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周易正義(3)

주역정의(3)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주역정의(3)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小亨하니
[注]全以巽爲德하니 是以小亨也 上下皆巽하여 不違其令이라야 命乃行也 申命行事之時 上下不可以不巽也
[疏]正義曰:‘巽’者, 卑順之名. 說卦云“巽, 入也.” 蓋以巽是象風之卦, 風行, 無所不入, 故以入爲訓.
若施之於人事, 能自卑巽者, 亦無所不容. 然巽之爲義, 以卑順爲體, 以容入爲用, 故受巽名矣.
上下皆巽, 不爲違逆, 君唱臣和, 敎令乃行, 故於重巽之卦, 以明申命之理.
利有攸往하며
[注]巽悌以行이면 物无距也
[疏]正義曰:巽悌以行, 物无違距, 故曰“利有攸往.”
利見大人하니라
[注]大人用之 道愈隆이라
彖曰 重巽以申命하나니
[注]命乃行也 未有不巽而命行也
[疏]正義曰:此卦以卑巽爲名, 以申命爲義, 故就二體上下皆巽, 以明可以申命也.
上巽, 能接於下, 下巽, 能奉於上, 上下皆巽, 命乃得行, 故曰“重巽以申命”也.
剛巽乎中正而志行하며
[注]以剛而能用巽하고 處乎中正 物所與也
[疏]正義曰:‘剛巽乎中正而志行’者, 雖上下皆巽, 若命不可從, 則物所不與也.
故又因二ㆍ五之爻, 剛而能巽, 不失其中, 所以志意得行, 申其命令也.
柔皆順乎剛이라
[注]明无違逆故 得小亨이라
[疏]‘柔皆順乎剛’
○正義曰:‘柔皆順乎剛’者, 剛雖巽爲中正, 柔若不順乎剛, 何所申其命乎.
故又就初ㆍ, 各處卦下, 柔皆順剛, 无有違逆, 所以敎命得申, 成小亨以下之義也.
[疏]○注‘明无違’至‘得小亨’
○正義曰:案彖倂擧小亨ㆍ利有攸往ㆍ利見大人以結之, 則柔皆順剛之意, 不專釋小亨二字,
而注獨言“明无違逆, 故得小亨”者, 褚氏云“夫, 其道乃弘, 柔皆順剛, 非大通之道,
所以文王係小亨之辭, 孔子致皆順之釋.” 案王注上下卦之體, 皆以巽言之,
是以小亨하니 利有攸往하며 利見大人하니라
[疏]正義曰:是以小亨以下, 釋經結也.
象曰 隨風이니 君子以申命行事하나니라
[疏]正義曰:‘隨風 巽’者, 兩風相隨, 故曰“隨風”, 風旣相隨, 物无不順, 故曰“隨風, 巽.”
‘君子以申命行事’者, 風之隨至, 非是令初, 故君子之以申命行事也.
初六 進退 利武人之貞이니라
[注]處令之初하여 未能服令者也 進退也 成命齊邪 莫善武人이라 利武人之貞以整之하니라
[疏]正義曰:初六, 處令之初, 法未宣著, 體於柔巽, 不能自決, 心懷進退, 未能從令者也.
象曰 進退 志疑也일새요
[注]巽順之志 進退疑懼
[疏]正義曰:‘志疑’者, 欲從之, 則未明其令, 欲不從, 則懼罪及己, 志意懷疑, 所以進退也.
利武人之貞 志治也
九二 巽在牀下 用史巫하면 紛若吉하여 无咎리라
[注]處巽之中하여 旣在下位하고 而復以陽居陰하니 卑巽之甚이라 曰 巽在牀下也라하니라
卑甚失正이면 則入于咎過矣어늘 能以居中而施至卑於神祗하고 而不用之於威勢하면 則乃至于紛若之吉하여 而亡其過矣
曰 用史巫하면 紛若吉하여 无咎也라하니라
[疏]正義曰:‘巽在牀下’者, 九二處巽下體, 而復以陽居陰, 卑巽之甚, 故曰“巽在牀下.”
‘用史巫 紛若吉 无咎’者, 並是接事鬼神之人也. 紛若者, 盛多之貌.
卑甚失正, 則入於過咎. 人有威勢, 易爲行恭, 神道无形, 多生怠慢,
若能用居中之德, 行至卑之道, 用之於神祗, 不行之於威勢, 則能致之於盛多之吉, 而无咎過,
象曰 紛若之吉 得中也일새라
九三 頻巽이니하니라
[注]頻 頻蹙하여 不樂而窮하니 不得已之謂也 以其剛正而爲四所乘하여 志窮而巽이라 是以吝也
[疏]正義曰:‘頻巽 吝’者, 頻者, 頻蹙憂戚之容也. 九三體剛居正, 爲四所乘, 是志意窮屈, 不得申遂也.
象曰 頻巽之吝 志窮也일새라
[疏]正義曰:‘志窮’者, 志意窮屈, 所以爲吝也.
六四 悔亡하니 田獲三品이로다
[注]乘剛 悔也이나 得位承五하여 卑得所奉이라 雖以柔乘剛이나 而依尊履正하니 以斯行命이면 必能獲强暴하여 遠不仁者也
獲而有益 莫善三品이라 曰 悔亡이니 田獲三品이라하니라 一曰 乾豆 二曰 賓客이요 三曰 充君之庖
[疏]正義曰:‘悔亡 田獲三品’者, 六四有乘剛之悔, 然得位承尊, 得其所奉,
雖以柔乘剛, 而依尊履正, 以斯行命, 必能有功, 取譬田獵, 能獲而有益, 莫善三品, 所以得悔亡.
象曰 田獲三品 有功也
[疏]正義曰:‘有功’者, 田獵有獲, 以喩行命有功也.
九五 貞吉하여 悔亡하여 无不利하니 无初有終이라 先庚三日하고 後庚三日이면하리라
[注]以陽居陽하여 損於謙巽이라이나 秉乎中正하여 以宣其令하여 物莫之違 曰 貞吉하여 悔亡하여 无不利也라하니라
化不以漸하고 卒以剛直으로 用加於物이라 初皆不說也 終於中正이면 邪道以消 有終也
申命令 謂之庚이라 夫以正齊物 不可卒也 民迷固久하여 直不可肆也
先申三日하여 令著之後 復申三日이니 然後 誅而无咎怨矣
[疏]正義曰:九五以陽居陽, 違於謙巽, 是悔也. 然執乎中正, 以宣其令, 物莫之違,
是由貞正獲吉, 故得悔亡而无不利, 故曰“貞吉, 悔亡, 无不利”也.
‘无初有終’者, 若卒用剛直, 化不以漸, 物皆不說, 故曰“无初”也. 終於中正, 物服其化, 故曰“有終”也.
‘先庚三日 後庚三日 吉’者, 申命令謂之庚, 民迷固久, 申不可卒, 故先申之三日, 令著之後, 復申之三日,
象曰 九五之吉 位正中也일새라
[疏]正義曰:‘位正中’者, 若不以九居五位, 則不能以中正齊物, 物之不齊, 无由致吉, 致吉, 是由九居五位, 故擧爻位言之.
上九 巽在牀下하여 喪其하니하니라
[注]處巽之極하여 極巽過甚이라 曰 巽在牀下也라하니라
所以斷者也 過巽失正이면 喪所以斷이라 曰 喪其資斧하여 貞凶也라하니라
[疏]正義曰:‘巽在牀下’者, 上九處巽之極, 巽之過甚, 故曰“巽在牀下.”
‘貞凶’者, 失其威斷, 是正之凶, 故曰“貞凶”也.
象曰 巽在牀下 上窮也일새요 喪其資斧 正乎凶也
[疏]正義曰:上窮者, 處上窮巽, 故過在牀下也.


巽은 조금 형통하니,
온전히 공손함을 德으로 삼으니 이 때문에 조금 형통한 것이다. 위와 아래가 모두 공손하여 그 명령을 어기지 않아야 명령이 비로소 행해진다. 그러므로 거듭 명령을 내려서 일을 행할 때에는 위와 아래가 공손하지 않으면 안 되는 것이다.
正義曰:[巽] 낮추고 順한 이름이다. 〈說卦傳〉에 “巽은 들어감이다.”라고 하였으니, 이는 ‘巽’은 바람을 형상한 卦로, 바람이 다니면 들어가지 못하는 곳이 없기 때문에 들어감을 訓으로 삼은 것이다.
만약 이것을 사람의 일에 베풀면, 사람이 능히 스스로 낮추고 공손한 자는 또한 용납되지 않는 곳이 없다. 그러나 巽의 뜻은 낮추고 순함을 體로 삼고 용납되어 들어감을 用으로 삼는다. 그러므로 ‘巽’이란 이름을 받은 것이다.
위와 아래가 모두 공손하여 어기고 거스르지 않아서 군주가 先唱하면 신하가 和答하여야 敎令이 비로소 행해진다. 그러므로 重巽의 卦에서 거듭 명령을 내리는 이치를 밝힌 것이다.
비록 위와 아래가 모두 공손하여 명령이 행해질 수 있으나 낮추고 공손함을 온전히 사용하면 통하는 바가 크지 못하다. 그러므로 “조금 형통하다.”라고 한 것이다.
가는 바를 둠이 이로우며
공손함으로 행하면 물건(남)이 막는 이가 없는 것이다.
正義曰:공손함으로 행하면 물건이 어기고 막는 이가 없다. 그러므로 “가는 바를 둠이 이롭다.”라고 한 것이다.
大人을 만나봄이 이롭다.
大人이 사용하면 道가 더욱 높아진다.
正義曰:공손함만을 능히 사용하는 자는 모두 가는 곳마다 이롭지 않음이 없으나, 大人이 공손함을 사용하면 그 道가 더욱 높아진다. 그러므로 “大人을 만나봄이 이롭다.”라고 하였으니, 위와 아래가 모두 공손함을 써야 함을 밝힌 것이다.
〈彖傳〉에 말하였다. “거듭된 巽으로써 거듭 명령을 내리니,
〈이렇게 하여야〉 명령이 비로소 행해지는 것이니, 공손하지 않고서 명령이 행해지는 경우는 있지 않다.
正義曰:이 卦는 낮추고 공손함을 이름으로 삼고 거듭 명령을 내림을 뜻으로 삼았다. 그러므로 두 體의 위와 아래가 모두 공손함을 가지고 거듭 명령을 내릴 수 있음을 밝힌 것이다.
위가 공손하면 능히 아랫사람을 접하고 아랫사람이 공손하면 능히 윗사람을 받드니, 위와 아래가 모두 공손하여야 명령이 비로소 행해질 수 있다. 그러므로 “거듭된 巽으로써 거듭 명령을 내린다.”라고 한 것이다.
剛이 中正에서 공손하여 뜻이 행해지며,
剛으로서 능히 공손함을 사용하고 中正에 처함은 물건들이 함께하는 바이다.
正義曰:[剛巽乎中正而志行] 비록 위와 아래가 모두 공손하나 만약 명령이 따를 수 없으면 물건들이 함께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또 九二와 九五의 爻가 剛하면서 능히 공손하고 中을 잃지 않음으로 인하여 이 때문에 뜻이 행해져서 거듭 명령을 내릴 수 있는 것이다.
柔가 모두 剛에게 順하다.
어기고 거스름이 없으므로 조금 형통함을 얻음을 밝힌 것이다.
經의 [柔皆順乎剛]
○正義曰:[柔皆順乎剛] 剛이 비록 공손하고 中正하나 柔가 만약 剛에게 순하지 않으면 어떻게 명령을 거듭 내릴 수 있겠는가.
그러므로 또 ‘初六과 六四가 각각 卦의 아래에 처하여 柔가 모두 剛에게 순해서 어기고 거스름이 없음’을 가지고 말하였으니, 이 때문에 敎令을 거듭 내려서 ‘小亨’ 이하의 뜻을 이룬 것이다.
○注의 [明无違]에서 [得小亨]까지
○正義曰:살펴보건대, 〈彖傳〉에서는 卦辭의 ‘小亨’ㆍ‘利有攸往’ㆍ‘利見大人’을 함께 들어 맺은 것이니, 이는 柔가 모두 剛을 순종하는 뜻이요, 오로지 ‘小亨’ 두 글자만 해석한 것은 아니다.
그런데 注에서 다만 “어기고 거스름이 없으므로 조금 형통함을 얻음을 밝힌 것이다.”라고 말한 것은, 褚氏(褚仲都)가 말하기를 “獻可替否(옳은 일은 행하도록 건의하고, 옳지 못한 일은 고치도록 직간함)를 하여야 그 道가 비로소 커지니, 柔가 모두 剛에게 순함은 크게 형통한 道가 아니다.
이 때문에 文王이 ‘小亨’이라는 卦辭를 달았고, 孔子가 ‘皆順’이라는 해석을 가한 것이다.”라고 하였다. 살펴보건대, 王輔嗣(王弼)가 上卦와 下卦의 體에 대하여 注를 낼 적에 모두 ‘공손함’을 가지고 말하였으니,
柔가 剛을 어기지 않음은 바로 공손한 뜻이다. 그러므로 ‘皆順’이란 말이 卦辭의 여러 글을 통틀어 해석한 것임을 알 수 있는 것이다.
이 때문에 조금 형통하니, 가는 바를 둠이 이롭고, 大人을 만나봄이 이로운 것이다.”
正義曰:‘是以小亨’ 이하는 經文을 해석하여 맺은 것이다.
〈象傳〉에 말하였다. “따르는 바람이 巽卦이니, 君子가 보고서 거듭 명령을 내려서 일을 행한다.”
正義曰:[隨風 巽] 두 바람이 서로 따르므로 ‘따르는 바람’이라 하였으니, 바람이 이미 서로 따르면 물건이 순종하지 않는 것이 없다. 그러므로 “따르는 바람이 巽卦이다.”라고 한 것이다.
[君子以申命行事] 바람이 따라 이름은 처음 명령하는 때가 아니다. 그러므로 君子가 이를 본받아 거듭 명령을 내려서 일을 행하는 것이다.
初六은 나아가고 물러나니, 武人의 貞함이 이롭다.
처음 명령하는 때에 처하여 명령에 복종할 수 없는 자이다. 그러므로 나아가고 물러가는 것이다. 명령을 이루어 간사함을 가지런히 함은 武人보다 더 좋은 것이 없다. 그러므로 武人의 貞함을 사용하여 整齊함이 이로운 것이다.
正義曰:初六이 처음 명령하는 때에 처하여 法이 아직 펴지고 드러나지 못하였는데 體가 柔巽이라서 스스로 결단하지 못하고 마음에 나아가고 물러남을 품어서 능히 명령을 따르지 못하는 자이다.
명령을 이루어 간사함을 가지런히 함은 威武보다 더 좋은 것이 없으니, 이미 명령을 따르지 못하면 마땅히 武人의 바름을 사용하여 整齊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나아가고 물러나니, 武人의 貞함이 이롭다.”라고 한 것이다.
〈象傳〉에 말하였다. “‘나아가고 물러남’은 마음에 의심하기 때문이요,
巽順한 뜻으로 나아가고 물러남에 의심하고 두려워하는 것이다.
正義曰:[志疑] 따르고자 하면 그 명령을 밝게 알지 못하고, 따르지 않고자 하면 죄가 자기 몸에 미칠까 두려워하여 마음에 의심을 품으니, 이 때문에 나아가고 물러나는 것이다.
‘武人의 貞이 이로움’은 뜻이 〈사람들을〉 다스리는 데 있는 것이다.”
正義曰:[志治也] 威武는 명령을 행할 적에 마땅한 바가 아니나, ‘利武人’이라고 말한 것은 뜻이 사람들로 하여금 따라서 다스려지게 함에 있으므로 “武人이 이롭다.”라고 한 것이다.
이는 蒙卦의 初六 〈象傳〉에 “사람을 형벌함이 이로움은 法을 바로잡는 것이다.”라고 한 것과 같다.
九二는 공손함이 牀 아래에 있으니, 祝史와 무당에 사용하면 크게 吉하여 허물이 없으리라.
巽의 中에 처하여 이미 아랫자리에 있고 다시 陽으로서 陰의 자리에 있으니, 낮추고 공손함이 심하다. 그러므로 “공손함이 牀 아래에 있다.”라고 한 것이다.
낮춤이 심하여 바름을 잃으면 허물로 들어간다. 그런데 中에 있으면서 지극히 낮춤을 天神과 地祇(地神)에게 베풀고, 이것을 위엄과 세력이 있는 자에게 사용하지 않으면 마침내 紛若의 吉함에 이르러서 그 허물이 없을 것이다.
그러므로 “祝史와 무당에 사용하면 크게 吉하여 허물이 없으리라.”라고 한 것이다.
正義曰:[巽在牀下] 九二가 巽의 下體에 처하고 다시 陽으로서 陰의 자리에 있으니, 낮추고 공손함이 심하다. 그러므로 “공손함이 牀 아래에 있다.”라고 한 것이다.
[用史巫 紛若吉 无咎] ‘史’는 祝史를 이르고 ‘巫’는 巫覡(여자무당과 남자무당)을 이르니, 모두 귀신을 접하여 섬기는 사람이다. ‘紛若’은 盛하고 많은 모양이다.
낮춤이 심하여 바름을 잃으면 허물로 들어간다. 사람이 위엄과 세력이 있는 자에게는 공손함을 행하기 쉬우나 神의 道는 나타남이 없어서 대부분 태만한 마음을 내니,
만약 中에 거한 德을 사용하여 지극히 낮추는 道를 행하기를 天神과 地祇에 사용하고 위엄과 권세 있는 자에게 행하지 않는다면 盛하고 많은 吉함을 이루어서 허물이 없을 수 있다.
그러므로 “祝史와 무당에 사용하면 크게 吉하여 허물이 없으리라.”라고 한 것이다.
〈象傳〉에 말하였다. “紛若의 吉함은 中을 얻었기 때문이다.”
正義曰:[得中] 낮추고 공손함을 天神과 地祇에 사용하면, 이는 행함이 中을 얻은 것이다. 그러므로 紛若의 吉함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
九三은 頻蹙하여 공손하니, 부끄럽다.
‘頻’은 頻蹙하여 즐겁지 못하고 곤궁하니, 부득이함을 이른다. 剛正으로서 六四에게 탐을 당해서 뜻이 곤궁하여 공손하다. 이 때문에 부끄러운 것이다.
正義曰:[頻巽 吝] ‘頻’은 頻蹙하여 근심하는 모양이다. 九三이 體가 剛이고 正에 있으나 六四에게 탐을 당하니, 이는 뜻이 곤궁하고 굽혀져 이루지 못한 것이다.
이미 巽의 때에 처하여 다만 屈辱을 받아서 頻蹙하여 공손함은 鄙吝한 道이다. 그러므로 “頻蹙하여 공손하니, 부끄럽다.”라고 한 것이다.
〈象傳〉에 말하였다. “頻巽의 부끄러움은 뜻이 곤궁하기 때문이다.”
正義曰:[志窮] 뜻이 곤궁하고 굽히니, 이 때문에 부끄러움이 되는 것이다.
六四는 뉘우침이 없어지니, 사냥하여 세 品을 얻도다.
剛을 탐은 뉘우침이다. 그러나 正位를 얻고 九五를 받들고 있어서 낮은 자가 받들 바를 얻었다. 비록 柔로서 剛을 타고 있으나 높은 분(九五)에 의지하고 正道를 행하니, 이런 방식으로 명령을 행하면 반드시 强暴한 자를 잡고 不仁한 자를 멀리할 수 있다.
잡아서 유익함은 세 品보다 더 좋은 것이 없다. 그러므로 “뉘우침이 없어지니, 사냥하여 세 品을 얻는다.”라고 한 것이다. 〈‘세 品’은〉 첫 번째는 乾豆이고, 두 번째는 賓客에게 올리는 것이고, 세 번째는 군주의 푸줏간에 채워 넣는 것이다.
正義曰:[悔亡 田獲三品] 六四는 剛을 탄 뉘우침이 있으나 正位를 얻고 높은 분을 받들어서 그 받들 바를 얻었다.
비록 柔로서 剛을 타고 있으나 높은 분에 의지하고 正道를 행하니, 이런 방식으로 명령을 행하면 반드시 능히 功이 있을 것인바, ‘사냥하여 능히 짐승을 잡아서 유익함은 세 品보다 더 좋은 것이 없음’을 취하여 비유하였으니, 이 때문에 뉘우침이 없어질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뉘우침이 없어지니, 사냥하여 세 品을 얻는다.”라고 한 것이다. ‘세 品’은 첫 번째는 乾豆이고, 두 번째는 賓客에게 올리는 것이고, 세 번째는 군주의 푸줏간에 채워 넣는 것이다.
〈象傳〉에 말하였다. “‘사냥하여 세 品을 얻음’은 功이 있는 것이다.”
正義曰:[有功] 사냥하여 짐승을 잡음이 있는 것이니, 이로써 ‘명령을 행함에 功이 있음’을 비유한 것이다.
九五는 貞吉하여 뉘우침이 없어져서 이롭지 않음이 없으니, 처음은 없으나 끝마침이 있다. 먼저 庚하기를 3일을 하고 뒤에 庚하기를 3일을 하면 吉하리라.
陽으로서 陽의 자리에 있어서 겸손함이 줄어들었다. 그러나 中正을 지켜서 그 명령을 선포하여 사람들이 어기는 이가 없다. 그러므로 “貞吉하여 뉘우침이 없어져서 이롭지 않음이 없다.”라고 한 것이다.
교화를 점진적으로 하지 않고 갑자기 剛直함을 가지고 사람에게 가한다. 그러므로 처음에는 모두 기뻐하지 않으나 끝내 中正하면 간사한 道가 사라진다. 그러므로 좋은 끝마침이 있는 것이다.
命令을 거듭 내림을 ‘庚’이라 한다. 바름을 가지고 물건을 가지런히 함을 갑자기 해서는 안 되고, 백성들의 혼미함이 진실로 오래되어 곧바로 명령을 펼 수가 없다.
그러므로 먼저 명령을 거듭하기를 3일 동안 하여 명령이 드러난 뒤에 다시 3일 동안 거듭하는 것이니, 그런 뒤에 주벌하면 허물과 원망이 없다. 甲과 庚은 모두 거듭 命을 내림을 이른다.
正義曰:九五가 陽으로서 陽의 자리에 있어서 겸손함에 위배되니, 이것이 뉘우침이다. 그러나 中正을 지켜서 그 명령을 선포하여 사람들이 어기는 이가 없으니,
이 때문에 貞正하여 吉함을 얻는다. 그러므로 뉘우침이 없어져 이롭지 않음이 없을 수 있는 것이다. 이 때문에 “貞吉하여 뉘우침이 없어져서 이롭지 않음이 없다.”라고 한 것이다.
[无初有終] 만약 갑자기 剛直함을 사용하여 교화를 점진적으로 하지 않으면 사람들이 모두 기뻐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처음이 없다.”라고 한 것이다. 끝내 中正하면 사람들이 그 교화에 복종한다. 그러므로 “끝마침이 있다.”라고 한 것이다.
[先庚三日 後庚三日 吉] 거듭 명령을 내림을 ‘庚’이라 이르니, 백성들의 혼미함이 진실로 오래되어서 거듭 명령을 내림을 갑자기 해서는 안 된다. 그러므로 먼저 3일 동안 명령을 거듭하여 명령이 드러난 뒤에 다시 3일 동안 거듭하는 것이니,
그런 뒤에 誅罰을 가하면 백성들이 그 죄에 복종하여 원망하는 이가 없어서 吉함을 얻는 것이다. 그러므로 “먼저 庚하기를 3일을 하고 뒤에 庚하기를 3일을 하면 吉하리라.”라고 한 것이다.
〈象傳〉에 말하였다. “九五의 吉함은 자리가 正中하기 때문이다.”
正義曰:[位正中] 만약 九로서 五位에 있지 않으면 中正으로써 사람들을 가지런히 하지 못하니, 사람들이 가지런히 하지 않으면 吉함을 이룰 길이 없다. 吉함을 이룸은 바로 九가 五位에 있음에 연유한 것이므로 爻의 자리를 들어 말한 것이다.
上九는 공손함이 牀 아래에 있어서 사용하는 도끼를 잃으니, 正道가 凶하다.
巽의 極에 처하여 지나치게 공손함이 너무 심하다. 그러므로 “공손함이 牀 아래에 있다.”라 한 것이다.
‘斧’는 결단하는 것이니, 지나치게 공손하여 바름을 잃으면 결단하는 바를 잃는다. 그러므로 “사용하는 도끼를 잃으니, 正道가 凶하다.”라고 한 것이다.
正義曰:[巽在牀下] 上九가 巽의 極에 처하여 공손함이 너무 심하다. 그러므로 “공손함이 牀 아래에 있다.”라고 한 것이다.
[喪其資斧] 도끼는 능히 베어 결단하니, 威嚴으로 결단함을 비유한 것인데, 공손함이 지나치면 위엄 있는 명령을 행하지 못하는바, 명령이 행해지지 못하면 이는 사용하는 도끼를 잃은 것이다. 그러므로 “사용하는 도끼를 잃었다.”라고 한 것이다.
[貞凶] 위엄으로 결단함을 잃으면 이는 正道가 흉한 것이다. 그러므로 “正道가 흉하다.”라고 한 것이다.
〈象傳〉에 말하였다. “‘공손함이 牀 아래에 있음’은 위로 궁극하기 때문이요, ‘사용하는 도끼를 잃음’은 正道가 흉한 것이다.”
正義曰:[上窮] 위에 처하여 궁극하게 겸손하다. 그러므로 지나치게 牀 아래에 있는 것이다.
[正乎凶] 正理는 모름지기 위엄으로 결단하여야 하는데 이것을 잃었으니, 이는 正道가 흉한 것이다.


역주
역주1 上下皆巽……故曰小亨 : 程伊川은 巽卦가 ‘小亨’을 얻는 이유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하였다. “巽과 兌는 모두 剛이 中正하고, 恭巽함과 기뻐함은 뜻이 또한 서로 유사하나, 兌는 亨通한데 巽은 마침내 조금 형통한 것은, 兌는 陽이 하고 巽은 陰이 하며, 兌는 柔가 밖에 있으니 유순함을 쓰는 것이고 巽은 柔가 안에 있으니 성질이 유약함이니, 巽의 형통함이 이 때문에 작은 것이다.[巽與兌 皆剛中正 巽說 義亦相類 而兌則亨 巽乃小亨者 兌 陽之爲也 巽 陰之爲也 兌 柔在外 用柔也 巽 柔在內 性柔也 巽之亨 所以小也]”
역주2 但能用巽者……明上下皆須用巽也 : ‘利有攸往 利見大人’에 대하여 朱子는 “陰으로 陽을 따르기 때문에 또 가는 바를 둠이 이로운 것이다. 그러나 반드시 따를 바를 알아야 바름을 얻기 때문에 또 ‘大人을 봄이 이롭다’고 한 것이다.[以陰從陽 故又利有所往 然必知所從 乃得其正 故又曰利見大人也]”라고 하였다.
한편 程伊川은 아래 〈彖傳〉의 ‘利見大人’에서 다음과 같이 해석하였다. “巽順함이 비록 좋은 道이나 반드시 따를 바를 알아야 하니, 陽剛中正한 大人에게 巽順하면 이롭다. 그러므로 大人을 봄이 이로운 것이다. 九五ㆍ九二와 같은 陽剛中正은 大人이니, 巽順함을 大人에게 하지 않으면 반드시 허물이 되지 않지는 않을 것이다.[巽順雖善道 必知所從 能巽順於陽剛中正之大人 則爲利 故利見大人也 如五二之陽剛中正 大人也 巽順不於大人 未必不爲過也]”
역주3 (九)[四] : 저본에는 ‘九’로 되어 있으나, 毛本에 의거하여 ‘四’로 바로잡았다.(阮元의 〈校勘記〉 참조)
역주4 獻可替否 : 신하가 임금이 마땅히 행해야 할 일은 과감하게 건의하고 행해서는 안 되는 일에 대해서는 그만두도록 간한다는 말이다. ≪春秋左氏傳≫ 昭公 20년조에 “임금이 옳다고 하더라도 혹 옳지 못한 점이 있으면 신하는 그 옳지 못한 점을 上言하여 옳은 것을 이루도록 해야 하고, 임금이 옳지 못하다고 하더라도 혹 옳은 점이 있으면 신하는 그 옳은 점을 상언하여 옳지 못한 것을 고치도록 해야 한다.[君所謂可而有否焉 臣獻其否以成其可 君所謂否而有可焉 臣獻其可以去其否]”라고 보인다.
역주5 案王注上下卦之體……通釋諸辭也 : 孔穎達은 〈彖傳〉의 ‘柔皆順乎剛’이란 말이 卦辭의 ‘小亨’ㆍ‘利有攸往’ㆍ‘利見大人’을 모두 통틀어 해석한 것이라고 보았는데, 王弼의 注에서 ‘小亨’을 밝혔다고만 말했으므로 이 말을 덧붙인 것이다. 이 말은, 王弼이 卦辭에 注를 달면서 ‘上卦와 下卦가 모두 巽임’을 가지고 말하였는데, 上下가 모두 巽하다는 것은 바로 〈彖傳〉의 ‘皆順’과 같은 의미인바, 그렇다면 〈彖傳〉의 注에서 비록 卦辭 전체를 언급하지는 않았으나 ‘皆順’이 卦辭 전체를 통틀어 해석한 말임을 알 수 있다는 뜻이다. 이는 위 문단에서 인용한 褚氏의 說과 다른바, 褚氏는 〈彖傳〉의 이 말을 다만 ‘小亨’에 대한 해석이라고 본 것이다.
역주6 (訓)[則] : 저본에는 ‘訓’으로 되어 있으나, 錢本ㆍ宋本에 의거하여 ‘則’으로 바로잡았다.(阮元의 〈校勘記〉 참조)
역주7 成命齊邪……利武人之貞也 : 王弼과 孔穎達은 ‘利武人之貞’을 ‘初六이 명령에 복종하지 못하고서 나아가고 물러나므로 이 初六에게 武人의 바름을 사용하여 명령을 따르게 하는 것이 이로움’의 의미로 보았는바, 初六이 武人의 바름을 쓰는 것이 아니라 初六에게 武人의 바름을 쓰는 것이라고 본 것이다.
반면 程伊川과 朱子는 初六이 武人의 貞固함을 쓰는 주체라고 보았는바, ≪程傳≫은 다음과 같다. “陰柔의 사람이 卑巽함이 너무 지나치면 마음에 두려워하여 편안하지 못해서 혹 나아가고 혹 물러나 따를 바를 모르니, 이로운 바가 武人의 貞함에 있다. 만일 武人의 剛하고 貞固한 뜻을 쓴다면 마땅함이 되니, 힘써서 剛함과 貞固함을 행하면 지나치게 낮추어 두려워하는 잘못이 없을 것이다.[陰柔之人 卑巽太過 則志意恐畏而不安 或進或退 不知所從 其所利在武人之貞 若能用武人剛貞之志 則爲宜也 勉爲剛貞 則无過卑恐畏之失矣]”
역주8 志治也者……故曰利武人 : ‘志治也’를 孔穎達은 ‘初六에게 武人의 바름을 쓰는 이유는 그 威武를 쓰는 자의 뜻이 사람들을 다스리는 데에 있기 때문임’의 의미로 해석하였다.
반면 程伊川은 ‘初六의 뜻이 다스려짐’으로 보았는바, ≪程傳≫은 다음과 같다. “나아가고 물러나서 편안함을 알지 못하는 것은 마음에 의심하고 두려워하기 때문이니, 武人의 剛함과 貞固함을 써서 그 뜻을 세운다면 뜻이 다스려질 것이다. ‘治’는 닦고 세움을 이른다.[進退不知所安者 其志疑懼也 利用武人之剛貞以立其志 則其志治也 治謂修立也]”
역주9 其猶蒙卦初六象曰利用刑人 以正法也 : 威武는 명령을 내릴 적에 사용하기 적절한 것은 아니지만 사람들을 복종하게 만들기 위하여 威武를 사용해야 하는 것처럼, 형벌은 사람을 해치는 것이지만 法制를 바로잡기 위하여 형벌을 사용해야 한다는 말이다. 蒙卦 初六 〈象傳〉의 이 말에 대하여 孔穎達은 “또 사람을 형벌하는 道는 바로 물건을 해치는 것이니, 이것은 道에서 싫어하는 바인데 사람을 형벌함이 이로운 것은 법제를 바로잡아야 하므로 형벌하지 않을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형벌을 나라에 베풀지 않을 수 없고 채찍과 회초리를 가정에 베풀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且刑人之道 乃賊害於物 是道之所惡 以利用刑人者 以正其法制 不可不刑矣 故刑罰不可不施於國 鞭扑不可不施於家]”라고 하였다.
역주10 史謂祝史 巫謂巫覡 : 沙溪(金長生)는 ‘史’에 記事하는 史官과 卜筮를 맡은 史官이 있음을 밝히고, “史는 卜筮를 관장하고, 巫는 除厄과 祈福을 관장한다.[史掌卜筮 巫掌祓禳]”라고 설명하였다. ≪沙溪全書 권15 經書辨疑 周易≫
역주11 人有威勢……无咎也 : 王弼과 孔穎達은 ‘用史巫’를 ‘공손함을 위엄 있는 자에게 쓰지 않고 눈앞에 드러나지 않는 天神과 地祇에게 씀’의 의미로 보았는바, 天地의 鬼神은 드러나지 않아서 사람들이 태만하게 하기 쉽기 때문에 여기에 공손함을 행하는 것이 훌륭한 일이 된다고 해석한 것이다.
반면 程伊川은 이를 ‘誠意를 통하게 함’의 의미로 보고, ‘紛若’을 ‘史巫를 많이 씀’으로 보았는바, ≪程傳≫은 다음과 같다. “史巫는 誠意를 神明에게 통하는 자이며, 紛若은 많음이다. 만일 至誠으로 謙巽함을 편안히 여겨 誠意를 통하는 자로 하여금 많게 한다면 吉하고 허물이 없으리니, 정성이 남을 감동시킬 수 있음을 말한 것이다. 사람들이 그 誠意를 살피지 못하면 지나치게 謙巽함을 아첨한다고 이를 것이다.[史巫者 通誠意於神明者也 紛若 多也 苟至誠安於謙巽 能使通其誠意者多 則吉而无咎 謂其誠足以動人也 人不察其誠意 則以過巽爲諂矣]” 이에 따라 官本諺解에 “用史巫紛若하면 吉하고 无咎리라.”라고 懸吐하였다.
역주12 得中者……故能致紛若之吉也 : 孔穎達은 ‘得中’을 ‘행함이 中道를 얻음’의 의미로 보았으나, 程伊川은 ‘中心이 誠實함’으로 보았으며, ‘紛若’은 ‘誠意를 통하는 자가 많음’으로 보았다. ≪程傳≫은 다음과 같다. “九二가 柔에 거하고 아래에 있어 지나치게 卑巽한 象이 되나, 誠意를 통하는 자가 많아 紛紛함은 中을 얻었기 때문이다. 陽이 中에 거함은 中實의 象이 되니, 中心이 이미 성실하면 사람들이 스스로 믿을 것이다. 誠意로써 하면 아첨함과 두려워함이 아니니, 이 때문에 吉하고 허물이 없는 것이다.[二以居柔在下 爲過巽之象 而能使通其誠意者衆多紛然 由得中也 陽居中 爲中實之象 中旣誠實 則人自當信之 以誠意 則非諂畏也 所以吉而无咎]”
역주13 頻巽吝者……吝也 : ‘頻’을 王弼과 孔穎達은 頻蹙, 즉 얼굴과 이맛살을 찌푸리는 것으로 訓하여 ‘頻巽’을 ‘九三이 자신의 뜻을 펴지 못하여 頻蹙해서 공손함’으로 해석하였다.
반면 程伊川과 朱子는 ‘頻’을 ‘자주’로 訓하고 ‘頻巽’을 ‘자주 공손함을 잃고 자주 공손함’으로 해석하였는바, ≪程傳≫은 다음과 같다. “九三이 陽으로서 剛에 처하여 中을 얻지 못하고 또 下體의 위에 있으니, 剛하고 높은 체하는 자질로 巽順의 때에 거하여 恭巽할 수 있는 자가 아니요 억지로 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여러 번 〈공손함을〉 잃는 것이다. 巽의 때에 거하여 아래에 처하였는데, 上卦가 겸손함으로써 임하고, 또 六四가 柔巽함으로써 서로 친하며, 타고 있는 것이 剛이고, 위에 다시 重剛(九五ㆍ上九)이 있으니, 비록 공손하지 않고자 하나 될 수 있겠는가. 그러므로 여러 번 공손함을 잃고 여러 번 공손하니, 부끄러울 만한 것이다.[三以陽處剛 不得其中 又在下體之上 以剛亢之質而居巽順之時 非能巽者 勉而爲之 故屢失也 居巽之時 處下而上臨之以巽 又四以柔巽相親 所乘者剛 而上復有重剛 雖欲不巽 得乎 故頻失而頻巽 是可吝也]” 여기에서 ‘頻失而頻巽’이라고 한 것은 復卦 六二 爻辭의 ‘頻復’을 ‘頻復頻失’로 풀이한 것에 근본한 것으로, 復卦 六三 爻辭에 대한 ≪程傳≫은 다음과 같다. “六三이 陰의 조급함으로 動의 極에 처하였으니, 돌아오기를 자주하여 견고히 하지 못하는 자이다. 돌아옴은 편안하고 견고함을 귀히 여기니, 자주 돌아왔다가 자주 잃으면 돌아옴을 편안히 여기지 못하는 것이다.[三以陰躁處動之極 復之頻數而不能固者也 復貴安固 頻復頻失 不安於復也]”
역주14 悔亡田獲三品者……田獲三品也 : 程伊川은 후회가 없어지는 이유에 대하여, “陰柔로서 應援이 없고 承과 乘이 모두 剛이니, 마땅히 뉘우침이 있을 것이나 六四가 陰으로서 陰의 자리에 거하여 巽의 바름을 얻고 上體의 아래에 있으니, 위에 있으면서 능히 몸을 낮춘다. 上體의 아래에 거함은 위에서 恭巽함이요, 巽으로써 아래에 임함은 아래에서 謙巽함이니, 잘 처신하기를 이와 같이 하기 때문에 뉘우침이 없어진 것이다.[陰柔无援 而承乘皆剛 宜有悔也 而四以陰居陰 得巽之正 在上體之下 居上而能下也 居上之下 巽於上也 以巽臨下 巽於下也 善處如此 故得悔亡]”라고 하였다.
역주15 三品者……三曰充君之庖廚也 : 三品은 上殺ㆍ中殺ㆍ下殺 및 기타를 이르고, 乾豆는 말려서 脯를 만들어 祭器에 올리는 것이다. ≪詩經≫ 〈小雅 車攻〉의 朱子의 註에, “옛날에 田獵하여 짐승을 잡을 적에 얼굴을 맞혀 부상당한 것을 바치지 않고, 옆에서 쏘아 털이 벗겨진 것을 바치지 않고, 짐승이 다 성장하지 못한 것(어린 짐승)을 바치지 아니하며, 세 등급을 골라 취하여 왼쪽 허구리로부터 쏘아 오른쪽 어깨뼈를 관통한 것을 上殺이라 하여 乾豆를 만들어 宗廟에 올리고, 오른쪽 귀밑을 관통한 것을 다음(中殺)이라 하여 賓客에게 대접하고, 왼쪽 넓적다리를 쏘아 오른쪽 어깨뼈를 관통한 것을 下殺이라 하여 군주의 푸줏간에 채웠으며 그 나머지는 사냥에 참여한 여러 신하에게 나누어주었다.”라고 하였다.
역주16 (日) : 저본에는 ‘日’이 1자 더 있으나, 毛本에 의거하여 衍文으로 처리하였다.(阮元의 〈校勘記〉 참조)
역주17 甲庚 皆申命之謂也 : ‘甲’은 蠱卦 卦辭 “先甲三日 後甲三日”의 ‘甲’을 가리킨다. 王弼은 이를 “甲은 創制한 법령이니, 創制할 때에는 옛 법령으로 책망할 수 없다. 그러므로 3일 전에 명령하고 3일 후에 명령하여 새로운 법령이 흡족히 젖어든 뒤에 주벌하는 것이다.[甲者 創制之令也 創制 不可責之以舊 故先之三日 後之三日 使令洽而後 乃誅也]”라고 해석하였는바, 여기에서는 甲을 ‘명령을 거듭 내림’으로 訓하지 않고 ‘처음 만든 법령’의 뜻으로 訓한 것이다. 이를 따라 蠱卦에서는 卦辭를 “甲보다 3일을 먼저하고 甲보다 3일을 뒤에 한다.”라고 번역하였다.
역주18 先庚三日後庚三日貞吉者……吉也 : 王弼과 孔穎達은 ‘庚’을 ‘거듭 명령을 내림’으로 訓하여 ‘先庚三日 後庚三日’을 ‘거듭 명령을 내리기를 먼저 3일 동안 하고, 또다시 거듭 명령을 내리기를 뒤에 3일 동안 하여 백성들이 명령을 분명히 알게 된 뒤에 주벌함’의 의미로 보았다.
程伊川의 해석도 이와 유사한데, 다만 程伊川은 庚에 ‘更改’의 訓이 있는 것을 가지고 經文을 해석하였다. ≪程傳≫은 다음과 같다. “‘先庚三日 後庚三日 吉’은 명령을 내어 변경하는 道가 마땅히 이와 같아야 하는 것이다. 甲은 일의 시작이고 庚은 변경의 시작이다. 十干에 戊己가 중간이니, 中을 넘으면 변한다. 그러므로 庚이라 이른 것이다. 일의 변경은 마땅히 시초를 근원하고 終을 맞추어 先甲後甲의 뜻과 같이 하여야 하니, 이와 같이 하면 吉하다. 해설이 蠱卦에 나와 있다.[先庚三日後庚三日吉 出命更改之道 當如是也 甲者 事之端也 庚者 變更之始也 十干 戊己爲中 過中則變 故謂之庚 事之改更 當原始要終 如先甲後甲之義 如是則吉也 解在蠱卦]”
한편 朱子는 蠱卦의 卦辭 ‘先甲三日 後甲三日’에서 鄭玄의 說을 따라 이를 ‘天干에서 甲으로부터 거슬러 세 번째인 辛을 쓰고, 甲으로부터 뒤로 세 번째인 丁을 씀’으로 해석했던 것처럼, 여기에서도 ‘庚으로부터 거슬러 세 번째인 丁을 쓰고, 庚으로부터 뒤로 세 번째인 癸를 씀’으로 해석하였는바, ≪本義≫는 다음과 같다. “庚은 변경함이니, 일이 변하는 것이다. 庚보다 3일을 먼저 한다는 것은 丁이요, 庚보다 3일을 뒤에 한다는 것은 癸(揆)이니, 丁은 변경하기 전에 丁寧히 하는 것이요 癸는 변경한 뒤에 헤아리는 것이니, 변경하는 바가 있으면서 이 占을 얻은 자는 이와 같이 하면 吉하다.[庚 更也 事之變也 先庚三日 丁也 後庚三日 癸也 丁 所以丁寧於其變之前 癸 所以揆度於其變之後 有所變更而得此占者 如是則吉也]”
역주19 : 李光地는 ≪周易折中≫에서 “살펴보건대, ‘資斧’는 古本에 ‘齊斧’로 되어 있으니, 이것이 옳다. 이는 旅卦의 〈資斧와〉 音이 같기 때문에 잘못된 것이다. 〈說卦傳〉에 ‘巽에서 깨끗하다[齊乎巽]’ 하였으니, 齊斧는 물건을 깨끗이 하는 도끼이다.[案資斧古本作齊斧 爲是 蓋因承旅卦同音而誤也 說卦齊乎巽 齊斧者 所以齊物之斧也]”라고 하였다. 李道平의 ≪周易集解纂疏≫에도 ‘齊’로 되어 있다.
역주20 喪其資斧者……故曰喪其資斧也 : 程伊川과 朱子는 ‘資’를 ‘物資’로 訓하였는바, ≪程傳≫은 다음과 같다. “資는 가지고 있는 물건이고, 斧는 결단하는 것이다. 陽剛은 본래 결단함이 있으나 지나치게 恭巽하여 剛斷을 잃어서 가지고 있는 것을 잃으니, 이는 物資와 도끼를 잃은 것이다.[資 所有也 斧 以斷也 陽剛本有斷 以過巽而失其剛斷 失其所有 喪資斧也]”
역주21 正乎凶者……是正乎凶也 : 孔穎達은 ‘正乎凶’을 ‘正道가 흉함’으로 해석하였는데, 程伊川은 “巽은 본래 善行이기 때문에 의심하기를 ‘正道라고 할 수 있겠는가?’라고 하였고, 다시 결단하기를 ‘흉하다’라고 한 것이다.[巽 本善行 故疑之曰得爲正乎 復斷之曰乃凶也]”라고 하여, 經文을 ‘正乎’, ‘凶也’의 두 句로 나누어 해석하였다. 이에 따라 官本諺解에 “正乎아 凶也라”라고 懸吐하였다. 朱子는 “‘正乎凶’은 반드시 흉함을 말한 것이다.[正乎凶 言必凶]”라고 하였다.

주역정의(3) 책은 2019.10.15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