疏
[疏]正義曰:‘初六藉用’至‘盜之招也’ 此第七章也.
此章欲求外物來應, 必須擬議謹愼, 則外物來應之, 故引藉用白茅无咎之事, 以證謹愼之理.
初六은 藉用白茅니 无咎라하니 子曰 苟諸地而可矣어늘 藉之用茅하니 何咎之有리오 愼之至也라
夫茅之爲物薄이나 而用可重也니 愼斯術也以往이면 其无所失矣리라
疏
‘子曰苟錯諸地而可矣’者, 苟, 且也, 錯, 置也.
凡薦獻之物, 且置於地, 其理可矣, 言今乃謹愼, 薦藉此物而用絜白之茅,
置於地.
‘藉之用茅 何咎之有’者, 何愆咎之有, 是謹愼之至也.
勞謙이니 君子有終하여 吉이라하니 子曰 勞而不伐하며 有功而不德이 厚之至也니 語以其功下人者也라
疏
[疏]正義曰:‘勞謙 君子有終 吉’者, 欲求外物來應, 非唯謹愼, 又須謙以下人, 故引謙卦九三爻辭以證之也.
‘子曰 勞而不伐’者, 以引卦之後, 故言“子曰.”
‘有功而不德 厚之至’者, 雖有其功, 而不自以爲恩德, 是篤厚之至極.
‘語以其功下人’者, 言易之所言者, 語說其謙卦九三, 能以其有功, 卑下於人者也.
德言盛이요 禮言恭이니 謙也者는 致恭以存其位者也라
疏
[疏]正義曰:‘德言盛 禮言恭’者, 謂德以盛爲本, 禮以恭爲主, 德貴盛新, 禮尙恭敬, 故曰“德言盛, 禮言恭.”
‘謙也者 致恭以存其位’者, 言謙退致其恭敬, 以存其位者也, 言由恭德, 保其祿位也.
亢龍
이니 有悔
라하니 子曰 貴而无位
하며 高而无民
하며 라 是以
로 動而有悔也
니라
疏
[疏]正義曰:‘亢龍 有悔’者, 上旣以謙德保位, 此明无謙則有悔, 故引乾之上九“亢龍, 有悔”, 證驕亢不謙也.
不出戶庭이면 无咎라한대 子曰 亂之所生也는 則言語以爲階라
疏
[疏]正義曰:‘不出戶庭 无咎’者, 又明擬議之道, 非但謙而不驕, 又當謹愼周密, 故引節之初九周密之事以明之.
‘子曰亂之所生 則言語以爲階’者, 階謂梯也, 言亂之所生, 則由言語以爲亂之階梯也.
君不密則失臣하고 臣不密則失身하고 幾事不密則害成이라 是以로 君子愼密而不出也하나니라
疏
[疏]正義曰:‘君不密則失臣’者, 臣旣盡忠, 不避危難, 爲君謀事,
君不愼密, 乃彰露臣之所爲, 使在下聞之, 衆共嫉怒, 害此臣而殺之, 是失臣也.
‘臣不密則失身’者, 言臣之言行, 旣有虧失, 則失身也.
‘幾事不密則害成’者, 幾謂幾微之事, 當須密愼, 預防禍害. 若其不密而漏泄, 禍害交起, 是害成也.
疏
[疏]正義曰:此結上不密失身之事. 事若不密, 人則乘此機危而害之, 猶若財之不密, 盜則乘此機危而竊之.
‘易’者, 愛惡相攻, 遠近相取, 盛衰相變, 若此爻有釁隙衰弱, 則彼爻乘變而奪之, 故云“作易者, 其知盜乎.”
易曰 負且乘이라 致寇至라하니 負也者는 小人之事也요 乘也者는 君子之器也라
小人而乘君子之器하니 盜思奪之矣요 上慢下暴하니 盜思伐之矣라 慢藏誨盜요 冶容誨淫이니
疏
○正義曰:‘易曰負且乘 致寇至’者, 此又明擬議之道, 當量身而行, 不可以小處大, 以賤貪貴,
‘負也者 小人之事也’, 負者, 擔負於物, 合是小人所爲也.
‘乘也者 君子之器’者, 言乘車者, 君子之器物, 言君子合乘車.
今應負之人而乘車, 是小人乘君子之器也, 則盜竊之人, 思欲奪之矣.
‘上慢下暴 盜思伐之矣’者, 小人居上位, 必驕慢, 而在下, 必暴虐, 爲政如此, 大盜思欲伐之矣.
‘慢藏誨盜 冶容誨淫’者, 若慢藏財物, 守掌不謹, 則敎誨於盜者, 使來取此物.
女子妖冶其容, 身不精慤, 是敎誨淫者, 使來淫己也.
疏
[疏]正義曰:又引易之所云, 是盜之招來也, 言自招來於盜.
以愼重其事, 故首尾皆稱“易曰”,
載易之爻辭也.
疏
정의왈正義曰:경經의 [初六藉用]에서 [盜之招也]까지 이는 제7장이다.
이 장은, 외물外物이 와서 응하기를 바란다면 반드시 비의比擬하고 의논하여 근신謹愼해야 하니, 이렇게 하면 외물이 와서 응한다. 그러므로 ‘물건을 깔 적에 흰 띠풀을 사용함이니, 허물이 없음’의 일을 인용하여 근신하는 이치를 증명한 것이다.
“초륙初六은 〈물건을〉 깔 적에 흰 띠풀을 사용함이니, 허물이 없다.”라고 하니, 공자孔子가 말씀하였다. “우선 땅에 놓아두더라도 괜찮은데 깔되 띠풀을 사용하니, 무슨 허물이 있겠는가. 삼감이 지극한 것이다.
띠풀이란 물건은 하찮으나 쓰임은 소중히 여길 만하니, 이 방법을 삼가서 가면(해나가면) 잘못되는 바가 없을 것이다.”
疏
정의왈正義曰:이 ‘자용백모藉用白茅’는 대과괘大過卦 초륙효初六爻의 효사爻辭이다.
[子曰苟錯諸地而可矣] ‘구苟’는 우선이요, ‘조錯’는 놓아둠이다.
무릇 올리는 물건을 우선 땅에 놓아두더라도 그 도리가 괜찮은데, ‘지금 마침내 근신謹愼하여 이 물건을 깔 적에 깨끗하고 흰 띠풀을 사용하여 땅에 놓아두지 않음’을 말한 것이다.
[藉之用茅 何咎之有] ‘무슨 허물이 있겠는가’라는 것은 바로 근신謹愼함이 지극한 것이다.
“겸손함에 수고로우니, 군자君子가 끝마침이 있어서 길吉하다.”라고 하니, 공자孔子가 말씀하였다. “수고로워도 자랑하지 않으며 공功이 있어도 은덕恩德으로 여기지 않음은 독후篤厚함이 지극한 것이니, 그 공功을 가지고 남에게 낮추는 자를 말한 것이다.
疏
정의왈正義曰:[노겸勞謙 君子有終 길吉] 외물外物이 와서 응하기를 바란다면 비단 근신謹愼할 뿐만 아니요 또 모름지기 겸손함으로써 남에게 낮추어야 한다. 그러므로 겸괘謙卦 구삼九三의 효사爻辭를 인용하여 증명한 것이다.
[자왈子曰 勞而不伐] 괘卦를 인용한 뒤이기 때문에 “자왈子曰”이라고 말한 것이다.
[勞而不伐] 비록 겸손하여 피로하나 스스로 자기의 잘함을 자랑하지 않는 것이다.
[有功而不德 厚之至] 비록 공功이 있으나 스스로 은덕恩德이라 여기지 않으니, 이는 독후篤厚함이 지극한 것이다.
[語以其功下人] ≪주역周易≫에서 말한 것은 겸괘謙卦 구삼효九三爻가 공이 있음으로써 남에게 능히 낮추는 자임을 말한 것이다.
덕德은 성盛함을 말하고 예禮는 공손함을 말하니, 겸謙이란 공손함을 지극히 해서 지위를 보존하는 것이다.”
疏
정의왈正義曰:[德言盛 禮言恭] 덕德은 성함을 근본으로 삼고, 예禮는 공손을 주장으로 삼음을 말하였으니, 덕德은 성盛하고 새로워짐을 귀하게 여기고, 예禮는 공경恭敬함을 숭상한다. 그러므로 “덕德은 성盛함을 말하고 예禮는 공손함을 말한다.”라고 한 것이다.
[謙也者 致恭以存其位] 겸손하여 공경함을 지극히 해서 그 지위를 보존하는 것을 말하였으니, 공손한 덕德으로 말미암아 복록과 지위를 보존함을 말한 것이다.
“항극亢極의 용龍이니, 뉘우침이 있다.”라고 하니, 공자孔子가 말씀하였다. “귀하나 지위가 없으며 높으나 백성이 없으며 현인賢人이 아래 지위에 있으나 도와주는 이가 없다. 이 때문에 동動하면 뉘우침이 있는 것이다.”
疏
정의왈正義曰:[항룡亢龍 유회有悔] 위에서는 이미 겸손한 덕德으로 지위를 보존하였고, 여기에서는 겸손함이 없으면 뉘우침이 있음을 밝혔다. 그러므로 건괘乾卦 상구上九의 ‘항룡亢龍 유회有悔’를 인용하여 교만하고 높아서 겸손하지 못함을 증명한 것이다.
“문과 뜰을 나가지 않으면 허물이 없을 것이다.”라고 하니, 공자孔子가 말씀하였다. “난亂이 생겨나는 바는 언어가 계제階梯가 된다.
疏
정의왈正義曰:[不出戶庭 무구无咎] 또 비의比擬하고 의논하는 도道가 비단 겸손하고 교만하지 않을 뿐만이 아니라 또 마땅히 근신謹愼하고 주밀周密하여야 함을 밝혔다. 그러므로 절괘節卦의 초구初九의 주밀한 일을 인용하여 밝힌 것이다.
[子曰亂之所生 則言語以爲階] ‘계階’는 사다리를 이르니, 난亂이 생겨나는 바는 언어로 말미암아 이것이 난亂의 계제階梯가 됨을 말한 것이다.
군주가 주밀周密하지 않으면 신하를 잃고, 신하가 주밀하지 않으면 몸을 잃고, 기미幾微의 일이 주밀하지 않으면 해로움이 이루어진다. 이 때문에 군자君子가 삼가고 주밀하게 하여 〈말을 함부로〉 내지 않는 것이다.”
疏
정의왈正義曰:[君不密則失臣] 신하가 이미 충성을 다하여 위태로움과 어려움을 피하지 않고서 군주를 위하여 일을 도모하는데,
군주가 삼가고 주밀하지 못하여 마침내 신하의 하는 일을 밝게 드러내어서 아랫자리에 있는 자들로 하여금 이 사실을 듣게 하면 여러 사람이 함께 질투하고 노여워하여 이 신하를 해쳐서 죽일 것이니, 이는 신하를 잃는 것이다.
[臣不密則失身] 신하의 말과 행실이 이미 잘못이 있으면 몸을 잃음을 말한 것이다.
[幾事不密則害成] ‘기幾’는 기미幾微의 일을 이르니, 모름지기 주밀하게 하고 삼가서 화해禍害를 미리 방비하여야 한다. 만약 주밀하지 못하여 누설하면 화禍와 해害가 서로 일어나니, 이는 해로움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是以君子愼密而不出] ≪주역周易≫의 맥락에서 말하면 몸을 삼가고 주밀하게 하여 문과 뜰을 나가지 않는 것이요, 이(공자孔子의 말씀) 뜻에서 말하면 또한 언어를 함부로 내지 않음을 말한 것이다.
공자孔子가 말씀하였다. “역易을 지은 자는 도적이 〈오는 이유를〉 알았을 것이다.
疏
정의왈正義曰:이는 위에서 말한 ‘주밀하지 않아 몸을 잃는 일’을 맺은 것이다. 일을 주밀하게 하지 않으면 사람들이 이 기회의 위태로움을 타고 해치니, 이는 마치 재물을 주밀하게 〈보관하지〉 않으면 도둑이 이 기회의 위태로움을 타고 도둑질하는 것과 같은 것이다.
[역易] 사랑과 미워함이 서로 공격하고, 먼 것과 가까운 것이 서로 취하고, 성한 것과 쇠한 것이 서로 변하니, 만약 이 효爻에 틈과 쇠약함이 있으면 저 효爻가 변함을 타고 빼앗는다. 그러므로 “역易을 지은 자는 도적이 〈오는 이유를〉 알았을 것이다.”라고 한 것이다.
역易에 이르기를 ‘지고 또 타고 있는지라 도적이 오도록 불렀다.’라고 하였으니, 지는 것은 소인小人의 일이요, 타는 것은 군자君子의 기물이다.
소인이면서 군자의 기물을 타고 있으니, 도적이 빼앗을 것을 생각하는 것이요, 높은 자리에 있으면 교만하고 아랫자리에 있으면 포악하니, 도적이 칠 것을 생각하는 것이다. 보관을 태만히 하면 도둑질하라고 가르치는 것이요, 〈여자가〉 용모를 치장하면 음탕하라고(자신을 간음하라고) 가르쳐주는 것이니,
疏
○정의왈正義曰:[易曰負且乘 致寇至] 이는 또 비의比擬하고 의논하는 도道는 마땅히 자신을 헤아려 행해야 하고 소小로서 대大에 처하거나 천賤으로서 귀貴를 탐해서는 안 됨을 밝혔다. 그러므로 해괘解卦 육삼六三 효사爻辭를 인용하여 밝힌 것이다.
[負也者 小人之事也] ‘부負’는 물건을 지는 것이니, 소인小人이 행하여야 할 바이다.
[乘也者 君子之器] 타는 수레는 군자君子의 기물임을 말하였으니, 군자가 수레를 타야 함을 말한 것이다.
지금 마땅히 져야 할 사람이 수레를 타면 이는 소인이 군자의 기물을 탄 것이니, 그렇게 되면 도둑질하는 사람이 그것을 빼앗고자 함을 생각하는 것이다.
[上慢下暴 盜思伐之矣] 소인小人이 높은 지위에 거하면 반드시 교만하고, 아랫자리에 있으면 반드시 포악하니, 정사政事하기를 이와 같이 하면 큰 도적이 그를 치고자 함을 생각하는 것이다.
[만장회도慢藏誨盜 冶容誨淫] 만약 재물을 보관하기를 태만히(허술하게) 하여 지키고 관장하기를 삼가지 않으면 도둑질하는 자를 가르쳐서 그로 하여금 와서 이 물건을 취하게 하는 것이다.
여자가 용모를 요염하게 치장하여 몸을 깨끗하게 하고 조심하지 않으면 이는 음탕한 자를 가르쳐서 그로 하여금 와서 자신을 간음하게 하는 것이다.
이로써 ‘소인이 귀한 지위에 거하여 교만하고 자랑하며 근신하지 않아서 도둑이 오도록 부름’을 비유한 것이다.
역易에 이르기를 ‘지고 또 타고 있는지라 도적이 오도록 불렀다.’라고 하였으니, 도적을 부른 것이다.”
疏
정의왈正義曰:≪주역周易≫에서 말한 것을 또 인용하니 이것이 도적을 불러오는 것인바, ‘스스로 도적을 불러옴’을 말한 것이다.
그 일을 신중히 하여야 하기 때문에 처음과 끝에 모두 “역왈易曰”을 칭하고 ≪주역周易≫의 효사爻辭를 두 번 실은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