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周易正義(4)

주역정의(4)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주역정의(4)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疏]正義曰:‘顯諸仁’至‘之門’ 此第五章也.
上章論神之所爲, 此章廣明易道之大與神功不異也.
顯諸仁하며 藏諸用하여
[注]衣被萬物故 曰 顯諸仁이요 日用而不知故 曰 藏諸用이라
[疏]正義曰:‘顯諸仁’者, 言道之爲體, 顯見仁功, 衣被萬物, 是顯諸仁也.
‘藏諸用’者, 謂潛藏功用, 不使物知, 是‘藏諸用’也.
鼓萬物而不與聖人同憂하나니
[注]萬物由之以化 曰 鼓萬物也라하니라 聖人雖體道以爲用이나 未能无以爲體
順通天下하면 則有經營之跡也
[疏]‘鼓萬物’至‘同憂’
○正義曰:言道之功用, 能鼓動萬物, 使之化育, 故云“鼓萬物.”
聖人化物, 不能全无以爲體, 猶有經營之憂, 道則虛无爲用, 无事无爲, 不與聖人同用, 有經營之憂也.
[疏]○注‘聖人雖體以爲用’
○正義曰:云‘聖人雖體道以爲用’者, 言聖人不能无憂之事.
道則无心无跡, 聖人則亦无心有跡, 聖人能體附於道, 其跡以有爲用.
云‘未能全无以爲體’者, 道則心跡俱无, 是其全无以爲體, 聖人則无心有跡, 是跡有而心无, 是不能全无以爲體.
云‘故順通天下 則有經營之跡’者, 言聖人順通天下之理, 內則雖是无心, 外則有經營之跡, 則有憂也.
道則心跡俱无, 无憂无患, 故云“不與聖人同憂”也.
盛德大業 至矣哉
[注]夫物之所以通 事之所以理 莫不由乎道也 聖人功用之母 體同乎道하니 盛德大業 所以能至
[疏]正義曰:聖人爲功用之母, 體同於道, 萬物由之而通, 衆事以之而理, 是聖人極盛之德, 廣大之業, 至極矣哉.
於行謂之德, 於事謂之業.
富有之謂大業이요
[注]廣大悉備故 曰 富有라하니라
[疏]正義曰:自此已下, 覆說大業盛德, 因廣明易與乾坤及其占之與事, 幷明神之體.
以廣大悉備, 萬事富有, 所以謂之大業.
日新之謂盛德이라
[注]體化合變故 曰 日新이라
[疏]正義曰:聖人以能變通, 體化合變, 其德日日增新, 是德之盛極, 故謂之盛德也.
生生之謂易이요
[注]陰陽轉易하여 以成化生이라
[疏]正義曰:生生, 不絶之辭. 陰陽變轉, 後生次於前生, 是萬物恒生, 謂之易也.
前後之生, 變化改易. 生必有死, 易主勸戒, 獎人爲善, 故云生, 不云死也.
成象之謂乾이요
[注]擬乾之象이라
[疏]正義曰:謂畫卦成乾之象, 擬乾之健, 故謂卦爲乾也.
效法之謂坤이요
[注]效坤之法이라
[疏]正義曰:謂畫卦效坤之法, 擬坤之順, 故謂之坤也.
極數知來之謂占이요 通變之謂事
[注]物窮則變이요 變而通之 事之所由生也
[疏]正義曰:‘極數知來之謂占’者, 謂窮極蓍策之數, 豫知來事, 占問吉凶, 故云謂之占也.
‘通變之謂事’者, 物之窮極, 欲使開通, 須知其變化, 乃得通也. 凡天下之事, 窮則須變, 萬事乃生, 故云“通變之謂事”
陰陽不測之謂神이라
[注]神也者 變化之極이니 이요 不可以形詰者也 曰 陰陽不測이라하니라
嘗試論之曰 原夫兩儀之運 萬物之動하면 豈有使之然哉 莫不獨化於大虛하여 而自造矣
造之非我 理自玄應이며 化之无主 數自冥運이라 不知所以然 而況之神이라
是以 明兩儀인댄 以太極爲始하고 言變化인댄 而稱極乎神也
夫唯知天之所爲者 窮理體化하여 坐忘遺照하나니
至虛而善應이면 則以道爲稱하고 不思而이면 則以神爲名하니 蓋資道而同乎道하고 由神而冥於神也
[疏]‘陰陽’至‘謂神’
○正義曰:天下萬物, 皆由陰陽, 或生或成, 本其所由之理, 不可測量之謂神也, 故云“陰陽不測之謂神.”
[疏]○注‘神也者’至‘神也’
○正義曰:云‘神也者 變化之極’者, 言神之施爲, 自將變化之極以爲名也.
云‘妙萬物而爲言’者, 妙, 謂微妙也. 萬物之體, 有變象可尋, 神則微妙於萬物而爲言也, 謂不可尋求也.
云‘不可以形詰’者, 杳寂不測, 无形无體, 不可以物之形容所求而窮也.
云‘造之非我 理自玄應’者, 此言神力也.
我謂宰主之名也, 言物之造作, 非由我之宰主所爲, 其造化之理, 自然玄空相應, 而自然造作也.
云‘是以明兩儀 以太極爲始’者, 言欲明兩儀天地之體, 必以太極虛无爲初始, 不知所以然, 將何爲始也.
云‘言變化 而稱極乎神’者, 欲言論變化之理, 不知涯際, 唯稱極乎神, 神則不可知也.
[疏]云‘夫唯知天之所爲者 窮理體化 坐忘遺照’者, 言若能知天之所造爲者, 會能窮其物理, 體其變化, 靜坐而忘其事,
及遺棄所照之物, 任其自然之理, 不以他事係心, 端然玄寂, 如此者, 乃能知天之所爲也, 言天之道, 亦如此也.
云‘至虛而善應 則以道爲稱’者, 此解道之目也, 言至極空虛而善應於物, 則乃目之爲道, 故云“則以道爲稱.”
云‘不思而玄覽 則以神爲名’者, 謂不可思量而玄遠覽見者, 乃目之爲神, 故云“則以神爲名”也.
云‘蓋資道而同乎道’者, 此謂聖人設敎, 資取乎道, 行无爲之化, 積久而遂同於道, 內外皆无也.
云‘由神而冥於神也’者, 言聖人設敎, 法此神之不測, 无體无方, 以垂於敎, 久能積漸, 而冥合於神, 不可測也.
此皆謂聖人初時, 雖法道法神以爲无, 體未能全无, 但行之不已, 遂至全无不測,
故云“資道而同於道, 由神而冥於神也.”
夫易 廣矣大矣 以言乎遠則不禦하고
[注]窮幽極深하면 无所止也
[疏]正義曰:‘夫易廣矣大矣’者, 此贊明易理之大,
故下云“廣大配天地”也.
‘以言乎遠則不禦’者, 禦, 止也, 言乎易之變化, 窮極幽深之遠, 則不有禦止也, 謂无所止息也.
以言乎邇則靜而正하고
[注]則近而當이라
[疏]正義曰:邇, 近也, 言易之變化, 在於邇近之處, 則寧靜而得正.
謂變化之道, 於其近處, 物各靜而得正, 不煩亂邪僻也.
以言乎天地之間이면 則備矣 夫乾 其靜也專하고 其動也直이라 是以 大生焉하며
[注]專 專一也 剛正也
[疏]正義曰:‘以言乎天地之間則備矣’者, 變通之道, 遍滿天地之內, 是則備矣.
‘夫乾其靜也專 其動也直 是以大生焉’者, 上經旣論易道資陰陽而成, 故此經明乾, 復兼明坤也.
乾是純陽, 德能普備, 无所偏主, 唯專一而已, 若氣不發動, 則靜而專一, 故云“其靜也專.”
若其運轉, 則四時不忒, 寒暑无差, 而得正, 故云“其動也直.” 以其動靜如此, 故能大生焉.
夫坤 其靜也翕하고 其動也闢이라 是以 廣生焉하나니
[注]翕 斂也 止則翕斂其氣하고 動則開以生物也
하여 爲變化之元하여 通乎形外者也 하여
以專直言乎其材하고 以翕闢言乎其形이라
[疏]正義曰:此經明坤之德也. 坤是陰柔, 閉藏翕斂, 故其靜也翕. 動則開生萬物, 故其動也闢. 以其如此, 故能廣生於物焉.
天體高遠, 故乾云“大生.” 地體廣博, 故坤云“廣生.”
廣大 配天地하고 變通 配四時하고 陰陽之義 配日月하고 易簡之善 配至德하나니라
[注]易之所載 配此四義
[疏]正義曰:‘廣大配天地’者, 此經申明易之德. 以易道廣大, 配合天地, 大以配天, 廣以配地.
‘變通配四時’者, 四時變通, 易理亦能變通, 故云“變通配四時”也.
然易初章, 易爲賢人之德, 簡爲賢人之業, 今總云至德者, 對則德業別, 散則業由德而來, 俱爲德也.
子曰 易 其至矣乎인저 夫易 聖人所以崇德而廣業也
[注]窮理入神 其德崇也 兼濟萬物 其業廣也
‘夫易 聖人所以崇德而廣業’者, 言易道至極, 聖人用之, 增崇其德, 廣大其業, 故云“崇德而廣業也.”
知崇하고 禮卑하니
[注]知 以崇爲貴하고 以卑爲用이라
[疏]正義曰:易兼知之與禮, 故此明知禮之用.
知者, 通利萬物, 象天陽无不覆, 以崇爲貴也. 禮者, 卑敬於物, 象地柔而在下, 故以卑爲用也.
效天하고 法地하나니라
[注]極知之崇 象天高而統物이요 備禮之用 象地廣而載物也
[疏]正義曰:知旣崇高, 故效天, 禮以卑退, 故法地也.
天地設位어든 而易行乎其中矣
[注]天地者 易之門戶 而易之爲義 兼周萬物이라 曰 行乎其中矣라하니라
[疏]正義曰:天地陳設於位, 謂知之與禮而效法天地也.
‘而易行乎其中矣’者, 變易之道, 行乎知禮之中, 言知禮與易而竝行也.
若以實象言之, 天在上, 地在下, 是天地設位, 天地之間, 萬物變化, 是易行乎天地之中也.
成性存存 道義之門이라
[注]物之存成 由乎道義也
[疏]正義曰:此明易道旣在天地之中, 能成其萬物之性, 使物生不失其性, 存其萬物之存, 使物得其存成也.
旣能成性存存, 則物之開通, 物之得宜, 從此易而來, 故云“道義之門”, 謂易與道義爲門戶也.


정의왈正義曰의 [顯諸仁]에서 [之門]까지 이는 제5장이다.
위의 장에서는 이 하는 바를 논하였고, 이 장에서는 가 커서 신공神功과 다르지 않음을 널리 밝혔다.
에 드러나며 을 감추어서
만물萬物에 입혀지므로 “에 드러난다.”라고 말하였고, 날마다 사용하면서도 알지 못하므로 “을 감춘다.”라고 말한 것이다.
정의왈正義曰:[顯諸仁] 에 드러나서 만물萬物에 입혀짐을 말하였으니, 이것이 ‘에 드러남’이다.
[藏諸用] 공용功用을 숨기고 감추어서 물건으로 하여금 알지 못하게 함을 말하였으니, 이것이 ‘을 감춤’이다.
만물萬物을 고동하면서도 성인聖人과 함께 근심하지 않으니,
만물萬物이 이로 말미암아 변화한다. 그러므로 “만물萬物을 고동한다.”라고 한 것이다. 성인聖人이 비록 를 체행하여 으로 삼으나 전무全无로 삼지는 못한다.
그러므로 천하의 〈이치를〉 순히 통하면 경영하는 자취가 있는 것이다.
의 [鼓萬物]에서 [동우同憂]까지
정의왈正義曰공용功用이 능히 만물萬物고동鼓動하여 만물로 하여금 화육化育하게 함을 말하였다. 그러므로 “만물을 고동한다.”라고 한 것이다.
성인聖人이 물건을 변화시킬 적에 전무全无로 삼지는 못해서 오히려 경영하는 근심이 있으나, 허무虛无으로 삼아서 일이 없고 함이 없어서 성인과 을 함께하여 경영하는 근심이 있지 않은 것이다.
의 [聖人雖體道以爲用]
정의왈正義曰:[聖人雖體道以爲用] 성인聖人은 근심이 없지 못한 일을 말한 것이다.
는 마음이 없고 자취가 없고, 성인은 또한 마음은 없으나 자취가 있으니, 성인은 능히 를 체행하여 합치하지만 그 자취가 으로 삼는다.
[未能全无以爲體] 는 마음과 자취가 모두 이니 이는 전무全无로 삼는 것이요, 성인聖人은 마음은 없으나 자취가 있으니 이는 자취는 이나 마음이 인 것인바, 이것이 ‘전무全无로 삼지 못함’이다.
[故順通天下 則有經營之跡] ‘성인聖人천하天下의 이치를 순히 통하여 안은 비록 마음이 없으나 밖은 경영하는 자취가 있으니, 이는 근심이 있는 것임’을 말한 것이다.
는 마음과 자취가 모두 없어서 근심이 없고 우환이 없다. 그러므로 “성인과 함께 근심하지 않는다.”라고 말한 것이다.
성덕盛德대업大業이 지극하다.
물건이 개통開通(개발하고 통달시킴)하는 이유와 일이 다스려지는 이유가 에 말미암지 않음이 없는 것이다. 성인聖人공용功用의 모체는 그 와 같으니, 이 때문에 성덕盛德대업大業이 지극할 수 있는 것이다.
정의왈正義曰성인聖人공용功用의 모체가 되어서 그 와 같아 만물이 이로 말미암아 개통하고 여러 일이 이로써 다스려지니, 이는 성인의 지극하고 성대한 이요 넓고 위대한 이니, 지극하도다.
행실에 있어서는 ‘’이라 하고, 일에 있어서는 ‘’이라 한다.
풍부히 소유함을 대업大業이라 이르고
광대廣大하여 모두 갖추었으므로 “풍부히 소유함”이라고 한 것이다.
정의왈正義曰:이로부터 이하는 대업大業성덕盛德을 반복하여 말하여 이어서 건곤乾坤 및 그 과 일을 널리 밝히고 아울러 를 밝혔다.
광대하여 모두 갖추어져서 만사가 풍부하게 소유되어 있기 때문에 ‘대업大業’이라 이른 것이다.
날마다 새로워짐을 성덕盛德이라 이른다.
를 체행하고 에 합하므로 “날로 새로워짐”이라고 한 것이다.
정의왈正義曰성인聖人이 능히 변통變通하여 를 체행하고 에 합해서 그 이 나날이 더하고 새로워지니, 이는 이 성하고 지극한 것이다. 그러므로 ‘성덕盛德’이라 이른 것이다.
낳고 낳음을 이라 이르고,
이 운행하고 바뀌어서 화생化生을 이룬다.
정의왈正義曰:‘생생生生’은 끊이지 않는다는 말이다. 이 변하고 바뀌어서 뒤에 생겨난 것이 앞에 생겨난 것보다 다음에 있으니, 이는 만물이 항상 생기는 이유인바, 이것을 일러 ‘’이라 한다.
앞뒤의 생겨남이 변화하고 바뀐다. 살면 반드시 죽음이 있으나 권계勸戒를 위주로 하여 사람들이 선행을 하도록 장려하였으므로 을 말하고 를 말하지 않은 것이다.
을 이룸을 이라 하고,
을 모의한 것이다.
정의왈正義曰를 그어 을 이루어서 의 굳셈을 모의함을 말하였다. 그러므로 를 일러 이라고 한 것이다.
을 본받음을 이라 하고,
을 본받은 것이다.
정의왈正義曰를 그어 을 본받아서 의 순함을 모의하였다. 그러므로 이를 일러 이라고 한 것이다.
를 다하여 미래를 앎을 이라 이르고, 변하여 통함을 일이라 이르고,
사물이 궁극하면 변하고 변하여 통함은 일이 말미암아 생겨나는 원인이다.
정의왈正義曰:[極數知來之謂占] 시책蓍策를 지극히 하여 미래의 일을 미리 앎을 이르니, 점을 쳐서 길흉吉凶을 묻기 때문에 이를 일러 이라 한 것이다.
[通變之謂事] 사물의 궁극함을 개통하고자 하면 모름지기 그 변화를 알아야 비로소 통할 수 있는 것이다. 모든 천하의 일은 궁극하면 모름지기 변하여 만사가 비로소 생겨난다. 그러므로 “변하여 통함을 일이라 이른다.”라고 한 것이다.
을 측량할 수 없음을 이라 한다.
이란 변화의 지극함이니, 만물을 미묘하게 함을 말한 것이요, 형체로 힐문할 수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을 측량할 수 없다.”라고 한 것이다.
한번 논해보건대, 양의兩儀(음양陰陽)의 운행과 만물의 움직임을 근원해보면 어찌 이렇게 시키는 자가 있겠는가. 태허大虛에서 홀로 하여 별안간에 저절로 만들어지지 않음이 없는 것이다.
만드는 것이 내가 아니고 이치가 저절로 현공玄空하게(보이지 않게) 응한 것이며, 함이 주체가 없고 가 저절로 은연중에 운행된다. 그러므로 그 소이연所以然을 알지 못함을 에 비유한 것이다.
이 때문에 양의兩儀를 밝히려면 태극太極시초始初로 삼아야 하고, 변화를 말하려면 이라 칭하는 것이다.
오직 의 하는 바를 아는 자는 이치를 연구하고 변화를 체행해서 앉아서 잊고[좌망坐忘] 비춤을 버리니[유조遺照],
지극히 하여 잘 응하면 라고 칭하고, 생각할 수 없고 현묘하게 보면[현람玄覽] 이라고 이름하는바, 를 의뢰하여 와 같아지고 으로 말미암아 에 은연중 부합하는 것이다.
의 [음양陰陽]에서 [謂神]까지
정의왈正義曰천하天下만물萬物이 모두 으로 말미암아 혹 생겨나고 혹 이루어지니, 그 연유한 이치를 따져봄에 측량할 수 없는 것을 ‘’이라 이른다. 그러므로 “을 측량할 수 없음을 이라 한다.”라고 한 것이다.
의 [神也者]에서 [神也]까지
정의왈正義曰:[神也者 變化之極] 의 시행함이 본디 ‘변화의 지극함’을 가지고 이름한 것임을 말한 것이다.
[妙萬物而爲言] ‘’는 미묘微妙함을 이른다. 만물萬物는 변하는 이 있어서 찾을 수 있으나, 은 만물을 미묘하게 함을 말한 것이니, ‘찾을 수가 없음’을 이른다.
[不可以形詰] 아득하고 고요하여 측량할 수가 없어서 이 없고 가 없으니, 물건의 형용을 가지고 찾아서 연구하고 힐문할 수 있는 바가 아닌 것이다.
[造之非我 理自玄應] 이는 의 힘을 말한 것이다.
’는 재주宰主(주재主宰)의 이름을 말한 것이니, 물건의 만들어짐이 나의 재주宰主가 하는 바에 말미암은 것이 아니요, 조화造化의 이치가 저절로 현공玄空하게 서로 응해서 자연히 만들어짐을 말한 것이다.
[是以明兩儀 以太極爲始] 양의兩儀천지天地를 밝히고자 하면 반드시 태극太極허무虛无함을 시초始初로 삼아야 함을 말한 것이니, 소이연所以然을 알지 못하면 장차 무엇을 시초로 삼겠는가.
[言變化 而稱極乎神] 변화의 이치를 논하고자 하면 끝을 알 수가 없어서 오직 이라고 칭하는 것이니, 은 알 수 없는 것이다.
[夫唯知天之所爲者 窮理體化 坐忘遺照] ‘만약 하늘의 만들고 행함을 알려고 하면, 능히 그 사물의 이치를 연구하고 변화를 체행해서 고요히 앉아 일을 잊고,
비추는 바의 사물을 버리고서 자연의 이치에 맡겨 다른 일을 가지고 마음에 매어두지 아니해서 단정히 비고 고요해야 하니, 이와 같은 사람이라야 비로소 하늘의 하는 바를 알게 됨’을 말한 것이니, 하늘의 또한 이와 같음을 말한 것이다.
坐忘遺照’란 말은 그 일이 ≪장자莊子≫ 〈대종사大宗師〉에 나온다.
[至虛而善應 則以道爲稱] 이는 의 조목을 해석한 것이니, 지극히 공허하면서 사물에 잘 응하면 마침내 이것을 지목하여 라 함을 말하였다. 그러므로 “라고 칭한다.”라고 한 것이다.
[不思而玄覽 則以神爲名] 생각하고 측량할 수가 없어서 현묘하게 보는 것을 마침내 지목하여 이라 함을 말하였다. 그러므로 “이라고 이름한다.”라고 한 것이다.
[蓋資道而同乎道] 이는 성인聖人이 가르침을 베풂에 를 의뢰하고 취해서 무위无爲의 교화를 행하여 오랫동안 쌓아서 마침내 와 같아져서 가 모두 임을 말한 것이다.
[由神而冥於神也] 성인聖人이 가르침을 베풂에 이 ‘의 측량할 수 없음’을 본받아서 형체가 없고 방소가 없어서 가르침을 남겨 오래되어 점점 쌓이면 은연중 에 부합하여 측량할 수 없음을 말한 것이다.
이는 모두 성인聖人이 처음 때에는 비록 를 본받고 을 본받아 로 삼으나 전무全无하지는 못하고 다만 이것을 행하여 그치지 않으면 마침내 전무全无하여 측량할 수 없음에 이름을 말하였다.
그러므로 “를 의뢰하여 와 같아지고 으로 말미암아 에 은연중 부합한다.”라고 말한 것이다.
이 넓고 크니, 멂을 말하면 그치지 않고,
그윽함을 다하고 깊음을 다하면 그치는 바가 없는 것이다.
정의왈正義曰:[夫易廣矣大矣] 이는 의 이치가 큼을 찬양하여 밝힌 것이니, 의 변화가 사방 먼 곳에 끝까지 이르니 이는 넓은 것이요, 상천上天에 끝까지 이르니 이는 큰 것이다.
그러므로 아래에 “넓고 큼이 천지天地에 배합한다.”라고 한 것이다.
[以言乎遠則不禦] ‘’는 그침이니, 의 변화가 그윽하고 깊음의 멂을 다하면 그침이 있지 않음을 말하였으니, 그치는 바가 없음을 말한 것이다.
가까움을 말하면 고요하여 바르고,
가까우면서도 마땅한 것이다.
정의왈正義曰:‘’는 가까움이니, 의 변화가 가까운 곳에 있으면 편안하고 고요하여 바름을 얻음을 말하였다.
변화의 가 가까운 곳에 있어서는 사물이 각각 고요하여 바름을 얻어서 번거롭고 어지럽고 사벽邪辟하지 않음을 말하였다. 먼 것도 오히려 그치지 않는다면 가까운 것도 그치지 않음을 알 수 있고, 가까운 것이 이미 고요하여 바르면 먼 것 또한 고요하고 바르니, 이는 호문互文이다.
천지天地의 사이를 말하면 구비하였다. 하여 전일專一하고 하여 강정剛正하다. 이 때문에 가 생겨나며,
은 전일함이요, 강정剛正함이다.
정의왈正義曰:[以言乎天地之間則備矣] 변통變通하는 천지天地의 안에 두루 가득하니, 이것이 구비함이다.
[夫乾其靜也專 其動也直 是以大生焉] 위의 경문經文에서 이미 ‘을 의뢰하여 이루어짐’을 논하였다. 그러므로 이 경문에서는 을 밝히고 다시 겸하여 을 밝힌 것이다.
순양純陽이고 그 이 널리 구비되어 편벽되이 주장하는 바가 없어서 오직 전일할 뿐이니, 만약 발동發動하지 않으면 하여 전일專一하다. 그러므로 “하여 전일하다.”라고 한 것이다.
만약 그 운행함으로 말하면 사시四時가 어긋나지 않고 추위와 더위가 어긋남이 없어서 하여 바름을 얻는다. 그러므로 “하여 강정剛正하다.”라고 한 것이다. 이 이와 같기 때문에 능히 가 생겨난 것이다.
하면 거두고 하면 열린다. 이 때문에 이 생겨나니,
은 거둠이다. 〈하여〉 그치면 그 를 거두고, 하면 열어서 물건을 낳는다.
은 하늘을 통솔하고 만물의 첫 번째가 되어서 변화의 으뜸이 되어 형체의 밖을 통하고, 은 순함으로 을 받들어서 이 자기에게 다하여 이 형체에 그친다.
그러므로 은 전일함과 강정剛正함을 가지고 그 재질을 말하고, 은 거두고 여는 것을 가지고 그 형체를 말한 것이다.
정의왈正義曰:이 경문經文을 밝힌 것이다. 음유陰柔이니, 닫히고 감추고 거두므로 하면 거두는 것이다. 하면 만물을 열어 낳으므로 동하면 열리는 것이다. 이와 같기 때문에 능히 물건을 널리 낳을 수 있는 것이다.
하늘의 는 높고 멀기 때문에 은 “가 생겨난다.”라고 말하였고, 땅의 는 넓고 너르기 때문에 은 “이 생겨난다.”라고 말한 것이다. 〈을〉 상대하면 은 물건의 시작[]이 되고 은 물건의 낳음[]이 되는데, 흩어지면 또한 이 된다. 그러므로 총괄하여 ‘’이라고 말한 것이다.
광대廣大천지天地에 배합하고, 변통變通사시四時에 배합하고, 음양陰陽일월日月에 배합하고, 이간易簡지덕至德에 배합한다.
에 기재된 바가 이 네 의의意義에 배합하는 것이다.
정의왈正義曰:[廣大配天地] 이 경문經文을 거듭 밝힌 것이다. 광대廣大하므로 천지天地에 배합하는 것이니, 로써 하늘에 배합하고 으로써 땅에 배합하는 것이다.
[變通配四時] 사시四時변통變通하고 의 이치 또한 능히 변통하므로 “변통은 사시에 배합한다.”라고 말한 것이다.
[陰陽之義配日月 易簡之善配至德] 살펴보건대, 1장에서는 의 쉬움과 간략함이 오래할 수 있고 커질 수 있어서 지극히 미묘한 에 배합함을 논하였다.
그러나 ≪주역周易≫의 1장에서는 쉬움은 현인賢人이 되고 간략함은 현인賢人이 된다고 하였는데, 지금 총괄하여 ‘지덕至德’이라 말한 것은, 상대하면 이 구별되지만 흩어지면 으로부터 와서 모두 이 되기 때문이다.
孔子孔子
공자孔子가 말씀하였다. “은 지극하다 할 것이다. 성인聖人을 높이고 을 넓힌 것이다.
를 다하고 에 들어감은 그 이 높은 것이요, 만물萬物을 겸하여 구제함은 그 이 넓은 것이다.
정의왈正義曰:[자왈子曰 易其至矣乎] 의 지극함을 다시 찬미한 것이니, 이는 말씀의 다른 단서이므로 “자왈子曰”이라 말한 것이다.
[夫易 聖人所以崇德而廣業] 가 지극한데 성인聖人이 이것을 사용하여 그 을 더욱 높이고 그 을 광대하게 함을 말하였다. 그러므로 “을 높이고 을 넓힌다.”라고 말한 것이다.
()는 높고 는 낮으니,
는 높음을 귀함으로 삼고, 는 낮음을 으로 삼는다.
정의왈正義曰()와 를 겸하였다. 그러므로 여기에서 을 밝힌 것이다.
는 만물을 통창通暢시켜 이롭게 하니, 하늘의 이 덮어주지 않음이 없음을 형상하였으므로 높음을 귀함으로 삼는 것이다. 는 남에게 낮추고 공경하는 것이니, 땅이 하여 아래에 있음을 형상하였으므로 낮음을 으로 삼는 것이다.
높음은 하늘을 본받고, 낮음은 땅을 본받은 것이다.
()의 높음을 지극히 함은 하늘이 높아 물건을 통솔함을 형상한 것이고, 을 구비함은 땅이 넓어 물건을 실어줌을 형상한 것이다.
정의왈正義曰가 이미 높기 때문에 하늘을 본받고, 로써 낮추고 겸손하기 때문에 땅을 본받은 것이다.
천지天地가 자리를 베풀면 이 이 안에서 행해지니,
천지天地문호門戶이니, 의의意義가 만물을 겸하여 두루 하므로 “이 안에서 행해진다.”라고 말한 것이다.
정의왈正義曰천지天地가 자리를 진설함은 ‘()와 천지天地를 본받음’을 말한 것이다.
[而易行乎其中矣] 변역變易의 안에서 행해지는 것이니, ‘과 더불어 나란히 행해짐’을 말한 것이다.
만약 실상을 가지고 말하면 하늘은 위에 있고 땅은 아래에 있으니 이는 천지가 자리를 베푼 것이요, 천지의 사이에 만물이 변화하니 이는 이 천지의 안에서 행해지는 것이다.
본성을 이루고 존재를 보존함이 도의道義의 문이다.”
물건의 보존하고 이룸이 도의道義에 말미암는 것이다.
정의왈正義曰:이는 ‘가 이미 천지天地의 안에 있어서, 능히 만물萬物의 본성을 이루어 만물로 하여금 생겨남에 그 본성을 잃지 않게 하고, 만물의 존재를 보존하여 만물로 하여금 그 보존과 이룸을 얻게 함’을 밝힌 것이다.
’은 처음을 받음을 이르고, ‘’은 을 보존함을 이르고, ‘’는 개통함을 이르고, ‘’는 마땅함을 얻음을 이른다.
이미 본성을 이루고 존재를 보존하였으면 물건의 개통됨()과 물건의 마땅함을 얻음()이 이 으로부터 온다. 그러므로 “도의道義의 문이다.”라고 하였으니, 도의道義와 더불어 문호門戶가 됨을 말한 것이다.


역주
역주1 (至)[全] : 저본에는 ‘至’로 되어 있으나, 岳本․錢本․宋本․足利本 및 아래의 疏에 의거하여 ‘全’으로 바로잡았다.(阮元의 〈校勘記〉 참조)
역주2 [道] : 저본에는 ‘道’가 없으나, 위의 注와 이 疏에서 ‘聖人雖體道以爲用’이라 한 것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北京大 整理本 참조)
역주3 妙萬物而爲言 : 아래 〈說卦傳〉에 “神也者 妙萬物而爲言者也”라고 보인다.
역주4 (故兩)[欻爾] : 저본에는 ‘故兩’으로 되어 있으나, 岳本․閩本․監本․毛本에 의거하여 ‘欻爾’로 바로잡았다.(阮元의 〈校勘記〉 참조)
역주5 玄覽 : 老子 ≪道德經≫에 “玄覽을 깨끗이 씻고 닦아서 흠이 없게 할 수 있겠는가.[滌除玄覽 能無疵乎]”라고 보이는데, 王弼은 “玄은 사물의 극이니, 능히 사악한 꾸밈을 깨끗이 없애서 極覽에 이르러 능히 사물이 그 밝음에 끼어들지 않게 하고 그 神에 흠이 없게 하면 끝내 玄과 같아질 것이다.[玄 物之極也 言能滌除邪飾 至於極覽 能不以物介其明 疵之其神乎 則終與玄同也]”라고 하였고, 高亨은 ‘覽’을 ‘鑒’으로 고쳐 ‘玄鑒(사람의 현묘한 마음)’으로 읽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역주6 (語)[詰] : 저본에는 ‘語’로 되어 있으나, 四庫全書本에 의거하여 ‘詰’로 바로잡았다. 北京大 整理本에는 校勘註 없이 ‘詰’로 되어 있다.
역주7 坐忘遺照之言 事出莊子大宗師篇也 : ‘坐忘’은 감각적 의식을 포함하여 모든 인위적 인식을 잊는 것을 말하고, ‘遺照’는 외부 대상을 비추는 마음의 작용을 버리는 것을 말한다.
‘坐忘’은 ≪莊子≫ 〈大宗師〉에 “四肢百體를 버리고 耳目의 작용을 물리쳐서 형체를 떠나고 지식을 버려서 大通(大道)과 같아지는 것, 이것을 일러 坐忘이라 한다.[墮枝體 黜聰明 離形去知 同於大通 此謂坐忘]”라고 보이는바, 〈人間世〉에서 말한 ‘坐馳(마음이 사물을 향해 치달려가서 멈추지 않음)’와 반대되는 개념이다.
‘遺照’는 ≪莊子≫에는 보이지 않는데, 唐나라 司馬承禎의 ≪天隱子養生書≫ 〈坐忘論〉에 “외물과 자아를 모두 잊어서 전혀 비추는 바가 없다.[彼我兩忘 了無所照]”라고 하였는바, 이 역시 ‘坐馳’와 반대되는 개념이다.
역주8 易之變化……故下云廣大配天地也 : 孔穎達은 아래 經文에 “夫乾……大生焉, 夫坤……廣生焉.”이라고 한 것에 의거하여 ‘廣’을 ‘地의 넓음’으로, ‘大’를 ‘天의 큼’으로 풀이하고 있는바, 이 때문에 廣에 대해서는 ‘四遠’이라 하고, 大에 대해서는 ‘上天’이라 한 것이다.
朱子는 乾에 대해서는 大라 하고 坤에 대해서는 廣이라고 한 이유에 대하여 “乾은 一(−)이어서 實하므로 質로써 말하여 大라 하였고, 坤은 二(󰁌)여서 虛하므로 量으로써 말하여 廣이라 한 것이다.[乾 一而實 故以質言而曰大 坤 二而虛 故以量言而曰廣]”라고 하였다.
역주9 遠尙不禦……互文也 : 互文은 두 개 이상의 문장이 서로 내용상 보완될 수 있으면 한 쪽에 하나씩만 써서 뜻을 통하게 하는 것이다. 이 두 節의 經文이 호문이란 것은, 경문에서 ‘遠’에 대해서는 ‘不禦’만 쓰고 ‘近’에는 ‘靜而正’만 썼지만 이는 하나를 생략하고 하나씩만 쓴 호문으로, 그 뜻을 다 갖추어 쓰면 “以言乎遠則不禦靜而正 以言乎邇則不禦靜而正”이라고 해야 된다는 말이다.
역주10 (則)[剛] : 저본에는 ‘則’으로 되어 있으나, 毛本에 의거하여 ‘剛’으로 바로잡았다.(阮元의 〈校勘記〉 참조)
역주11 (關)[闢] : 저본에는 ‘關’으로 되어 있으나, 毛本에 의거하여 ‘闢’으로 바로잡았다.(阮元의 〈校勘記〉 참조)
역주12 乾 統天首物 : 乾卦 〈彖傳〉에 “위대하다, 乾의 元이여. 만물이 자뢰하여 시작하니 마침내 하늘을 통솔하도다.……만물에서 첫 번째로 나옴에 만국이 모두 편안하다.[大哉 乾元 萬物資始 乃統天……首出庶物 萬國咸寧]”라고 보인다.
역주13 坤則順以承陽 : 坤卦 〈彖傳〉에 “지극하다, 坤의 元이여. 만물이 자뢰하여 생겨나니, 마침내 하늘을 순히 받든다.[至哉 坤元 萬物資生 乃順承天]”라고 보인다.
역주14 功盡於己 用止乎形者也 : 孔穎達은 坤卦 〈彖傳〉의 ‘만물이 자뢰하여 생겨남’에 대해서 疏를 달기를 “만물이 땅을 자뢰하여 생겨남을 말한 것이다. 처음 그 氣를 받는 것을 ‘始’라 하고, 형체를 이룸을 ‘生’이라 한다. 乾卦는 氣의 처음을 근본하였으므로 ‘資始’라 하였고, 坤卦는 이루어진 형체를 근거하였으므로 ‘資生’이라 한 것이다.[言萬物資地而生 初稟其氣謂之始 成形謂之生 乾本氣初 故云資始 坤據成形 故云資生]”라고 하였다.
‘功盡於己’는 만물을 낳는 功이 자기(坤)에게서 다하는 것으로, 곧 ‘生物의 功을 坤이 다함’을 말한 것으로 보인다.
‘用止乎形’은 坤의 用이 형체에 그침을 말한 것이다. 만물이 생겨날 적에 乾陽에게서는 氣를 받으므로 乾에 대해서는 ‘형체의 밖을 통한다.’라고 하고, 坤陰에게서는 형체를 이루므로 ‘用이 형체에 그친다.’라고 한 것으로 보인다.
역주15 對則乾爲物始……故總云生也 : 〈彖傳〉에서 乾卦에 대해서는 “만물이 자뢰하여 시작한다.[萬物資始]”고 하고, 坤卦에 대해서는 “만물이 자뢰하여 생겨난다.[萬物資生]”라고 하였듯이, 乾과 坤을 對擧하면 乾은 만물을 처음 낳는 것 즉 ‘始’하게 함이 되고, 坤은 만물의 형체를 이루어줌 즉 ‘生’하게 함이 된다. 그런데 위의 경문에서 乾卦에 대해서도 ‘大生’이라 하여 ‘生’을 쓴 것은, 이미 형체를 받고 생겨난 물건이 시간이 흐르면 흩어져서 다시 시작하게 되는데, 그때의 시작은 그 물건의 생겨남 즉 ‘生’이 되기 때문이다. ‘흩어짐’에 대해서는 위 4장의 경문 ‘精氣爲物 遊魂爲變’의 注疏 참조.
역주16 陰陽之義配日月……俱爲德也 : 위 1장에 “乾은 쉬움으로써 알고 坤은 간략함으로써 능하다. 쉬우면 쉽게 알 수 있고 간략하면 쉽게 따를 수 있으니, 쉽게 알 수 있으면 친함이 있고 쉽게 따를 수 있으면 功이 있다. 친함이 있으면 오래할 수 있고 공이 있으면 커질 수 있으니, 오래할 수 있으면 현인의 德이요, 커질 수 있으면 현인의 業이다.[乾以易知 坤以簡能 易則易知 簡則易從 易知則有親 易從則有功 有親則可久 有功則可大 可久則賢人之德 可大則賢人之業]”라고 하였는바, 乾과 坤에 배속된 개념들은 아래 표와 같다.
易知易從
有親有功
可久可大
賢人之德賢人之業
여기에 입각해서 말한다면 “易簡은 德業에 배합한다.”라고 해야 하는데 경문에서 業을 언급하지 않고 德만 말한 이유에 대하여 孔穎達은 ‘물건이 흩어져서 다시 시작될 때에는 業이 德으로부터 오기 때문’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즉 德이 業의 所從來가 되기 때문에 德만을 언급해도 그 안에 業을 포함할 수 있다고 본 것이다.
역주17 子曰……故言子曰 : 이 經文에서 ‘子曰’이라고 한 이유를 설명한 것이다. 〈繫辭傳〉이 孔子의 저작이라면 그 안에 ‘子曰’이라는 말이 나오는 것은 매우 부자연스럽다. 이 때문에 孔穎達은 여기에 ‘子曰’이라는 말을 쓴 이유에 대해 ‘易의 지극함을 찬미하는 말을 다시 시작하면서 별도의 단서를 일으킨 것’이라고 설명한 것이다.
한편 朱子는 여기에서 章을 나누었으며, ‘子曰’이라는 말이 나오는 이유를 다음과 같이 추측하였다. “十翼은 모두 夫子가 지은 것이니, 스스로 ‘子曰’이라는 글자를 놓을 수 없는바, 의심컨대 모두 後人이 붙인 것인 듯하다.[十翼 皆夫子所作 不應自著子曰字 疑皆後人所加也]”
역주18 性謂稟其始也……謂易與道義爲門戶也 : 孔穎達은 ‘成性’을 ‘물건이 처음 생겨날 때에 본성을 받아서 이룸’으로, ‘存存’을 ‘물건이 죽어 없어지기 전까지 그 존재를 보존함’으로 보았으며, ‘道’를 ‘물건이 처음 생겨날 때 개통됨’으로, ‘義’를 ‘물건이 마땅함을 얻음’으로 보았는바, 이는 ‘成性’과 ‘道’를 연결시키고, ‘存存’과 ‘義’를 연결시킨 것이다.
반면 朱子는 ‘成性存存’을 ‘본래 이루어져 있는 智와 禮의 본성을 보존하고 또 보존함’의 의미로 보았는바, ≪本義≫는 다음과 같다. “天地가 자리를 베풀면 변화가 행해짐은 智와 禮가 性에 보존되어 道義가 나오는 것과 같은 것이다. ‘成性’은 본래 이루어진 性이요, ‘存存’은 보존하고 또 보존함을 이르니, 그치지 않는 뜻이다.[天地設位而變化行 猶知禮存性而道義出也 成性 本成之性也 存存 謂存而又存 不已之意也]”

주역정의(4) 책은 2022.01.2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