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周易正義(4)

주역정의(4)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주역정의(4)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爲天, 爲圜, 爲君, 爲父, 爲玉, 爲金, 爲寒, 爲冰, 爲大赤, 爲良馬, 爲老馬, 爲瘠馬, 爲駁馬,
[疏]正義曰:此下歷就八卦, 廣明卦象者也, 此一節廣明乾象.
乾旣爲天, 天動運轉, 故爲圜也.
‘爲君 爲父’, 取其尊而爲萬物之始也.
‘爲玉 爲金’, 取其剛淸明也.
‘爲寒 爲冰’, 取其西北寒冰之地也.
‘爲大赤’, 取其盛陽之色也.
‘爲良馬’, 取其行健之善也.
‘爲老馬’, 取其行健之久也.
‘爲瘠馬’, 取其行健之甚, 瘠馬, 骨多也.
王廙云“駁馬能食虎豹, 取其至健也.”
‘爲木果’, 取其果實著木, 有似星之著天也.


은 하늘이 되고, 둥근 것이 되고, 군주가 되고, 아버지가 되고, 이 되고, 이 되고, 추위가 되고, 얼음이 되고, 큰 적색赤色이 되고, 좋은 말이 되고, 늙은 말이 되고, 수척한 말이 되고, 박마駁馬가 되고, 나무의 과일이 된다.
駁
정의왈正義曰:이 아래는 팔괘八卦를 하나하나 가지고서 괘상卦象을 널리 밝힌 것이니, 이 한 절은 을 널리 밝혔다.
은 이미 하늘이 되니, 하늘은 동하여 운행하므로 둥근 것이 된 것이다.
[위군爲君 爲父] 높고 우두머리여서 만물의 시작이 됨을 취한 것이다.
[爲玉 爲金] 하면서 청명淸明함을 취한 것이다.
[爲寒 爲冰] 서북방西北方이 춥고 어는 땅임을 취한 것이다.
[爲大赤] 성한 의 색을 취한 것이다.
[爲良馬] 굳세게 걸어가기를 잘함을 취한 것이다.
[爲老馬] 굳세게 걸어가기를 오래함을 취한 것이다.
[爲瘠馬] 굳세게 걸어가기를 심하게 함을 취한 것이니, 수척한 말은 뼈가 많다.
[爲駁馬] 이 말이 톱니 같은 이빨이 있어서 호랑이와 표범을 잡아먹을 수 있음을 말한 것이다. ≪이아爾雅≫에 “톱니 같은 이빨이 있어서 호랑이와 표범을 잡아먹는다.”라고 하였으니, 이것을 말한 것이다.
왕이王廙가 말하기를 “박마駁馬는 호랑이와 표범을 잡아먹을 수 있으니, 지극히 굳셈을 취한 것이다.”라고 하였다.
[爲木果] 과실이 나무에 붙어 있음이 별이 하늘에 붙어 있는 것과 유사함을 취한 것이다.


역주
역주1 爲木果 : 朱子의 ≪本義≫에 “荀九家에는 이 아래에 ‘龍이 되고, 곧음[直]이 되고, 옷[衣]이 되고, 말[言]이 된다.’는 내용이 있다.”라고 하였는바, ‘荀九家’는 後漢 때의 학자인 荀爽의 ≪九家易≫을 이른다.
역주2 (道)[首] : 저본에는 ‘道’로 되어 있으나, 宋本에 의거하여 ‘首’로 바로잡았다.(阮元의 〈校勘記〉 참조)
역주3 (之)[而] : 저본에는 ‘之’로 되어 있으나, 錢本․宋本에 의거하여 ‘而’로 바로잡았다.(阮元의 〈校勘記〉 참조)
역주4 : 저본에는 ‘倨’로 되어 있으나, 閩本․監本․毛本에는 ‘鋸’로 되어 있다.(阮元의 〈校勘記〉 참조)
역주5 爲駁馬……此之謂也 : ≪山海經≫ 〈西山經〉에는 駁馬에 대한 說이 다음과 같이 보인다. “서쪽 3백 리에 있는 것을 ‘中曲山’이라고 한다.……거기에 짐승이 있으니, 생김새는 말과 같은데 몸통이 희고 꼬리가 검으며 뿔이 하나이고 호랑이의 이빨과 발톱을 지녔으며 울음소리가 북소리 같은바, 이름을 ‘駮’이라고 한다. 호랑이와 표범을 잡아먹고 兵器를 막을 수 있다.[又西三百里曰中曲之山……有獸焉 其狀如馬 而白身黑尾 一角 虎牙爪 音如皷音 其名曰駮 是食虎豹 可以禦兵]” 駁은 駮으로 쓰기도 한다.

주역정의(4) 책은 2022.01.2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