疏
[疏]正義曰:陰去, 故小往, 陽長, 故大來, 以此吉而亨通.
此卦亨通之極, 而四德不具者, 物旣太通, 多失其節, 故不得以爲元始而利貞也, 所以象云“財成”‧“輔相”,
泰小往大來吉亨은 則是天地交而萬物通也요 上下交而其志同也라
內陽而外陰하며 內健而外順하며 內君子而外小人하니 君子道長하고 小人道消也라
疏
○正義曰:‘泰小往大來吉亨 則是天地交而萬物通’者, 釋此卦小往大來吉亨,
名爲泰也. 所以得名爲泰者,
由天地氣交而生養萬物, 物得大通, 故云“泰”也.
‘內陽而外陰 內健而外順’, 內健則內陽, 外順則外陰, 內陽外陰, 據其象, 內健外順, 明其性, 此說泰卦之德也.
陰陽言爻, 健順言卦, 此就卦爻, 釋小往大來吉亨也.
‘內君子而外小人 君子道長 小人道消’者, 更就人事之中, 釋小往大來吉亨也.
天地交 泰니 后以財成天地之道하고 輔相天地之宜하여 以左右民하나니라
注
[注]泰者는 物大通之時也니 上下大通이면 則物失其節이라
疏
○正義曰:‘后以財成天地之道’者, 由物皆通泰, 則上下失節.
‘輔相天地之宜’者, 相, 助也, 當輔助天地所生之宜.
疏
[疏]‘天地之道’者, 謂四時也, 冬寒‧夏暑‧春生‧秋殺之道.
若氣相交通, 則物失其節, 物失其節, 則冬溫‧夏寒‧秋生‧春殺,
君當財節成就, 使寒暑得其常, 生殺依其節, 此天地自然之氣, 故云“天地之道”也.
若大司徒云其“動物”‧“植物”及職方云“楊州其
‧“雍州其(貢)[穀]宜黍稷”.
故人君輔助天地所宜之物, 各安其性, 得其宜, 據物言之, 故稱宜也.
此卦言后者, 以不兼公卿大夫, 故不云君子也, 兼通諸侯, 故不得直言先王, 欲見天子諸侯俱是南面之君, 故特言后也.
注
[注]茅之爲物은 拔其根而相牽引者也니 茹는 相牽引之貌也라
三陽同志하여 俱志在外하니 初爲類首하여 己擧則從이니 若茅茹也라
疏
[疏]正義曰:‘拔茅茹’者, 初九欲往於上, 九二‧九三皆欲上行, 己去則從, 而似拔茅, 擧其根, 相牽茹也.
‘征吉’者, 征, 行也, 上坤而順, 下應於乾, 己去則納,
疏
以其三陽志意皆在於外, 己行則從, 而似拔茅, 征行而得吉.
九二는 包荒하여 用馮河하며 不遐遺하며 朋亡이면 得尙于中行이리라
注
[注]體健居中而用乎泰하니 能包含荒穢하여 受納馮河者也라
用心弘大하여 无所遐棄라 故로 曰 不遐遺也요 无私无偏하여 存乎光大라 故로 曰 朋亡也라
如此면 乃可以得尙于中行이니 尙은 猶配也요 中行은 謂五라
疏
[疏]正義曰:‘包荒 用馮河’者, 體健居中, 而用乎泰, 能包含荒穢之物,
‘用馮河’者, 无舟渡水, 馮陵于河, 是頑愚之人, 此九二能包含容受,
‘朋亡’者, 得中无偏, 所在皆納, 无私於朋黨之事, 亡, 无也,
疏
所以包荒, 得配此六五之中者, 以无私无偏, 存乎光大之道, 故此包荒.
九三은 无平不陂며 无往不復이니 艱貞이면 无咎리라
注
[注]乾은 本上也요 坤은 本下也로되 而得泰者는 降與升也어늘
而三處天地之際하여 將復其所處하니 復其所處면 則上守其尊하고 下守其卑라
處天地之將閉와 平路之將陂하여 時將大變하고 世將大革이로되 而居不失其正하고 動不失其應하여 艱而能貞하여 不失其義라
疏
○正義曰:‘无平不陂’者, 九三處天地相交之際, 將各分復其所處.
乾體初雖在下, 今將復歸於上, 坤體初雖在上, 今欲復歸於下, 是初始平者, 必將有險陂也, 初始往者, 必將有反復也.
无有平而不陂, 无有往而不復者, 猶若
在下者而不在上, (元)[无]在
者而不歸下也.
‘艱貞 无咎’者, 己居變革之世, 應有危殆, 只爲己居得其正, 動有其應, 艱難貞正, 乃得无咎.
信義先以誠著, 故不須憂其孚信也, 信義自明, 故於食祿之道, 自有福慶也.
疏
○正義曰:‘將復其所處’者, 以泰卦乾體在下, 此九三將棄三而向四, 是將復其乾之上體所處也.
泰卦坤體在上, 此六四今將去四而歸向初, 復其坤體所處也.
‘處天地之將閉 平路之將陂’者, 天將處上, 地將處下, 閉而不通, 是天地之將閉也.
所以往前通泰, 路无險難, 自今已後, 時旣否閉, 路有傾危, 是平路之將陂也.
此因三之向四, 是下欲上也, 則上六將歸於下, 是上欲下也,
‘信義誠著’者, 以九三居不失正, 動不失應, 是信義誠著也.
‘故不恤其孚而自明’者, 解於食有福, 以信義自明, 故飮食有福.
疏
[疏]正義曰:‘天地際’者, 釋无往不復之義, 而三處天地交際之處, 天體將上, 地體將下,
注
[注]乾樂上復하고 坤樂下復하니 四處坤首하여 不固所居하고 見命則退라
疏
[疏]正義曰:‘六四翩翩’者, 四主坤首, 而欲下復, 見命則退,
‘不富以其隣’者, 以, 用也, 隣, 謂五與上也.
‘不戒以孚’者, 隣皆從己, 共同志願, 不待戒告, 而自孚信以從己也.
疏
[疏]正義曰:‘皆失實’者, 解翩翩不富之義, 猶衆陰皆失其本實所居之處, 今旣見命, 翩翩樂動, 不待財富, 竝悉從之.
所以不待六四之戒告, 而六五‧上六皆以孚信者, 由中心皆願下復, 故不待戒而自孚也.
注
泰者는 陰陽交通之時也니 女處尊位하여 履中居順하고 降身應二하여 感以相與하고 用中行願하여 不失其禮하니 帝乙歸妹에 誠合斯義라
疏
○正義曰:‘帝乙歸妹’者, 女處尊位, 履中居順, 降身應二, 感以相與, 用其中情, 行其志願, 不失於禮, 爻備斯義者,
.
‘以祉元吉’者, 履順居中, 得行志願, 以獲祉福, 盡夫陰陽交配之道,
疏
[疏]正義曰:‘中以行願’者, 釋以祉元吉之義, 正由中順, 行其志願, 故得福而元吉也.
上六은 城復于隍이니 勿用師요 自邑告命이니 貞吝이리라
注
[注]居泰上極하여 各反所應하여 泰道將滅하고 上下不交하여 卑不上承하고 尊不下施라
勿用師는 不煩攻也요 自邑告命이니 貞吝은 否道已成하여 命不行也라
疏
○正義曰:‘城復于隍’者, 居泰上極, 各反所應, 泰道將滅, 上下不交, 卑不上承, 尊不下施, 猶若城復于隍也.
子夏傳云“隍, 是城下池也.” 城之爲體, 由基土陪扶, 乃得爲城.
猶君之爲體, 由臣之輔翼, 今上下不交, 臣不扶君, 君道傾危,
‘自邑告命 貞吝’者, 否道已成, 物不順從, 唯於自己之邑而施告命, 下旣不從, 故貞吝.
疏
○正義曰:‘卑道崩也’者, 卑道向下, 不與上交,
疏
[疏]正義曰:‘其命亂’者, 釋城復于隍之義, 若敎命不亂, 臣當輔君, 猶土當扶城.
由其命錯亂, 下不奉上, 猶上不陪城, 使復于隍,
태泰는 소小가 가고 대大가 오니, 길하여 형통하다.
疏
정의왈正義曰:음陰이 가기 때문에 ‘소왕小往’이고, 양陽이 자라기 때문에 ‘대래大來’이니, 이 때문에 길하여 형통한 것이다.
이 괘卦는 형통함이 지극하나 〈원元‧형亨‧이利‧정貞의〉 네 덕德이 갖추어지지 않은 것은, 물건이 이미 너무 통하면 대부분 그 절도를 잃으므로 원시元始하여 이정利貞함이 될 수 없는 것이니, 이 때문에 〈상전象傳〉에 “재성財成”, “보상輔相”이라고 말하였다.
“‘태泰는 소小가 가고 대大가 오니, 길하여 형통하다.’는 것은, 이는 천지天地가 사귀어 만물이 통하고, 상하上下가 사귀어 그 뜻이 같은 것이다.
양陽이 안에 있고 음陰이 밖에 있으며, 굳셈이 안에 있고 순함이 밖에 있으며, 군자君子가 안에 있고 소인小人이 밖에 있으니, 군자君子의 도道가 자라고 소인小人의 도道가 사라지는 것이다.”
疏
경經의 [彖曰泰小往大來]에서 [小人道消也]까지
○정의왈正義曰:[泰小往大來吉亨 則是天地交而萬物通] 이 괘卦가 소小가 가고 대大가 와서 길하여 형통하므로 이름을 ‘태泰’라 함을 해석한 것이니,
태泰라는 이름을 얻은 까닭은 바로 하늘과 땅의 기운이 사귀어 만물을 낳고 길러서 물건이 크게 통함을 얻었기 때문에 “태泰”라고 한 것이다.
[上下交而其志同] 이는 사람의 일을 가지고 하늘과 땅의 사귐을 형상한 것이다.
‘상上’은 군주를 이르고 ‘하下’는 신하를 이르니, 군주와 신하가 서로 좋아하기 때문에 뜻이 화합하고 같은 것이다.
[內陽而外陰 內健而外順] 굳셈이 안에 있음은 양陽이 안에 있는 것이고 순함이 밖에 있음은 음陰이 밖에 있는 것이니, 양陽이 안에 있고 음陰이 밖에 있음은 그 상象을 근거로 한 것이고, 굳셈이 안에 있고 순함이 밖에 있음은 그 성질을 밝힌 것이니, 이는 태괘泰卦의 덕德을 말한 것이다.
음陰과 양陽은 효爻를 말하고 건健과 순順은 괘卦를 말한 것이니, 이는 괘卦와 효爻에 나아가 ‘소小가 가고 대大가 오니 길하여 형통함’을 해석한 것이다.
[內君子而外小人 君子道長 小人道消] 다시 사람의 일 가운데에 나아가 ‘소小가 가고 대大가 오니 길하여 형통함’을 해석한 것이다.
“하늘과 땅이 사귐이 태괘泰卦이니, 임금이 이것을 보고서 천지天地의 도道를 재단裁斷하여 이루고 천지天地의 마땅함을 보상輔相하여 백성을 돕는다.”
注
태泰는 물건이 크게 통하는 때이니, 상하上下가 크게 통하면 물건이 그 절도를 잃는다.
그러므로 재단裁斷하여 이루고 보상輔相하여 백성을 돕는 것이다.
疏
○정의왈正義曰:[后以財成天地之道] 물건이 모두 통태通泰하면 상하가 절도를 잃게 된다.
이때에 군주가 마땅히 자르고 마름질하여 천지天地의 도道를 성취해야 하는 것이다.
[輔相天地之宜] ‘상相’은 도움이니, 마땅히 천지天地가 낳는 바의 마땅함을 도와야 하는 것이다.
[以左右民] ‘좌우左右’는 도움이니, 인민人民을 돕고 기르는 것이다.
疏
[天地之道]사시四時를 이르니, 겨울에 춥고 여름에 더우며 봄에 낳고 가을에 죽이는 도道이다.
만약 기운이 서로 통하면 물건이 절도를 잃으니, 물건이 절도를 잃으면 겨울에 따뜻하고 여름에 춥고 가을에 낳고 봄에 죽인다.
그러니 군주는 마땅히 재단裁斷하고 성취해서 추위와 더위가 떳떳함을 얻고, 낳고 죽임이 절도를 따르게 해야 하니, 이는 천지天地의 자연의 기운이므로 “천지天地의 도道[天地之道]”라고 말한 것이다.
[天地之宜]천지天地가 낳는 바의 물건이 각기 마땅함이 있음을 이른다.
예컨대 《주례周禮》 〈대사도大司徒〉에 “동물動物”, “식물植物”이라는 것과, 《주례周禮》 〈직방職方〉에 “양주揚州에는 곡식이 벼와 보리가 마땅하다.(잘 자란다.)”, “옹주雍州에는 곡식이 기장과 피가 마땅하다.”는 것과 같다.
만약 하늘의 기운이 크게 같으면 마땅한 바가 서로 반대된다.
그러므로 군주가 하늘과 땅의 마땅한 물건을 도와서 각각 그 성질을 편안하게 하고 그 마땅함을 얻게 하는 것이니, 물건에 근거하여 말했으므로 ‘의宜’라고 칭한 것이다.
이 괘卦에서 ‘후后’를 말한 것은 공경公卿과 대부大夫를 겸하지 않았기 때문에 군자君子라고 말하지 않은 것이고, 제후諸侯를 겸하여 통하였기 때문에 곧바로 선왕先王이라고 말할 수 없는 것이니, 천자天子와 제후諸侯가 모두 남면南面한 군주임을 나타내고자 하였으므로 특별히 ‘후后’라고 말한 것이다.
초구初九는 띠풀의 뿌리를 뽑음에 뿌리가 연결된 것이니, 그 무리와 함께 가면 길하리라.
注
띠풀이란 물건은 그 뿌리를 뽑으면 서로 연결되어 있으니, ‘여茹’는 서로 연결된 모양이다.
세 양陽이 뜻을 함께하여 모두 뜻이 밖에 있는데, 초구初九는 그 동류(陽)의 첫 번째가 되므로 자기가 일어나면 모두 따라오니, 띠풀의 뿌리가 연결되는 것과 같다.
위가 순히 응하여 어기지 않으므로 나아가면 모두 뜻을 얻는다.
疏
정의왈正義曰:[拔茅茹]초구初九가 위로 나아가고자 하는데 구이九二와 구삼九三이 모두 위로 가고자 하여 자기가 가면 따라오니, 띠풀을 뽑음에 뿌리를 들면 서로 연결되는 것과 같은 것이다.
[以其彙] ‘휘彙’는 동류(무리)이니, 동류로써 서로 따르는 것이다.
[征吉] ‘정征’은 감이니, 위가 곤坤이어서 순종하고 아래로 건乾에 응하므로 자기가 가면 받아준다.
“발모정길拔茅征吉은 뜻이 밖에 있는 것이다.”
疏
정의왈正義曰:[志在外] ‘발모정길拔茅征吉’의 뜻을 해석한 것이다.
세 양陽의 뜻이 모두 밖에 있기 때문에 자기가 가면 따라오니, 띠풀을 뽑는 것과 같아서 가면 길함을 얻는 것이다.
구이九二는 거칢을 포용하여 황하黃河를 맨몸으로 건너려는 〈미련한 자를〉 쓰며 먼 것을 버리지 않으며 붕당朋黨을 없애면 중행中行에 배합하리라.
注
체體가 굳세면서 중中에 거하여 태泰를 쓰니, 거칠고 더러움을 포함(포용)하여 황하黃河를 맨몸으로 건너는 〈미련한 자를〉 받아줄 수 있다.
마음 씀이 크고 넓어서 먼 것을 버리는 바가 없기 때문에 “먼 것을 버리지 않는다.”고 말하였고, 사사로움이 없고 편벽됨이 없어서 광대光大함을 보존하기 때문에 “붕당을 없앤다.”고 말한 것이다.
이와 같으면 중행中行(中道)에 배합할 수 있으니, ‘상尙’은 배配와 같고, ‘중행中行’은 육오六五를 이른다.
疏
정의왈正義曰:[包荒 用馮河]체體가 굳세면서 중中에 거하여 태泰를 쓰니, 거칠고 더러운 물건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므로 “거칢을 포용한다.[包荒]”라고 말한 것이다.
[用馮河] 배가 없이 물을 건너서 황하를 능멸하는 것이니, 이는 완악하고 미련한 사람인데, 이 구이九二가 능히 포용하여 받아들인다.
그러므로 “황하黃河를 맨몸으로 건너려는 자를 쓴다.[用馮河]”라고 말한 것이다.
[不遐遺] ‘하遐’는 멂이고 ‘유遺’는 버림이니, 마음을 씀이 크고 넓어서 남을 소원疏遠히 하거나 버리는 바가 없는 것이다.
[朋亡]중中을 얻어 편벽됨이 없어서 있는 곳마다 모두 받아들여 붕당朋黨에 사사롭게 하는 일이 없는 것이니, ‘망亡’은 없음이다.
그러므로 “붕당을 없앤다.[朋亡]”라고 말한 것이다.
[得尙於中行] ‘중행中行’은 육오六五를 이른다.
중中에 처하여 행하니, 구이九二의 하는 바가 이와 같다.
‘상尙’은 배합함이니, 육오六五의 중中에 배합할 수 있는 것이다.
“거칢을 포용하여 중행中行에 배합함은 광대光大하기 때문이다.”
疏
정의왈正義曰:‘중행中行에 배합할 수 있음’의 뜻을 해석한 것이다.
거칢을 포용하여 이 육오六五의 중中에 배합할 수 있는 까닭은, 사사로움이 없고 편벽됨이 없어서 광대光大한 도道를 보존하기 때문에 이렇게 거칢을 포용하는 것이다.
구삼九三은 평탄하기만 하고 기울지 않음이 없으며 가기만 하고 돌아오지 않음이 없으니, 어렵게 여기고 바르게 하면 허물이 없으리라.
그 믿음을 근심하지 않으면 먹음에 복福이 있으리라.
注
건乾은 본래 위에 있고 곤坤은 본래 아래에 있는데, 태泰를 얻은 것은 〈음陰과 양陽이〉 내려가고 올라가기 때문이다.
그런데 구삼九三이 하늘과 땅의 경계에 처하여 장차 자기가 처하던 곳으로 돌아가게 되었으니, 처하던 곳으로 돌아가면 위는 그 높음을 지키고 아래는 그 낮음을 지킨다.
그러므로 가기만 하고 돌아오지 않음이 없고, 평탄하기만 하고 기울지 않음이 없는 것이다.
하늘과 땅이 장차 막히려 할 때에 처하여 평탄한 길이 장차 기울게 되어서 때가 장차 크게 변하고 세상이 장차 크게 개혁할 것인데, 거함이 정위正位를 잃지 않고 동함이 응應을 잃지 않아서 어렵게 여기고 능히 바르게 하여 그 의義를 잃지 않았다.
신의信義가 정성으로 드러났기 때문에 그 믿음을 근심하지 않아도 저절로 밝아진 것이다.
그러므로 “그 믿음을 근심하지 않으면 먹음에 복福이 있다.”고 말한 것이다.
疏
○정의왈正義曰:[无平不陂]구삼九三이 하늘과 땅이 서로 사귀는 즈음에 처하여 장차 각각 자기들이 처하던 곳으로 나누어 돌아가게 되었다.
건체乾體가 처음에는 비록 아랫자리에 있었으나 이제 장차 다시 위로 돌아가게 되고, 곤체坤體가 처음에는 비록 윗자리에 있었으나 이제 장차 다시 아래로 돌아가게 되니, 이는 처음에 평탄한 것이 반드시 장차 험하고 기욺이 있는 것이요, 처음에 갔던 것이 반드시 장차 되돌아옴이 있는 것이다.
‘평탄하기만 하고 기울지 않음이 없고, 가기만 하고 돌아오지 않음이 없다.’는 것은, 아래에 있는 것이 다시 위에 있지 않음이 없고, 위에 있는 것이 아래로 돌아가지 않음이 없는 것과 같은 것이다.
[艱貞 无咎] 자기가 변혁하는 세상에 처하여 응당 위태로움이 있을 것이나, 다만 자기의 거함이 정위正位를 얻고 동함이 응應을 얻어서 어렵게 여기고 바르게 하면 비로소 허물이 없을 수 있는 것이다.
[勿恤其孚 于食有福] ‘휼恤’은 근심함이고, ‘부孚’는 믿음이니,
신의信義가 먼저 정성으로 드러났으므로 그 믿음을 근심하지 않는 것이요, 신의信義가 저절로 밝아졌기 때문에 녹祿을 먹는 방도에 있어 절로 복경福慶이 있는 것이다.
疏
○정의왈正義曰:[將復其所處]태괘泰卦의 건체乾體가 아래에 있는데 이 구삼九三이 삼위三位를 버리고 사위四位로 향하려 하니, 이는 장차 건乾의 상체上體가 처하던 곳으로 돌아가는 것이요,
태괘泰卦의 곤체坤體가 위에 있는데 이 육사六四가 지금 사위四位를 버리고 초위初位로 향하여 돌아가려 하니, 곤체坤體가 처하던 곳으로 돌아가는 것이다.
[處天地之將閉 平路之將陂] 하늘이 장차 위에 처하고 땅이 장차 아래에 처하여 막히고 통하지 않게 되었으니, 이는 ‘하늘과 땅이 장차 닫히는 것’이다.
이 때문에 지난번에는 통태通泰하여 길에 험난함이 없었는데, 지금 이후로는 때가 이미 비색하고 막혀서 길에 기울고 위태로움이 있는 것이니, 이는 ‘평탄한 길이 장차 기우는 것’이다.
이는 구삼九三이 사위四位로 향하기 때문이니, 이는 아래가 위로 올라가고자 하는 것이요, 상육上六이 장차 아래로 돌아오려 하니, 이는 위가 아래로 내려오고자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자기가 처하던 곳으로 돌아간다.[復其所處]”라고 말한 것이다.
[信義誠著]구삼九三의 처함이 정위正位를 잃지 않고 동함이 응應을 잃지 않았으니, 이는 신의信義가 정성으로 드러나는 것이다.
[故不恤其孚而自明] ‘먹음에 복福이 있음’을 해석한 것이니, 신의信義가 저절로 밝아지기 때문에 마시고 먹음에 복福이 있는 것이다.
“가기만 하고 돌아오지 않음이 없다는 것은 하늘과 땅이 교제하는 것이다.”
注
하늘과 땅이 장차 각각 나누어 돌아가는 즈음이다.
疏
정의왈正義曰:[天地際] ‘가기만 하고 돌아오지 않음이 없음’의 뜻을 해석한 것이니, 구삼九三이 하늘과 땅이 교제하는 곳에 처하여 하늘의 체體는 장차 올라가려 하고 땅의 체體는 장차 내려가려 한다.
그러므로 간 것은 장차 돌아오고 평탄한 것은 장차 기우는 것이다.
육사六四는 편편翩翩하여 부富하지 않으면서도 그 이웃을 쓰며 경계하지 않아도 믿는다.
注
건乾은 위로 돌아가는 것을 좋아하고, 곤坤은 아래로 돌아가는 것을 좋아하니, 육사六四가 곤坤의 첫 번째에 처하여 거처하는 것을 견고히 하지 않고, 명령하는 것을 보면 물러간다.
곤괘坤卦의 효爻가 모두 아래를 좋아하여 자기가 물러가면 따라온다.
그러므로 부富하기를 기다리지 않고도 이웃을 쓰는 것이요, 자기와 지원志願을 함께 하지 않는 이가 없다.
그러므로 경계함을 기다리지 않고도 스스로 믿는 것이다.
疏
정의왈正義曰:[六四翩翩]육사六四가 곤坤의 첫 번째를 주관하여 아래로 돌아가고자 해서 명령하는 것을 보면 물러간다.
[不富以其隣] ‘이以’는 씀이요, ‘인隣’은 육오六五와 상육上六을 이른다.
지금 자기가 아래로 돌아감에 여러 음陰이 모두 따른다.
그러므로 재물이 풍부하기를 기다리지 않고도 그 이웃을 쓰는 것이다.
[不戒以孚] 이웃이 모두 자기를 따라서 지원志願을 함께하므로 경계함을 기다리지 않고도 스스로 믿고서 자기를 따르는 것이다.
“편편翩翩하여 부富하지 않은 것은 모두 실實을 잃었기 때문이요, 경계하지 않아도 믿는 것은 중심에 원하기 때문이다.”
疏
정의왈正義曰:[皆失實] ‘편편翩翩하여 부富하지 않음’의 뜻을 해석한 것이니, 여러 음陰이 모두 본래 실제로 거처하던 곳을 잃었다가 지금 이미 명命하는 것을 보고서 편편翩翩히 동하기를 즐거워하여 재물이 풍부하기를 기다리지 않고도 모두 함께 따른다.
그러므로 “모두 실實을 잃었다.[皆失實也]”고 말한 것이다.
[不戒以孚 中心願] ‘경계하지 않아도 믿음’의 뜻을 해석한 것이다.
육사六四의 경계함을 기다리지 않고도 육오六五와 상육上六이 모두 믿는 까닭은 중심에 모두 아래로 돌아가기를 원하기 때문에 경계함을 기다리지 않고도 스스로 믿는 것이다.
육오六五는 제을帝乙이 누이를 시집보냄이니, 복福을 받아 크게 길하리라.
注
태泰는 음陰과 양陽이 서로 통하는 때이니, 여자가 높은 지위에 처하여 중中을 밟고 순順에 거하며 몸을 낮추어 구이九二에 응해서 감동하여 서로 함께하고, 중정中情을 쓰고 지원志願을 행하여 그 예禮를 잃지 않으니, 제을帝乙이 누이를 시집보낼 적에 진실로 이 의리義理에 합하였다.
순順을 밟고 중中에 거해서 지원志願을 행하여 복을 받아서 음陰과 양陽이 서로 짝하는 마땅함을 다하였다.
疏
○정의왈正義曰:[帝乙歸妹] 여자가 높은 지위에 처하여 중中을 밟고 순順에 거하며 몸을 낮추어 구이九二에 응해서 감동하여 서로 함께하고, 중정中情을 쓰고 지원志願을 행하여 예禮를 잃지 않으니, 효爻에 이 의의意義를 구비한 것은 오직 제을帝乙이 누이를 시집보내면서 능히 그러하였다.
그러므로 《주역周易》을 지은 자가 이 제을帝乙이 누이를 시집보낸 것을 인용하여 밝힌 것이다.
[以祉元吉]순順을 밟고 중中에 거하여 지원志願을 행할 수 있어서 복福을 얻어 음陰과 양陽이 서로 짝하는 도道를 다하였다.
疏
○정의왈正義曰:[婦人謂嫁曰歸] 《춘추공양전春秋公羊傳》 은공隱公 2년의 글이다.
“복福을 받아 크게 길한 것은 중순中順으로써 지원志願을 행하기 때문이다.”
疏
정의왈正義曰:[中以行願] ‘복福을 받아 크게 길함’의 뜻을 해석한 것이니, 바로 중中과 순順을 따라 그 지원志願을 행하기 때문에 복福을 얻어 크게 길한 것이다.
상육上六은 성城의 토석土石이 해자로 돌아감이니, 군대를 쓸 것이 없고 자기 고을에 고명告命하는 것이니, 바르더라도 부끄러우리라.
注
〈상육上六이〉 태泰의 상극上極에 거하여 각각 응하는 바로 돌아가서 태泰의 도道가 장차 멸하려 하고, 상하上下가 사귀지 못하여 낮은 사람이 윗사람을 받들지 않고 높은 사람이 아랫사람에게 베풀지 않는다.
이 때문에 성城의 토석土石이 해자로 돌아가서 낮은 도道가 무너지는 것이다.
‘군대를 쓸 것이 없음’은 번거롭게 공격하지 않는 것이요, ‘자기 고을에 고명告命하는 것이니 바르더라도 부끄러움’은 비색한 도道가 이미 이루어져서 명命이 행해지지 않는 것이다.
疏
경經의 [上六城復于隍]에서 [自邑告命貞吝]까지
○정의왈正義曰:[城復于隍]상육上六이 태泰의 상극上極에 거하여 각각 응하는 바로 돌아가서 태泰의 도道가 장차 멸하려 하고, 상하上下가 사귀지 못하여 낮은 사람이 윗사람을 받들지 않고 높은 사람이 아랫사람에게 베풀지 않아서 마치 성城의 토석土石이 해자로 돌아가는 것과 같은 것이다.
《자하역전子夏易傳》에 이르기를 “황隍은 성城 아래의 못이다.” 하였으니, 성城의 형체는 기반의 흙이 붙들어줌을 말미암아야 비로소 성城이 될 수 있다.
그런데 지금 아래에서 붙들어주지 않으면 성城은 무너지니, 이 때문에 무너지고 뒤집어져서 다시 해자로 돌아가는 것이다.
이는 군주의 체재體裁는 신하의 보익輔翼을 말미암는 것인데, 지금 상하上下가 서로 사귀지 않아서 신하가 군주를 붙들어주지 않아 군주의 도道가 기울고 위태롭게 되는 것과 같다.
그러므로 “성城의 토석土石이 해자로 돌아갔다.” 한 것이다.
이는 밖의 상象을 빌려서 사람의 일을 비유한 것이다.
[勿用師] 군주의 도道가 이미 기울었으니, 번거롭게 군대를 쓸 것이 없음을 말한 것이다.
[自邑告命 貞吝] 비색한 도道가 이미 이루어져서 물건이 순종하지 않으므로 오직 자기의 고을에만 고명告命을 베푸는 것이니, 아랫사람들이 따르지 않으므로 ‘바르더라도 부끄러운 것’이다.
疏
○정의왈正義曰:[卑道崩也] 낮은 도道가 아래로 향해서 위와 서로 사귀지 않는다.
그러므로 낮은 도道가 붕괴되어 윗사람을 받들어 섬기지 않는 것이다.
“성城의 토석土石이 해자로 돌아감은 그 명령이 혼란한 것이다.”
疏
정의왈正義曰:[其命亂] ‘성城의 토석土石이 해자로 돌아감’의 뜻을 해석한 것이니, 만약 교명敎命이 혼란하지 않으면 신하가 마땅히 군주를 도울 것이니, 이는 아래의 흙이 마땅히 성城을 붙드는 것과 같다.
그러나 명령이 어그러지고 혼란함으로 말미암아 아랫사람이 윗사람을 받들지 않으니, 이는 윗사람이 성城을 붙들어주지 않아 해자로 돌아가게 하는 것과 같다.
그러므로 “그 명령이 혼란하다.[其命亂也]”고 말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