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周易正義(2)

주역정의(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주역정의(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有孚 元吉하고 无咎可貞하여 利有攸往하니라 曷之用이리오 二簋可用享이니라
[疏]‘損有孚’至‘可用享’
○正義曰:損者, 減損之名,
損之爲義, 損下益上, 損剛益柔, 損下益上, 非補不足者也,
若不以誠信, 則涉諂諛而有過咎, 故必有孚, 然後大吉, 无咎可正, 而利有攸往矣,
故曰“損, 有孚, 元吉, 无咎可貞, 利有攸往”也.
[疏]先儒皆以无咎可貞, 各自爲義, 言“旣吉而无咎, 則可以爲正.”
準下王注彖辭而不爲邪, 益上而不爲諂, 則何咎而可正”, 然則王意, 以无咎可貞, 共成一義.
故莊氏云“若行損有咎, 則須補過以正其失, 今行損用信,
‘曷之用, 二簋可用享’者, 明行損之禮, 貴夫誠信, 不在於豐. 旣行損以信, 何用豐爲.
二簋至約, 可用享祭矣, 故曰“曷之用, 二簋可用享”也.
彖曰 損 損下益上하여 其道上行이니
[注]艮爲陽이요 兌爲陰이니 凡陰 順於陽者也 陽止於上하고 陰說而順하여 損下益上 上行之義也
[疏]正義曰:此就二體, 釋卦名之義. 艮, 陽卦, 爲止, 兌, 陰卦, 爲說.
損而有孚 元吉하고 无咎可貞하여 利有攸往하니라
[注]損之爲道 損下益上하고 損剛益柔也 損下益上 非補不足也 損剛益柔 非長君子之道也
爲損而可以獲吉 其唯有孚乎인저 損而有孚 則元吉이요 无咎而可正하여 利有攸往矣
損剛益柔호되 不以消剛하고 損柔益上호되 不以盈上하여 損剛而不爲邪하고 益上而不爲諂이면 則何咎而可正이리오
雖不能拯濟大難이나 以斯有往이면 物无距也
[疏]正義曰:卦有元吉已下等事, 由於有孚, 故, 則其義可見矣.
曷之用
[注]曷 辭也 曷之用 言何以豐爲也
二簋可用享
[注]二簋 質薄之器也 行損以信이면 雖二簋 而可用享이라
[疏]正義曰:‘曷之用 二簋可用享’者, 擧經明之, 皆爲損而有孚, 故得如此.
二簋應有時하며
[注]至約之道 不可常也
[疏]正義曰:申明二簋之禮, 不可爲常. 二簋至約, 非時, 不可也.
損剛益柔有時하니
[注]下不敢剛하여 貴於上行 損剛益柔之謂也 剛爲德長하니 損之不可以爲常也
[疏]正義曰:明損下益上之道, 亦不可爲常. 損之所以能損下益上者, 以下不敢剛亢, 貴於奉上, 則是損於剛亢而益柔順也.
‘損剛’者, 謂損兌之陽爻也.
‘益柔’者, 謂益艮之陰爻也. 人之爲德, 須備剛柔, 就剛柔之中, 剛爲德長. 旣爲德長, 不可恒減, 故損之有時.
損益盈虛 與時偕行이니라
[注]自然之質 各定其分하여 短者不爲不足이요 長者不爲有餘 損益 將何加焉이리오 非道之常이라 必與時偕行也
[疏]正義曰:‘盈虛’者, 此又云與時偕行者, 上旣言損剛益柔, 不可常用,
此又汎明損益之事, 體非恒理, 自然之質, 各定其分. 鳧足非短, 鶴脛非長, 何須損我以益人, 虛此以盈彼.
但有時宜用, 故應時而行, 故曰“損益盈虛, 與時偕行”也.
象曰 山下有澤이니
[注]山下有澤 損之象也
[疏]正義曰:澤在山下, 澤卑山高, 似澤之自損, 以崇山之象也.
君子以懲忿窒欲하나니라
[注]可損之善 莫善忿欲也
[疏]正義曰:君子以法此損道, 以懲止忿怒, 窒塞情慾. 夫人之情也, 感物而動, 境有順逆, 故情有忿欲.
懲者, 息其旣往.
初九 已事遄往이라야 无咎리니 酌損之니라
[注]損之爲道 損下益上하니 損剛益柔하여 以應其時者也 居於下極하여 損剛奉柔하면 則不可以逸이요
處損之始 則不可以盈이니 事已則往하여 不敢宴安이라야 乃獲无咎也
剛以奉柔하여 雖免乎咎 猶未親也 旣獲无咎하고 復自酌損이라야 乃得合志也 速也
[疏]正義曰:‘已事遄往 无咎’者, 已, 竟也, 遄, 速也. 損之爲道, 損下益上, 如人臣欲自損己奉上.
‘酌損之’者, 剛勝則柔危, 以剛奉柔, 初未見親也. 故須酌而減損之, 乃得合志, 故曰“酌損之.”
象曰 已事遄往 尙合志也
[注]尙合於志하여 欲速往也
[疏]正義曰:‘尙合志’者, 所以竟事速往, 庶幾與上合志也.
九二 利貞하고 征凶하니 弗損하고 益之니라
[注]柔全益이요 剛不可〈以〉全削이요 下不可以无正이라 初九已損剛以順柔하고
進之於柔하면 則凶矣 曰 征凶也라하니라 九二不損而務益하여 以中爲志也
[疏]正義曰:柔不可以全益, 剛不可以全削, 下不可以无正.
故九二利以居而守正, 進之於柔則凶, 故曰“利貞, 征凶”也.
象曰 九二利貞 中以爲志也
[疏]正義曰:‘中以爲志’者, 言九二所以能居而守貞, 不損, 益之, 良由居中, 以中爲志, 故損益得其節適也.
六三 三人行則損一人하고 一人行則得其友로다
[注]損之爲道 損下益上하여 其道上行이라 三人 謂自六三已上三陰也
三陰竝行하여 以承於上이면 則上失其友하고 內无其主하니 名之曰益이나 其實乃損이라
이니 陰陽不對하면 生可得乎
六三獨行이면 乃得其友하고 二陰俱行이면 則必疑矣
[疏]‘六三’至‘得其友’
○正義曰:六三處損之時, 居於下體, 損之爲義, 其道上行. 三人, 謂自六三已上三陰.
上一人, 謂上九也, 下一人, 謂六三也. 夫陰陽相應, 萬物化醇, 男女匹配, 故能生育,
六三應於上九, 上有二陰, 六四‧六五也. 損道上行, 有相從之義.
若與二陰并己俱行, 雖欲益上九一人, 更使上九懷疑, 疑則失其適匹之義也.
名之曰益, 卽不是減損, 其實損之也, 故曰“三人行則損一人.”
象曰 一人行 三則疑也
[疏]正義曰:‘三則疑’者, 言一人則可, 三人, 加疑惑也.
六四 損其疾호되 使遄하면 有喜 无咎리라
[注]履得其位하고 以柔納剛하여 能損其疾也 疾何可久리오 速乃有喜
損疾以離其咎하여 有喜乃免이라 使速乃有喜하니 有喜 乃无咎也
[疏]‘六四’至‘无咎’
○正義曰: 初九自損己遄往, 己以正道速納,
陰陽相會, 同志斯來, 無復企之疾, 故曰“損其疾.”
疾何可久, 速乃有喜, 有喜, 乃无咎, 故曰“使遄, 有喜, 无咎.”
[疏]○注‘履得其位’至‘有喜乃无咎也’
○正義曰:‘速乃有喜 有喜乃无咎’者, 相感而久不相會, 則有勤望之憂, 故速乃有喜.
初九自損以益四, 四不速納, 則有失益之咎也, 故曰“有喜, 乃无咎也.”
象曰 損其疾 亦可喜也
[疏]正義曰:‘亦可喜’者, 不亦有喜乎.
六五 或益之하여 十朋之龜 弗克違 元吉하니라
[注]以柔居尊而爲損道하니 江海處下 百谷歸之하나니 履尊以損이면 則或益之矣
黨也 龜者 決疑之物也 陰非先唱이요 柔非自任이니 尊以自居로되 損以守之 人用其力하고 事順其功이라
智者慮能하고 明者慮策하여 弗能違也 則衆才之用 獲益而得十朋之龜하여 足以盡天人之助也
[疏]‘六五’至‘元吉’
○正義曰:六五居尊, 以柔而在乎損, 而能自抑損者也. 居尊而能自抑損, 則天下莫不歸而益之, 故曰“或益之”也.
‘或’者, 言有也, 言其不自益之, 有人來益之也.
‘朋’者, 黨也.
‘龜’者, 決疑之物也. 陰不先唱, 柔不自任, 尊以自居, 損以守之, 則人用其力, 事竭其功, 智者慮能, 明者慮策, 而不能違也.
朋至不違, 則群才之用, 盡矣, 故曰“十朋之龜, 弗克違”也. 群才畢用, 自尊委人, 天人竝助, 故曰“元吉.”
[疏]○注‘以柔居尊’至‘天人之助也’
○正義曰:‘朋 黨也’者, 馬‧鄭皆 “案爾雅云‘十朋之龜者, 一曰神龜, 二曰靈龜, 三曰攝龜,
象曰 六五元吉 自上祐也
[疏]正義曰:‘自上祐’, 上謂天也, 故與 義同也.
上九 弗損하고 益之 无咎하고 貞吉하니 利有攸往이요 得臣이니 无家
[注]處損之終하여 上无所奉하니 損終反益이니 剛德不損하고 乃反益之하여 而不憂於咎
用正而吉하여 不制於柔 剛德遂長이라 曰 弗損하고 益之 无咎하고 貞吉하니 利有攸往也라하니라
居上乘柔하고 處損之極하여 尙夫剛德이면 爲物所歸 曰 得臣이요 得臣則天下爲一이라 无家也
[疏]‘上九’至‘得臣无家’
○正義曰:‘弗損 益之 无咎 貞吉’者, 損之爲義, 損下益上, 上九處損之極, 上无所奉, 損終反益, 故曰“弗損, 益之”也.
‘利有攸往’者, 於柔, 不使三陰俱進, 不疑其志, 剛德遂長, 故曰“利有攸往”也.
又能自守剛陽, 不爲柔之所制, 豈惟无咎貞吉而已. 所往亦无不利, 故曰“利有攸往”, 義兩存也.
‘得臣 无家’者, 居上乘柔, 處損之極, 尊夫剛德, 爲物所歸, 故曰“得臣.”
得臣則以天下爲一, 故曰“无家”, 无家者, 光宅天下, 无適一家也.
象曰 弗損益之 大得志也
[疏]正義曰:‘大得志’者, 剛德不損, 爲物所歸, 故大得志也.


損은 孚信(誠信)이 있으면 크게 吉하고 바로잡을 만한 허물이 없어, 가는 바를 둠이 이롭다. 어디에 쓰겠는가. 두 簋만 가지고도 祭享할 수 있다.
經의 [損有孚]에서 [可用享]까지
○正義曰:[損] 減損하는 이름이니, 이 卦는 아래를 덜어 위에 보탬을 밝혔다. 그러므로 卦 이름을 ‘損’이라 한 것이다.
損卦의 뜻은 아래를 덜어 위에 보태고 剛을 덜어 柔에 보태니, 아래를 덜어 위에 보탬은 부족한 것을 보충하는 것이 아니요, 剛을 덜어 柔에 보탬은 君子의 道를 자라게 하는 것이 아니다.
만약 誠信으로써 하지 않으면 아첨에 해당되어 허물이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반드시 孚信이 있은 뒤에야 크게 吉하고 바로잡을 말한 허물이 없어 가는 바를 둠이 이로운 것이다.
이 때문에 “損은 孚信이 있으면 크게 吉하고 바로잡을 만한 허물이 없어, 가는 바를 둠이 이롭다.”라고 한 것이다.
先儒는 모두 无咎와 可貞을 각각의 뜻으로 삼아서 “이미 吉하고 허물이 없으면 바름이 될 수 있다.”고 말하였으나,
아래 王輔嗣(王弼)가 彖辭(〈彖傳〉의 글)에 注하기를 “剛을 덜어도 간사함이 되지 않고 위에 보태어도 아첨함이 되지 않으니, 무슨 허물이 있어서 바로잡을 것이 있겠는가.”라고 한 것에 준거하면, 王輔嗣의 뜻은 ‘无咎可貞’을 함께 한 뜻으로 이룬 것이다.
그러므로 莊氏가 이르기를 “만약 덞을 행하여 허물이 있으면 모름지기 허물을 補塡하여 그 잘못을 바로잡아야 하지만, 지금 덞을 행함에 誠信을 사용하니,
이는 바로잡을 만한 허물이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바로잡을 만한 허물이 없다.’라 한 것이다.”라 하였으니, 나는 莊氏의 말이 王輔嗣의 뜻을 얻었다고 생각한다.
[曷之用 二簋可用享] 損을 행하는 禮는 誠信을 귀하게 여기고 풍부함에 있지 않음을 밝힌 것이다. 이미 덞을 행하기를 誠信으로써 하였으면 어찌 풍부할 필요가 있겠는가.
두 簋가 지극히 간략하지만 이를 사용하여 祭享할 수 있다. 그러므로 “어디에 쓰겠는가. 두 簋만 가지고도 祭享할 수 있다.”라고 한 것이다.
〈彖傳〉에 말하였다. “損은 아래를 덜어 위에 보태어 그 道가 위로 행하니,
艮은 陽이 되고 兌는 陰이 되니, 무릇 陰은 陽에게 순한 자이다. 陽은 위에 그쳐 있고 陰은 기뻐하며 순종하여 아래를 덜어 위에 보탬은 위로 행하는 뜻이다.
正義曰:이는 두 體를 가지고 卦名의 뜻을 해석한 것이다. 艮은 陽卦이고 그침이 되며, 兌는 陰卦이고 기쁨이 된다.
陽은 위에 그쳐 있고 陰은 기뻐하며 순종하니, 이는 아래가 스스로 減損하여 윗사람을 받드는 것이니, ‘위로 행함’을 이른다.
덞에 孚信이 있으면 크게 吉하고 바로잡을 만한 허물이 없어서 가는 바를 둠이 이롭다.
損卦의 道는 아래를 덜어 위에 보태고 剛을 덜어 柔에 보태니, 아래를 덜어 위에 보탬은 부족함을 보충하는 것이 아니요, 剛을 덜어 柔에 보탬은 君子의 道를 자라게 하는 것이 아니다.
덜어서 吉함을 얻을 수 있음은 오직 孚信이 있기 때문일 것이다. 덞에 孚信이 있으면 크게 吉하고 바로잡을 만한 허물이 없어서 가는 바를 둠이 이로운 것이다.
剛을 덜어 柔에 보태되 剛이 사라지게 하지 않고, 柔를 덜어 위에 보태되 위가 너무 가득 차지 않게 해서 剛을 덜어도 간사함이 되지 않고 위에 보태어도 아첨함이 되지 않으면 무슨 허물이 있어서 바로잡을 것이 있겠는가.
비록 큰 어려움을 구제하지는 못하나 이러한 방식으로 가면 물건이 막을 것이 없는 것이다.
正義曰:卦에 ‘元吉’ 이하 등의 일이 있는 것은 孚信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하나의 ‘而’자를 加하였으니, 그 뜻을 볼 수 있다.
어디에 쓰겠는가.
曷은 어조사이니, ‘曷之用’은 ‘어찌 풍부함을 쓸 것이 있겠느냐.’는 말이다.
‘두 簋만 가지고도 祭享할 수 있음’은
두 簋는 質朴하고 薄한(진귀하지 않은) 그릇이니, 덞을 행하기를 誠信으로써 하면 비록 두 簋라도 사용하여 祭享할 수 있는 것이다.
正義曰:[曷之用 二簋可用享] 經文을 들어 밝혔으니, 모두 덞에 孚信이 있는 것이 된다. 그러므로 이와 같음을 얻은 것이다.
두 簋를 〈올리는 것은〉 응함이 때가 있으며,
지극히 儉約한 道는 常道로 삼아서는 안 된다.
正義曰:두 簋의 禮를 常道로 삼아서는 안 됨을 거듭 밝힌 것이다. 두 簋는 지극히 儉約하니, 오직 損의 때에 있으면서 때에 應하여 행해야 하는바, 때가 아니면 불가하다.
剛을 덜어 柔에 보탬이 때가 있으니,
아래가 감히 剛하지 못하여 위로 감을 귀하게 여김은 剛을 덜어 柔에 보탬을 이르니, 剛은 德이 뛰어남이 되는바, 더는 것을 常道로 삼아서는 안 된다.
正義曰:아래를 덜어 위에 보태는 道를 또한 常道로 삼아서는 안 됨을 밝힌 것이다. 損卦가 능히 아래를 덜어 위에 보탤 수 있는 이유는 아래가 감히 강하고 높을 수가 없어서 위를 받드는 것을 귀하게 여기기 때문이니, 이렇게 하면 剛亢을 덜어서 柔順함에 보태게 된다.
[損剛] 兌의 陽爻를 덞을 이른다.
[益柔] 艮의 陰爻에 보탬을 이른다. 사람의 德은 모름지기 剛과 柔를 구비해야 하니, 剛‧柔의 中道에 나아가서 剛이 德의 으뜸이 된다. 이미 德의 으뜸이 되었으면 항상 줄여서는 안 된다. 그러므로 더는 것이 때가 있는 것이다.
덜고 더함과 가득 채우고 비움을 때와 더불어 함께 행해야 한다.”
自然의 質이 각각 그 분수가 정해져 있어서 짧은 것이 부족함이 되지 않고 긴 것이 有餘함이 되지 않으니, 덜고 더함을 어찌 加할 것이 있겠는가. 常道가 아니므로 반드시 때와 더불어 함께 행해야 하는 것이다.
正義曰:[盈虛] 오리발은 짧지만 본성대로 맡겨두고, 학의 다리는 길지만 자연스러운 것이다. 여기에 또 “때와 더불어 함께 행한다.”라고 말한 것은, 위에 이미 剛을 덜어 柔에 보태는 것을 항상 써서는 안 됨을 말하였고,
여기에서는 또 덜고 더하는 일은 體가 항상하는 이치가 아니어서 自然의 質이 각각 그 분수가 정해져 있음을 널리 밝힌 것이다. 오리발이 짧은 것이 아니요 학의 다리가 긴 것이 아니니, 어찌 굳이 나를 덜어 남에게 보태며 이것을 비워 저것을 채울 필요가 있겠는가.
다만 마땅히 써야 할 때가 있기 때문에 때에 응하여 행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덜고 더함과 가득 채우고 비움을 때와 더불어 함께 행한다.”라고 한 것이다.
〈象傳〉에 말하였다. “산 아래에 못이 있는 것이 損卦이니,
산 아래에 못이 있음은 損卦의 象이다.
正義曰:못이 산 아래에 있으니, 못은 낮고 산은 높은바, 못이 스스로 덜어 산을 높이는 象과 같은 것이다.
君子가 이것을 보고서 분함을 징계하고 욕심을 막는다.”
덜 만한 것의 좋음은 분노와 욕심보다 더한 것이 없다.
正義曰:君子가 이 損卦의 道를 본받아서 분노를 징계하여 그치고 情慾을 막는다. 사람의 情은 물건에 감응하여 動함에 환경에 순하고 거슬림이 있다. 그러므로 情에 분노와 욕망이 있는 것이다.
[懲] 이미 지나간 것을 그치게 하는 것이다.
[窒] 앞으로 오는 것을 막는 것이다. 忿과 欲이 모두 가고 옴이 있는데 징계와 막음〈이라고 한 번만 쓴 것〉은 互文으로 써서 서로 충족한 것이다.
初九는 일이 끝났으면 빨리 가야 허물이 없으리니, 斟酌하여 덜어야 한다.
損卦의 道는 아래를 덜어 위에 보태고 剛을 덜어 柔에 보태어서 때에 應하는 자이다. 下體의 極에 거하여 剛을 덜어 柔를 받들면 편안할 수가 없고,
損의 시초에 처했으면 가득 차서는 안 되니, 일이 끝나면 곧 가서 감히 편안하지 않아야 비로소 허물이 없을 수 있다.
剛으로서 柔를 받들어 비록 허물을 면하나 아직 친하지 못하다. 그러므로 이미 허물이 없음을 얻고 다시 스스로 斟酌하여 덜어야 비로소 뜻이 합할 수 있는 것이다. ‘遄’은 속히 함이다.
正義曰:[已事遄往 无咎] ‘已’는 끝남이요, ‘遄’은 속히 함이다. 損卦의 道는 아래를 덜어 위에 보태니 마치 人臣이 스스로 자신을 덜어 위를 받들고자 하는 것과 같다.
그러나 각기 맡은 바가 있는데, 만약 일을 폐하고 가면 허물이 이보다 더 클 수가 없고, 만약 일이 끝났는데도 가지 않으면 오만함이 되니, 일이 끝났으면 속히 가야 비로소 허물이 없을 수 있다. 그러므로 “일이 끝났으면 빨리 가야 허물이 없으리라.”라고 한 것이다.
[酌損之] 剛이 우세하면 柔가 위태로워지니, 剛으로서 柔를 받들어 초기에는 아직 친함을 받지 못한다. 그러므로 斟酌하여 덜어야 비로소 뜻이 합한다. 이 때문에 “斟酌하여 덜어야 한다.”라고 한 것이다.
〈象傳〉에 말하였다. “‘일이 끝났으면 빨리 감’은 행여 뜻이 합하고자 해서이다.”
행여 뜻이 합하고자 하여 빨리 가려는 것이다.
正義曰:[尙合志] 尙은 庶幾이니, 일이 끝나면 속히 가는 이유는 행여 위와 뜻이 합하고자 해서이다.
九二는 貞함이 이롭고 가면 凶하니, 덜지 않고 보탠다.
柔는 완전히 더해서는 안 되고, 剛은 완전히 깎아서는 안 되고, 아래는 正이 없어서는 안 된다. 初九가 이미 剛을 덜어 柔에 순종하였고,
九二가 中을 밟고 있는데 다시 자기를 덜어 柔에 보태면 剝卦의 道가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빨리 가서는 안 되고 貞함이 이로우며,
柔로 나아가면 흉한 것이다. 그러므로 “가면 흉하다.”라고 한 것이다. 이 때문에 九二가 덜지 않고 보태는 데 힘써서 中을 뜻으로 삼는 것이다.
正義曰:柔는 완전히 더해서는 안 되고, 剛은 완전히 깎아서는 안 되고, 아래는 正이 없어서는 안 된다.
初九가 이미 剛을 덜어 柔에 보태어서 六四에게 순응하여 初六이 되었는데, 九二가 다시 자기를 덜어 六五에게 보태어서 六二가 되면 剝卦의 道가 이루어진다.
이 때문에 九二는 居하면서 바름을 지키는 것이 이롭고, 柔로 나아가면 흉한 것이다. 그러므로 “貞함이 이롭고 가면 凶하다.”라고 한 것이다. 이미 감이 흉하기 때문에 九二가 자기를 덜지 않고 보태는 데 힘쓴다. 그러므로 “덜지 않고 보탠다.”라고 한 것이다.
〈象傳〉에 말하였다. “‘九二의 貞함이 이로움’은 中을 뜻으로 삼는 것이다.”
正義曰:[中以爲志] 九二가 능히 居하면서 貞을 지켜서 덜지 않고 보태는 이유는 진실로 中에 거하여 中을 뜻으로 삼기 때문임을 말한 것이다. 그러므로 덜고 보탬이 그 節度에 알맞음을 얻는 것이다.
六三은 세 사람이 가면 한 사람을 덜고, 한 사람이 가면 그 벗을 얻는다.
損卦의 道는 아래를 덜어 위에 보태어서 그 道가 위로 간다. 三人은 六三부터 이상의 세 陰을 이르니,
三陰이 함께 가서 上九를 받들면 上九가 벗을 잃고 안에 주장이 없으니, 이름을 益이라 하나 그 실제는 바로 損이다.
그러므로 하늘과 땅이 서로 응하여야 비로소 化醇할 수 있고 남자와 여자가 짝이 되어야 비로소 化生할 수 있으니, 陰과 陽이 상대하지 못하면(균형을 이루지 못하면) 낳는 것을 얻을 수 있겠는가.
그러므로 六三이 홀로 가면 마침내 벗을 얻고, 두 陰과 함께 가면 반드시 의심하게 되는 것이다.
經의 [六三]에서 [得其友]까지
○正義曰:六三이 損의 때에 처하여 下體에 거하였으니, 損의 뜻은 그 道가 위로 행한다. 三人은 六三부터 이상의 세 陰을 이른다.
위의 ‘一人’은 上九를 이르고, 아래의 ‘一人’은 六三을 이른다. 陰과 陽이 서로 응하여야 萬物이 化醇하고 男女가 짝을 이루기 때문에 능히 자식을 낳아 기르는 것이니,
六三이 上九에 응하고 위에 두 陰이 있는바, 六四와 六五이다. 損卦의 道는 위로 행하여 서로 따르는 뜻이 있다.
만약 두 陰과 더불어 자신이 함께 가면 비록 上九 한 사람을 보태고자 하나 다시 上九로 하여금 의심하는 마음을 품게 하니, 의심하면 배필을 따라가는 뜻을 잃는다.
이름을 益이라 하여 減損이 아니나 그 실제는 損인 것이다. 그러므로 “세 사람이 가면 한 사람을 던다.”라고 한 것이다.
만약 六三 한 사람만 홀로 가면 上九가 자기를 받아들여 의심함이 없으니, 이렇게 하면 벗을 얻는다. 그러므로 “한 사람이 가면 벗을 얻는다.”라고 한 것이다.
〈象傳〉에 말하였다. “‘한 사람이 감’은 셋이면 의심하는 것이다.”
正義曰:[三則疑] 한 사람이면 可하고 세 사람이면 더욱더 의혹함을 말한 것이다.
六四는 그 병을 덜되 빨리 하게 하면 기쁜 일이 있게 되니, 허물이 없으리라.
밟음이 正位를 얻고 柔로서 剛을 받아들여 능히 자신의 병을 더는 것이니, 병을 어찌 오래 머물게 할 수 있겠는가. 그러므로 빨리 〈병을 덜게〉 하면 마침내 기쁨이 있는 것이다.
병을 덜어 허물을 떠나서 기쁜 일이 있어 마침내 면한다. 그러므로 빨리 〈병을 덜게〉 하면 마침내 기쁨이 있는 것이니, 기쁨이 있음은 바로 허물이 없는 것이다.
經의 [六四]에서 [无咎]까지
○正義曰:[疾] 서로 그리워하는 병(相思病)이다. 初九가 스스로 자기를 덜어 빨리 가면 자기(六四)가 正道로써 빨리 받아들여야 하니,
陰와 陽이 서로 만나고 同志가 이에 와서 다시 바라보는 병이 없게 된다. 그러므로 “그 병을 던다.”라고 한 것이다.
병을 어찌 오래 머물게 할 수 있겠는가. 빨리 〈병을 덜게〉 하면 마침내 기쁨이 있으니, 기쁨이 있음은 바로 허물이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빨리 하게 하면 기쁜 일이 있게 되니, 허물이 없으리라.”라고 한 것이다.
○注의 [履得其位]에서 [有喜乃无咎也]까지
○正義曰:[速乃有喜 有喜乃无咎] 서로 감동하나 오랫동안 서로 만나지 못하면 애타게 바라보는 근심이 있다. 그러므로 속히 하면 마침내 기쁨이 있는 것이다.
初九가 자신을 덜어 六四에 보태니, 六四가 속히 받아들이지 않으면 益을 잃는 허물이 있다. 그러므로 “기쁨이 있음은 바로 허물이 없는 것이다.”라고 한 것이다.
〈象傳〉에 말하였다. “‘그 병을 덞’은 또한 기쁠 만한 것이다.”
正義曰:[亦可喜] ≪詩經≫에 “또한 이미 만나면 내 마음 가라앉는다.”라고 하였으니, 기쁜 일이 있지 않겠는가.
六五는 혹 보태주어서 열 무리(종류)의 거북껍질을 어기지 못하니, 크게 吉하다.
柔로서 尊位에 거하여 損의 道를 행한다. 강과 바다가 아래에 처함에 온갖 골짜기의 물이 돌아오니, 높은 지위를 밟고서 덜면(자신을 겸손히 하면) 혹 보태주는 것이다.
‘朋’은 무리요, ‘거북껍질’은 의심을 결단하는 물건이다. 陰은 先唱하는 물건이 아니고 柔는 스스로 맡는 자가 아니니, 높음을 자처하나 덜어 지킨다. 그러므로 사람들이 자신의 힘을 쓰고 일이 그 功을 순히 이루는 것이다.
그리하여 지혜로운 자가 재능을 다할 것을 생각하고 현명한 자가 계책을 생각하여 능히 어기지 못하면 여러 인재의 등용됨이 극진한 것이니, 유익함을 얻어 열 종류의 거북껍질을 얻어서 하늘과 사람의 도움을 다할 수 있는 것이다.
經의 [六五]에서 [元吉]까지
○正義曰:六五가 尊位에 거하였으나 柔로서 損의 때에 있어서 능히 스스로 억제하고 더는 자이다. 높은 지위에 거하여 능히 스스로 억제하고 덜면 天下가 돌아와 보태주지 않는 이가 없다. 그러므로 “혹 보태주다.”라 한 것이다.
[或] 있음을 말한 것이니, 스스로 보태지 않고 어떤 사람이 와서 보태줌을 말한 것이다.
[朋] 무리이다.
[龜] 의심을 결단하는 물건이다. 陰이 先唱하지 않고 柔가 自任하지 아니하여 높음을 자처하나 덜어 지키면, 사람들이 자신의 힘을 쓰고 일이 그 功을 다해서, 지혜로운 자가 재능을 다할 것을 생각하고 현명한 자가 계책을 생각하여 능히 어기지 못한다.
벗이 이르러 의심하지 않으면 여러 인재의 등용됨이 극진한 것이다. 그러므로 “열 종류의 거북껍질을 어기지 못한다.”라고 한 것이다. 여러 인재가 모두 등용되어서 자신이 높으면서 남에게 맡기면 하늘과 사람이 함께 도와준다. 그러므로 “크게 길하다.”라고 한 것이다.
○注의 [以柔居尊]에서 [天人之助也]까지
○正義曰:[朋 黨也] 馬融과 鄭玄이 모두 “살펴보건대, ≪爾雅≫에 ‘「十朋之龜」는 첫 번째는 神龜, 두 번째는 靈龜, 세 번째는 攝龜,
네 번째는 寶龜, 다섯 번째는 文龜, 여섯 번째는 筮龜, 일곱 번째는 山龜, 여덟 번째는 澤龜, 아홉 번째는 水龜, 열 번째는 火龜이다.’ 하였다.”라고 하였다.
〈象傳〉에 말하였다. “六五가 크게 길함은 위에서 도와주기 때문이다.”
正義曰:[自上祐] ‘上’은 하늘을 이른다. 그러므로 ‘하늘에서 도와주어 이롭지 않음이 없다.’는 것과 뜻이 같은 것이다.
上九는 덜지 않고 보태면 허물이 없고 貞하여 吉하니, 가는 바를 둠이 이롭고 신하를 얻으니 정해진 집이 없다.
損의 終에 처하여 위에 받드는 바가 없으니 損이 끝나 도리어 益(보탬, 유익함)이 되니, 剛의 德을 덜지 않고 마침내 도리어 보태어서 허물을 근심하지 않는다.
바름을 사용하여 吉해서 柔에게 제재받지 않으면 剛의 德이 마침내 자라난다. 그러므로 “덜지 않고 보태면 허물이 없고 貞하여 吉하니, 가는 바를 둠이 이롭다.”라고 한 것이다.
위에 거하고 柔를 타고 있으며 損의 極에 처하여 剛한 德을 숭상하면 물건(사람들)이 귀의하는 바가 된다. 그러므로 “신하를 얻는다.”라고 하였고, 신하를 얻으면 천하가 하나가 되므로 정해진 집이 없는 것이다.
經의 [上九]에서 [得臣无家]까지
○正義曰:[弗損 益之 无咎 貞吉] 損卦의 뜻은 아래를 덜어 위에 보태는 것이니, 上九가 損卦의 極에 처하여 위에 받드는 바가 없어서 損이 끝나 도리어 益이 된다. 그러므로 “덜지 않고 보탠다.”라고 한 것이다.
이미 剛의 德을 덜지 않고 마침내 도리어 보태면 허물을 근심하지 않고 바름을 사용하여 길하다. 그러므로 “허물이 없고 貞하여 吉하다.”라고 한 것이다.
[利有攸往] 柔에게 제재받지 않아서 세 陰으로 하여금 함께 나아가지 못하게 하여 그 뜻을 의심하지 않으면 강한 德이 마침내 자라난다. 그러므로 “가는 바를 둠이 이롭다.”라고 한 것이다.
또 능히 스스로 剛陽을 지켜서 柔에게 제재받지 않으면 어찌 다만 ‘허물이 없고 貞하여 吉함’일 뿐이겠는가. 가는 곳마다 또한 이롭지 않음이 없다. 그러므로 “가는 바를 둠이 이롭다.”라고 하였으니, 뜻이 두 가지가 있는 것이다.
[得臣 无家] 위에 거하고 柔를 타고 있어서 損卦의 極에 처하여 강한 德을 높이니, 물건이 귀의하는 바가 된다. 그러므로 “신하를 얻었다.”라고 한 것이다.
신하를 얻으면 천하가 하나가 된다. 그러므로 “정해진 집이 없다.”라 하였으니, 정해진 집이 없다는 것은 德이 天下에 충만하여 다만 하나의 집일 뿐만이 아닌 것이다.
〈象傳〉에 말하였다. “‘덜지 않고 보탬’은 크게 뜻을 얻는 것이다.”
正義曰:[大得志] 剛한 德이 손상되지 않아서 물건이 귀의하는 바가 되었다. 그러므로 크게 뜻을 얻는 것이다.


역주
역주1 此卦明損下益上 故謂之損 : ‘損下益上’은 아래(下卦)의 陽爻를 덜어 위(上卦)에 더하는(보태는) 것으로, 王弼과 孔穎達은 분명한 해석이 없다.
程伊川은 이 卦의 卦辭를 해석하면서, “下卦의 兌가 兌가 된 이유는 六三이 변했기 때문이요, 上卦의 艮이 艮이 된 이유는 上九가 변했기 때문이다. 三은 본래 剛이었는데 柔가 되었고 上은 본래 柔였는데 剛이 되었으니, 또한 아래를 덜어 위에 더하는 뜻이다. 위를 덜어 아래에 더하면 益(益卦)이 되고, 아래에서 취하여 위에 더하면 損(損卦)이 된다. 君上이 된 자가 恩澤을 베풀어 아래에 미치면 益이 되고 아래의 것을 취하여 자신을 厚하게 하면 損이 되니, 이것을 城壘의 흙에 비유하면 위의 흙을 덜어 基本을 북돋아 두텁게 하면 위아래가 안정되고 튼튼해지니, 어찌 益이 아니겠는가. 아래의 것을 취하여 위를 더 높이면 위태롭고 떨어짐이 이를 것이니, 어찌 損이 아니겠는가. 그러므로 損은 아래를 덜어 위에 더하는 뜻이요, 益은 이와 반대이다.[下兌之成兌 由六三之變也 上艮之成艮 自上九之變也 三本剛而成柔 上本柔而成剛 亦損下益上之義 損上而益於下則爲益 取下而益於上則爲損 在人上者 施其澤以及下則益也 取其下以自厚則損也 譬諸壘土 損於上以培厚其基本則上下安固矣 豈非益乎 取於下以增上之高則危墜至矣 豈非損乎 故損者 損下益上之義 益則反是]”라 하여, 아래의 益卦와 연결하여 설명하였다.
또 益卦의 卦辭에서는 “巽과 震 두 卦는 모두 아래가 변함으로 말미암아 이루어졌으니, 陽이 변하여 陰이 된 것은 損이요 陰이 변하여 陽이 된 것은 益이다. 위의 卦가 덜려 아래 卦에 더해졌으니, 위를 덜어 아래에 더해줌은 덜어서 유익함이 되는 것이니, 이는 義로써 말한 것이다. 아래가 厚하면 위가 편안해진다. 그러므로 아래를 더해줌이 益이 되는 것이다.[巽震二卦 皆由下變而成 陽變而爲陰者 損也 陰變而爲陽者 益也 上卦損而下卦益 損上益下 損以爲益 此 以義言也 下厚則上安 故益下爲益]”라고 하였다.
한편 朱子는 卦辭를 해석하면서 “〈損卦는〉 卦됨이 下卦 上畫의 陽을 덜어 上卦 上畫의 陰에 더하고, 兌澤의 깊음을 덜어 艮山의 높음에 더하니, 아래를 덜어 위에 더하고 안을 덜어 밖에 더함은 백성을 깎아 군주를 받드는 象이니, 이 때문에 損이라 한 것이다.[爲卦 損下卦上畫之陽 益上卦上畫之陰 損兌澤之深 益艮山之高 損下益上 損內益外 剝民奉君之象 所以爲損也]”라고 하였으며, 益卦의 卦辭에서는 “卦됨이 上卦 初畫의 陽을 덜어서 下卦 初畫의 陰에 더해주었으니, 上卦로부터 下卦의 아래로 내려왔다. 그러므로 益이라 한 것이다.[爲卦損上卦初畫之陽 益下卦初畫之陰 自上卦而下於下卦之下 故爲益]”라고 하였다.
이는 程伊川과 朱子 모두 ‘損은 원래 ☷이 위에 있고 ☰이 아래에 있어 地天泰䷊의 象이었는데, 下卦 九三의 陽爻를 덜어 上卦 上六의 陰爻와 바꾸어 損䷨이 되었고, 益은 원래 ☰이 위에 있고 ☷이 아래에 있어 天地否䷋의 象이었는데, 上卦 九四의 陽爻를 덜어 下卦 初六의 陰爻와 바꾸어 益䷩이 된 것’으로 본 것이다. 이를 사람의 일에 비유하면 위에 있는 군주가 아래에 있는 백성들의 재물을 착취하여 자신을 厚하게 하면 백성들이 원망하고 배반하여 나라가 망하게 되니, 이는 결국 損이 되는 것이요, 위에 있는 군주가 자신의 재물을 덜어 아래에 있는 백성들에게 베풀면 백성들이 군주의 은혜에 감동하여 자신의 힘을 다하므로 나라가 흥성하게 되니, 이는 결국 益(유익함)이 되는 것이다.
역주2 損剛益柔 非長君子之道者也 : 陽剛은 君子를, 陰柔는 小人을 비유하므로 이렇게 말한 것이다.
역주3 (无)[云] : 저본에는 ‘无’로 되어 있으나, 글 뜻에 의거하여 ‘云’으로 바로잡았다.
역주4 (損下)[損剛] : 저본에는 ‘損下’로 되어 있으나, 아래 〈彖傳〉의 王弼 注에 의거하여 ‘損剛’으로 바로잡았다.[阮刻本 참조]
역주5 先儒皆以无咎可貞……得(正)[王]旨矣 : 經文의 ‘无咎可貞’은 본래 ‘허물이 없어 바를 수 있다[无咎而可貞]’로 보는 것이 원칙인바, 先儒의 해석이 이와 같다. 그러나 王弼의 해석에 따라 經文을 ‘바로잡을 만한 허물이 없다.’로 번역하였음을 밝혀둔다.
역주6 (正)[王] : 저본에는 ‘正’으로 되어 있으나, 錢本‧宋本에 의거하여 ‘王’으로 바로잡았다.[阮刻本 참조]
역주7 陽止於上……上行之謂也 : 程伊川은 ‘損下益上’을 ‘기본을 덜어 높게 만드는 것’으로 보았는바, ≪程傳≫은 다음과 같다. “損卦가 損이 된 까닭은 아래를 덜어 위에 더하기 때문이니, 아래에서 취하여 위에 더하였으므로 그 道가 올라가 行한다고 말한 것이다. 위를 덜어 아래에 더하면 益卦가 되고, 아래를 덜어 위에 더하면 損卦가 되니, 기본을 덜어 높게 만드는 것을 어찌 益이라 이르겠는가.[損之所以爲損者 以損於下而益於上也 取下以益上 故云其道上行 夫損上而益下則爲益 損下而益上則爲損 損基本以爲高者 豈可謂之益乎]”
역주8 加一而字 : 卦辭에는 ‘損 有孚 元吉’로 되어 있으나, 〈彖傳〉은 ‘損而有孚 元吉’로 되어 있음을 말한 것이다.
역주9 惟在損時 應時行之 : ‘二簋應有時’의 應을 孔穎達은 ‘응함’으로 보았으나, 程伊川과 朱子는 ‘응당’으로 해석하였다.
역주10 鳧足短而任性 鶴脛長而自然 : ≪莊子≫ 〈騈拇〉에 “오리의 다리가 비록 짧지만 이를 늘여주면 근심하고, 학의 다리가 비록 길지만 이를 자르면 슬퍼한다.[鳧脛雖短 續之則憂 鶴脛雖長 斷之則悲]”라고 한 말을 원용하였다.
역주11 忿欲……互文而相足也 : 互文이란 두 개 이상의 문장이 서로 내용상 보완될 수 있으면 한쪽에 한 가지씩만 써서 뜻이 통하게 하는 것이다. ‘懲忿窒欲’이 互文이라는 말은 이것이 ‘懲窒忿 懲窒欲’이라고 쓴 것과 같다는 의미이다.
역주12 然各有所掌……无咎也 : ‘已事遄往’을 王弼과 孔穎達은 ‘보태는 일이 끝났으면 속히 가서 오만하게 하지 말아야 함’의 의미로 보았는데, 程伊川 역시 “아래가 위에 더할 경우에는 마땅히 자기를 덜되 스스로 功으로 여기지 말고 위에 더하는 자는 일이 끝났으면 속히 떠나가서 그 功을 차지하지 말아야 마침내 허물이 없는 것이다.[下之益上 當損己而不自以爲功 所益於上者事旣已 則速去之 不居其功 乃无咎也]”라고 하였다.
반면 朱子는 ‘已事遄往’을 ‘하던 일을 그만두고 속히 위로 가서 더해줌’의 뜻으로 보았는바, ≪本義≫는 다음과 같다. “初九는 아래를 덜어 위에 더하는 때를 당하여 위로 六四의 陰과 응하니, 하던 일을 그만두고 속히 가서 더해줌은 허물이 없는 길이다.[初九當損下益上之時 上應六四之陰 輟所爲之事而速往以益之 无咎之道也]”
역주13 尙 庶幾也 : 王弼과 孔穎達은 ‘尙’을 ‘행여[庶幾]’의 뜻으로 보았으나, 程伊川과 朱子는 ‘上’으로 보았는바, ≪程傳≫은 다음과 같다. “尙은 上이니, 당시에 숭상하여 쓰는 것을 尙이라 한다. 初九가 숭상하는 것은 위와 뜻이 합하기 때문이니, 六四가 初九에 의뢰하고 初九가 六四에 더해줌은 위와 뜻이 합하는 것이다.[尙 上也 時之所崇用 爲尙 初之所尙者 與上合志也 四賴於初 初益於四 與上合志也]”
역주14 (下)[不] : 저본에는 ‘下’로 되어 있으나, 岳本‧閩本‧監本‧毛本에 의거하여 ‘不’로 바로잡았다.[阮刻本 참조]
역주15 〈以〉 : 저본에는 ‘以’가 없으나, 古本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阮刻本 참조] 뒤의 ‘剛不可〈以〉全削’의 ‘以’도 같다.
역주16 柔(下)[不]可〈以〉全益…‧…則剝道成焉 : ‘下不可以无正’의 正은 陽剛의 正道를 이르며, 剝道는 剝卦䷖의 道로 陰이 陽을 갉아먹는 卦인바, 損卦는 陽爻와 陰爻가 각각 셋이어서 균형을 이루는데, 陰柔가 완전히 더해지고 陽剛이 완전히 깎여져서 아래에 陽剛의 正道가 없어지면 剝卦가 됨을 말한 것이다.
역주17 初九已損剛以益柔……則成剝卦矣 : 損卦䷨의 初九와 九二가 陰爻로 변하면 剝卦䷖가 됨을 말한다.
역주18 旣征凶……益之也 : ‘弗損 益之’를 王弼과 孔穎達은 ‘九二가 자기를 덜어 六五에 보태주지 않고 자기 자리에 머물면서 자기에게 보탬’의 뜻으로 보았다.
반면 程伊川과 朱子는 ‘弗損 益之’를 ‘九二가 자신의 剛貞함을 덜지 않아서 윗사람을 유익하게 함’의 뜻으로 보았는바, ≪程傳≫은 다음과 같다. “‘弗損 益之’는 스스로 자신의 剛貞함을 덜지 않으면 윗사람을 유익하게 할 수 있으니, 이것이 바로 유익하게 하는 것이다. 만일 剛貞함을 잃고 유순함과 기뻐함을 쓴다면 다만 덜 뿐이니, 자기를 덜어 위에 더하는 方道가 아니다. 세상에 어리석은 자들은 비록 邪心이 없으나 오직 힘을 다하여 위에 순종하는 것이 충성이 되는 줄로 아는 자가 있으니, 이는 ‘弗損 益之’의 뜻을 알지 못하는 것이다.[弗損益之 不自損其剛貞 則能益其上 乃益之也 若失其剛貞而用柔說 適足以損之而已 非損己而益上也 世之愚者 有雖无邪心 而唯知竭力順上爲忠者 蓋不知弗損益之之義也]”
역주19 天地相應……乃得化生 : 〈繫辭傳〉에 “天地의 기운이 얽히고 설킴에 萬物이 化醇하고, 남녀가 精을 맺음에 萬物이 化生한다.[天地絪縕 萬物化醇 男女構精 萬物化生]”라는 말로 이 六三 爻辭를 해석하였는데, 朱子는 이에 대하여 “絪縕은 사귀기를 친밀하게 하는 모양이다. 醇은 厚하여 엉김을 이르니 氣化를 말한 것이요, 化生은 形化하는 것이다.[絪縕 交密之狀 醇 謂厚而凝也 言氣化者也 化生 形化者也]”라고 하였는바, 氣化는 天地의 기운이 뭉쳐 사람이나 물건이 처음 생기는 것이고, 形化는 남(수컷)과 여(암컷)의 결합에 의하여 생기는 것을 이른다.
역주20 若與二陰并己俱行……故曰一人行則得其友也 : ‘三人行則損一人’을 王弼과 孔穎達은 ‘六三‧六四‧六五가 上九에게 함께 가면 六三이 上九의 應을 잃음’으로 보고, ‘一人行則得其友’를 ‘六三이 上九에게 홀로 가면 上九의 應을 얻음’으로 보았다.
반면 程伊川과 朱子는 卦變說을 사용하여 經文을 해석하였는바, ‘三人行則損一人’을 程伊川은 “三人은 아래의 세 陽과 위의 세 陰을 이른다. 세 陽이 함께 가면 九三을 덜어 위에 더하고, 세 陰이 함께 가면 上六을 덜어 六三을 만드니, 세 사람이 갈 때에 한 사람을 더는 것이다. 上은 柔에서 剛으로 바뀌었는데, 損이라고 이른 것은 다만 하나를 줄임을 말했을 뿐이다.[三人 謂下三陽上三陰 三陽同行 則損九三以益上 三陰同行 則損上六以爲三 三人行 則損一人也 上以柔易剛而謂之損 但言其減一耳]”라고 하였고, 朱子는 “下卦는 본래 乾인데 上爻를 덜어 坤에 더하였으니, 세 사람이 갈 때에 한 사람을 더는 것이다.[下卦本乾而損上爻以益坤 三人行而損一人也]”라고 하였다.
‘一人行則得其友’를, 程伊川은 “上과 三은 본래 서로 응하나 두 爻가 오르내림으로 말미암아 한 卦가 다 이루어졌으니, 둘이 서로 친한 것이다. 初九‧九二의 두 陽爻와 六四‧六五의 두 陰爻는 德이 같아 서로 친하며, 六三은 上九와 응하여 모두 둘이 서로 친하니, 그 뜻이 전일하여 모두 벗을 얻음이 된다. 六三은 비록 六四와 가까이 있으나 體가 다르고 上九와 응하여 同行하는 자가 아니다.[上與三 雖本相應 由二爻升降而一卦皆成 兩相與也 初二二陽 四五二陰 同德相比 三與上應 皆兩相與 則其志專 皆爲得其友也 三雖與四相比 然異體而應上 非同行者也]”라고 하였고, 朱子는 “한 陽이 올라가고 한 陰이 내려왔으니 한 사람이 갈 적에 벗을 얻는 것이다.[一陽上而一陰下 一人行而得其友也]”라고 하였다.
역주21 (疑)[益] : 저본에는 ‘疑’로 되어 있으나, 錢本‧宋本에 의거하여 ‘益’으로 바로잡았다.[阮刻本 참조]
역주22 疾者 相思之疾也 : ‘疾’을 王弼은 분명하게 해석하지 않았고, 孔穎達은 ‘六四가 初九를 보고 싶어 하는 병’으로 해석하였다.
반면 程伊川과 朱子는 ‘陰柔의 질병’ 즉 ‘不善’으로 보았는바, ≪程傳≫은 다음과 같다. “六四는 陰柔로 위에 거하여 初九의 剛陽과 서로 應하니, 損의 때에 있어서 剛에 應함은 스스로 덜어 剛陽을 따르는 것이니, 不善함을 덜어 善을 따르는 것이다. 初九가 六四에 더함은 柔를 덜어 剛에 더해주는 것이니, 不善을 덜어내는 것이다. 그러므로 병을 덜었다고 하였으니, 疾은 疾病을 이르는바, 不善이다. 不善을 덜되 오직 빠르게 하면 기쁨이 있어 허물이 없을 것이다.[四以陰柔居上 與初之剛陽相應 在損時而應剛 能自損以從剛陽也 損不善以從善也 初之益四 損其柔而益之以剛 損其不善也 故曰損其疾 疾謂疾病 不善也 損於不善 唯使之遄速則有喜而无咎]”
역주23 (子)[予] : 저본에는 ‘子’로 되어 있으나, 錢本‧宋本에 의거하여 ‘予’로 바로잡았다.[阮刻本 참조]
역주24 詩曰亦旣見止 我心則降(항) : ≪詩經≫ 〈召南 草蟲〉에 “喓喓히 우는 풀벌레며 펄쩍펄쩍 뛰는 메뚜기로다. 군자를 만나보지 못한지라 근심하는 마음 두근거리노라. 또한 이미 그를 보며 또한 이미 만나면, 내 마음 가라앉으리로다.[喓喓草蟲 趯趯阜螽 未見君子 憂心忡忡 亦旣見止 亦旣覯止 我心則降]”라고 보인다.
역주25 (事)[盡] : 저본에는 ‘事’로 되어 있으나, 毛本에 의거하여 ‘盡’으로 바로잡았다.[阮刻本 참조]
역주26 案爾雅云十朋之龜者……十曰火龜 : 이에 대한 ≪爾雅注疏≫의 疏는 다음과 같다. “神龜는 거북 중에 가장 神明한 것이니, ≪禮統≫에 ‘神龜의 모양은, 위는 하늘을 본받아 둥글고, 아래는 땅을 본받아 네모지고, 등 위는 언덕과 산을 본받아 소반 모양이고, 검은 무늬가 서로 엇갈려 별자리를 이루며, 길이는 2척이다. 길흉을 밝히니, 말하지 않아도 믿는 것이다.’라고 한 것이 이것이다. 靈龜는 거북 중에 영험함이 있어 神龜 다음인 것이니, ≪雒書≫에 ‘靈龜는 검은 무늬에 五色을 띠니, 神靈의 精粹이다.’라고 하였다. 攝龜는 거북 중에 작은 것이니, 배딱지는 구불구불하고 스스로 늘리거나 움츠릴 수 있는 것이다. 寶龜는 나라를 전할 때 보물로 삼는 것이니, ≪春秋≫에 ‘도적이 寶와 玉과 大弓을 훔쳤다,’ 하였고, ≪公羊傳≫에 ‘寶란 무엇인가? 거북이 푸르게 선을 두른 것이다.’라고 하였는데, 何休가 ‘寶라고 한 것은 대대로 보존하여 쓴다는 말이다.’라고 한 것이 이것이다. 文龜는 등딱지에 무늬가 있는 것이다. 筮龜는 蓍草 떨기 밑에 있는 것이다. 山龜는 산 속에 사는 것이고, 澤龜는 못 속에 사는 것이고, 水龜는 물 속에 사는 것이고, 火龜는 불 속에 사는 것이다.[神龜者 龜之最神明者也 禮統曰 神龜之象 上圓法天 下方法地 背上盤法丘山 玄文交錯以成列宿 長尺二寸 明吉凶 不言而信者 是也 靈龜 龜之有靈 次神龜者 雒書曰 靈龜者 玄文五色 神靈之精也 攝龜 龜之小者 腹甲曲折 能自張閉者也 寶龜 傳國所寶者 春秋經曰 盗竊寳玉大弓 公羊傳云 寳者何 龜青純 何休云 謂之寳者 言世世保用之辭 是也 文龜 甲有文彩者 筮龜 在蓍叢下者 山龜 生山中者 澤龜 生澤中者 水龜 生水中者 火龜 生火中者]”
역주27 (曰)[者] : 저본에는 ‘曰’로 되어 있으나, 글 뜻에 의거하여 ‘者’로 바로잡았다.
역주28 自天祐之 吉無不利 : 大有卦 上九 爻辭이다.
역주29 旣剛德不損……貞吉也 : ‘弗損 益之’를 王弼과 孔穎達은 ‘上九가 자신의 剛德을 덜지 않고 도리어 보탬’으로 보았는바, 이 해석에서 ‘益之’의 ‘之’는 上九 자신이 된다.
반면 程伊川과 朱子는 ‘益之’의 ‘之’를 아랫사람으로 보고, ‘益之’를 ‘上九가 아래에 더해줌’의 뜻으로 보았다. 다만 ‘弗損’의 해석은 程伊川과 朱子가 다른데, 程伊川은 “陽剛으로 위에 거하였으니, 만일 剛함을 써서 아래에서 덜고 깎아내면 윗사람이 된 도리가 아니니, 그 허물이 크다. 만일 덞을 행하지 않고 바꾸어 陽剛의 道로써 아래에 더해주면 허물이 없어 바르고 또 길함을 얻을 것이다.[以剛陽居上 若用剛以損削於下 非爲上之道 其咎大矣 若不行其損 變而以剛陽之道 益於下 則无咎而得其正且吉也]”라고 하여 ‘弗損’을 ‘아래에서 덜지 않음’으로 보았다.
朱子는 “上九가 아래를 덜어 위에 더하는 때를 당하여 卦의 위에 거하였으니, 더함을 받음이 지극해서 스스로 덜어 남에게 더해주고자 한다. 그러나 위에 있으면서 아래에 더해줌에는 이른바 ‘은혜롭되 허비하지 않는다.[惠而不費]’는 것이 있으니, 자기를 덜어내기를 기다리지 않고도 남을 유익하게 하는 것이니, 이와 같이 하면 허물이 없다.[上九當損下益上之時 居卦之上 受益之極 而欲自損以益人也 然居上而益下 有所謂惠而不費者 不待損己然後可以益人也 能如是則无咎]”라고 하여 ‘弗損’을 ‘上九가 자신을 덜지 않음’으로 보았는바, 이는 王弼‧孔穎達의 해석과 통한다. ‘은혜롭되 허비하지 않음’은 ≪論語≫ 〈堯曰〉에 “백성들이 이롭게 여기는 것을 인하여 이롭게 해주니, 이것이 은혜롭되 허비하지 않는 것이 아니겠는가.[因民之所利而利之 斯不亦惠而不費乎]”라고 보인다.
역주30 (不利)[不制] : 저본에는 ‘不利’로 되어 있으나, 宋本에 의거하여 ‘不制’로 바로잡았다. 阮刻本 〈校勘記〉에 “살펴보건대, ‘不制’는 바로 注와 같다. 그러나 注의 ‘不’자 역시 의심컨대 ‘下’자의 誤字인 듯하다.”라고 하였다. ‘不制於柔’는 ‘柔를 제재하지 않음’과 ‘柔에게 제재받지 않음’의 두 가지 해석이 가능한데, 疏에 ‘不爲柔之所制’라 한 것에 근거하여 후자로 해석하였다. 注와 疏 모두 이처럼 해석하면 의미가 통하므로 ‘不’자는 교감하지 않았다.

주역정의(2) 책은 2019.10.15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