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周易正義(4)

주역정의(4)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주역정의(4)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疏]正義曰:‘子曰乾坤其易’至‘失得之報’ 此第五章也.
前章明安身崇德之道, 在於知幾得一也, 此明易之體用, 辭理遠大, 可以濟民之行, 以明失得之報也.
乾坤 其易之門邪인저 陽物也 陰物也 陰陽合德而剛柔有體 以體天地之撰하며
[注]撰 數也
[疏]正義曰:‘子曰乾坤 其易之門邪’者, 易之變化, 從乾坤而起, 猶人之興動, 從門而出, 故乾坤是易之門邪.
‘乾 陽物也 坤 陰物也 陰陽合德而剛柔有體’者, 若陰陽不合, 則剛柔之體, 无從而生,
以陰陽相合, 乃生萬物, 或剛或柔, 各有其體, 陽多爲剛, 陰多爲柔也.
‘以體天地之撰’者, 天地之內, 萬物之象, 非剛則柔, 或以剛柔, 體象天地之數也.
以通神明之德하니 其稱名也 雜而不越이어니와
[注]備物極變故 其名雜也 各得其序하여 不相踰越하니 況爻繇之辭也
[疏]正義曰:‘以通神明之德’者, 萬物變化, 或生或成, 是神明之德. 易則象其變化之理, 是其易能通達神明之德也.
‘其稱名也 雜而不越’者, 易稱萬物之名, 萬事論說, 故辭理雜碎, 各有倫敘, 而不相乖越.
易之爻辭, 多載細小之物, 若“之屬, 是雜碎也.
辭雖雜碎, 各依爻卦所宜而言之, 是不相踰越也.
於稽其類하여는 其衰世之意邪인저
[注]有憂患而後作易이라 世衰則失得彌彰하니 爻繇之辭 所以明失得이라 知衰世之意邪 猶考也
[疏]正義曰:稽, 考也, 類謂事類. 然考校易辭事類, 多有悔之憂虞, 故云變亂之世, 所陳情意也.
若盛德之時, 物皆遂性, 人悉懽娛, 无累於吉凶, 不憂於禍害,
今易所論, 則有,
或稱“”,
或稱“”,
此皆論戰爭盛衰之理, 故云“衰意”也.
凡云“邪”者, 是疑而不定之辭也.
夫易 彰往而察來하고 而微顯闡幽하니
[注]易 无往不彰하고 无來不察하여 而微以之顯하고 幽以之闡하니 明也
[疏]正義曰:‘夫易彰往而察來’者, 往事必載, 是彰往也, 來事豫占, 是察來也.
言易之所說, 論其初微之事, 以至其終末顯著也, 論其初時幽闇, 以至終末闡明也, 皆從微以至顯, 從幽以至明.
觀其易辭, 是微而幽闇也, 演其義理, 則顯見著明也.
以體言之, 則云“微顯”也, 以理言之, 則云“闡幽”, 其義一也, 但以體以理, 故別言之.
開而當名하고 辨物正言하니 斷辭則備矣
[注]開釋爻卦하여 使各當其名也 理類辨明故 曰 斷辭也
‘辨物正言’者, 謂辨天下之物, 各以類正定言之. 若辨健物, 正言其龍, 若辨順物, 正言其馬, 是辨物正言也.
‘斷辭則備矣’者, 言開而當名, 及辨物正言, 凡此二事, 決斷於爻卦之辭, 則備具矣.
其稱名也小하고 其取類也大하며
[注]託象以明義하고 因小以喻大
[疏]正義曰:‘其稱名也小’者, 言易辭所稱物名多細小, 若“見豕負塗”․“”之屬, 是其辭碎小也.
‘其取類也大’者, 言雖是小物, 而比喻大事, 是所取義類而廣大也.
其旨遠하고 其辭文하며 其言 曲而中하며
[注]變化无恒하여 不可爲典要 其言 曲而中也
[疏]正義曰:‘其旨遠’者, 近道此事, 遠明彼事, 是其旨意深遠.
若“龍戰于野”, 近言龍戰, 乃遠明陰陽鬬爭․聖人變革, 是其旨遠也.
‘其辭文’者, 不直言所論之事, 乃以義理明之, 是其辭文飾也.
若“”, 不直言 乃云黃裳, 是其辭文也.
‘其言曲而中’者, 變化无恒, 不可爲體例, 其言隨物屈曲, 而各中其理也.
其事肆而隱하니
[注]事顯而理微也
[疏]正義曰:其易之所載之事, 其辭放肆顯露, 而所論義理, 深而幽隱也.
因貳以濟民行하여 以明失得之報하나니라
[注]貳 則失得也 因失得하여 以通濟民行이라 明失得之報也
失得之報者 得其會則吉하고 乖其理則凶이라
言易因自然吉凶二理, 以濟民之行也, 欲令趨吉而避凶, 行善而不行惡也.
‘以明失得之報’者, 言易明人行失之與得, 所報應也. 失則報之以凶, 得則報之以吉, 是明失得之報也.


정의왈正義曰의 [子曰乾坤其易]에서 [실득지보失得之報]까지 이는 제5장이다.
앞 장에서는 ‘몸을 편안히 하고 덕을 높이는 가 기미를 알고 을 얻음에 있음’을 밝혔고, 여기에서는 ‘에 대한 글과 이치가 원대해서 백성의 행실을 구제하여 실득失得보응報應을 밝힘’을 밝혔다.
공자孔子께서 말씀하였다. “의 문일 것이다. 양물陽物이고 음물陰物이니, 을 합하여 를 가지게 되었다. 이로써 천지天地하며
’은 이다.
정의왈正義曰:[子曰乾坤 其易之門邪] 의 변화가 을 따라 시작되니, 사람이 일어나 동함이 문을 따라 나가는 것과 같다. 그러므로 인 것이다.
[ 陽物也 陰物也 陰陽合德而剛柔有體] 만약 이 합하지 않으면 가 생겨날 길이 없는데,
이 서로 합하여 마침내 만물을 낳아서 혹은 하고 혹은 하여 각각 그 가 있게 되었으니, 이 많은 것이 이 되고 이 많은 것이 가 되는 것이다.
[以體天地之撰] ‘’은 셈[]이다. 천지天地의 안에 만물의 이 아니면 여서 혹은 를 가지고 천지天地의 수를 체상體象한 것이다.
이로써 신명神明을 통달하니, 이름을 칭함이 잡란雜亂하면서도 넘지 않으나,
물건을 구비하여 변화를 지극히 하였으므로 그 명칭이 번잡하나, 각각 그 질서를 얻어서 서로 넘지 않으니, 효사爻辭주사繇辭(괘사卦辭)를 비유한 것이다.
정의왈正義曰:[以通神明之德] 만물萬物이 변화해서 혹은 낳고 혹은 이루어짐이 바로 ‘신명神明’이다. 은 변화하는 이치를 형상하였으니, 이는 이 능히 신명의 을 통달한 것이다.
[其稱名也 雜而不越] 의 글에서 칭한 만물의 이름은 만 가지 일을 논하고 말한 것이므로 글의 이치가 번잡하고 자질구레하나 각각 질서가 있어서 서로 어긋나고 넘지 않는다.
효사爻辭에는 대부분 자질구레한 사물을 기재하였으니, 예컨대 “돼지가 진흙을 지고 있음을 본다.”는 것과 같은 등속이 바로 번잡하고 자질구레한 것이다.
글이 비록 번잡하고 자질구레하나 각각 의 마땅한 바를 따라 말하였으니, 이것이 ‘서로 넘지 않음’이다.
를 상고함에는 쇠한 세상의 뜻일 것이다.
우환憂患이 있은 뒤에 을 지었다. 세상이 쇠하면 득실得失이 더욱 드러나니, 효사爻辭주사繇辭(괘사卦辭)는 득실得失을 밝힌 것이다. 그러므로 ‘쇠한 세상의 뜻일 것임’을 알 수 있는 것이다. ‘’는 상고함[]과 같다.
정의왈正義曰:‘’는 상고함이요, ‘’는 같은 의 일을 이른다. 그러나 괘사卦辭효사爻辭에서 같은 의 일을 상고해보면 대부분 후회하는 우려가 있다. 그러므로 “변란變亂(쇠란衰亂)의 세상에서 말한 정의情意이다.”라고 말한 것이다.
만약 성덕盛德의 시대라면 물건이 다 본성을 이루고 사람이 다 즐거워하여 길흉吉凶에 얽매임이 없고 화해禍害를 근심하지 않을 것인데,
지금 ≪주역周易≫에서 논한 것에는 “항극亢極이니 후회가 있다.”라는 것이 있고,
혹은 “이 들에서 싸운다.”라고 칭하였고,
혹은 “기자箕子명이明夷이다.”라고 칭하였고,
혹은 “서쪽 이웃집의 제사만 못하다.”라고 칭하였으니,
이는 모두 전쟁에 성쇠의 이치를 논한 것이다. 그러므로 “쇠한 세상의 뜻”이라고 말한 것이다.
무릇 ‘’라고 말한 것은 의심하여 결정하지 못한 말이다.
은 지나간 것을 드러내고 미래를 살피며, 은미함이 드러나고 어두움이 밝아지며,
은 지나간 것을 드러내지 않음이 없고 미래를 살피지 않음이 없어서, 은미한 것이 이 때문에 드러나고 어두운 것이 이 때문에 밝아지니, ‘’은 밝아짐이다.
정의왈正義曰:[夫易彰往而察來] 지나간 일을 반드시 기재하였으니 이는 지나간 일을 드러냄이요, 미래의 일을 미리 점치니 이는 미래를 살핌이다.
[而微顯闡幽] ‘’은 밝힘이니, ‘은미하되 드러남으로 가고, 어둡되 밝아짐’을 말한 것이다.
에서 말한 것은 처음의 은미한 일을 논하여 그 종말에 이르면 드러나고, 처음의 어두움을 논하여 종말에 이르면 밝아짐’을 말하였으니, 이는 모두 은미함으로부터 드러남에 이르고 어두움으로부터 밝음에 이른 것이다.
괘사卦辭효사爻辭를 살펴보면 이는 은미하여 어둡고, 그 의리義理를 부연하면(살펴보면) 드러나서 밝아진다.
를 가지고 말하면 “은미함이 드러난다.”라고 하고, 이치를 가지고 말하면 “어두움을 밝힌다.”라고 하였으니, 그 뜻은 똑같으나 다만 로 말하고 이치로 말하였기 때문에 분별하여 말한 것이다.
의 뜻을〉 해석하여 명칭에 해당하게 하고, 물건을 분변하여 결정해서 말을 하니, 〈이 두 가지를〉 말에서 결단하면 구비된다.
를 해석하여 그것으로 하여금 각각 그 명칭에 해당하게 한 것이요, 이치의 로 분변하여 밝히기 때문에 “말에서 결단한다.”라고 한 것이다.
정의왈正義曰:[開而當名] ‘의 뜻을 해석하여 그 뜻으로 하여금 각각 형상한 바의 명칭에 해당하게 함’을 이르니, 예컨대 건괘乾卦에 해당하고 곤괘坤卦는 말[]에 해당함과 같은 것이다.
[辨物正言] ‘천하의 물건을 분변해서 각각 로써 결정하여 말함’을 이른다. 예컨대 굳센 물건을 분변할 때에는 결정하여 을 말하고, 순한 물건을 분변할 때에는 결정하여 말[]을 말한 것과 같으니, 이것이 ‘물건을 분변하여 결정해서 말을 함’이다.
[斷辭則備矣] ‘〈의 뜻을〉 해석하여 명칭에 해당하게 하는 것과 물건을 분변하여 결정해서 말을 하는 것, 이 두 가지 일을 괘사卦辭효사爻辭에서 결단하면 구비됨’을 말한 것이다.
칭한 이름은 작고, 취한 〈뜻의〉 는 크며,
을 가탁하여 뜻을 밝히고, 작음을 인하여 큰 것을 비유하였다.
정의왈正義曰:[其稱名也小] ‘괘사卦辭효사爻辭에서 칭한 물명物名이 대부분 자질구레하고 작음’을 말한 것이니, 예컨대 “돼지가 진흙을 지고 있음을 본다.”는 것과 “말린 고기를 씹는다.”는 것과 같은 등속이 바로 괘사卦辭효사爻辭가 자질구레한 것이다.
[其取類也大] ‘비록 이 작은 물건이나 이것을 가지고 큰일을 비유함’을 말하였으니, 이는 취한 바의 뜻의 가 광대한 것이다.
뜻이 심원深遠하고 말이 문채文采나며, 말이 굴곡屈曲되면서도 맞으며,
변화하여 일정함이 없어서 전요典要(전상典常요회要會)가 될 수 없다. 그러므로 그 말이 굴곡屈曲되면서도 이치에 맞는 것이다.
정의왈正義曰:[其旨遠] 가까이 이 일을 말해서 멀리 저 일을 밝혔으니, 이는 그 뜻이 심원한 것이다.
예컨대 “이 들에서 싸운다.”는 것은 가까이 의 싸움을 말해서 마침내 멀리 음양陰陽의 다툼과 성인聖人변혁變革을 밝힌 것이니, 이것이 ‘뜻이 심원함’이다.
[其辭文] 논할 바의 일을 곧바로 말하지 않고 마침내 의리를 가지고 밝혔으니, 이는 그 글이 문채나는 것이다.
예컨대 “누런 치마처럼 하면 크게 길하다.”는 것은 ‘을 얻고 〈신하의〉 직책에 거하였다.’고 곧바로 말하지 않고 마침내 ‘황상黃裳’을 말했으니, 이것이 ‘말이 문채남’이다.
[其言曲而中] 변화하여 일정함이 없어서 체례體例로 삼을 수가 없고, 그 말이 물건에 따라 굴곡屈曲되면서도 각각 그 이치에 맞는 것이다.
일은 방사放肆하여 〈드러나〉 있으면서도 〈이치는〉 은미하니,
일은 드러났으나 이치는 은미한 것이다.
정의왈正義曰에 기재된 일은 그 글이 방사放肆하고 드러났으나 논한 바의 의리義理는 깊고 그윽하고 숨어 있는 것이다.
둘로 인하여 백성의 행실을 구제해서 실득失得보응報應을 밝힌 것이다.
이니, 을 인하여 백성의 행실을 개통하고 구제하였다. 그러므로 실득失得보응報應을 밝힌 것이다.
실득失得보응報應’은 기회에 맞으면 하고 이치에 어긋나면 한 것이다.
정의왈正義曰:[因貳以濟民行] ‘’는 두 가지이니, 두 가지 이치를 이른다.
자연自然 두 가지 이치를 인하여 백성의 행실을 구제함’을 이르니, 백성들로 하여금 길함을 따르고 흉함을 피하며 을 행하고 을 행하지 않게 하고자 한 것이다.
[以明失得之報] ‘이 사람의 행실의 에 따른 보응報應을 밝힘’을 말한 것이다. 잘못하면 으로 보응하고 잘하면 로 보응하니, 이것이 ‘실득失得의 보응을 밝힘’이다.


역주
역주1 子曰 : 孔子의 이 말은 〈繫辭傳 下〉 제9장의 ‘其辭屈’까지 이어진다.
역주2 撰 數也 : 아래 疏의 ‘體象天地之數也’에 따라 ‘撰’을 곧바로 ‘數’로 해석하였으나, 아래 9장의 ‘若夫雜數撰德’에서는 ‘셈’으로 해석하였음을 밝혀둔다. ‘數’는 ‘숫자’와 ‘셈’의 뜻이 함께 있다. 한편 朱子는 “撰은 事와 같다.[撰猶事也]”라고 하였다.
역주3 (之其)[辭所] : 저본에는 ‘之其’로 되어 있으나, 阮元의 〈校勘記〉에 “浦鏜이 이르기를 ‘「之其」는 「辭所」가 되어야 한다.’ 하였다.”라고 한 것에 의거하여 ‘辭所’로 바로잡았다.
역주4 見豕負塗 : 睽卦䷥의 上九 爻辭에 “睽에 외로워서 돼지가 진흙을 지고 있는 것과 鬼神이 한 수레 가득히 실려 있는 것을 본다.[睽孤 見豕負塗 載鬼一車]”라고 하였다.
역주5 亢龍有悔 : 乾卦䷀ 上九 爻辭이다.
역주6 龍戰于野 : 坤卦䷁ 上六 爻辭이다.
역주7 箕子明夷 : 明夷卦䷣ 六五 爻辭에 “箕子의 明夷이니, 貞함이 이롭다.[箕子之明夷 利貞]”라고 하였는바, ‘明夷’는 ‘밝음이 상함’의 의미로, 明夷卦의 六五가 어두운 군주(上六)와 가장 가까이 있는 것이 마치 기자가 殷나라 紂王과 가까이 있는 것과 같기 때문에 이렇게 말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爻는 五位를 군주의 자리로 보나, 明夷卦에서는 上位을 군주의 자리로 본다.
역주8 不如西隣之禴祭 : 旣濟卦䷾ 九五 爻辭에 “동쪽 이웃집에서 소를 잡아 祭祀함이 서쪽 이웃집의 禴제사에 실제로 그 福을 받음만 못하다.[東隣殺牛 不如西隣之禴祭 實受其福]”라고 하였는바, ‘소를 잡아 제사함’은 성대한 제물을 바쳐 제사를 지냄을 이르고, ‘禴제사’는 제수가 薄한 제사를 이르니, 九五가 正位를 밟고 中에 처하여 德을 닦기 때문에 제수가 박하더라도 귀신이 흠향하여 복을 받게 됨을 말한 것이다.
역주9 [世之] : 저본에는 ‘世之’가 없으나, 阮元의 〈校勘記〉에 “浦鏜이 이르기를 ‘「衰」 아래에 「世之」 두 글자가 탈락되었다.’ 하였다.”라고 한 것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
역주10 而微顯闡幽者……幽而闡明也 : ‘微顯闡幽’를 韓康伯과 孔穎達은 ‘微가 顯하고 幽가 闡함’으로 해석하였는바, 이는 ‘微顯’과 ‘闡幽’를 구조는 다르고(主述 구조와 述目 구조) 뜻은 같은(은미하고 어두움이 드러나고 밝아짐) 말로 본 것이다.
반면 朱子는 “‘而微顯’은 ‘微顯而’가 되어야 할 듯하다.”라고 하여 經文을 ‘微顯而闡幽’로 고쳐 보았는바, 이는 ‘微顯(드러남을 은미하게 함)’과 ‘闡幽’를 같은 구조(述目 구조)이면서 반대의 뜻의 말로 본 것이다.
역주11 開而當名者……坤卦當馬也 : ‘開而當名’을 韓康伯과 孔穎達은 ‘卦․爻의 뜻을 해석해서 그 뜻을 卦․爻가 형상하는 사물의 명칭에 해당하게 함’의 의미로 풀이하였다. 반면 朱子는 “‘開而’의 而字도 誤字가 있는 듯하다.”라고 하였다.
역주12 噬腊肉 : 噬嗑卦䷔ 六三 爻辭에 “말린 고기를 씹다가 害毒을 만나 조금 부끄러우나 허물이 없으리라.[噬腊肉 遇毒 小吝 无咎]”라고 하였다.
역주13 黃裳元吉 : 坤卦 六五 爻辭이다.
역주14 得中居職 : 坤卦 六五 爻辭의 疏에 “능히 中和로 사물의 이치에 통달하여 신하의 직책에 거하였으므로 ‘누런 치마처럼 하면 크게 길하다.’라고 말한 것이다.[能以中和 通於物理 居於臣職 故云黃裳元吉]”라고 하였다.
역주15 貳……謂吉凶二理 : ‘貳’를 韓康伯은 得과 失 두 가지로, 孔穎達은 吉과 凶 두 가지로 보았고, 朱子는 ‘의심함’으로 보았다.

주역정의(4) 책은 2022.01.2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