效法者, 非更別有他義, 唯三材之道也.
道有變動이라 故曰爻 爻有等이라 故曰物이요
[注]等 類也 陽物也 陰物也 爻有陰陽之類而后 有剛柔之用이라
曰 爻有等故曰物이라하니라
[疏]正義曰:‘道有變動 故曰爻’者, 言三材之道, 旣有變化而移動, 故重畫以象之而曰爻也.
‘爻有等 故曰物’者, 物, 類也, 言爻有陰陽貴賤等級, 以象萬物之類, 故謂之物也.
物相雜이라 故曰文이니
[注]剛柔交錯하여 玄黃錯雜이라
[疏]正義曰:言萬物遞相錯雜, 若玄黃相間, 故謂之文也.
文不當故 吉凶生焉하니라
[疏]正義曰:若相與聚居, 間雜成文, 不相妨害, 則吉凶不生也, 由文之不當, 相與聚居, 不當於理, 故吉凶生也.
易之興也 其當殷之末世 周之盛德邪인저 當文王與紂之事邪인저
[注]文王以盛德蒙難而能亨其道 稱文王之德하여 以明易之道也
是故 其辭危하니
[注]文王與紂之事 危其辭也
[疏]正義曰:‘易之興也’至‘易之道也’ 此一節明易之興起在紂之末世, 故其辭者, 憂其傾危也.
以當紂世, 憂畏滅亡, 故作易辭, 多述憂危之事, 亦以垂法於后, 使保身危懼, 避其患難也.
周氏云“謂當紂時, 不敢指斥紂惡, 故其辭微危而不正也.”
案下覆云“危者使平”, 則似危謂憂危, 是非旣未可明, 所以兩存其釋也.
危者使平하고 易者使傾이라
[注]易 慢易也
[疏]正義曰:‘危者使平’者, 旣有傾厄, 以蒙大難, 文王有天下, 是危者使平也.
‘易者使傾’者, 若其慢易, 不循易道者, 則使之傾覆, 若紂爲凶惡, 以至誅滅也.
其道甚大하여 百物不廢하나 懼以終始하면 其要无咎 此之謂易之道也니라
[注]夫文不當而吉凶生이면 則保其存者亡하고 不忘亡者存하며 有其治者亂하고 不忘危者安하니
懼以終始하면 歸於无咎 安危之所由 爻象之本體也
[疏]正義曰:‘其道甚大 百物不廢’者, 言易道功用甚大, 百種之物, 賴之不有休廢也.
‘懼以終始’者, 言恒能憂懼於終始, 能於始思終, 於終思始也.
‘其要无咎’者, 若能始終皆懼, 要會歸於无咎也.
‘此之謂易之道’者, 言易之爲道, 若能終始之懼, 則无凶咎, 此謂易之所用之道, 其大體如此也.


정의왈正義曰의 [이여사二與四]에서 [易之道也]까지 이는 제8장이다.
여러 이효二爻삼효三爻사효四爻오효五爻공용功用을 밝히고, 또 삼재三才를 밝혔으며, 아울러 이 일어난 때를 밝히고, 총괄하여 의 큼을 찬명贊明하였으니, 각각 글에 따라 해석한다.
이 같으나
이 같은 것이다.
자리가 달라서
가 있는 것이다.
이 똑같지 않으니, 는 칭찬이 많고,
중화中和에 처했기 때문에 칭찬이 많은 것이다.
는 두려움이 많음은 〈군주인 5와〉 가깝기 때문이니,
자리가 군주에 가깝기 때문에 두려움이 많은 것이다.
는 멀리 있는 것이(소원함이) 이롭지 않고, 요회要會하여 허물이 없음은 로서 에 〈했기〉 때문이다.
가 두려움이 많음은 군주와 가깝기 때문이니, 는 모름지기 구원해주어야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먼 것이 이롭지 않고, 가 허물이 없을 수 있는 것은 로서 에 처했기 때문이다.
정의왈正義曰:[柔之爲道 不利遠] 이는 위의 ‘가 두려움이 많음’의 뜻을 반복하여 해석한 것이다.
무릇 음유陰柔는 마땅히 남을 친히 따라야 이루어질 수 있는데, 지금 마침내 친한 원조援助를 멀리하고 위로 군주에 가까이 가고자 하니, 이 때문에 두려움이 많은 것인바, 소원疏遠함이 이롭지 않은 것이다.
[其要无咎 其用柔中] 위의 ‘는 칭찬이 많음’을 반복하여 해석한 것이다.
가 칭찬이 많은 이유를 말한 것이니, ‘가 이 때문에 하여 죄와 허물이 없고 칭찬이 많은 것이니, 그러한 이유는 를 쓰고 에 거했기 때문임’을 말한 것이다.
이 같으나
이 같은 것이다.
〈자리가〉 달라서
〈자리에〉 이 있는 것이다.
은 흉함이 많고 이 많으니, 이는 의 등급이 있어서이니, 는 위태롭고 은 〈임무를〉 이겨낼 것이다.
의 자리이니, 에게는 마땅한 자리가 아니므로 〈음효陰爻가〉 여기에 처하면 위태롭고 강건剛健함으로 거하면 그 임무를 이겨내는 것이다.
함을 귀하게 여기는 이유는 간사함을 막고 성실함을 보존하여 동함에 그 절도를 어기지 않기 때문이요,
를 귀하게 여기는 이유는 포용하고 너그럽고 에 거하여 순하면서 그 바름을 잃지 않기 때문이니,
만약 으로써 남을 범하면 강한 가 아니요, 로써 낮추고 아첨하면 의 뜻이 아니다.
정의왈正義曰:[貴賤之等也 其柔危 其剛勝邪] 이는 ‘이 같음’의 뜻을 해석한 것이니, 는 귀함이 되고 은 천함이 되니, 이는 ‘귀천의 등급’ 때문이다.
는 모두 의 자리이니, 만약 음유陰柔가 여기에 처하면 기울고 위태로우며 양강陽剛이 여기에 처하면 그 임무를 이겨낸다. 그러므로 “는 위태롭고 은 임무를 이겨낼 것이다.”라고 한 것이다.
여러 에 ‘삼다흉三多凶 오다공五多功’의 아래에 모두 가 있으나, 지금 정본定本에는 없다. 하괘下卦에 거하였으므로 흉함이 많고, 에 거하고 존위尊位에 처하였으므로 이 많은 것이다.
의 책은 광대하여 모두 갖추어져서 천도天道가 있으며 인도人道가 있으며 지도地道가 있으니, 삼재三材(삼재三才)를 겸하여 두 번 하였다.
그러므로 이니, 은 다른 것이 아니요 삼재三材이다.
설괘전說卦傳〉에 자세히 말하였다.
정의왈正義曰의 [역지위서易之爲書]에서 [吉凶生焉]까지 이 절은 삼재三材의의意義육효六爻가 서로 뒤섞이는 이치를 밝혔다.
[六者非他也 三材之道也] ‘육효六爻가 본받은 것은 다시 별도로 다른 의의가 있는 것이 아니요, 오직 삼재三材임’을 말한 것이다.
삼재三材의〉 에 변동이 있으므로 라 하였고, 에 종류[]가 있으므로 이라 하였고,
’은 종류이다. 의 물건이고, 의 물건이다. 의 종류가 있은 뒤에 의 쓰임이 있다.
그러므로 “에 종류가 있으므로 이라 하였다.”라고 한 것이다.
정의왈正義曰:[道有變動 故曰爻] ‘삼재三材에 이미 변화가 있어 이동하기 때문에 거듭 획을 그어 형상해서 라고 함’을 말한 것이다.
[爻有等 故曰物] ‘’은 종류이니, ‘에 따른 의 등급이 있어서 만물萬物의 종류를 형상하였다. 그러므로 이라 한 것이다.’라고 말한 것이다.
물건이 서로 뒤섞이므로 이라 하였으니,
가 서로 뒤섞여서 검은 것과 누른 것이 뒤섞인 것이다.
정의왈正義曰:‘만물이 번갈아 서로 뒤섞여서 마치 검은 것과 누른 것이 서로 사이하는 것(서로 끼어 있고 교차됨)과 같으므로 이라 한 것이다.’라고 말한 것이다.
이 합당하지 않으므로 이 생겨난 것이다.
周 文王周 文王
정의왈正義曰:만약 서로 더불어 모여 살면서 서로 뒤섞여 을 이루면서 서로 방해하지 않으면 이 생겨나지 않는데, 이 합당하지 못한데 서로 더불어 모여 살면 이치에 합당하지 않으므로 이 생겨나는 것이다.
이 일어난 시기는 나라의 말세末世나라의 성덕盛德이 있을 때에 해당할 것이며. 문왕文王주왕紂王의 일에 해당될 것이다.
문왕文王성덕盛德으로써 어려움을 당하였는데도 능히 그 를 형통하게 하였다. 그러므로 문왕의 을 칭찬하여 를 밝힌 것이다.
이 때문에 그 글이 기울었으니,
문왕文王주왕紂王의 일이니, 그 글을 기울게(직설하지 않고 돌려서) 한 것이다.
정의왈正義曰의 [易之興也]에서 [易之道]까지 이 한 절은 ‘이 일어난 시기가 주왕紂王말세末世에 있었으므로 그 글이 경위傾危(기울고 위태로움)를 근심함’을 밝힌 것이다.
주왕紂王의 말세를 당하여 멸망함을 근심하고 두려워하였으므로 의 글을 지을 적에 근심스럽고 위태로운 일을 많이 서술한 것이고, 또한 후세에 법을 남겨서 후세로 하여금 몸을 보존하여 위태롭게 여기고 두려워해서 환란을 피하게 한 것이다.
주씨周氏(주굉정周宏正)는 말하기를 “주왕紂王의 때를 당하여 감히 주왕의 을 지적하지 못하였으므로 그 글이 은미하고 기울어 바르지 못한 것이다.”라고 하였다.
이제 한강백韓康伯를 살펴보면 “문왕文王주왕紂王의 일이니, 그 글을 기울게 한 것이다.”라고 하였으므로 주씨周氏의 해석이 맞는 듯하나,
살펴보건대 아래에 “위태롭게 여기는 자를 평평하게 했다.”라고 하였으니, 그렇다면 ‘’는 근심하고 위태롭게 여김을 이르는 말인 듯하다. 그러나 옳고 그름을 이미 밝힐 수가 없으므로 두 가지 해석을 다 남겨둔다.
위태롭게 여기는 자를 평평(평안)하게 하고 함부로 하는 자를 기울게 하였다.
’는 함부로 하는 것이다.
정의왈正義曰:[危者使平] 이미 기울어짐과 곤액이 있어서 대난大難을 입고 문왕文王이 천하를 소유하였으니, 이것이 ‘위태롭게 여기는 자를 평평하게 함’이다.
[易者使傾] 만약 태만하고 함부로 하여 를 따르지 않는 자는 그로 하여금 기울고 전복되게 하니, 주왕紂王이 흉악한 짓을 자행하여 주벌당하고 멸망함에 이른 것과 같은 것이다.
가 매우 커서 백 가지 사물을 폐하지 않으나 에 두려워하면 그 가 허물이 없으니, 이것을 일러 라 한다.
이 합당하지 않아 이 생기면, 보존됨을 보유하는 자는 망하고 망함을 잊지 않는 자는 보존되며, 다스려짐을 소유했다고 여기는 자는 어지러워지고 위태로움을 잊지 않는 자는 편안해지니,
에 두려워하면 무구无咎로 돌아가는바, 편안함과 위태로움의 근원은 효상爻象본체本體인 것이다.
정의왈正義曰:[其道甚大 百物不廢] 공용功用이 매우 커서 백 가지 사물이 이에 힘입어 쇠하고 폐함이 있지 않음을 말한 것이다.
[懼以終始] 항상 능히 에 근심하고 두려워해서 능히 처음에 끝을 생각하고 끝에 처음을 생각함을 말한 것이다.
[其要无咎] 만약 능히 을 다 두려워하면 요회要會무구无咎로 돌아감을 말한 것이다.
[此之謂易之道] ‘가 만약 능히 에 두려워하면 흉함과 허물이 없음’을 말하였으니, 이는 ‘에서 사용하는 대체大體가 이와 같음’을 말한 것이다.


역주
역주1 有內外也 : 二爻는 內卦(下卦)에 속하여 內가 되고, 四爻는 外卦(上卦)에 속하여 外가 된다.
역주2 閑邪存誠 : 이 말은 乾卦 〈文言傳〉에 보이는바, 九二의 爻辭를 해석한 말이다.
역주3 含弘居中 : 坤卦 〈彖傳〉에 “포용하고 너그럽고 빛나고 위대하다.[含弘光大]”라고 하였다.
역주4 [也] : 저본에는 ‘也’가 없으나, 위의 經文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
역주5 兼三材而兩之 : 三材는 三才로, 天․地․人을 말한다. 세 爻로 이루어진 小成卦(三畫卦)는 각각의 爻位가 天․人․地를 상징하므로 이 삼획괘가 삼재의 도를 겸하고(포괄하고) 있다고 한 것이다. ‘두 번 함[兩之]’은 삼획괘를 중첩하여 大成卦(六畫卦)를 만듦을 가리켜 말한 것이다.
역주6 [也] : 저본에는 ‘也’가 없으나, 위의 經文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
역주7 今案康伯之注云文王與紂之事……所以兩存其釋也 : 韓康伯과 周宏正은 ‘其辭危’를 ‘그 글을 곧바로 쓰지 못하고 돌려서 씀’의 의미로 보았고, 孔穎達은 ‘그 글에 위태로운 일을 많이 서술함’으로 보았는바, 朱子는 공영달과 같다.
다만 공영달은 두 해석 중에 무엇이 옳은지 기필할 수 없으므로 이 두 해석을 모두 남겨둔다고 하였다. 經文의 번역은 한강백의 注에 의거하였음을 밝혀둔다.

주역정의(4) 책은 2022.01.2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50 서울시 종로구 삼봉로81, 1332호(두산위브파빌리온)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