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周易正義(4)

주역정의(4)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주역정의(4)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疏]正義曰:序卦者, 文王旣繇六十四卦, 分爲上下二篇,
其先後之次, 其理不見, 故孔子就上下二經, 各序其相次之義, 故謂之序卦焉.
其周氏就序卦, 以六門攝,
第一天道門, 第二人事門, 第三相因門, 第四相反門, 第五相須門, 第六相病門.
如乾之次坤, 泰之次否等, 第是天道運數門也, 如訟必有師, 師必有比等, 是人事門也,
如因小畜生履, 因履故通等, 是相因門也, 如遯極反壯, 動竟歸止等, 是相反門也,
如大有須謙, 蒙稚待養等, 是相須也, 如賁盡致剝, 進極致傷等, 是相病門也.
[疏]韓康伯云“序卦之所明, 非易之縕也, 蓋因卦之次, 託象以明義”, 不取深縕之義, 故云“非易之縕”,
變者, 反覆唯成一卦, 則變以對之, 乾․坤․坎․離․大過․頤․中孚․小過之類是也.
然則康伯所云“因卦之次, 託象以明義”, 蓋不虛矣, 故不用周氏之義.
有天地然後 萬物生焉하니 盈天地之間者 唯萬物이라 故受之以屯하니 屯者 盈也 屯者 物之始生也
[注]屯 剛柔始交故 爲物之始
[疏]正義曰:王肅云“屯, 剛柔始交而難生, 故爲物始生也”, 盧氏云“物之始生, 故屯難”, 皆以物之始生, 釋屯難之義.
案上言“屯者, 盈也”, 釋屯次乾․坤, 其言已畢,
更言“屯者, 物之始生”者, 開說下“物生必蒙”, 直取始生之意, 非重釋屯之名也, 故韓康伯直引剛柔始交, 以釋物之始生也.
物生必蒙이라 故受之以蒙하니 蒙者 蒙也 物之稺也 物稺 不可不養也 故受之以需하니 需者 飲食之道也
飲食 必有訟이라 故受之以訟하고
[注]夫有生則有資하고 有資則爭興也
訟必有衆起 故受之以師하니 師者 衆也 衆必有所比 故受之以比하니
[注]衆起而不比 則爭无由息이니 必相親比而後 得寧也
比者 比也 比必有所畜이라 故受之以小畜하고
[注] 非大通之道 則各有所畜以相濟也 由比而畜이라 曰 小畜이라하여 而不能大也
物畜然後有禮 故受之以履하니라
[注]履者 禮也 所以適用也 旣畜則이요 有用則須禮也
然後安이라 故受之以泰하니 泰者 通也 物不可以終通이라 故受之以否하고 物不可以終否 故受之以同人이라
[注]否則思通이니 人人同志 故可出門同人하여 不謀而合이라
與人同者 物必歸焉이라 故受之以大有 有大者 不可以盈이라 故受之以謙이라
有大而能謙이면 必豫 故受之以豫하고 豫必有隨
[注]順以動者 衆之所隨
[疏]正義曰:鄭玄云“喜樂而出, 人則隨從, 此之謂也”,
王肅云“歡豫, 人必有隨”, 隨者, 皆以爲人君喜樂歡豫, 則以爲人所隨.
案豫卦彖云“豫, 剛應而志行, 順以動豫, 豫順以動, 故天地如之, 而況建侯行師乎.
天地以順動, 故日月不過, 而四時不忒, 聖人以順動, 則刑罰淸而民服.”
卽此上云“有大而能謙, 必豫, 故受之以豫.” 其意以聖人順動能謙, 爲物所說, 所以爲豫.
人旣說豫, 自然隨之, 則謙順在君, 說豫在人也.
若以人君喜樂游豫, 人則隨之, 何爲天下離叛乎.
故受之以隨하고 以喜隨人者 必有事 故受之以蠱하고 蠱者 事也 有事而後可大
[注] 由事而生이라
故受之以臨하고 臨者 大也 物大然後可觀이라 故受之以觀이요 可觀而後有所合이라 故受之以噬嗑하고
[注]可觀이면 則異方合會也
嗑者 合也 物不可以苟合而已 故受之以賁하고 賁者 飾也
[注]物相合이면 則須飾以脩外也
致飾然後亨則盡矣 故受之以剝하고
[注]極飾則實喪也
剝者 剝也 物不可以終盡剝하여 窮上反下 故受之以復하고
復則不妄矣 故受之以无妄하고 有无妄然後 可畜이라 故受之以大畜하고 物畜然後 可養이라 故受之以頤하고
頤者 養也 不養則不可動이라 故受之以大過하고
[注]不養이면 則不可動이요 養過則厚
[疏]正義曰:鄭玄云“以養賢者宜過於厚”, 王輔嗣注此卦云“音相過之過”,
韓氏云“養過則厚”, 與鄭玄․輔嗣義同. 唯王肅云“過莫大於不養”, 則以爲過失之過.
案此序卦, 以大過次頤也, 明所過在養, 子雍以爲過在不養, 違經反義, 莫此之尤.
物不可以終過 故受之以坎하고 坎者 陷也
[注]過而不已 則陷沒也
陷必有所麗 故受之以離하니 離者 麗也
[注]物窮則變하고 極陷則反所麗也
有天地然後 有萬物하고 有萬物然後 有男女하고 有男女然後 有夫婦하고 有夫婦然後 有父子하고
有父子然後 有君臣하고 有君臣然後 有上下하고 有上下然後 禮義有所錯니라
[注]言咸卦之義也 凡序卦所明 非易之縕也 蓋因卦之次하여 託以明義
하니 夫婦之象 莫美乎斯
先儒以乾至離爲上經이니 天道也 咸至未濟爲下經이니 人事也라하니라
夫易六畫成卦하여 三材必備하면 錯綜天人하여 以效變化하니 豈有天道人事偏於上下哉
斯蓋守文而不求義 失之遠矣
夫婦之道 不可以不久也 受之以恒하니 恒者 久也
物不可以久居其所 受之以遯하니 遯者 退也
[注]夫婦之道 以恒爲貴로되 而物之所居 不可以恒하여 宜與世升降하여 有時而遯也
物不可以終遯이라
[注]遯 君子以遠小人이라 遯而後亨하니 何可終邪 則小人遂陵하고 君子日消也
受之以大壯하고
[注]陽盛陰消하니 君子道勝이라
物不可以終壯이라 受之以晉하니
晉者 進也
[注]雖以柔而進이나 要是進也
進必有所傷이라 受之以明夷하니
[注]日中則昃하고 盈則食이라
夷者 傷也 傷於外者 必反於家 受之以家人하고
[注]傷於外 必反脩諸內
家道窮必乖
[注]室家至親 過在失節이라 家人之義 唯嚴與敬이라
하니 家人尙嚴이면 其敝必乖也
受之以睽하니 睽者 乖也 乖必有難이라 受之以蹇하니 蹇者 難也
物不可以終難이라 受之以解하니 解者 緩也
緩必有所失이라 受之以損하고 損而不已 必益이라 受之以益하고 益而不已 必決이라
[注]益而不已 則盈이라 必決也
受之以夬하니 夬者 決也 決必有遇
[注]以正決邪 必有喜遇也
受之以姤하니 姤者 遇也 物相遇而後聚 受之以萃하니 萃者 聚也
聚而上者 謂之升이라 受之以升하고 升而不已 必困이라 受之以困하고
困乎上者 必反下 受之以井하고 井道 不可不革이라
[注]井久則濁穢하고 宜革易其故
受之以革하고 革物者 莫若鼎이라 受之以鼎이라
[注]革 去故하고 取新하니 旣以去故 則宜制器立法以治新也
所以和齊生物하여 成新之器也 故取象焉이라
主器者 莫若長子 受之以震하니 震者 動也 物不可以終動하여 止之 受之以艮하니 艮者 止也
物不可以終止 受之以漸하니 漸者 進也
進必有所歸 受之以歸妹하고 得其所歸者 必大 受之以豐하니 豐者 大也
窮大者 必失其居 受之以旅하고 旅而无所容이라 受之以巽하니
[注]旅而无所容 以巽則得出入也
巽者 入也 入而後說之 受之以兌하니 兌者 說也 說而後散之 受之以渙하니
[注]說不可偏係 宜散也
渙者 離也
[注]渙者 發暢而无所壅滯 則殊 各肆而不反이면 則遂乖離也
物不可以終離 受之以節하고
[注]夫事有其節이면 則物之所同守而不散越也
節而信之 受之以中孚하고
[注]孚 信也 旣已有節이면 則宜信以守之
有其信者 必行之 受之以小過하고
[注]하여 而以信爲過 曰 小過也
有過物者 必濟
[注]行過乎恭하고 禮過乎儉이면 可以矯世厲俗하여 有所濟也
受之以旣濟하고 物不可窮也 受之以未濟하여 終焉하니라
[注]有爲而能濟者 以己窮物者也 物窮則乖하고 功極則亂이니 其可濟乎 受之以未濟也


정의왈正義曰:〈서괘전序卦傳〉은, 문왕文王이 64괘사卦辭를 달고 나누어 두 편을 만들었는데
선후先後의 차례에 대한 이치를 볼 수 없으므로 공자孔子을 가지고 각각 서로 차례한 뜻을 서술한 것이다. 그러므로 이것을 일러 “서괘序卦”라 한 것이다.
주씨周氏(주굉정周宏正)는 〈서괘전序卦傳〉을 가지고 여섯 (유별類別)으로 나누어 주관하였으니,
첫 번째는 천도天道, 두 번째는 인사人事, 세 번째는 상인相因, 네 번째는 상반相反, 다섯 번째는 상수相須(서로 필요로 함)의 , 여섯 번째는 상병相病(서로 해침)의 이다.
예컨대 건괘乾卦곤괘坤卦 다음에 있고 태괘泰卦비괘否卦 다음에 있는 것과 같은 따위는 천도天道운수運數의 문이요, 분쟁(송괘訟卦)에는 반드시 무리(사괘師卦)가 있고 무리에는 반드시 친함(비괘比卦)이 있는 것과 같은 따위는 인사人事의 문이요,
소축小畜(소축괘小畜卦)으로 인하여 (이괘履卦)가 생기고 로 인하기 때문에 통하는 것(태괘泰卦)과 같은 따위는 상인相因의 문이요, 물러남(돈괘遯卦)의 극에 이르면 도리어 장성하고(대장괘大壯卦) 함(진괘震卦)이 끝나면 그침(간괘艮卦)으로 돌아가는 것과 같은 따위는 상반相反이요,
크게 소유하면(대유괘大有卦) 모름지기 겸손해야 하고(겸괘謙卦) 어린 것(몽괘蒙卦)은 길러줌을 필요로 하는 것(수괘需卦)과 같은 따위는 상수相須의 문이요, 꾸밈(비괘賁卦)이 다하면 깎임(박괘剝卦)이 이르고 나아감(진괘晉卦)이 지극하면 상함(명이괘明夷卦)을 부르는 것과 같은 따위는 상병相病의 문이다.
한강백韓康伯은 이르기를 “〈서괘전序卦傳〉에서 밝힌 것은 의 깊은 뜻이 아니니, 이는 의 차례를 인하여 에 의탁해서 뜻을 밝힌 것이다.”라고 하였으니, 깊은 뜻을 취하지 않았기 때문에 “의 깊은 뜻이 아니다.”라고 한 것이다. 이 때문에 사람의 이치를 취한 것이다.
지금 살펴보건대 64는 둘씩 서로 짝하여 이 아니면 바로 이니, 은 겉과 속으로 보아서 마침내 두 를 이룬 것인바, 같은 따위가 이것이요,
은 번복하여(정반대로 해서) 한 를 이루면 변하여 상대가 된 것이니, 대과大過중부中孚소과小過 같은 따위가 이것이다.
성인聖人이 본래 선후先後를 정하였으니, 만약 공자孔子의 〈서괘전〉의 뜻을 그대로 사용한다면 ‘이 아니면 바로 ’일 수가 없으니,
그렇다면 한강백이 말한 “의 차례를 인하여 에 의탁해서 뜻을 밝혔다.”는 말이 헛되지 않은 것이다. 그러므로 주씨周氏의 뜻을 따르지 않은 것이다.
()․()가 있은 뒤에 만물이 생겨나니, 천지의 사이에 가득한 것이 만물이다. 그러므로 둔괘屯卦로써 〈의 뒤를〉 받았으니, 은 가득함이다. 은 물건이 처음 생겨난 것이니,
가 처음 사귀었으므로 물건이 처음 생겨남이 되는 것이다.
정의왈正義曰왕숙王肅은 이르기를 “가 처음 사귀어 어려움이 생겼으므로 물건이 처음 생겨남이 된 것이다.”라고 하였고, 노씨盧氏는 이르기를 “물건이 처음 생겼기 때문에 어려운 것이다.”라고 하여, 모두 물건이 처음 생긴 것을 가지고 ‘둔난屯難’의 뜻을 해석하였다.
살펴보건대, 위에서 “은 가득함이다.”라고 하여 다음에 있는 것을 해석해서 그 말이 이미 끝났는데,
다시 “은 물건이 처음 생겨난 것이다.”라고 말한 것은, 아래의 “물건이 생겨나면 반드시 어리다.”는 것을 말하기 위해 다만 ‘처음 생겨남’의 뜻을 취한 것이니, 의 명칭을 거듭 해석한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한강백韓康伯이 다만 ‘가 처음 사귐’만을 인용하여 ‘물건이 처음 생겨남’을 해석한 것이다.
물건이 생겨나면 반드시 어리므로 몽괘蒙卦로써 받았으니, 은 어림이니, 물건이 어린 것이다. 물건이 어리면 기르지 않을 수 없으므로 수괘需卦로써 받았으니, 는 음식의 이다.
음식은 반드시 분쟁이 있으므로 송괘訟卦로써 받았고,
생겨남이 있으면 자뢰함이 있고, 자뢰함이 있으면 분쟁이 일어난다.
분쟁은 반드시 여럿이 일어남이 있으므로 사괘師卦로써 받았으니, 는 무리이다. 무리는 반드시 친한 바가 있으므로 비괘比卦로써 받았으니,
무리가 일어나는데 친하지 않으면 분쟁이 종식될 길이 없으니, 반드시 서로 친한 뒤에야 편안함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는 친함이다. 친하면 반드시 모이는 바가 있으므로 소축괘小畜卦로써 받았으며,
는 크게 통하는 가 아니면 각각 모이는 바가 있어서 서로 구제하니, 친함으로 말미암아 모이기 때문에 소축小畜이라 하여 크지 못한 것이다.
물건이 모인 뒤에 가 있으므로 이괘履卦로써 받았다.
이니, 는 때의 쓰임[시용時用]에 알맞게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미 모였으면 써야 하고, 씀이 있으면 가 있어야 하는 것이다.
를 행한 뒤에 편안하므로 태괘泰卦로써 받았으니, 는 통함이다. 물건은 끝내 통할 수 없으므로 비괘否卦로써 받았고, 물건은 끝내 막힐 수 없으므로 동인괘同人卦로써 받았다.
막히면 통함을 생각하니, 사람마다 뜻을 함께하므로 문을 나가 사람과 함께해서 상의하지 않고도 뜻을 합할 수 있는 것이다.
남과 함께하는 자는 물건이 반드시 돌아오므로 대유괘大有卦로써 받았고, 큰 것을 소유한 자는 가득한 체해서는 안 되므로 겸괘謙卦로써 받았다.
큰 것을 소유하고도 겸손하면 반드시 즐거우므로 예괘豫卦로써 받았고, 즐거우면 반드시 따름이 있다.
함으로써 하는 것은 무리가 따르는 바이다.
정의왈正義曰정현鄭玄이 이르기를 “기뻐하고 즐거워하면서 나가면 사람들이 따라오니, ≪맹자孟子≫에 이르기를 ‘우리 임금님이 유람하지 않으면 우리들이 어떻게 쉬며, 우리 임금님이 즐기지 않으면 우리들이 어떻게 도움을 받겠는가.’라고 한 것이 이것을 말한 것이다.”라고 하였고,
왕숙王肅은 이르기를 “즐거워하고 기뻐하면 사람들이 반드시 따른다.”라고 하여, 따름[]을 모두 ‘인군人君이 기뻐하고 즐거워하면 이로 인하여 사람들이 따르는 바가 됨’으로 해석하였다.
살펴보건대, 예괘豫卦단전彖傳〉에 “이 응하여 뜻이 행해지고 함으로써 함이 이다. 는 순함으로써 동한다. 그러므로 하늘과 땅도 그와 같이 하는데 하물며 를 세우고 군대를 출동함에 있어서랴.
하늘과 땅이 순함으로써 동하기 때문에 해와 달이 지나치지 않아서 사시四時가 어긋나지 않으며, 성인聖人이 순함으로써 동하므로 형벌이 깨끗해져서 백성이 복종한다.”라고 하였는데,
바로 이 위에 “큰 것을 소유하고도 겸손하면 반드시 즐거우므로 예괘豫卦로써 받았다.”고 말하였다. 〈이 두 말의〉 뜻은, ‘성인이 순함으로 동하고 능히 겸손하면 남의 기쁨을 받게 되는 것이니, 이 때문에 〈의 명칭을〉 라 한 것이다.’라고 한 것이다.
사람들이 이미 기뻐하여 자연히 따라오면 겸손함과 순함은 군주에게 있고, 기뻐함과 즐거워함은사람(백성)에게 있는 것이다.
만약 ‘인군人君이 기뻐하고 유람하고 즐김에 사람들이 따라온다.’고 한다면 주왕紂王미미靡靡의 음악과 장야長夜의 음주를 하였는데, 어찌하여 천하 사람들이 이반한 것인가.
그러므로 한강백韓康伯이 이르기를 “순함으로써 동함은 무리가 따르는 바이다.”라고 하였으니, 인군의 입장에서 ‘를 지극히 한 뒤에야 남이 따르는 바가 됨’을 취한 것인바, 이 때문에 선유先儒의 설을 배척한 것이다.
그러므로 수괘隨卦로써 받았고, 기쁨으로써 남을 따르는 자는 반드시 일이 있으므로 고괘蠱卦로써 받았고, 는 일이니 일이 있은 뒤에 커질 수 있다.
커질 수 있는 사업이 일로 말미암아 생겨나는 것이다.
그러므로 임괘臨卦로써 받았고, 은 큼이니 물건이 커진 뒤에 볼만하므로 관괘觀卦로써 받았고, 볼만한 뒤에 합함이 있으므로 서합괘噬嗑卦로써 받았고,
볼만하면 다른 지방의 사람이 모인다.
은 합함이니 물건은 구차히 합할 뿐일 수 없으므로 비괘賁卦로써 받았고, 는 꾸밈이니
물건이 서로 모이면 모름지기 꾸며서 밖을 닦아야 한다.
꾸밈을 지극히 한 뒤에 형통하면 〈실제가〉 다하므로 박괘剝卦로써 받았고,
꾸밈을 지극히 하면 실제가 상실된다.
은 깎여서 〈다하는 것인바,〉 사물은 끝내 다 깎일 수 없어서 위에서 다하면 아래로 돌아오기 때문에 복괘復卦로써 받았고,
돌아오면 망령되지 않기 때문에 무망괘无妄卦로써 받았고, 무망无妄이 있은 뒤에 〈크게〉 모일 수 있으므로 대축괘大畜卦로써 받았고, 물건이 〈크게〉 모인 뒤에 기를 수 있으므로 이괘頤卦로써 받았고,
는 기름이니 기르지 않으면 할 수 없으므로 대과괘大過卦로써 받았고,
길러주지 않으면 동할 수가 없고 길러줌이 지나치면 후하다.
정의왈正義曰정현鄭玄은 “어진 이를 기르는 것은 마땅히 후함을 지나치게 하여야 한다.”라고 하였고, 왕보사王輔嗣(왕필王弼)는 이 하기를 “〈‘’는〉 상과相過(서로 뛰어넘음[과월過越])의 이다.”라고 하였는데,
한씨韓氏(한강백韓康伯)는 이르기를 “길러줌이 지나치면 후하다.”라고 하여 정현․왕보사와 뜻이 같다. 오직 왕숙王肅은 “과실은 길러주지 않는 것보다 더 큰 것이 없다.”라고 하였으니, ‘’를 과실過失로 여긴 것이다.
살펴보건대 이 〈서괘전序卦傳〉은 대과괘大過卦이괘頤卦 다음에 있는 것을 가지고 ‘지나친 바가 길러줌에 있음’을 밝힌 것으로 본 것인데, 자옹子雍(왕숙王肅)은 “과실이 길러주지 않음에 있다.”라고 하였으니, 경문의 뜻에 위반됨이 이보다 더 심한 것이 없다.
그런데도 주씨周氏(주굉정周宏正) 등은 그 잘못을 깨닫지 못하고서 겸하여 ‘과실’의 뜻으로 대과大過의 명칭을 해석하였는바, 이미 이것을 경문에서 자세히 논하였다.
사물은 끝내 지나칠 수 없으므로 감괘坎卦로써 받았고, 은 빠짐이니
지나친데도 그치지 않으면 빠진다.
빠지면 반드시 붙는 바가 있으므로 이괘離卦로써 받았으니, 는 붙음이다.
물건이 궁하면 변하고, 빠짐을 지극히 하면 도리어 붙게 된다.
천지天地가 있은 뒤에 만물萬物이 있고, 만물이 있은 뒤에 남녀男女가 있고, 남녀가 있은 뒤에 부부夫婦가 있고, 부부가 있은 뒤에 부자父子가 있고,
부자가 있은 뒤에 군신君臣이 있고, 군신이 있은 뒤에 상하上下가 있고, 상하가 있은 뒤에 예의禮義를 둘 곳이 있는 것이다.
함괘咸卦의 뜻을 말한 것이다. 무릇 〈서괘전序卦傳〉에서 밝힌 것은 의 깊은 뜻이 아니니, 이는 의 차례를 인하여 〈에〉 의탁해서 뜻을 밝힌 것이다.
가 위에 있고 이 아래에 있어서 감응하여 서로 함께하니, 부부夫婦이 이보다 아름다운 것이 없다.
인륜人倫는 부부보다 더 큰 것이 없으므로 부자夫子가 간곡히 그 뜻을 깊이 서술하여 인륜의 시초를 높여서 이괘離卦의 아래에 달지 않은 것이다.
선유先儒는 “건괘乾卦에서 이괘離卦까지가 상경上經이니 천도天道이고, 함괘咸卦에서 미제괘未濟卦까지가 하경下經이니 인사人事이다.” 하였다.
그러나 은 여섯 번 그어 를 이루어서 삼재三材(삼재三才)가 반드시 구비됨에 하늘과 사람을 번갈아 종합해서 변화를 본받은 것이니, 어찌 천도天道인사人事상경上經하경下經에 편벽되어 있을 리가 있겠는가.
이는 글만 고수하고 뜻을 찾지 않은 것이니, 잘못됨이 큰 것이다.
정의왈正義曰한강백韓康伯은 이 한 절에 를 달아서 선유先儒들의 ‘상경上經천도天道를 밝히고 하경下經인사人事를 밝혔다.’는 것을 깨뜨렸으니, 함괘咸卦의 처음에 이미 이것을 논하였다.
부부夫婦는 오래하지 않을 수 없으므로 항괘恒卦로써 받았으니, 은 오래함이다.
물건은 한 곳에 오랫동안 머물 수 없으므로 돈괘遯卦로써 받았으니, 은 물러감이다.
부부夫婦는 항상 함을 귀함으로 삼는데 물건이 머무는 바는 항상 할 수가 없어서 마땅히 세상에 따라 오르내려서 때로 은둔함이 있는 것이다.
물건은 끝내 물러갈 수 없다.
군자君子소인小人을 멀리하는 것이다. 은둔한 뒤에 형통하니, 어찌 끝까지 할 수 있겠는가. 〈끝까지 은둔한다면〉 소인은 마침내 〈군자를〉 능멸하고 군자는 날로 사라질 것이다.
그러므로 대장괘大壯卦로써 받았고,
이 성하고 이 사라지니, 군자君子가 이기는 것이다.
물건은 끝내 장성할 수 없으므로 진괘晉卦로써 받았으니,
로써 나아가는 것이다.
은 나아감이다.
비록 로써 나아가나 요컨대 이는 나아감이다.
나아가면 반드시 하는 바가 있으므로 명이괘明夷卦로써 받았으니,
해가 중천에 있으면 기울고, 달이 가득 차면 먹힌다.
는 상함이다. 밖에서 상한 자는 반드시 집으로 돌아오므로 가인괘家人卦로써 받았고,
밖에서 상하면 반드시 돌아와 안(집)에서 닦는다.
가도家道는 궁극하면 반드시 괴리된다.
지친至親은 허물이 절도를 잃음에 있다. 그러므로 가인家人의 뜻은 오직 엄함과 공경인 것이다.
이 지나치면 방탕함으로 흐르고 가 지나치면 분열되니, 가인家人이 엄함을 숭상하면 그 병폐가 반드시 괴리된다.
그러므로 규괘睽卦로써 받았으니, 는 괴리됨이다. 괴리되면 반드시 어려움이 있으므로 건괘蹇卦로써 받았으니, 은 어려움이다.
물건은 끝내 어려울 수 없으므로 해괘解卦로써 받았으니, 는 늦춰짐(느슨해짐)이다.
늦춰지면 반드시 잃는 바가 있으므로 손괘損卦로써 받았고, 덜고 그치지 않으면 반드시 더하므로 익괘益卦로써 받았고, 더하고 그치지 않으면 반드시 터진다.
더하고 그치지 않으면 가득 찬다. 그러므로 반드시 터지는 것이다.
그러므로 쾌괘夬卦로써 받았으니, 는 터짐이다. 터지면 반드시 만나는 바가 있다.
바름으로써 를 결단하면 반드시 기쁜 만남이 있게 된다.
그러므로 구괘姤卦로써 받았으니, 는 만남이다. 물건이 서로 만난 뒤에 모이므로 췌괘萃卦로써 받았으니, 는 모임이다.
모여서 올라감을 이라 이르므로 승괘升卦로써 받았고, 올라가고 그치지 않으면 반드시 하므로 곤괘困卦로써 받았고,
위에 한 자는 반드시 아래로 돌아오므로 정괘井卦로써 받았고, 우물의 는 변혁하지 않을 수 없다.
우물이 오래되면 탁하고 더러워지니, 마땅히 그 옛 것을 바꿔야 한다.
그러므로 혁괘革卦로써 받았고, 물건을 변혁시킴은 가마솥만 함이 없으므로 정괘鼎卦로써 받았다.
은 옛 것을 제거하고 은 새것을 취하니, 이미 옛 것을 제거하였으면 마땅히 그릇을 만들고 법을 세워서 새롭게 다스려야 한다.
솥[]은 화제和齊(음식물에 간을 맞추어 조화롭게 함)하여 물건(음식물)을 만들어내어 새것을 만드는 기물이므로 을 취한 것이다.
기물器物을 주관하는 자는 장자長子만 한 자가 없으므로 진괘震卦로써 받았으니, 함이다. 물건은 끝내 동할 수 없어 멈추므로 간괘艮卦로써 받았으니, 은 멈춤이다.
물건은 끝내 멈출 수 없으므로 점괘漸卦로써 받았으니, 은 나아감이다.
나아가면 반드시 돌아오는 바가 있으므로 귀매괘歸妹卦로써 받았고, 돌아갈 곳을 얻은 자는 반드시 커지므로 풍괘豐卦로써 받았으니, 은 큼이다.
큼을 궁극히 하는 자는 반드시 그 거처를 잃으므로 여괘旅卦로써 받았고, 나그네여서 용납될 곳이 없으므로 손괘巽卦로써 받았으니,
나그네여서 용납될 곳이 없을 적에 공손함으로써 하면 출입할 바를 얻는다.
은 들어감이다. 들어간 뒤에 기뻐하므로 태괘兌卦로써 받았으니, 는 기뻐함이다. 기뻐한 뒤에 흩어지므로 환괘渙卦로써 받았으니,
기쁨은 편벽되게 매여서는 안 된다. 그러므로 마땅히 흩어야 하는 것이다.
은 떠남이다.
발양發揚하고 통창하여 막히는 바가 없으면 취향이 다 다르고, 각각 방사放肆하고 돌아오지 않으면 마침내 괴리된다.
물건은 끝내 떠날 수 없으므로 절괘節卦로써 받았고,
일에 절도가 있으면 물건이 함께 지켜서 흩어지지 않는다.
절제하여 믿으므로 중부괘中孚卦로써 받았고,
는 믿음이니, 이미 절도가 있으면 마땅히 믿음으로써 지켜야 한다.
믿음을 〈지킴이〉 있는 자는 반드시 결행하므로 소과괘小過卦로써 받았고,
믿음을 지키는 자는 ‘를 바르게 행하고 작은 신의信義를 기필하지 않음’의 를 잃어서 믿음이 과함이 되므로 소과小過라 한 것이다.
남보다 지나침이 있는 자는 반드시 구제한다.
행실이 공손함을 지나치고(지나치게 공손하고) 가 검소함을 지나치게 하면(지나치게 검소하면) 세상을 바로잡고 풍속을 장려하여 구제하는 바가 있게 된다.
그러므로 기제괘旣濟卦로써 받았고, 사물은 궁극히 할 수 없으므로 미제괘未濟卦로써 받아 끝마친 것이다.
함이 있어 능히 구제하는 자는 자기로써 남을 궁극하게 하는 자이다. 물건이 궁극하면 괴리되고 이 지극하면 혼란하니, 어찌 구제할 수 있겠는가. 그러므로 미제괘未濟卦로써 받은 것이다.


역주
역주1 (往)[主] : 저본에는 ‘往’으로 되어 있으나, 錢本과 宋本에 의거하여 ‘主’로 바로잡았다.(阮元의 〈校勘記〉 참조)
역주2 [門] : 저본에는 ‘門’이 없으나, 四庫全書本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
역주3 故以取其人理也 : 錢本과 宋本은 ‘人理’가 ‘義理’로 되어 있다. 阮元의 〈校勘記〉에 “盧文弨가 이르기를 ‘살펴보건대 이 句의 위에 脫字가 있는 듯하다.’ 하였다.”라고 하였다.
역주4 今驗六十四卦……小過之類是也 : ≪周易≫의 64卦는 둘씩 짝을 지어 배열되어 있는데, 두 卦의 관계가 覆 아니면 變이라는 것이다. ‘覆’은 ‘뒤집어놓음’의 뜻으로, 두 卦가 서로 뒤집어놓은 형태를 취하고 있음을 말하는바, 이를 綜卦라고도 한다. 綜卦는 괘가 그려진 종이를 180도 돌리면 볼 수 있는 卦로, 屯卦䷂와 蒙卦䷃, 需卦䷄와 訟卦䷅, 師卦䷆와 比卦䷇ 등이 覆(綜卦)의 관계이다. ‘變’은 爻의 陰․陽이 변하여 반대가 됨을 말하는데, 이를 錯卦라고도 하는바, 乾卦䷀와 坤卦䷁, 頤卦䷚와 大過卦䷛, 坎卦䷜와 離卦䷝, 中孚卦䷼와 小過卦䷽ 등이 變(錯卦)의 관계이다. ≪주역≫의 卦의 차례는 乾과 坤, 坎과 離, 大過와 頤, 中孚와 小過의 네 경우를 제외하고는 모두 綜卦끼리 짝지어 배열되어 있으며, 旣濟卦䷾와 未濟卦䷿는 綜卦이면서 동시에 錯卦의 관계이다.
‘表裏視之’란 말은 그 뜻이 분명하지 않으나, ‘겉[表]으로 봄’은 卦를 현재 그대로 보는 것이고, ‘속[裏]으로 봄’은 卦를 뒤집어놓고서 보는 것을 가리킨 듯하다.
역주5 且聖人本定先後……故不用周氏之義 : ≪周易≫에서 나열된 두 卦의 관계는 모두 覆(綜) 아니면 變(錯)이지만, 〈序卦傳〉의 서술에서는 이처럼 서로 짝이 되는 관계를 언급하지 않고 卦象과 卦德에 의거하여 전체의 순서를 따라 설명하고 있으므로, 韓康伯의 말이 〈서괘전〉의 본뜻을 잘 설명한 말이 된다는 것이다. 또 周宏正의 說은 짝이 되는 두 卦의 관계를 위주로 한 것이기 때문에 〈서괘전〉의 본뜻과 부합하지 않는다고 평가한 것이다.
역주6 (交)[生] : 저본에는 ‘交’로 되어 있으나, 阮元의 〈校勘記〉에 “‘交’는 ‘生’이 되어야 하니, ≪正義≫로 징험할 수 있다. 毛本에는 옳게 ‘生’자로 되어 있다.”라고 한 것에 의거하여 ‘生’으로 바로잡았다.
역주7 (此)[比] : 저본에는 ‘此’로 되어 있으나, 岳本․宋本․古本․足利本에 의거하여 ‘比’로 바로잡았다.(阮元의 〈校勘記〉 참조)
역주8 [時] : 저본에는 ‘時’가 없으나, ≪周易集解纂疏≫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北京大 整理本 참조)
역주9 (宜)[須] : 저본에는 ‘宜’로 되어 있으나, ≪周易集解纂疏≫에 의거하여 ‘須’로 바로잡았다.(北京大 整理本 참조)
역주10 而泰 : ≪本義≫에 “鼂氏(鼂說之:晁說之)가 이르기를 ‘鄭氏本(鄭玄本)은 「而泰」라는 두 글자가 없다.’ 하였다.”라고 하였다.
역주11 孟子曰吾君不游……吾何以助 : 이 말은 孟子가 晏嬰의 말을 인용하여 말씀한 것으로, 齊 景公이 “어떻게 하여야 나의 관광을 先王의 관광에 견줄 수 있겠냐.”고 물은 데에 대하여 안영이 夏나라의 이 속담을 들어 답한 것이다. ≪孟子≫ 〈梁惠王 下〉에 보이는데, ≪맹자≫에는 ‘吾君’이 ‘吾王’으로 되어 있다.
역주12 紂作靡靡之樂 長夜之飲 : 紂王은 殷나라의 마지막 임금으로, 酒池肉林 고사의 주인공이며, ‘靡靡之樂’은 太師 師延이 紂王을 위해 지었다고 하는 음란한 내용의 음악이며, ‘長夜之飲’은 밤이 새도록 술을 마신다는 뜻이다.
≪史記≫ 권3 〈殷本紀〉에 “〈紂王은〉 沙丘에 수많은 악공들과 광대들을 불러들이고 술로 연못을 만들고 고기를 매달아서 숲을 만들어서 벌거벗은 남녀들로 하여금 그 안에서 서로 쫓아다니게 하면서 밤이 새도록 술을 마시며 놀았다.[樂戲於沙丘 以酒爲池 縣肉爲林 使男女裸 相逐其間 爲長夜之飲]”라고 하였다.
≪韓非子≫ 〈十過〉에는 다음의 고사가 보인다. 衛 靈公이 晉나라로 가던 길에 濮水 앞에서 새로운 음악을 듣고서 師涓에게 이를 익힐 것을 명하였고, 晉나라에 도착하여 平公의 앞에서 그 음악을 연주하게 하였는데, 晉나라 악공인 師曠이 연주를 중단하게 하면서 “이는 나라를 망치는 소리[亡國之聲]입니다. 끝까지 연주해서는 안 됩니다.”라 하고는 이 음악에 대하여 설명하기를 “이는 師延이 지은 것으로, 紂王과 靡靡의 음악을 연주한 것입니다. 武王이 紂王을 치자, 師延은 동쪽으로 달아나다가 濮水에 이르러 스스로 투신하였습니다. 그래서 이 음악을 듣는 사람은 반드시 濮水 가에서 듣게 되는 것입니다. 예전에 이 음악을 들었던 사람들은 그 나라가 반드시 쇠약해졌으니, 끝까지 연주해서는 안 됩니다.[此師延之所作 與紂爲靡靡之樂也 及武王伐紂 師延東走 至於濮水而自投 故聞此聲者 必於濮水之上 先聞此聲者 其國必削 不可遂]”라고 하였다. ‘靡靡’는 강직하지 못하여 柔弱하고 頹靡한 음악을 가리킨다.
역주13 故韓康伯云順以動者……所以非斥先儒也 : ‘즐거움’을 상징하는 豫卦의 뒤에 ‘따름’을 상징하는 隨卦가 오는 것에 대하여, 鄭玄과 王肅은 ‘임금이 즐거워하면 백성들이 따름’의 의미로 해석하였으나, 韓康伯과 孔穎達은 ‘임금이 順과 謙을 행하면 백성들이 기뻐하여 따름’으로 해석하였는바, 기뻐함의 주체를 정현․왕숙은 임금으로, 한강백․공영달은 백성으로 본 것이다.
공영달에 따르면, 한강백의 해석이 先儒(정현․왕숙)의 해석보다 적확한 해석이 되는 이유는, 첫째, 豫卦 〈彖傳〉에서 ‘順함으로 動함’을 豫卦의 德으로 제시하고 있으며, 둘째, 〈序卦傳〉에서 ‘能謙必豫’라 하여 기뻐함의 원인을 겸손함으로 명시하였기 때문이다.
역주14 可大之業 : 〈繫辭傳 上〉에 “친함이 있으면 오래할 수 있고 功이 있으면 커질 수 있으니, 오래할 수 있으면 賢人의 德이요, 커질 수 있으면 賢人의 業이다.[有親則可久 有功則可大 可久則賢人之德 可大則賢人之業]”라고 하였다.
역주15 而周氏等不悟其非……已具論之於經也 : 이 내용은 小過卦 卦辭의 疏에 보인다.
역주16 柔上而剛下 感應以相與 : 咸卦䷞는 上卦가 陰卦인 兌卦☱이고 下卦가 艮卦☶이기 때문에 ‘柔上而剛下’라고 말한 것이다. 또 咸卦는 上卦의 初爻와 下卦의 初爻, 上卦의 中爻와 下卦의 中爻, 上卦의 上爻와 下卦의 上爻가 응함에 모두 서로 陰․陽이 달라서 正應 관계가 되는바, 이 때문에 ‘感應以相與’라고 한 것이다.
역주17 人倫之道……而不係之於(雜)[離]也 : 〈序卦傳〉은 卦가 나열된 차례의 의의를 밝히면서 乾卦부터 離卦까지는 하나로 이어지도록 해설하다가 咸卦에 이르러서는 별도의 서두를 두었는바, 이것이 上經과 下經을 나누는 근거가 된다.
일반적으로는 咸卦에서 下經이 시작되는 이유를 ‘上經은 天道를 위주로 하여 天地(乾坤)를 맨 앞에 놓고, 下經은 人道를 위주로 하여 夫婦(咸恒)를 맨 앞에 놓은 것’으로 본다. 그런데 韓康伯은 이러한 說을 논파하여 ‘咸卦에 이르러 孔子가 별도의 서두를 둔 것은, 부부가 人倫의 道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되기 때문에 咸卦를 離卦의 아래에 이어지는 것으로 보지 않고 별도로 논하여 부부의 도를 높인 것’이라고 설명한 것이다.
역주18 (雜)[離] : 저본에는 ‘雜’으로 되어 있으나, 岳本․宋本․古本․足利本에 의거하여 ‘離’로 바로잡았다.(阮元의 〈校勘記〉 참조)
역주19 韓於此一節注……已論之矣 : 이 내용은 咸卦 卦辭의 疏에 보이는바, 孔穎達은 韓康伯의 說을 지지하면서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上經의 안에 ‘음식에는 반드시 분쟁이 있고 분쟁은 반드시 여럿이 일어남이 있다.’고 밝혔으니, 이는 人事를 겸한 것이고 오로지 天道만을 말하지 않았다. 이미 오로지 天道만을 말하지 않았으면 下經은 오로지 人事만을 말하지 않은 것이 이치상 당연하다.”
역주20 晉 以柔而進也 : 晉卦䷢의 〈彖傳〉에 “柔가 나아가 위로 올라간다.[柔進而上行]”라고 하였는바, 上은 六五를 두고 말한 것이다.
역주21 (日)[月] : 저본에는 ‘日’로 되어 있으나, 岳本․監本․毛本에 의거하여 ‘月’로 바로잡았다.(阮元의 〈校勘記〉 참조)
역주22 樂勝則流 禮勝則離 : 이 말은 ≪禮記≫ 〈樂記〉에 보이는데, 孔穎達의 疏에 “만약 樂이 지나쳐서 화합하고 같게 하면서 禮가 없으면 오만한 데로 흘러서 다시는 尊卑의 공경이 없게 되고, 만약 禮가 지나쳐서 다르게 하고 경계를 나누면서 화락함이 없으면 친속이 분열되어 다시는 골육의 사랑이 없게 된다.[若樂過和同而無禮 則流慢無復尊卑之敬 若禮過殊隔而無和樂 則親屬離析 無復骨肉之愛]”라고 하였다.
역주23 (越)[趣] : 저본에는 ‘越’로 되어 있으나, 岳本․宋本․古本․足利本에 의거하여 ‘趣’로 바로잡았다.(阮元의 〈校勘記〉 참조) 北京大 整理本도 ‘趣’로 교감하였다. 그러나 아래의 注에 ‘散越’이라고 한 것에 의거하면 교감하지 않아도 될 듯한데, 교감하지 않는다면 句를 ‘發暢而无所壅滯 則殊越各肆而不反 則遂乖離也’로 끊고 “發揚하고 통창하여 막히는 바가 없으면 흩어져서 각각 放肆하고 돌아오지 않으니, 그렇게 되면 마침내 괴리된다.”로 번역해야 한다.
역주24 守其信者 則失貞而不諒之道 : 韓康伯은 經文의 ‘有其信者’를 ‘작은 신의를 지킴이 있는 자’의 의미로 본 것인바, ‘貞而不諒’은 ≪論語≫ 〈衛靈公〉에 “君子 貞而不諒”이라고 보이는데, ≪論語注疏≫에 인용된 孔安國의 풀이는 다음과 같다. “貞은 正이고, 諒은 信이다. 君子인 사람은 그 道를 바르게 행하고 말에 작은 信義를 기필하지 않는다.[貞 正 諒 信也 君子之人 正其道耳 言不必小信]”
반면 程伊川은 ‘有其信者’를 ‘자신하는 마음이 있는 자’의 의미로 보고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사람이 자신하는 바는 반드시 행하고 행하면 넘치니, 小過卦가 이 때문에 中孚卦를 이은 것이다.[人之所信則必行 行則過也 小過所以繼中孚也]”

주역정의(4) 책은 2022.01.2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