復은 亨하니 出入无疾하고 朋來면 无咎리라 反復其道하여 七日來復이니 利有攸往하니라
疏
[疏]正義曰:‘復 亨’者, 陽氣反復而得亨通, 故云“復亨”也.
‘出入无疾’者, 出則剛長, 入則陽反, 理會其時, 故无疾病也.
‘朋來 无咎’者, 朋謂陽也, 反復衆陽, 朋聚而來, 則无咎也. 若非陽衆來, 則有咎, 以其衆陽之來, 故无咎也.
‘反復其道 七日來復’者, 欲速反之與復而得其道, 不可過遠, 唯七日則來復, 乃合於道也.
‘利有攸往’者, 以陽氣方長, 往則小人道消, 故利有攸往也.
彖曰 復亨은 剛反動而以順行이라 是以出入无疾이요
注
[注]入則爲反이요 出則剛長이라 故로 无疾이니 疾은 猶病也라
疏
○正義曰:‘復亨’者, 以陽復則亨, 故以亨連復而釋之也.
‘剛反動而以順行’者, 旣上釋復亨之義, 又下釋出入无疾‧朋來无咎之理, 故云“是以出入无疾, 朋來无咎”也.
疏
正義曰:陽氣始剝盡, 謂陽氣始於剝盡之後, 至陽氣來復時, 凡經七日.
觀注之意, 陽氣從剝盡之後, 至於反復, 凡經七日, 其注分明.
如褚氏‧莊氏竝云“五月一陰生, 至十一月一陽生, 凡七月, 而云七日, 不云月者, 欲見陽長須速, 故變月言日.”
今輔嗣云“剝盡至來復”, 是從盡至來復, 經七日也. 若從五月言之, 何得云始盡也.
觀注之意, 必謂不然, 亦用易緯六日七分之義, 同鄭康成之說. 但於文省略, 不復具言.
案易緯稽覽圖云“卦氣起中孚”, 故離‧坎‧震‧兌各主其一方, 其餘六十卦, 卦有六爻, 爻別主一日, 凡主三百六十日.
餘有五日四分日之一者, 每日分爲八十分, 五日分爲四百分, 四分日之一又爲二十分, 是四百二十分.
六十卦分之, 六七四十二, 卦別各得七分, 是每卦得六日七分也.
剝卦陽氣之盡, 在於九月之末, 十月當純坤用事, 坤卦有六日七分.
‘反復’者, 則出入之義, 反謂入而倒反, 復謂旣反之後, 復而向上也.
注
[注]以天之行反覆이 不過七日하니 復之不可遠也라
疏
[疏]正義曰:‘反復其道 七日來復 天行’者, 以天行釋反復其道七日來復之義, 言反之與復, 得合其道.
唯七日而來復, 不可久遠也, 此是天之所行也. 天之陽氣絶滅之後, 不過七日, 陽氣復生, 此乃天之自然之理, 故曰“天行”也.
注
[注]復者는 反本之謂也니 天地以本爲心者也라 凡動息則靜하니 靜非對動者也요 語息則默하니 默非對語者也라
然則天地雖大하여 富有萬物하고 雷動風行하여 運化萬變이나 寂然至无 是其本矣라
故로 動息地中에 乃天地之心見也니 若其以有爲心하면 則異類未獲具存矣리라
疏
○正義曰:‘復 其見天地之心乎’者, 此贊明復卦之義.
天地養萬物, 以靜爲心, 不爲而物自爲, 不生而物自生, 寂然不動, 此天地之心也.
天地非有主宰, 何得有心. 以人事之心, 託天地以示法爾.
疏
○正義曰:‘復者反本之謂也’者, 往前離本處而去, 今更反於本處, 是反本之謂也.
‘天地以本爲心’者, 本謂靜也. 言天地寂然不動, 是以本爲心者也.
‘凡動息則靜 靜非對動’者也, 天地之動, 靜爲其本, 動爲其末, 言靜時多也, 動時少也.
若暫時而動, 止息則歸靜, 是靜非對動, 言靜之爲本, 自然而有, 非對動而生靜, 故曰“靜非對動者也.”
‘語息則默 默非對語’者, 語則聲之動, 默則口之靜, 是不語之時, 恒常默也, 非是對語有默. 以動靜語默而无別體, 故云“非對”也.
疏
[疏]云‘天地雖大 富有萬物 雷動風行 運化萬變’者, 此言天地之動也.
言‘寂然至无 是其本矣’者, 凡有二義. 一者, 萬物雖運動於外, 而天地寂然至无於其內也, 外是其末, 內是其本, 言天地无心也.
二者, 雖雷動風行, 千化萬變, 若其雷風止息, 運化停住之後, 亦寂然至无也.
‘若其以有爲心 則異類未獲具存’者, 凡以无爲心, 則物我齊致, 親疎一等, 則不害異類, 彼此獲寧,
若其以有爲心, 則我之自我, 不能普及於物, 物之自物, 不能普賴於我, 物則被害, 故未獲具存也.
象曰 雷在地中이 復이니 先王以至日閉關하여 商旅不行하며 后不省方하니라
注
[注]方은 事也라 冬至는 陰之復也요 夏至는 陽之復也라
故로 爲復則至於寂然大靜하니 先王은 則天地而行者也라 動復則靜하고 行復則止하고 事復則无事也라
疏
○正義曰:‘雷在地中 復’者, 雷是動物, 復卦以動息爲主, 故曰“雷在地中.”
‘先王以至日閉關’者, 先王象此復卦, 以二至之日, 閉塞其關,
商旅不行於道路也.
‘后不省方’者, 方, 事也, 后不省視其方事也. 以地掩閉於雷, 故關門掩閉, 商旅不行, 君后掩閉於事, 皆取動息之義.
疏
‘冬至陰之復 夏至陽之復’者, 復謂反本, 靜爲動本.
‘動復則靜 行復則止 事復則无事’者, 動而反復, 則歸靜, 行而反復, 則歸止, 事而反復, 則歸于无事也.
注
[注]最處復初하니 始復者也라 復之不速이면 遂至迷凶이어늘
不遠而復하여 幾悔而反하니 以此修身하면 患難遠矣라 錯之於事하면 其殆庶幾乎인저 故로 元吉也라
疏
[疏]正義曰:‘不遠復’者, 最處復初, 是始復者也. 旣在陽復, 卽能從而復之, 是迷而不遠, 卽能復也.
疏
[疏]正義曰:釋不遠之復也, 所以不遠速復者, 以能脩正其身, 有過則改故也.
注
[注]得位處中하여 最比於初하고 上无陽爻以疑其親하고 陽爲仁行이어늘 在初之上하여 而附順之하니 下仁之謂也라
疏
[疏]正義曰:得位處中, 最比於初, 陽爲仁行, 己在其上, 附而順之, 是降下於仁, 是休美之復, 故云“休復吉”也.
以其下仁, 所以吉也, 故象云“休復之吉, 以下仁也.”
注
[注]頻은 頻蹙之貌也라 處下體之終하여 雖愈於上六之迷나 已失復遠矣니 是以蹙也라
蹙而求復하여 未至於迷라 故로 雖危나 无咎也라 復道宜速이어늘 蹙而乃復하니 義雖无咎나 它來難保라
疏
○正義曰:‘頻復’者, 頻謂頻蹙. 六三處下體之上, 去復稍遠, 雖勝於上六迷復, 猶頻蹙而復.
去復猶近, 雖有危厲, 於義无咎, 故象云“義无咎也.”
疏
○正義曰:‘義雖无咎 它來難保’者, 去復未甚大遠, 於義雖復无咎, 謂以道自守, 得无咎也.
若自守之外, 更有他事而來, 則難可保此无咎之吉也, 所以象云“義无咎”, 守常之義, 得无咎也.
注
[注]四上下各有二陰而處厥中하고 履得其位하고 而應於初하여 獨得所復하고 順道而反하여 物莫之犯이라 故로 曰 中行獨復也라하니라
疏
○正義曰:‘中行 獨復’者, 處於上卦之下, 上下各有二陰, 己獨應初.
居在衆陰之中, 故云“中行.” 獨自應初, 故云“獨復.” 從道而歸, 故象云“以從道也.”
注
[注]居厚而履中하니 居厚則无怨하고 履中則可以自考하여 雖不足以及休復之吉이나 守厚以復하니 悔可免也라
疏
[疏]正義曰:‘敦復 无悔’者, 處坤之中, 是敦厚於復, 故云“敦復.”
旣能履中, 又能自考成其行, 旣居敦厚, 物无所怨, 雖不及六二之休復, 猶得免於悔吝, 故云“无悔”也.
疏
[疏]正義曰:釋无悔之義, 以其處中, 能自考其身, 故无悔也.
上六은 迷復이니 凶하니 有災眚하리라 用行師면 終有大敗하고 以其國하면 君凶하여 至于十年토록 不克征하리라
注
[注]最處復後하니 是迷者也라 以迷求復이라 故로 曰 迷復也라
用之行師하면 難用有克也하여 終必大敗하고 用之於國하면 則反乎君道也라
大敗에 乃復量斯勢也하여 雖復十年修之라도 猶未能征也라
疏
○正義曰:‘迷復 凶’者, 最處復後, 是迷闇於復. 以迷求復, 所以凶也.
‘有災眚’者, 闇於復道, 必无福慶, 唯有災眚也.
‘用行師 終有大敗’者, 所爲旣凶, 故用之行師, 必无克勝, 唯終有大敗也.
‘以其國君 凶’者,
用此迷復於其國內, 則反違君道, 所以凶也.
‘至于十年 不克征’者, 師敗國凶, 量斯形勢, 雖至十年, 猶不能征伐.
以其迷闇不復, 而反違於君道, 故象云“迷復之凶, 反君道也.”
復은 형통하니, 나가고 들어옴에 병이 없고, 벗이 오면 허물이 없으리라. 그 道를 반복하여 7일에 와서 회복하니, 가는 바를 둠이 이롭다.
疏
正義曰:[復 亨] 陽氣가 반복하여 형통함을 얻었다. 그러므로 “復은 형통하다.”라고 한 것이다.
[出入无疾] 나가면 剛이 자라고 들어오면 陽이 돌아와서 이치가 그 때에 맞는다. 그러므로 질병이 없는 것이다.
[朋來 无咎] ‘朋’은 陽을 이르니, 여러 陽이 반복하여 벗이 모여 오면 허물이 없는 것이다. 만약 陽의 무리가 오지 않으면 허물이 있을 것이나 여러 陽이 오기 때문에 허물이 없는 것이다.
[反復其道 七日來復] 속히 反하고 復함에 그 道를 얻고자 하면 지나치게 멀리해서는 안 되고, 오직 7일에 와서 회복하여야 비로소 道에 부합하는 것이다.
[利有攸往] 陽氣가 막 자라나서 가면 小人의 道가 사라지기 때문에 가는 바를 둠이 이로운 것이다.
〈彖傳〉에 말하였다. “復이 형통함은 剛이 돌아와 동하되 순함으로써 행한다. 이 때문에 나가고 들어옴에 병이 없는 것이요,
注
들어오면 돌아옴이 되고 나가면 剛이 자란다. 그러므로 疾이 없으니, 疾은 病과 같다.
疏
○正義曰:[復亨] 陽이 회복하면 형통한다. 그러므로 亨을 復과 연결하여 해석한 것이다.
[剛反動而以順行] 이미 위에서 ‘復은 형통함’의 뜻을 해석하고, 또 아래에서 ‘나가고 들어옴에 병이 없고 벗이 오면 허물이 없음’의 이치를 해석하였다. 그러므로 “이 때문에 나가고 들어옴에 병이 없고 벗이 오면 허물이 없다.”고 말한 것이다.
注
陽氣가 처음 깎여 다하였다가 와서 회복할 때까지가 모두 7일이다.
疏
○正義曰:‘陽氣가 처음 깎여 다함’은 陽氣가 깎여 다한 뒤에 시작하여 陽氣가 와서 회복할 때에 이르기까지 모두 7일이 걸림을 말한 것이다.
注의 뜻을 살펴보면, 陽氣가 깎여 다한 뒤로부터 반복함에 이르기까지 모두 7일이 걸리니, 注가 분명하다.
褚氏(褚仲都)와 莊氏 같은 이는 모두 “5월에 한 陰이 생겨서 11월에 한 陽이 생길 때에 이르기까지 모두 7개월이다. 7日이라고 말하고 月이라고 말하지 않은 것은 陽의 자람이 신속해야 함을 나타내고자 하였으므로 月을 바꾸어 日로 말한 것이다.”라고 하였다.
그런데 지금 王輔嗣(王弼)는 “剝盡으로부터 來復에 이르기까지”라고 말하였으니, 이는 剝盡으로부터 來復에 이르기까지 7일이 걸리는 것이다. 만약 5월로부터 말하면 어찌 剝盡하기 시작했다고 말할 수 있겠는가.
또 臨卦 역시 陽이 자라는 것인데 8월이라고 말하였으니, 지금 復卦 역시 陽이 자라는데 어찌하여 유독 月을 바꾸어 7일이라고 칭하였겠는가.
注의 뜻을 살펴보면 반드시 그렇지 않다고 여긴 것이요, 이는 또한 易緯의 6일 7푼의 뜻을 사용한 것이니, 鄭康成(鄭玄)의 말과 같다. 다만 글을 생략하여, 다시 자세히 말하지 않았을 뿐이다.
살펴보건대, ≪易緯稽覽圖≫에 “卦의 기운이 中孚卦에서 시작한다.”라고 하였다. 그러므로 離卦ㆍ坎卦ㆍ震卦ㆍ兌卦가 각각 한 방위를 주장하고, 그 나머지는 60卦인데 卦에 여섯 爻가 있어서 爻마다 별도로 하루를 주장하니, 모두 360일을 주장한다.
나머지 5와 4분의 1일이 있는 것을 매일 나누어 80푼으로 만들면 5일이 400푼이 되고 4분의 1일이 또 20푼이 되니, 총 420푼이다.
이를 60卦로 나누면 6×7=42여서 卦마다 별도로 각각 7푼을 얻으니, 이는 매 卦가 6일 7푼을 얻는 것이다.
剝卦의 陽氣의 다함이 9월의 끝에 있으니, 10월에는 純坤이 用事를 하는바 坤卦가 6일 7푼을 가지고 있다.
坤卦가 다하면 復卦의 陽이 오니, 이는 剝盡으로부터 陽氣가 와서 회복될 때에 이르기까지 坤의 한 卦의 6일 7푼이 떨어져 있는데, 成數를 들어 말하였으므로 王輔嗣가 “모두 7일이다.”라고 말한 것이다.
[反復] 나가고 들어오는 뜻이니, ‘反’은 들어가서 돌아옴을 이르고, ‘復’은 이미 돌아온 뒤에 회복하여 위로 향함을 이른다.
注
하늘의 운행의 반복이 7일에 지나지 않으니, 회복함을 멀리해서는 안 되는 것이다.
疏
正義曰:[反復其道 七日來復 天行] 하늘의 운행을 가지고 ‘그 道를 반복하여 7일에 와서 회복함’의 뜻을 해석하였으니, 反과 復이 그 道에 부합하게 됨을 말한 것이다.
오직 7일에 와서 회복하여야 하고, 오래하고 멀리해서는 안 되니, 이는 하늘이 운행하는 것이다. 하늘의 陽氣가 멸하고 끊긴 뒤에 7일을 지나지 아니하여 陽氣가 다시 생기니, 이는 바로 하늘의 자연한 이치이다. 그러므로 “하늘의 운행이다.”라고 말한 것이다.
가는 바를 둠이 이로움은 剛이 자라기 때문이다.
疏
正義曰:剛이 자라는 것을 가지고 ‘가는 바를 둠이 이로움’의 뜻을 해석한 것이다.
注
復은 근본으로 돌아감을 이르니, 天地는 근본을 마음으로 삼는 자이다. 무릇 動이 그치면 靜하니 靜은 動과 상대되는 것이 아니요, 말이 그치면 침묵하니 침묵은 말과 상대되는 것이 아니다.
그렇다면 天地가 비록 커서 만물을 많이 소유하고, 우레가 동하고 바람이 다녀서 運化가 만 가지로 변하나, 寂然하여 지극히 없음[至无]이 바로 그 근본인 것이다.
그러므로 動이 땅 가운데에서 그칠 적에 비로소 天地의 마음을 볼 수 있는 것이니, 만약 有를 마음으로 삼는다면 다른 類가 모두 함께 생존할 수 없을 것이다.
疏
○正義曰:[復 其見天地之心乎] 이는 復卦의 뜻을 찬양하여 밝힌 것이다.
天地가 만물을 기를 적에 고요함을 마음으로 삼아 하지 않아도 물건이 저절로 하고 낳지 않아도 물건이 저절로 생겨서 寂然하여 동하지 않으니, 이것이 天地의 마음이다.
이는 復卦의 象이니, 동함이 땅 가운데에서 그치고 우레가 땅 아래에 있어서 그치고 동하지 아니하여 靜寂한 뜻이 天地의 마음과 서로 유사하니, 이 復卦의 象을 보면 바로 天地의 마음을 볼 수 있는 것이다.
天地는 主宰가 있는 것이 아니니, 어찌 마음이 있을 수 있겠는가. 人事의 마음을 가지고 天地에 가탁하여 法을 보였을 뿐이다.
疏
○正義曰:[復者反本之謂也] 앞으로 갈 때에는 본래의 곳을 떠나서 갔었는데 지금 다시 본래의 곳으로 돌아오니, 이는 ‘근본으로 돌아옴’을 말한 것이다.
[天地以本爲心] ‘本’은 靜을 이른다. 하늘과 땅이 寂然하여 동하지 않으니, 이는 근본을 마음으로 삼는 것임을 말한 것이다.
[凡動息則靜 靜非對動] 天地의 動함은 靜이 本이 되고 動이 末이 되니, 靜할 때가 많고 動할 때가 적음을 말한 것이다.
잠시 動하다가 그치고 쉬면 靜으로 돌아가는 것과 같으니, 이것이 ‘靜이 動을 상대하는 것이 아님’이니, 靜이 근본이 됨이 자연스레 있어서 動을 상대하여 靜이 생긴 것이 아님을 말하였다. 그러므로 “靜은 動을 상대하는 것이 아니다.”라고 말한 것이다.
[語息則默 默非對語] 말하면 소리가 動하고 침묵하면 입이 고요하니, 이는 말하지 않을 때에 항상 침묵하는 것이요, 말을 상대하여 침묵함이 있는 것이 아니다. 動과 靜, 말함과 침묵함이 별도의 體가 없으므로 “상대가 아니다.”라고 말한 것이다.
疏
[天地雖大 富有萬物 雷動風行 運化萬變] 이는 하늘과 땅의 動함을 말한 것이다.
[寂然至无 是其本矣] 무릇 두 가지 뜻이 있다. 첫 번째는 만물이 비록 밖에서 운동하나 天地가 寂然하여 그 안에 지극히 없으니, 밖은 바로 末이고 안은 바로 本인바, 天地가 无心임을 말한 것이다.
두 번째는 비록 우레가 동하고 바람이 다녀서 천 가지로 化하고 만 가지로 변하나 만약 그 우레와 바람이 그치고 멈추어서 運化가 정지한 뒤에는 또한 조용하여 지극히 없는 것이다.
[若其以有爲心 則異類未獲具存] 무릇 无를 마음으로 삼는다면 물건(남)과 내가 가지런해지고 친한 것과 소원한 것이 한 등급이 되어서 다른 종류를 해치지 아니하여 彼此가 편안함을 얻지만,
만약 有를 마음으로 삼으면 나는 따로 내가 되어서 물건에 널리 미치지 못하고, 물건은 따로 물건이 되어서 나에게 널리 의뢰하지 못하니, 물건이 피해를 본다. 그러므로 함께 생존할 수 없는 것이다.
〈象傳〉에 말하였다. “우레가 땅 가운데에 있는 것이 復卦이니, 先王이 이를 보고서 至日에 관문을 닫아서 장사꾼과 여행자가 다니지 않게 하며 임금이 일을 살펴보지 않는다.”
注
‘方’은 일이다. 冬至는 陰이 근본으로 돌아가는 것이고, 夏至는 陽이 근본으로 돌아가는 것이다.
그러므로 復이 되면 寂然하여 크게 靜함에 이르니, 先王은 하늘과 땅을 본받아 행하는 자이다. 動이 근본으로 돌아가면 靜하고, 行이 근본으로 돌아가면 그치고, 일이 근본으로 돌아가면 일이 없어진다.
疏
○正義曰:[雷在地中 復] 우레는 바로 동하는 물건이니, 復卦는 동함이 그치는 것을 위주로 한다. 그러므로 “우레가 땅 가운데에 있다.”라고 한 것이다.
[先王以至日閉關] 先王이 이 復卦를 형상하여(본받아) 冬至와 夏至에 관문을 폐쇄해서 장사꾼과 여행자들로 하여금 도로에 다니지 않게 하는 것이다.
[后不省方] ‘方’은 일이니, 임금이 그 일을 살펴보지 않는 것이다. 땅이 우레에 가려져 닫혔기 때문에 관문을 가리고 닫아서 장사꾼과 여행자들이 다니지 않게 하고, 군주가 일을 가리고 닫으니, 모두 동함이 그치는 뜻을 취한 것이다.
疏
○正義曰:[方 事] 方이 바로 四方의 경계라고 생각할까 염려하였으므로 方을 일이라 한 것이다. 至日에는 出行해서는 안 될 뿐만 아니라 일을 살펴보아서도 안 됨을 말한 것이다.
[冬至陰之復 夏至陽之復] ‘復’은 근본으로 돌아감을 이르니, 靜은 動의 근본이 된다.
동지에 한 陽이 생기니 이는 陽이 동하고 用事하여 陰이 靜으로 돌아가는 것이요, 하지에 한 陰이 생기니 이는 陰이 동하고 用事하여 陽이 靜으로 돌아가는 것이다.
[動復則靜 行復則止 事復則无事] 動하다가 반복하면 靜으로 돌아가고, 行하다가 반복하면 그침으로 돌아가고, 일하다가 반복하면 일이 없는 데로 돌아가는 것이다.
初九는 멀리 가지 않고 회복하였다. 큰 후회가 없으니 크게 길하리라.
注
復의 始初에 처하였으니, 처음 회복하는 자이다. 회복하기를 신속히 하지 않으면 마침내 ‘혼미하게 회복함[迷復]’에 이르러 흉한데,
멀리 가지 않고 회복하여 거의 후회하다가 돌아오니, 이로써 몸을 닦으면 환란이 멀어진다. 이것을 일에 조처하면 거의 道에 가까울 것이다. 그러므로 크게 길한 것이다.
疏
正義曰:[不遠復] 復의 시초에 처하였으니, 이는 처음 회복하는 자이다. 이미 陽이 회복되는 때에 있으면 즉시 따라 회복할 수 있으니, 이는 혼미하되 멀리 가지 않고서 바로 능히 돌아온 것이다.
[无祗悔 元吉] 韓氏(韓伯)가 이르기를 “祗는 큼이다.”라고 하였으니, 이미 속히 회복하면 이는 큰 후회가 없는 것이니, 이 때문에 크게 길한 것이다.
〈象傳〉에 말하였다. “멀리 가지 않고 회복함은 몸을 닦기 때문이다.”
疏
正義曰:‘멀리 가지 않고 회복함’을 해석한 것이니, 멀리 가지 않고 속히 회복한 까닭은 능히 그 몸을 닦고 바루어서 허물이 있으면 고치기 때문이다.
注
正位를 얻고 中에 처하여 初九와 가장 가까우며 위에 그 친함을 의심하는 다른 陽爻가 없고, 陽은 仁의 행실이 되는데 初九의 위에 있으면서 初九를 따르고 순종하니, 仁에게 낮춤을 이른다.
이미 中位에 처하고서 仁한 자를 가까이하고 이웃과 잘 지냄은 회복함이 아름다운 것이다.
疏
正義曰:正位를 얻고 中에 처하여 初九와 가장 가깝고, 陽은 仁의 행실이 되는데 자기가 그 위에 있으면서 陽을 따르고 순종하니, 이는 仁者에게 낮추는 것이니, 바로 아름다운 회복이다. 그러므로 “아름답게 회복함이니, 길하다.”라고 말한 것이다.
仁者에게 낮추니, 이 때문에 길하다. 그러므로 〈象傳〉에 “아름답게 회복함의 길함은 仁者에게 낮추기 때문이다.”라고 한 것이다.
〈象傳〉에 말하였다. “아름답게 회복함의 길함은 仁者에게 낮추기 때문이다.”
六三은 頻蹙하고서 돌아오니, 위태로우나 허물이 없으리라.
注
‘頻’은 빈축하는 모양이다. 下體의 끝에 처하여 비록 上六의 ‘혼미하게 회복함[迷復]’보다는 나으나 이미 復을 잃음이 머니, 이 때문에 빈축하는 것이다.
빈축하고서 돌아옴을 구하여 아직 혼미함에는 이르지 않았다. 그러므로 비록 위태로우나 허물이 없는 것이다. 회복하는 道는 마땅히 신속해야 하는데 빈축하고서 비로소 회복하였으니, 義에는 비록 허물이 없으나 다른 것이 올 때에는 허물이 없음을 보장하기 어렵다.
疏
○正義曰:[頻復] ‘頻’은 빈축함을 이른다. 六三이 下體의 위에 처하여 復과 거리가 약간 머니, 비록 上六의 ‘혼미하게 회복함[迷復]’보다는 나으나 오히려 빈축하고 돌아온다.
회복하는 道는 마땅히 신속해야 하니, ‘빈축하고서 회복함을 구함’을 말한 것이다. 復과의 거리가 그래도 가까워서 비록 위태로움이 있으나 義에는 허물이 없다. 그러므로 〈象傳〉에 “義에 허물이 없다.”라고 한 것이다.
疏
○正義曰:[義雖无咎 它來難保] 復과의 거리가 그다지 크게 멀지 않으니, 義에는 비록 회복하나 허물이 없다. 이는 道로써 스스로 지켜서 허물이 없을 수 있음을 말한 것이다.
만약 스스로 지키는 외에 다시 다른 일이 오게 되면, 이 无咎의 길함을 보장하기 어렵다. 이 때문에 〈象傳〉에 “義에 허물이 없다.”라고 하였으니, 떳떳함을 지키는 뜻에 허물이 없을 수 있는 것이다.
〈象傳〉에 말하였다. “頻復의 위태로움은 義에 허물이 없는 것이다.”
注
六四의 위아래에 각각 두 陰이 있는데 그 가운데에 처하였고, 밟음이 正位를 얻고 初九에 응하여, 홀로 회복하는 바를 얻고 道를 순히 하여 돌아와서 남이 범하지 못한다. 그러므로 “가운데에 행하며 홀로 회복한다.”라고 한 것이다.
疏
○正義曰:[中行 獨復] 上卦의 아래에 처하여 위아래에 각각 두 陰이 있는데 자기만 홀로 初九에 응하니,
거함이 여러 陰 가운데에 있으므로 “가운데에 행한다.”라고 하였고, 獨自로 初九에 응하므로 “홀로 회복한다.”라고 하였다. 道를 따라 돌아오므로 〈象傳〉에 “道를 따르기 때문이다.”라고 한 것이다.
〈象傳〉에 말하였다. “‘가운데에 행하며 홀로 회복함’은 道를 따르기 때문이다.”
注
돈후함에 거하고 中을 밟았으니, 돈후함에 거하면 원망이 없고 中을 밟으면 스스로 이룰 수가 있다. 그래서 비록 ‘아름답게 회복함[休復]’의 길함에는 미치지 못하나 돈후함을 지키면서 회복하니, 후회를 면할 수 있는 것이다.
疏
正義曰:[敦復 无悔] 坤卦의 中에 처하였으니 이는 회복함에 돈후한 것이다. 그러므로 “도타이 회복함이다.”라고 말한 것이다.
이미 中을 밟고 또 스스로 그 행실을 이루며, 이미 돈후함에 거하여 물건(사람)이 원망하는 바가 없으니, 비록 六二의 ‘아름답게 회복함[休復]’에는 미치지 못하나 오히려 후회와 부끄러움을 면할 수 있다. 그러므로 “후회가 없다.”라고 한 것이다.
〈象傳〉에 말하였다. “‘도타이 회복함이니, 후회가 없음’은 中하여 스스로 이룬 것이다.”
疏
正義曰:‘후회가 없음’의 뜻을 해석하였으니, 中에 처하여 능히 스스로 자기 몸을 이룬다. 그러므로 후회가 없는 것이다.
上六은 혼미하게 회복함이니, 흉하니 재앙이 있으리라. 군대를 출동함에 사용하면 끝내 大敗함이 있고, 그 나라에 사용하면 군주의 道에 위반되어서 흉하여, 십 년에 이르도록 능히 정벌하지 못하리라.
注
復의 최후에 처하였으니, 이는 혼미한 자이다. 혼미함으로써 회복함을 구하기 때문에 “혼미하게 회복함이다.”라고 말한 것이다.
이것을 군대를 출동함에 사용하면 승리하기가 어려워서 끝내 반드시 大敗할 것이요, 이것을 나라에 사용하면 군주의 道에 위반된다.
대패한 뒤에 비로소 다시 이 형세를 헤아리므로 비록 다시 10년 동안 닦더라도 오히려 능히 정벌하지 못하는 것이다.
疏
○正義曰:[迷復 凶] 復의 최후에 처하였으니, 이는 회복함에 혼미하고 어두운 것이다. 혼미함으로써 회복함을 구하기 때문에 흉한 것이다.
[有災眚] 회복하는 道에 어두우니, 반드시 福慶이 없을 것이요, 오직 재앙이 있는 것이다.
[用行師 終有大敗] 행하는 바가 이미 흉하기 때문에 군대를 출동함에 사용하면 반드시 승리하지 못하고 오직 끝내 大敗가 있을 뿐이다.
[以其國君 凶] ‘以’는 사용함이니, 이 迷復을 국내에 사용하면 군주의 道에 위반되니, 이 때문에 흉한 것이다.
[至于十年 不克征] 군대가 패하고 나라가 흉하면 이 형세를 헤아려서 비록 10년에 이르더라도 오히려 능히 정벌하지 못하는 것이다.
혼미하고 어두워 회복하지 않아서 군주의 道를 위반하기 때문에 〈象傳〉에 “혼미하게 회복함의 흉함은 군주의 道에 위반되는 것이다.”라고 말한 것이다.
〈象傳〉에 말하였다. “혼미하게 회복함의 흉함은 군주의 道에 위반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