注
[注]衣被萬物故로 曰 顯諸仁이요 日用而不知故로 曰 藏諸用이라
疏
[疏]正義曰:‘顯諸仁’者, 言道之爲體, 顯見仁功, 衣被萬物, 是顯諸仁也.
‘藏諸用’者, 謂潛藏功用, 不使物知, 是‘藏諸用’也.
注
[注]萬物由之以化
라 故
로 曰 鼓萬物也
라하니라 聖人雖體道以爲用
이나 未能
无以爲體
라
疏
○正義曰:言道之功用, 能鼓動萬物, 使之化育, 故云“鼓萬物.”
聖人化物, 不能全无以爲體, 猶有經營之憂, 道則虛无爲用, 无事无爲, 不與聖人同用, 有經營之憂也.
疏
○正義曰:云‘聖人雖體道以爲用’者, 言聖人不能无憂之事.
道則无心无跡, 聖人則亦无心有跡, 聖人能體附於道, 其跡以有爲用.
云‘未能全无以爲體’者, 道則心跡俱无, 是其全无以爲體, 聖人則无心有跡, 是跡有而心无, 是不能全无以爲體.
云‘故順通天下 則有經營之跡’者, 言聖人順通天下之理, 內則雖是无心, 外則有經營之跡, 則有憂也.
道則心跡俱无, 无憂无患, 故云“不與聖人同憂”也.
注
[注]夫物之所以通과 事之所以理 莫不由乎道也라 聖人功用之母 體同乎道하니 盛德大業이 所以能至라
疏
[疏]正義曰:聖人爲功用之母, 體同於道, 萬物由之而通, 衆事以之而理, 是聖人極盛之德, 廣大之業, 至極矣哉.
疏
[疏]正義曰:自此已下, 覆說大業盛德, 因廣明易與乾坤及其占之與事, 幷明神之體.
疏
[疏]正義曰:聖人以能變通, 體化合變, 其德日日增新, 是德之盛極, 故謂之盛德也.
疏
[疏]正義曰:生生, 不絶之辭. 陰陽變轉, 後生次於前生, 是萬物恒生, 謂之易也.
前後之生, 變化改易. 生必有死, 易主勸戒, 獎人爲善, 故云生, 不云死也.
疏
[疏]正義曰:謂畫卦成乾之象, 擬乾之健, 故謂卦爲乾也.
疏
[疏]正義曰:謂畫卦效坤之法, 擬坤之順, 故謂之坤也.
疏
[疏]正義曰:‘極數知來之謂占’者, 謂窮極蓍策之數, 豫知來事, 占問吉凶, 故云謂之占也.
‘通變之謂事’者, 物之窮極, 欲使開通, 須知其變化, 乃得通也. 凡天下之事, 窮則須變, 萬事乃生, 故云“通變之謂事”
注
[注]神也者
는 變化之極
이니 이요 不可以形詰者也
라 故
로 曰 陰陽不測
이라하니라
嘗試論之曰 原夫兩儀之運
과 萬物之動
하면 豈有使之然哉
아 莫不獨化於大虛
하여 而自造矣
라
造之非我요 理自玄應이며 化之无主요 數自冥運이라 故로 不知所以然을 而況之神이라
是以로 明兩儀인댄 以太極爲始하고 言變化인댄 而稱極乎神也라
至虛而善應
이면 則以道爲稱
하고 不思而
이면 則以神爲名
하니 蓋資道而同乎道
하고 由神而冥於神也
라
疏
○正義曰:天下萬物, 皆由陰陽, 或生或成, 本其所由之理, 不可測量之謂神也, 故云“陰陽不測之謂神.”
疏
○正義曰:云‘神也者 變化之極’者, 言神之施爲, 自將變化之極以爲名也.
云‘妙萬物而爲言’者, 妙, 謂微妙也. 萬物之體, 有變象可尋, 神則微妙於萬物而爲言也, 謂不可尋求也.
云‘不可以形詰’者, 杳寂不測, 无形无體, 不可以物之形容所求而窮
也.
我謂宰主之名也, 言物之造作, 非由我之宰主所爲, 其造化之理, 自然玄空相應, 而自然造作也.
云‘是以明兩儀 以太極爲始’者, 言欲明兩儀天地之體, 必以太極虛无爲初始, 不知所以然, 將何爲始也.
云‘言變化 而稱極乎神’者, 欲言論變化之理, 不知涯際, 唯稱極乎神, 神則不可知也.
疏
[疏]云‘夫唯知天之所爲者 窮理體化 坐忘遺照’者, 言若能知天之所造爲者, 會能窮其物理, 體其變化, 靜坐而忘其事,
及遺棄所照之物, 任其自然之理, 不以他事係心, 端然玄寂, 如此者, 乃能知天之所爲也, 言天之道, 亦如此也.
云‘至虛而善應 則以道爲稱’者, 此解道之目也, 言至極空虛而善應於物, 則乃目之爲道, 故云“則以道爲稱.”
云‘不思而玄覽 則以神爲名’者, 謂不可思量而玄遠覽見者, 乃目之爲神, 故云“則以神爲名”也.
云‘蓋資道而同乎道’者, 此謂聖人設敎, 資取乎道, 行无爲之化, 積久而遂同於道, 內外皆无也.
云‘由神而冥於神也’者, 言聖人設敎, 法此神之不測, 无體无方, 以垂於敎, 久能積漸, 而冥合於神, 不可測也.
此皆謂聖人初時, 雖法道法神以爲无, 體未能全无, 但行之不已, 遂至全无不測,
疏
[疏]正義曰:‘夫易廣矣大矣’者, 此贊明易理之大,
‘以言乎遠則不禦’者, 禦, 止也, 言乎易之變化, 窮極幽深之遠, 則不有禦止也, 謂无所止息也.
疏
[疏]正義曰:邇, 近也, 言易之變化, 在於邇近之處, 則寧靜而得正.
謂變化之道, 於其近處, 物各靜而得正, 不煩亂邪僻也.
以言乎天地之間이면 則備矣라 夫乾은 其靜也專하고 其動也直이라 是以로 大生焉하며
疏
[疏]正義曰:‘以言乎天地之間則備矣’者, 變通之道, 遍滿天地之內, 是則備矣.
‘夫乾其靜也專 其動也直 是以大生焉’者, 上經旣論易道資陰陽而成, 故此經明乾, 復兼明坤也.
乾是純陽, 德能普備, 无所偏主, 唯專一而已, 若氣不發動, 則靜而專一, 故云“其靜也專.”
若其運轉, 則四時不忒, 寒暑无差,
而得正, 故云“其動也直.” 以其動靜如此, 故能大生焉.
夫坤은 其靜也翕하고 其動也闢이라 是以로 廣生焉하나니
注
[注]翕
은 斂也
라 止則翕斂其氣
하고 動則
開以生物也
라
故로 乾은 以專直言乎其材하고 坤은 以翕闢言乎其形이라
疏
[疏]正義曰:此經明坤之德也. 坤是陰柔, 閉藏翕斂, 故其靜也翕. 動則開生萬物, 故其動也闢. 以其如此, 故能廣生於物焉.
天體高遠, 故乾云“大生.” 地體廣博, 故坤云“廣生.”
廣大는 配天地하고 變通은 配四時하고 陰陽之義는 配日月하고 易簡之善은 配至德하나니라
疏
[疏]正義曰:‘廣大配天地’者, 此經申明易之德. 以易道廣大, 配合天地, 大以配天, 廣以配地.
‘變通配四時’者, 四時變通, 易理亦能變通, 故云“變通配四時”也.
然易初章, 易爲賢人之德, 簡爲賢人之業, 今總云至德者, 對則德業別, 散則業由德而來, 俱爲德也.
子曰 易은 其至矣乎인저 夫易은 聖人所以崇德而廣業也라
注
[注]窮理入神은 其德崇也요 兼濟萬物은 其業廣也라
疏
‘夫易 聖人所以崇德而廣業’者, 言易道至極, 聖人用之, 增崇其德, 廣大其業, 故云“崇德而廣業也.”
疏
知者, 通利萬物, 象天陽无不覆, 以崇爲貴也. 禮者, 卑敬於物, 象地柔而在下, 故以卑爲用也.
注
[注]極知之崇은 象天高而統物이요 備禮之用은 象地廣而載物也라
疏
[疏]正義曰:知旣崇高, 故效天, 禮以卑退, 故法地也.
注
[注]天地者는 易之門戶니 而易之爲義 兼周萬物이라 故로 曰 行乎其中矣라하니라
疏
[疏]正義曰:天地陳設於位, 謂知之與禮而效法天地也.
‘而易行乎其中矣’者, 變易之道, 行乎知禮之中, 言知禮與易而竝行也.
若以實象言之, 天在上, 地在下, 是天地設位, 天地之間, 萬物變化, 是易行乎天地之中也.
疏
[疏]正義曰:此明易道旣在天地之中, 能成其萬物之性, 使物生不失其性, 存其萬物之存, 使物得其存成也.
旣能成性存存, 則物之開通, 物之得宜, 從此易而來, 故云“道義之門”, 謂易與道義爲門戶也.
疏
정의왈正義曰:경經의 [顯諸仁]에서 [之門]까지 이는 제5장이다.
위의 장에서는 신神이 하는 바를 논하였고, 이 장에서는 역易의 도道가 커서 신공神功과 다르지 않음을 널리 밝혔다.
注
만물萬物에 입혀지므로 “인仁에 드러난다.”라고 말하였고, 날마다 사용하면서도 알지 못하므로 “용用을 감춘다.”라고 말한 것이다.
疏
정의왈正義曰:[顯諸仁] 도道의 체體가 인仁의 공功에 드러나서 만물萬物에 입혀짐을 말하였으니, 이것이 ‘인仁에 드러남’이다.
[藏諸用] 공용功用을 숨기고 감추어서 물건으로 하여금 알지 못하게 함을 말하였으니, 이것이 ‘용用을 감춤’이다.
만물萬物을 고동하면서도 성인聖人과 함께 근심하지 않으니,
注
만물萬物이 이로 말미암아 변화한다. 그러므로 “만물萬物을 고동한다.”라고 한 것이다. 성인聖人이 비록 도道를 체행하여 용用으로 삼으나 전무全无를 체體로 삼지는 못한다.
그러므로 천하의 〈이치를〉 순히 통하면 경영하는 자취가 있는 것이다.
疏
○정의왈正義曰:도道의 공용功用이 능히 만물萬物을 고동鼓動하여 만물로 하여금 화육化育하게 함을 말하였다. 그러므로 “만물을 고동한다.”라고 한 것이다.
성인聖人이 물건을 변화시킬 적에 전무全无를 체體로 삼지는 못해서 오히려 경영하는 근심이 있으나, 도道는 허무虛无를 용用으로 삼아서 일이 없고 함이 없어서 성인과 용用을 함께하여 경영하는 근심이 있지 않은 것이다.
疏
○정의왈正義曰:[聖人雖體道以爲用] 성인聖人은 근심이 없지 못한 일을 말한 것이다.
도道는 마음이 없고 자취가 없고, 성인은 또한 마음은 없으나 자취가 있으니, 성인은 능히 도道를 체행하여 합치하지만 그 자취가 유有를 용用으로 삼는다.
[未能全无以爲體] 도道는 마음과 자취가 모두 무无이니 이는 전무全无를 체體로 삼는 것이요, 성인聖人은 마음은 없으나 자취가 있으니 이는 자취는 유有이나 마음이 무无인 것인바, 이것이 ‘전무全无를 체體로 삼지 못함’이다.
[故順通天下 則有經營之跡] ‘성인聖人이 천하天下의 이치를 순히 통하여 안은 비록 마음이 없으나 밖은 경영하는 자취가 있으니, 이는 근심이 있는 것임’을 말한 것이다.
도道는 마음과 자취가 모두 없어서 근심이 없고 우환이 없다. 그러므로 “성인과 함께 근심하지 않는다.”라고 말한 것이다.
注
물건이 개통開通(개발하고 통달시킴)하는 이유와 일이 다스려지는 이유가 도道에 말미암지 않음이 없는 것이다. 성인聖人의 공용功用의 모체는 그 체體가 도道와 같으니, 이 때문에 성덕盛德과 대업大業이 지극할 수 있는 것이다.
疏
정의왈正義曰:성인聖人이 공용功用의 모체가 되어서 그 체體가 도道와 같아 만물이 이로 말미암아 개통하고 여러 일이 이로써 다스려지니, 이는 성인의 지극하고 성대한 덕德이요 넓고 위대한 업業이니, 지극하도다.
행실에 있어서는 ‘덕德’이라 하고, 일에 있어서는 ‘업業’이라 한다.
注
광대廣大하여 모두 갖추었으므로 “풍부히 소유함”이라고 한 것이다.
疏
정의왈正義曰:이로부터 이하는 대업大業과 성덕盛德을 반복하여 말하여 이어서 역易과 건곤乾坤 및 그 점占과 일을 널리 밝히고 아울러 신神의 체體를 밝혔다.
광대하여 모두 갖추어져서 만사가 풍부하게 소유되어 있기 때문에 ‘대업大業’이라 이른 것이다.
注
화化를 체행하고 변變에 합하므로 “날로 새로워짐”이라고 한 것이다.
疏
정의왈正義曰:성인聖人이 능히 변통變通하여 화化를 체행하고 변變에 합해서 그 덕德이 나날이 더하고 새로워지니, 이는 덕德이 성하고 지극한 것이다. 그러므로 ‘성덕盛德’이라 이른 것이다.
注
음陰과 양陽이 운행하고 바뀌어서 화생化生을 이룬다.
疏
정의왈正義曰:‘생생生生’은 끊이지 않는다는 말이다. 음陰과 양陽이 변하고 바뀌어서 뒤에 생겨난 것이 앞에 생겨난 것보다 다음에 있으니, 이는 만물이 항상 생기는 이유인바, 이것을 일러 ‘역易’이라 한다.
앞뒤의 생겨남이 변화하고 바뀐다. 살면 반드시 죽음이 있으나 역易은 권계勸戒를 위주로 하여 사람들이 선행을 하도록 장려하였으므로 생生을 말하고 사死를 말하지 않은 것이다.
疏
정의왈正義曰:괘卦를 그어 건乾의 상象을 이루어서 건乾의 굳셈을 모의함을 말하였다. 그러므로 괘卦를 일러 건乾이라고 한 것이다.
疏
정의왈正義曰:괘卦를 그어 곤坤의 법法을 본받아서 곤坤의 순함을 모의하였다. 그러므로 이를 일러 곤坤이라고 한 것이다.
수數를 다하여 미래를 앎을 점占이라 이르고, 변하여 통함을 일이라 이르고,
注
사물이 궁극하면 변하고 변하여 통함은 일이 말미암아 생겨나는 원인이다.
疏
정의왈正義曰:[極數知來之謂占] 시책蓍策의 수數를 지극히 하여 미래의 일을 미리 앎을 이르니, 점을 쳐서 길흉吉凶을 묻기 때문에 이를 일러 점占이라 한 것이다.
[通變之謂事] 사물의 궁극함을 개통하고자 하면 모름지기 그 변화를 알아야 비로소 통할 수 있는 것이다. 모든 천하의 일은 궁극하면 모름지기 변하여 만사가 비로소 생겨난다. 그러므로 “변하여 통함을 일이라 이른다.”라고 한 것이다.
음陰과 양陽을 측량할 수 없음을 신神이라 한다.
注
신神이란 변화의 지극함이니, 만물을 미묘하게 함을 말한 것이요, 형체로 힐문할 수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음陰과 양陽을 측량할 수 없다.”라고 한 것이다.
한번 논해보건대, 양의兩儀(음양陰陽)의 운행과 만물의 움직임을 근원해보면 어찌 이렇게 시키는 자가 있겠는가. 태허大虛에서 홀로 화化하여 별안간에 저절로 만들어지지 않음이 없는 것이다.
만드는 것이 내가 아니고 이치가 저절로 현공玄空하게(보이지 않게) 응한 것이며, 화化함이 주체가 없고 수數가 저절로 은연중에 운행된다. 그러므로 그 소이연所以然을 알지 못함을 신神에 비유한 것이다.
이 때문에 양의兩儀를 밝히려면 태극太極을 시초始初로 삼아야 하고, 변화를 말하려면 극極을 신神이라 칭하는 것이다.
오직 천天의 하는 바를 아는 자는 이치를 연구하고 변화를 체행해서 앉아서 잊고[좌망坐忘] 비춤을 버리니[유조遺照],
지극히 허虛하여 잘 응하면 도道라고 칭하고, 생각할 수 없고 현묘하게 보면[현람玄覽] 신神이라고 이름하는바, 도道를 의뢰하여 도道와 같아지고 신神으로 말미암아 신神에 은연중 부합하는 것이다.
疏
○정의왈正義曰:천하天下의 만물萬物이 모두 음陰과 양陽으로 말미암아 혹 생겨나고 혹 이루어지니, 그 연유한 이치를 따져봄에 측량할 수 없는 것을 ‘신神’이라 이른다. 그러므로 “음陰과 양陽을 측량할 수 없음을 신神이라 한다.”라고 한 것이다.
疏
○정의왈正義曰:[神也者 變化之極] 신神의 시행함이 본디 ‘변화의 지극함’을 가지고 이름한 것임을 말한 것이다.
[妙萬物而爲言] ‘묘妙’는 미묘微妙함을 이른다. 만물萬物의 체體는 변하는 상象이 있어서 찾을 수 있으나, 신神은 만물을 미묘하게 함을 말한 것이니, ‘찾을 수가 없음’을 이른다.
[不可以形詰] 아득하고 고요하여 측량할 수가 없어서 형形이 없고 체體가 없으니, 물건의 형용을 가지고 찾아서 연구하고 힐문할 수 있는 바가 아닌 것이다.
[造之非我 理自玄應] 이는 신神의 힘을 말한 것이다.
‘아我’는 재주宰主(주재主宰)의 이름을 말한 것이니, 물건의 만들어짐이 나의 재주宰主가 하는 바에 말미암은 것이 아니요, 조화造化의 이치가 저절로 현공玄空하게 서로 응해서 자연히 만들어짐을 말한 것이다.
[是以明兩儀 以太極爲始] 양의兩儀의 천지天地의 체體를 밝히고자 하면 반드시 태극太極의 허무虛无함을 시초始初로 삼아야 함을 말한 것이니, 소이연所以然을 알지 못하면 장차 무엇을 시초로 삼겠는가.
[言變化 而稱極乎神] 변화의 이치를 논하고자 하면 끝을 알 수가 없어서 오직 극極을 신神이라고 칭하는 것이니, 신神은 알 수 없는 것이다.
疏
[夫唯知天之所爲者 窮理體化 坐忘遺照] ‘만약 하늘의 만들고 행함을 알려고 하면, 능히 그 사물의 이치를 연구하고 변화를 체행해서 고요히 앉아 일을 잊고,
비추는 바의 사물을 버리고서 자연의 이치에 맡겨 다른 일을 가지고 마음에 매어두지 아니해서 단정히 비고 고요해야 하니, 이와 같은 사람이라야 비로소 하늘의 하는 바를 알게 됨’을 말한 것이니, 하늘의 도道 또한 이와 같음을 말한 것이다.
‘坐忘遺照’란 말은 그 일이 ≪장자莊子≫ 〈대종사大宗師〉에 나온다.
[至虛而善應 則以道爲稱] 이는 도道의 조목을 해석한 것이니, 지극히 공허하면서 사물에 잘 응하면 마침내 이것을 지목하여 도道라 함을 말하였다. 그러므로 “도道라고 칭한다.”라고 한 것이다.
[不思而玄覽 則以神爲名] 생각하고 측량할 수가 없어서 현묘하게 보는 것을 마침내 지목하여 신神이라 함을 말하였다. 그러므로 “신神이라고 이름한다.”라고 한 것이다.
[蓋資道而同乎道] 이는 성인聖人이 가르침을 베풂에 도道를 의뢰하고 취해서 무위无爲의 교화를 행하여 오랫동안 쌓아서 마침내 도道와 같아져서 내內와 외外가 모두 무无임을 말한 것이다.
[由神而冥於神也] 성인聖人이 가르침을 베풂에 이 ‘신神의 측량할 수 없음’을 본받아서 형체가 없고 방소가 없어서 가르침을 남겨 오래되어 점점 쌓이면 은연중 신神에 부합하여 측량할 수 없음을 말한 것이다.
이는 모두 성인聖人이 처음 때에는 비록 도道를 본받고 신神을 본받아 무无로 삼으나 체體가 전무全无하지는 못하고 다만 이것을 행하여 그치지 않으면 마침내 전무全无하여 측량할 수 없음에 이름을 말하였다.
그러므로 “도道를 의뢰하여 도道와 같아지고 신神으로 말미암아 신神에 은연중 부합한다.”라고 말한 것이다.
역易이 넓고 크니, 멂을 말하면 그치지 않고,
注
그윽함을 다하고 깊음을 다하면 그치는 바가 없는 것이다.
疏
정의왈正義曰:[夫易廣矣大矣] 이는 역易의 이치가 큼을 찬양하여 밝힌 것이니, 역易의 변화가 사방 먼 곳에 끝까지 이르니 이는 넓은 것이요, 상천上天에 끝까지 이르니 이는 큰 것이다.
그러므로 아래에 “넓고 큼이 천지天地에 배합한다.”라고 한 것이다.
[以言乎遠則不禦] ‘어禦’는 그침이니, 역易의 변화가 그윽하고 깊음의 멂을 다하면 그침이 있지 않음을 말하였으니, 그치는 바가 없음을 말한 것이다.
疏
정의왈正義曰:‘이邇’는 가까움이니, 역易의 변화가 가까운 곳에 있으면 편안하고 고요하여 바름을 얻음을 말하였다.
변화의 도道가 가까운 곳에 있어서는 사물이 각각 고요하여 바름을 얻어서 번거롭고 어지럽고 사벽邪辟하지 않음을 말하였다. 먼 것도 오히려 그치지 않는다면 가까운 것도 그치지 않음을 알 수 있고, 가까운 것이 이미 고요하여 바르면 먼 것 또한 고요하고 바르니, 이는 호문互文이다.
천지天地의 사이를 말하면 구비하였다. 건乾은 정靜하여 전일專一하고 동動하여 강정剛正하다. 이 때문에 대大가 생겨나며,
疏
정의왈正義曰:[以言乎天地之間則備矣] 변통變通하는 도道가 천지天地의 안에 두루 가득하니, 이것이 구비함이다.
[夫乾其靜也專 其動也直 是以大生焉] 위의 경문經文에서 이미 ‘역易의 도道가 음陰과 양陽을 의뢰하여 이루어짐’을 논하였다. 그러므로 이 경문에서는 건乾을 밝히고 다시 겸하여 곤坤을 밝힌 것이다.
건乾은 순양純陽이고 그 덕德이 널리 구비되어 편벽되이 주장하는 바가 없어서 오직 전일할 뿐이니, 만약 기氣가 발동發動하지 않으면 정靜하여 전일專一하다. 그러므로 “정靜하여 전일하다.”라고 한 것이다.
만약 그 운행함으로 말하면 사시四時가 어긋나지 않고 추위와 더위가 어긋남이 없어서 강剛하여 바름을 얻는다. 그러므로 “동動하여 강정剛正하다.”라고 한 것이다. 동動과 정靜이 이와 같기 때문에 능히 대大가 생겨난 것이다.
곤坤은 정靜하면 거두고 동動하면 열린다. 이 때문에 광廣이 생겨나니,
注
흡翕은 거둠이다. 〈정靜하여〉 그치면 그 기氣를 거두고, 동動하면 열어서 물건을 낳는다.
건乾은 하늘을 통솔하고 만물의 첫 번째가 되어서 변화의 으뜸이 되어 형체의 밖을 통하고, 곤坤은 순함으로 양陽을 받들어서 공功이 자기에게 다하여 용用이 형체에 그친다.
그러므로 건乾은 전일함과 강정剛正함을 가지고 그 재질을 말하고, 곤坤은 거두고 여는 것을 가지고 그 형체를 말한 것이다.
疏
정의왈正義曰:이 경문經文은 곤坤의 덕德을 밝힌 것이다. 곤坤은 음유陰柔이니, 닫히고 감추고 거두므로 정靜하면 거두는 것이다. 동動하면 만물을 열어 낳으므로 동하면 열리는 것이다. 이와 같기 때문에 능히 물건을 널리 낳을 수 있는 것이다.
하늘의 체體는 높고 멀기 때문에 건乾은 “대大가 생겨난다.”라고 말하였고, 땅의 체體는 넓고 너르기 때문에 곤坤은 “광廣이 생겨난다.”라고 말한 것이다. 〈건乾과 곤坤을〉 상대하면 건乾은 물건의 시작[시始]이 되고 곤坤은 물건의 낳음[생生]이 되는데, 흩어지면 시始 또한 생生이 된다. 그러므로 총괄하여 ‘생生’이라고 말한 것이다.
광대廣大는 천지天地에 배합하고, 변통變通은 사시四時에 배합하고, 음양陰陽의 의義는 일월日月에 배합하고, 이간易簡의 선善은 지덕至德에 배합한다.
注
역易에 기재된 바가 이 네 의의意義에 배합하는 것이다.
疏
정의왈正義曰:[廣大配天地] 이 경문經文은 역易의 덕德을 거듭 밝힌 것이다. 역易의 도道가 광대廣大하므로 천지天地에 배합하는 것이니, 대大로써 하늘에 배합하고 광廣으로써 땅에 배합하는 것이다.
[變通配四時] 사시四時가 변통變通하고 역易의 이치 또한 능히 변통하므로 “변통은 사시에 배합한다.”라고 말한 것이다.
[陰陽之義配日月 易簡之善配至德] 살펴보건대, 1장에서는 건乾․곤坤의 쉬움과 간략함이 오래할 수 있고 커질 수 있어서 지극히 미묘한 덕德에 배합함을 논하였다.
그러나 ≪
주역周易≫의 1장에서는 쉬움은
현인賢人의
덕德이 되고 간략함은
현인賢人의
업業이 된다고 하였는데, 지금 총괄하여 ‘
지덕至德’이라 말한 것은, 상대하면
덕德과
업業이 구별되지만 흩어지면
업業이
덕德으로부터 와서 모두
덕德이 되기 때문이다.
孔子
공자孔子가 말씀하였다. “역易은 지극하다 할 것이다. 역易은 성인聖人이 덕德을 높이고 업業을 넓힌 것이다.
注
이理를 다하고 신神에 들어감은 그 덕德이 높은 것이요, 만물萬物을 겸하여 구제함은 그 업業이 넓은 것이다.
疏
정의왈正義曰:[자왈子曰 易其至矣乎] 역易의 지극함을 다시 찬미한 것이니, 이는 말씀의 다른 단서이므로 “자왈子曰”이라 말한 것이다.
[夫易 聖人所以崇德而廣業] 역易의 도道가 지극한데 성인聖人이 이것을 사용하여 그 덕德을 더욱 높이고 그 업業을 광대하게 함을 말하였다. 그러므로 “덕德을 높이고 업業을 넓힌다.”라고 말한 것이다.
注
지知는 높음을 귀함으로 삼고, 예禮는 낮음을 용用으로 삼는다.
疏
정의왈正義曰:역易은 지知(지智)와 예禮를 겸하였다. 그러므로 여기에서 지知와 예禮의 용用을 밝힌 것이다.
지知는 만물을 통창通暢시켜 이롭게 하니, 하늘의 양陽이 덮어주지 않음이 없음을 형상하였으므로 높음을 귀함으로 삼는 것이다. 예禮는 남에게 낮추고 공경하는 것이니, 땅이 유柔하여 아래에 있음을 형상하였으므로 낮음을 용用으로 삼는 것이다.
높음은 하늘을 본받고, 낮음은 땅을 본받은 것이다.
注
지知(지智)의 높음을 지극히 함은 하늘이 높아 물건을 통솔함을 형상한 것이고, 예禮의 용用을 구비함은 땅이 넓어 물건을 실어줌을 형상한 것이다.
疏
정의왈正義曰:지知가 이미 높기 때문에 하늘을 본받고, 예禮로써 낮추고 겸손하기 때문에 땅을 본받은 것이다.
천지天地가 자리를 베풀면 역易이 이 안에서 행해지니,
注
천지天地는 역易의 문호門戶이니, 역易의 의의意義가 만물을 겸하여 두루 하므로 “이 안에서 행해진다.”라고 말한 것이다.
疏
정의왈正義曰:천지天地가 자리를 진설함은 ‘지知(지智)와 예禮로 천지天地를 본받음’을 말한 것이다.
[而易行乎其中矣] 변역變易의 도道가 지知와 예禮의 안에서 행해지는 것이니, ‘지知와 예禮가 역易과 더불어 나란히 행해짐’을 말한 것이다.
만약 실상을 가지고 말하면 하늘은 위에 있고 땅은 아래에 있으니 이는 천지가 자리를 베푼 것이요, 천지의 사이에 만물이 변화하니 이는 역易이 천지의 안에서 행해지는 것이다.
본성을 이루고 존재를 보존함이 도의道義의 문이다.”
注
물건의 보존하고 이룸이 도의道義에 말미암는 것이다.
疏
정의왈正義曰:이는 ‘역易의 도道가 이미 천지天地의 안에 있어서, 능히 만물萬物의 본성을 이루어 만물로 하여금 생겨남에 그 본성을 잃지 않게 하고, 만물의 존재를 보존하여 만물로 하여금 그 보존과 이룸을 얻게 함’을 밝힌 것이다.
‘성性’은 처음을 받음을 이르고, ‘존存’은 종終을 보존함을 이르고, ‘도道’는 개통함을 이르고, ‘의義’는 마땅함을 얻음을 이른다.
이미 본성을 이루고 존재를 보존하였으면 물건의 개통됨(도道)과 물건의 마땅함을 얻음(의義)이 이 역易으로부터 온다. 그러므로 “도의道義의 문이다.”라고 하였으니, 역易이 도의道義와 더불어 문호門戶가 됨을 말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