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周易正義(2)

주역정의(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주역정의(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하니 小利有攸往하니라
[疏]正義曰:賁, 飾也, 以剛‧柔二象, 交相文飾也.
‘賁亨’者, 以柔來文剛, 而得亨通, 故曰“賁亨”也.
‘小利有攸往’者, 以剛上文柔, 不得中正, 故不能大有所往, 故云“小利有攸往”也.
彖曰 賁亨 柔來而文剛이라하고 分剛上而文柔 小利有攸往이라
[注]剛柔不分이면 文何由生이리오 坤之上六 來居二位 柔來文剛之義也 柔來文剛하여 居位得中이라 是以亨이라
乾之九二 分居上位 分剛上而文柔之義也 剛上文柔하여 不得中位하여 不若柔來文剛이라 小利有攸往이라
[疏]‘彖曰’至‘有攸往’
○正義曰:‘賁亨 柔來而文剛 故亨’者, 此釋賁亨之義. 不直言賁, 連云賁亨者, 由賁而致亨, 事義相連也,
若大哉乾元, 以元連乾者也. 柔來而文剛, 故亨, 柔來文剛, 以文相飾, 是賁義也, 相飾卽有爲亨, 故云“賁亨.”
亨之下, 不重以賁字結之者, 以亨之與賁相連而釋, 所以亨下不得重結賁字.
‘分剛上而文柔 故小利有攸, 釋小利有攸往義.
乾體在下, 今分乾之九二, 上向文飾坤之上六, 是分剛上而文柔也.
棄此九二之中, 往居无立之地, 棄善從惡, 往无大利, 故小利有攸往也.
[疏]○注‘剛柔不分’至‘小利有攸往’
乾性剛亢, 故以己九二居坤極, 坤性柔順, 不爲首, 故以己上六下居乾之二位也.
且若柔不分居乾二, 剛不分居坤極, 則不得文明以止故也.
又陽本在上, 陰本在下, 應分剛而下, 分柔而上, 何因分剛向上, 分柔向下者, 今謂此本泰卦故也.
若天地交泰, 則剛‧柔得交, 若乾上坤下, 則是天地否閉, 剛‧柔不得交, 故分剛而上, 分柔而下也.
天文也
[注]剛柔交錯而成文焉 天之文也
[疏]正義曰:天之爲體, 二象剛‧柔, 剛‧柔交錯成文, 是天文也.
文明以止 人文也
[注]止物不以威武而以文明 人之文也
[疏]正義曰:文明, 離也, 以止, 艮也. 用此文明之道, 裁止於人, 是人之文德之敎, 此賁卦之象.
旣有天文‧人文, 欲廣美天文‧人文之義, 聖人用之, 以治於物也.
觀乎天文하여 以察時變하고 觀乎人文하여 以化成天下하니라
[注]觀天之文하면 則時變可知也 觀人之文하면 則化成可爲也
[疏]正義曰:‘觀乎天文 以察時變’者, 言聖人當觀視天文剛‧柔交錯相飾成文, 以察四時變化.
若四月純陽用事, 陰在其中, 死也, 十月純陰用事, 陽在其中, 麥生也, 是觀剛柔而察時變也.
‘觀乎人文 以化成天下’者, 言聖人觀察人文, 則詩‧書‧禮‧樂之謂, 當法此敎而化成天下也.
象曰 山下有火 賁 君子以明庶政하고 无敢折獄하니라
[注]處賁之時하여 止物以文明하고 不可以威刑이라 君子以明庶政하고 而无敢折獄이라
[疏]正義曰:‘山下有火 賁’者, 欲見火上照山, 有光明文飾也.
又取山含火之光明, 象君子內含文明, 以理庶政, 故云“山有火, 賁”也.
‘以明庶政’者, 用此文章明達, 以治理庶政也.
‘无敢折獄’者, 勿得直用果敢, 折斷訟獄.
初九 賁其趾 舍車而徒로다
[注]在賁之始하여 以剛處下하여 居於无位하여 棄於不義하고 安夫徒步하여 以從其志者也 飾其趾 舍車而徒 義弗乘之謂也
[疏]正義曰:在賁之始, 以剛處下, 居於无位之地, 乃棄於不義之車, 而從有義之徒步, 故云“舍車而徒.”
象曰 舍車而徒 義弗乘也
六二 賁其須로다
[注]得其位而无應하고 三亦无應하여 俱无應而比焉하니 近而相得者也
須之爲物 上附者也 循其所履하여 以附於上이라 曰 賁其須也
[疏]正義曰:‘賁其須’者, 須是上於面, 六二常上附於三, 若似賁飾其須也.
循其所履, 以附於上, 與上同爲興起, 故象云“與上興也.”
象曰 賁其須 與上興也
九三 賁如濡如하니 永貞吉하니라
[注]處下體之極하여 居得其位하고 與二相比하여 俱履其正하여 和合相潤하여 以成其文者也
旣得其飾하고 又得其潤이라 曰 賁如濡如也 永保其貞하여 物莫之陵이라 曰 永貞吉也
[疏]正義曰:‘賁如濡如’者, 賁如, 華飾之貌, 濡如, 潤澤之理, 居得其位, 與二相比, 和合文飾, 而有潤澤, 故曰“賁如濡如.”
其美如此, 長保貞吉, 物莫之陵, 故象云“永貞之吉, 終莫之陵也.”
象曰 永貞之吉 終莫之陵也
六四 賁如皤如하며 白馬翰如 匪寇 婚媾하리라
[注]有應在初 而閡於三하여 爲己寇難하니 二志相感이나 不獲通亨하여 欲靜則疑初之應하고 欲進則懼三之難이라
或飾或素하여 內懷疑懼也 鮮絜其馬하여 翰如以待하니 雖履正位 未敢果其志也
三爲剛猛하여 未可輕犯하니 匪寇乃婚하면 終无尤也
[疏]‘象曰永貞之吉’至‘匪寇婚媾’
○正義曰:‘賁如皤如’者, 皤是素白之色. 六四有應在初, 欲往從之, 三爲己難, 故己猶豫. 或以文絜, 故賁如也, 或守質素, 故皤如也.
‘匪寇 婚媾’者, 若非九三爲己寇害, 乃得與初爲婚媾也.
象曰 六四 當位疑也 匪寇婚媾 終无尤也리라
[疏]正義曰:‘六四當位疑’者, 以其當位得與初爲應, 但礙於三, 故遲疑也. 若不當位, 則與初非應, 何須欲往而致遲疑也.
六五 賁于丘園하여 束帛戔戔하니이라야 終吉하리라
[注]處得尊位하여 爲飾之主하니 飾之盛者也 施飾於物 其道害也 施飾丘園 盛莫大焉이라
賁于束帛하면 丘園乃落하고 賁于丘園하면 帛乃戔戔이라 用莫過儉하니 泰而能約이라 必吝焉이라야 乃得終吉也
[疏]‘六五賁于丘園’至‘終吉’
若能施飾在於質素之處, 不華侈費用, 則所束之帛, 戔戔衆多也.
‘吝終吉’者, 初時儉約, 故是其吝也, 必儉約之吝, 乃得終吉而有喜也, 故象云“六五之吉, 有喜也.”
[疏]○注‘處得尊位’至‘乃得終吉也’
○正義曰:‘爲飾之主 飾之盛’者, 若宮室輿服之屬, 五爲飾主. 若施設華飾在於輿服宮館之物, 則大道損害也.
‘施飾丘園 盛莫大焉’者, 丘謂丘墟, 園謂園圃, 唯草木所生, 是質素之處, 非華美之所.
若能施飾, 每事質素, 與丘園相似, 盛莫大焉.
[疏]‘故賁于束帛 丘園乃落’者, 束帛, 財物也, 擧束帛言之, 則金銀珠玉之等, 皆是也.
若賁飾於此束帛珍寶, 則素質之道乃隕落, 故云“丘園乃落”也.
‘賁于丘園 帛乃戔戔’者, 設飾在於丘園質素之所, 費財物, 束帛乃戔戔衆多也.
諸儒以爲“若賁飾束帛, 不, 則丘園之(上)[士]乃落也,
若賁飾丘園之士與之, 故束帛乃戔戔也.” 諸家注易, 多爲此解.
但今案輔嗣之注, 全无聘賢之意, 且爻之與象, 亦无待士之文.
輔嗣云“用莫過儉, 泰而能約, 故必吝焉, 乃得終吉.” 此則普論爲國之道, 不尙華侈, 而貴儉約也.
若從先師, 唯用束帛招聘丘園, 以儉約待賢, 豈其義也.
所以漢聘隱士, 或乃用羔‧鴈‧‧駟馬, 豈止束帛之間, 而云儉約之事. 今觀注意, 故爲此解耳.
象曰 六五之吉 有喜也
上九 白賁 无咎니라
[注]處飾之終하여 飾終反素 在其質素하고 不勞文飾而无咎也 以白爲飾하여 而无患憂하여 得志者也
[疏]正義曰:‘白賁 无咎’者, 處飾之終, 飾終則反素, 故其質素, 不勞文飾,
故曰“白賁, 无咎”也. 守志任眞, 得其本性, 故象云“上得志也”, 言居上得志也.
象曰 白賁无咎 上得志也


賁는 형통하니, 가는 바를 둠이 조금 이롭다.
正義曰:‘賁’는 꾸밈이니, 剛과 柔 두 象이 서로 文飾하는 것이다.
[賁亨] 柔가 와서 剛을 문식하여 형통함을 얻었으므로 “賁는 형통하다.”라고 한 것이다.
[小利有攸往] 剛이 위로 올라가서 柔를 문식하여 中正함을 얻지 못하였으므로 크게 갈 바를 두지 못한다. 그러므로 “갈 바를 둠이 조금 이롭다.”라고 한 것이다.
〈彖傳〉에 말하였다. “賁가 형통함은 柔가 와서 剛을 문식하였으므로 형통한 것이요, 剛을 나누어 위로 올라가서 柔를 문식하였으므로 갈 바를 둠이 조금 이로운 것이다.
剛과 柔를 나누지 않으면 文이 어디에서 생기겠는가. 그러므로 坤의 上六이 와서 二位에 거함은 柔가 와서 剛을 문식한 뜻이니, 柔가 와서 剛을 문식하여 正位에 거하고 中을 얻었다. 이 때문에 형통한 것이다.
乾의 九二가 나뉘어 윗자리에 거함은 剛을 나누어 위로 올라가서 柔를 문식한 뜻이니, 剛이 위로 올라가서 柔를 문식하여 中의 자리를 얻지 못해서, 柔가 와서 剛을 문식함만 못하다. 그러므로 갈 바를 둠이 조금 이로운 것이다.
經의 [彖曰]에서 [有攸往]까지
○正義曰:[賁亨 柔來而文剛 故亨] 이는 “賁는 형통함[賁亨]”의 뜻을 해석한 것이다. 단지 ‘賁’만 말하지 않고 ‘賁亨’이라고 연이어 말한 것은 꾸밈으로 말미암아 형통함을 이루어서 일과 뜻이 서로 연결된 것이니,
‘大哉乾元’에서 ‘元’을 ‘乾’과 연결한 것과 같다. 柔가 와서 剛을 문식하였기 때문에 형통하다는 것은, 柔가 와서 剛을 문식함은 文으로써 서로 꾸미는 것이니 이는 賁의 뜻이요, 서로 꾸미면 즉시 형통함이 되기 때문에 “賁가 형통하다.”라 한 것이다.
‘亨’의 아래에 거듭 賁자로 맺지 않은 것은 亨과 賁를 서로 연결하여 해석한 것이니, 이 때문에 亨 아래에 거듭 賁자를 맺지 못한 것이다.
[分剛上而文柔 故小利有攸往] ‘가는 바를 둠이 조금 이로움’의 뜻을 해석한 것이다.
乾의 體가 아래에 있는데 이제 乾의 九二를 나누어서 위로 향하여 坤의 上六을 문식하였으니, 이는 剛을 나누어 위로 올라가서 柔를 문식한 것이다.
이 九二의 中을 버리고 가서 지위가 없는 자리에 거하였으니, 善을 버리고 惡을 따른 것이어서 감에 큰 이로움이 없다. 그러므로 가는 바를 둠이 조금 이로운 것이다.
○注의 [剛柔不分]에서 [小利有攸往]까지
○正義曰:坤의 上六이 어찌하여 二位에 와서 거하고 初位와 三位에 거하지 않으며, 乾의 九二가 어찌하여 나누어 上位에 거하고 五位에 거하지 않았는가?
이는 乾의 성질이 강하고 높기 때문에 자기의 九二로서 坤의 極에 거하고, 坤의 성질이 유순하여 물건의 머리가 되지 않기 때문에 자기의 上六으로서 내려와 乾의 二位에 거한 것이다.
또 만약 柔가 나뉘어 乾의 二位에 거하지 않고, 剛이 나뉘어 坤의 極에 거하지 않았으면 ‘문명으로 그치게 함’을 얻을 수 없기 때문이다.
또 陽은 본래 위에 있고 陰은 본래 아래에 있으니, 응당 剛을 나누어 아래로 내려가고 柔를 나누어 위로 올라가야 하는데, 무슨 이유로 剛을 나누어 위로 향하고 柔를 나누어 아래로 향했는가? 이는 지금 이것이 본래 泰卦임을 말했기 때문이다.
만약 天地가 交泰하면 剛과 柔가 사귐을 얻는데, 만약 乾이 위에 있고 坤이 아래에 있으면 天地가 否塞하고 막혀서 剛과 柔가 사귈 수가 없다. 그러므로 剛을 나누어 위로 올라가고 柔를 나누어 아래로 내려간 것이다.
이는 天文이요,
剛과 柔가 서로 갈마들어 文을 이룸은 하늘의 文(문채)이다.
正義曰:하늘의 體는 두 象이 剛과 柔이니, 剛과 柔가 갈마들어 文을 이룸은 바로 하늘의 文이다.
문명으로 그치게 함은 사람의 文이다.
물건을 그치게 하기를 威武로써 하지 않고 文明으로써 함은 사람의 文이다.
正義曰:‘文明’은 離이고, ‘以止’는 艮이다. 이 文明한 道를 사용해서 사람을 제재하여 그치게 함은 바로 사람의 文德의 가르침이니, 이는 賁卦의 象이다.
이미 天文과 人文이 있으면 天文과 人文의 뜻을 넓혀 아름답게 하고자 하니, 聖人이 이것을 사용하여 물건을 다스리는 것이다.
天文을 관찰하여 四時의 변화를 살피고, 人文을 관찰하여 천하를 교화하여 이룬다.”
하늘의 文을 관찰하면 四時의 변화를 알 수 있고, 사람의 文을 관찰하면 교화하여 이룸을 할 수 있는 것이다.
正義曰:[觀乎天文 以察時變] 聖人이 마땅히 天文의 剛과 柔가 서로 갈마들어 서로 꾸며서 文을 이룸을 보고서 사시의 변화를 살펴야 함을 말한 것이다.
만약 4월에 純陽이 用事할 적에 陰이 이 가운데에 있으면 靡草가 죽고, 10월에 純陰이 用事할 적에 陽이 이 가운데에 있으면 냉이와 보리가 나는 것과 같으니, 이는 剛과 柔를 관찰하여 四時의 변화를 살피는 것이다.
[觀乎人文 以化成天下] 聖人이 人文을 관찰함은 詩ㆍ書ㆍ禮ㆍ樂을 이르니, 마땅히 이 가르침을 본받아서 천하를 교화하여 이루는 것이다.
〈象傳〉에 말하였다. “산 아래에 불이 있는 것이 賁卦이니, 君子가 이것을 보고서 여러 政事를 밝히고 獄事를 결단함에 과감히 하지 않는다.”
賁의 때에 처하여 물건을 그치게 하기를 文明으로써 하고 위엄과 형벌로써 해서는 안 된다. 그러므로 군자가 이것을 보고서 여러 政事를 밝히고 獄事를 결단함에 과감히 하지 않는 것이다.
正義曰:[山下有火 賁] 불이 위로 산을 비추어서 光明하게 문식함이 있음을 보이고자 한 것이다.
또 산이 불의 光明함을 머금음을 취하여 君子가 안에 文明을 머금어 여러 政事를 다스림을 형상하였다. 그러므로 “산 아래에 불이 있는 것이 賁卦이다.”라고 한 것이다.
[以明庶政] 이 文章의 밝고 통달함을 사용하여 여러 정사를 다스리는 것이다.
[无敢折獄] 곧바로 과감함을 사용하여 訟事와 獄事를 결단하지 말아야 하는 것이다.
初九는 그 발을 꾸밈이니, 수레를 버리고 도보로 가도다.
賁의 시초에 있으면서 剛으로서 아래에 처하여 지위가 없는 자리에 거해서, 의롭지 못한 수레를 버리고 도보를 편안히 여겨 그 뜻을 따르는 자이다. 그러므로 ‘그 발을 꾸밈이니, 수레를 버리고 도보로 감’은 의리상 수레를 타지 않음을 이른 것이다.
正義曰:賁의 시초에 있으면서 剛으로서 아래에 처하여 지위가 없는 자리에 거함은 바로 의롭지 못한 수레를 버리고 의리가 있는 도보를 따르는 것이다. 그러므로 “수레를 버리고 도보로 간다.”라고 하였다.
뜻과 행실이 고결하여 구차히 수레를 탐에 나아가지 않으니, 이는 의리상 수레를 타려 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象傳〉에 “의리상 타지 않는다.”라고 한 것이다.
〈象傳〉에 말하였다. “수레를 버리고 도보로 감은 의리상 타지 않는 것이다.”
六二는 그 수염을 꾸미도다.
正位를 얻었으나 應이 없고 九三 또한 應이 없어서 모두 應이 없이 가까이 있으니, 가까우면 서로 뜻이 맞는 자이다.
수염이란 물건은 위로 붙어 있는 것이니, 자기가 밟은 바를 따라 위에 붙는다. 그러므로 “그 수염을 꾸민다.”라고 말한 것이다.
正義曰:[賁其須] 수염은 위로 얼굴에 붙어 있으니, 六二가 항상 위로 九三에 붙어 있음이 마치 그 수염을 꾸미는 것과 같은 것이다.
자기가 밟는 바를 따라 위에 붙어서 위와 더불어 함께 흥기한다. 그러므로 〈象傳〉에 “위와 더불어 일어난다.”라고 한 것이다.
〈象傳〉에 말하였다. “그 수염을 꾸밈은 위와 더불어 일어나는 것이다.”
九三은 꾸미고 윤택하니, 영구히 貞固하여 길하다.
下體의 極에 처하여 거함이 正位를 얻었고 六二와 서로 가까운데 모두 正位를 밟고 있어서 화합하고 서로 윤택하여 문체를 이루는 자이다.
이미 꾸밈을 얻고 또 윤택함을 얻었으므로 “꾸미고 윤택하다.”라고 한 것이요, 영구히 그 貞固함을 보존하여 물건이 능멸하지 못한다. 그러므로 “영구히 貞固하여 길하다.”라고 한 것이다.
正義曰:[賁如濡如] ‘賁如’는 화려하게 꾸미는 모양이요, ‘濡如’는 윤택한 이치이니, 거함이 正位를 얻었고 六二와 더불어 서로 가까워 화합하여 문식해서 윤택함이 있다. 그러므로 “꾸미고 윤택하다.”라고 한 것이다.
그 아름다움이 이와 같으면서 장구하게 貞吉을 보존하여 물건이 능멸하지 못한다. 그러므로 〈象傳〉에 “永貞의 길함은 끝내 능멸하는 이가 없다.”라고 한 것이다.
〈象傳〉에 말하였다. “永貞의 길함은 끝내 능멸하는 이가 없는 것이다.”
六四는 꾸미고 희며 白馬가 깨끗하니, 寇難이 있지 않으면 혼인하리라.
應이 初九에 있으나 九三에게 막혀서 자기의 寇難이 되니, 〈初九와 六四〉 두 뜻이 서로 감응하나 형통함을 얻지 못하므로, 고요하고자 하면 初九의 應을 의심하고 나아가고자 하면 九三의 寇難을 두려워한다.
그러므로 혹 꾸미고 혹 흰색이어서 안에 疑懼心을 품는 것이다. 그 말[馬]을 깨끗이 하여 翰如로써 기다리니, 비록 正位를 밟고 있으나 그 뜻을 과감히 시행하지 못한다.
또 九三이 강하고 사나워서 경솔히 범할 수가 없으니, 寇難이 있지 않아서 마침내 혼인하면 끝내 허물이 없는 것이다.
經의 [象曰永貞之吉]에서 [匪寇婚媾]까지
○正義曰:[賁如皤如] ‘皤’는 素白의 색깔이다. 六四가 應이 初九에 있어서 가서 따르고자 하나 九三이 자기의 寇難이 되었다. 그러므로 자기가 머뭇거리는 것이다. 혹 문채와 깨끗함을 쓰기 때문에 ‘賁如’이고, 혹 질박함과 素白을 지키기 때문에 ‘皤如’이다.
[白馬翰如] 다만 말을 깨끗이 하여 그 색이 翰如하여 배회하고 기다리며 감히 곧바로 나아가지 않는 것이다. [匪寇 婚媾] 만약 九三이 자기의 寇害가 됨이 아니면 비로소 初九와 더불어 혼인할 수 있는 것이다.
〈象傳〉에 말하였다. “六四는 당한 자리가 의심스럽기 때문이니, 寇難이 있지 않아 혼인하면 끝내 허물이 없으리라.”
正義曰:[六四當位疑] 당한 자리가 初九와 應이 되나 다만 九三에 막혀 있기 때문에 주저하고 의심하는 것이다. 만약 자리에 해당하지 않으면 初九와 應이 아니니, 어찌 굳이 가고자 하여 주저하고 의심함을 이루겠는가.
[匪寇婚媾 終无尤] ‘寇難이 있지 않아 혼인함’의 뜻을 해석한 것이다. 만약 寇難이 있지 않을 때를 기다려서 비로소 혼인을 하면 끝내 허물이 없을 것이요, 만약 寇難을 범하고 혼인을 하면 끝내 허물이 있는 것이다.
六五는 丘園을 꾸며서 묶어놓은 비단이 많고 많으니, 인색하여야 끝내 길하리라.
처함이 尊位를 얻어서 꾸밈의 주체가 되었으니, 꾸밈이 성한 자이다. 물건에게 꾸밈을 베풂은 그 道가 해롭고, 丘園에 꾸밈을 베풀면 성함이 이보다 클 수가 없다.
그러므로 묶어놓은 비단을 꾸미면 丘園이 마침내 떨어지고, 丘園을 꾸미면 비단이 마침내 많은 것이다. 씀은 검소함보다 더 좋은 것이 없으니, 많은데도 능히 검소하기 때문에 반드시 인색하여야 비로소 끝내 길함을 얻는 것이다.
經의 [六五賁于丘園]에서 [終吉]까지
○正義曰:[賁于丘園] ‘丘園’은 바로 질박하고 소박한 곳이다. 六五가 처함이 尊位를 얻어서 꾸밈의 주체가 되었으니,
만약 꾸밈을 베풂이 질박하고 검소한 곳에 있어서 화려하고 사치하게 허비하여 쓰지 않으면 묶어놓은 비단이 戔戔하여 많은 것이다.
[吝終吉] 처음의 때에 검약하기 때문에 이것이 바로 인색한 것이요, 반드시 검약하여 인색하여야 비로소 끝내 길함을 얻어 기쁨이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象傳〉에 “六五의 길함은 기쁨이 있는 것이다.”라고 한 것이다.
○注의 [處得尊位]에서 [乃得終吉也]까지
○正義曰:[爲飾之主 飾之盛] 궁실과 수레와 의복 같은 등속이니, 六五가 꾸밈의 주체가 된다. 만약 화려하게 꾸밈을 베풂이 수레와 의복과 궁관의 물건에 있으면 大道가 손상된다.
[施飾丘園 盛莫大焉] ‘丘’는 丘墟를 이르고 ‘園’은 園圃를 이르니, 오직 초목이 자라는 곳으로, 이는 질박하고 검소한 곳이요, 화려하고 아름다운 곳이 아니다.
만약 능히 꾸밈을 베풀 적에 매사를 질박하고 검소하게 하여 丘園과 서로 같게 하면 성함이 이보다 더 클 수 없다.
[故賁于束帛 丘園乃落] ‘束帛’은 재물이니, 束帛을 들어 말했으면 金銀과 珠玉 등도 다 이것이다.
만약 이러한 束帛과 진귀한 보물의 꾸밈을 하면 소박하고 질박한 道가 마침내 떨어진다. 그러므로 “丘園이 마침내 떨어진다.”라고 말한 것이다.
[賁于丘園 帛乃戔戔] 꾸밈을 베풂이 丘園처럼 질박하고 검소한 곳에 있으면 재물을 함부로 허비하지 아니하여 束帛이 마침내 戔戔하여 많은 것이다.
여러 학자들은 “만약 束帛을 꾸며서 선비를 초빙하는 데에 사용하지 않으면 丘園의 선비가 마침내 떨어지니,
丘園의 선비를 꾸며서 주는 것과 같기 때문에 束帛이 마침내 많고 많은 것이다.”라고 하였으니, 諸家들은 ≪周易≫을 注解할 적에 대체로 이렇게 해석하였다.
다만 지금 살펴보건대, 王輔嗣(王弼)의 注에 어진 이를 초빙하는 뜻이 전혀 없고, 또 爻辭와 〈象傳〉에 또한 선비들을 대우하는 글이 없다.
王輔嗣가 이르기를 “씀은 검소함보다 더한 것이 없으니, 많은데도 능히 검소하기 때문에 반드시 인색하여야 비로소 끝내 길함을 얻는다.”라고 하였으니, 이는 나라를 다스리는 道가 화려함과 사치함을 숭상하지 않고 검약함을 귀하게 여김을 널리 논한 것이다.
만약 先師를 따를 적에 오직 束帛을 사용하여 丘園에 있는 선비를 초빙한다면, 검약함으로써 賢者를 대우하는 것이니, 어찌 옳은 의리이겠는가.
이 때문에 漢나라가 隱士를 초빙할 적에 혹 염소와 기러기와 玄纁과 蒲輪과 駟馬를 사용하였으니, 어찌 束帛의 사이에 그치고는 검약한 일이라고 말하겠는가. 지금 注의 뜻을 살펴보았으므로 이러한 해석을 한 것이다.
〈象傳〉에 말하였다. “六五의 길함은 기쁨이 있는 것이다.”
上九는 白色으로 꾸밈이니 허물이 없다.
꾸밈의 끝에 처하여 꾸밈이 끝나면 소박함으로 돌아오므로 質素함에 맡기고 수고롭게 문식하지 아니하여 허물이 없는 것이다. 백색으로 꾸밈을 하여 근심이 없어서 뜻을 얻은 자이다.
正義曰:[白賁 无咎] 꾸밈의 끝에 처하였으니, 꾸밈이 끝나면 소박함으로 돌아오므로 質素함에 맡기고 수고롭게 문식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백색으로 꾸밈이니 허물이 없다.”라고 하였다. 뜻을 지키고 진솔함에 맡겨서 본성을 얻었다. 그러므로 〈象傳〉에 “上이 뜻을 얻었다.”라고 하였으니, 上位에 거하면서 뜻을 얻음을 말한 것이다.
〈象傳〉에 말하였다. “‘백색으로 꾸밈이니 허물이 없음’은 上이 뜻을 얻은 것이다.”


역주
역주1 (住)[往] : 저본에는 ‘住’로 되어 있으나, 閩本ㆍ監本ㆍ毛本에 의거하여 ‘往’으로 바로잡았다.[阮刻本 참조]
역주2 〈者〉 : 저본에는 ‘者’가 없으나, 錢本ㆍ宋本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阮刻本 참조]
역주3 (順)[物] : 저본에는 ‘順’으로 되어 있으나, 錢本ㆍ宋本에 의거하여 ‘物’로 바로잡았다.[阮刻本 참조]
역주4 坤之上六……分柔而下也 : 王弼과 孔穎達은 賁卦䷕를 泰卦䷊에서 온 것으로 보았다. 따라서 六二는 泰卦 上六이 二位로 와서 陰爻가 된 것으로, 이것이 〈彖傳〉의 “柔來而文剛”이고, 上九는 泰卦 九二가 上位로 가서 陽爻가 된 것으로, 이것이 〈彖傳〉의 “分剛上而文柔”이다. ‘分剛上’은 下卦인 乾卦에서 陽爻가 분리되어 上卦로 올라감을 말한다. 이는 卦變說에 의거하여 卦를 설명하는 것인데, 의리를 위주로 하는 王弼이나 程伊川은 이에 대한 자세한 說이 없다. 이 부분에서는 程伊川도 “下體는 본래 乾인데 柔가 와서 그 가운데를 문식하여 離卦가 되었고, 上體는 본래 坤인데 剛이 가서 그 上을 문식하여 艮이 되었다.[下體本乾 柔來文其中而爲離 上體本坤 剛往文其上而爲艮]”라고 하여, 王弼ㆍ孔穎達의 해석과 같다.
반면 朱子는 象數에도 소홀하지 않았기 때문에 卦變에 대해서는 특별히 北宋 李之才의 卦變說을 채택하여 그의 〈64卦相生圖〉를 〈易本義圖〉에 싣고 이를 ‘卦變圖’라 하였다. 이 卦變圖에 따라 여기에서도 朱子는 “卦가 損卦䷨로부터 온 것은 柔가 三에서 와서 二를 문식하고 剛이 二에서 올라가 三을 文飾하며, 旣濟卦䷾로부터 온 것은 柔가 上에서 와서 五를 문식하고 剛이 五에서 올라가 上을 문식하였다.[卦自損來者 柔自三來而文二 剛自二上而文三 自旣濟而來者 柔自上來而文五 剛自五上而文上]”라고 설명하였다.
역주5 靡草 : ≪禮記≫ 〈月令〉의 孟夏之月에 “靡草가 죽으면 麥秋가 이른다.[靡草死 麥秋至]”라고 보이는바, 靡草는 陰類로 陽이 성하면 죽는 식물이다. 孔穎達은 “가지와 잎이 미세하기 때문에 靡草라고 이른다.”라고 疏를 내었다.
역주6 (齊)[薺] : 저본에는 ‘齊’로 되어 있으나, 錢本ㆍ宋本에 의거하여 ‘薺’로 바로잡았다.[阮刻本 참조]
역주7 〈下〉 : 저본에는 ‘下’가 없으나, 毛本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阮刻本 참조]
역주8 以其志行高絜……故象云義弗乘也 : 程伊川은 初九가 가까이 있는 六二와 응하지 않고 六四와 응하는 것이 바로 의롭지 못한 수레(六二)를 버리고 의로운 도보(六四)를 택하는 것과 같다고 하였다. 六二는 가깝기 때문에 편한 수레가 되지만 初位와 二位가 응하는 것은 正道가 아니기 때문에 의롭지 못한 수레가 되는 것이다.
역주9 (須)[附] : 저본에는 ‘須’로 되어 있으나, 毛本에 의거하여 ‘附’로 바로잡았다.[阮刻本 참조]
역주10 白馬翰如者……未敢輒進也 : ‘白馬翰如’를 王弼과 孔穎達은 백마를 깨끗이 한 채로 주저하며 기다리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반면 程伊川과 朱子는 ‘翰如’를 ‘나는 듯이 빠름’으로 해석하였다. 程伊川은 “正應을 따르는 뜻이 나는 듯하므로 ‘翰如’라 하였다.[其從正應之志如飛 故云翰如]” 하였고, 朱子는 “가서 구하려는 마음이 나는 듯이 빠른 것이다.[其往求之心 如飛翰之疾也]” 하였다.
역주11 匪寇婚媾……則終无尤過 : ‘終无尤也’를 孔穎達은 끝내 허물이 없음으로 보았고, 朱子 역시 ‘尤’를 ‘患’으로 해석하였다. 반면 程伊川은 初九와 六四가 응하는 것이 正道이기 때문에 혼인함에 ‘원망’이 없다는 의미로 해석하였다.
역주12 賁于丘園者……有喜也 : 六五의 爻辭를 王弼과 孔穎達은 “六五가 비어 있는 곳인 丘園을 꾸며 허비하지 않으므로 비단이 많아지니, 이처럼 꾸밈을 검소하고 인색하게 해야 길함을 얻는다.”의 의미로 해석하였다. 여기에서 ‘戔戔’은 ‘많음’의 뜻이며, ‘吝’은 ‘인색함’의 뜻이다.
반면 程伊川은 丘園을 ‘높고 가까운 곳으로 上九를 가리키는 것’으로 보고 ‘戔戔’을 ‘재단하여 분열한 모양’으로 보아, 經文의 의미를 “六五가 가깝고 높은 곳인 上九에게서 꾸밈을 받아 그에게 제재를 받으므로 마치 束帛이 재단되어 있는 것처럼 하니, 남에게 꾸밈을 의뢰하여 비록 부끄러우나 남의 꾸밈을 받아 功을 누리므로 길하다.”로 해석하였다.
朱子는 이와 또 다른바, ‘戔戔’을 ‘적음’의 뜻으로 보고, “六五가 柔中으로 賁의 주체가 되어 근본을 돈독히 하고 실질을 숭상하니, 꾸미는 道를 얻었다. 그러므로 ‘丘園’의 象이 있는 것이다. 그러나 陰의 성질은 인색하기 때문에 ‘束帛戔戔’의 象이 있는 것이다. 束帛은 박한 물건이요 戔戔은 작다는 뜻이니, 사람으로서 이와 같으면 비록 부끄러울 만하나 禮는 사치하기보다는 차라리 검소해야 하므로 끝내 길함을 얻는 것이다.[六五柔中 爲賁之主 敦本尙實 得賁之道 故有丘園之象 然陰性吝嗇 故有束帛戔戔之象 束帛 薄物 戔戔 淺小之意 人而如此 雖可羞吝 然禮奢寧儉 故得終吉]”라고 하였다. 程伊川과 朱子의 해석에서 ‘吝’은 ‘부끄러움’의 뜻이다.
역주13 (用不士)[則不靡] : 저본에는 ‘用不士’로 되어 있으나, 宋本에 의거하여 ‘則不靡’로 바로잡았다.[阮刻本 참조]
역주14 (困)[用] : 저본에는 ‘困’으로 되어 있으나, 毛本에 의거하여 ‘用’으로 바로잡았다.[阮刻本 참조]
역주15 (上)[士] : 저본에는 ‘上’으로 되어 있으나, 毛本에 의거하여 ‘士’로 바로잡았다. 아래의 ‘上’도 같다.[阮刻本 참조]
역주16 玄纁蒲輪 : 玄纁은 검은 비단과 붉은 비단인데, 후대에는 푸른 비단과 붉은 비단을 사용한다. 蒲輪은 부들풀을 수레바퀴에 싸서 진동을 적게 한 것으로, 封禪이나 어진 선비를 초빙할 때에 사용하였다.
역주17 (在)[任] : 저본에는 ‘在’로 되어 있으나, 岳本ㆍ宋本ㆍ古本ㆍ足利本에 의거하여 ‘任’으로 바로잡았다.[阮刻本 참조]

주역정의(2) 책은 2019.10.15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