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周易正義(4)

주역정의(4)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주역정의(4)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疏]正義曰:‘大衍之數’至‘祐神矣’ 此第八章.
明占筮之法․揲蓍之體, 顯天地之數, 定乾坤之策, 以爲六十四卦, 而生三百八十四爻.
大衍之數 五十이니 其用 四十有九
[注]王弼曰 演天地之數하면 所賴者五十也로되 其用四十有九 則其一不用也
不用而用以之通하고 非數而數以之成하니 斯易之太極也 四十有九 數之極也
[疏]‘大衍’至‘有九’
○正義曰:京房云“五十者, 謂十日․十二辰․二十八宿也, 凡五十, 其一不用者, 天之生氣, 將欲以虛來實, 故用四十九焉.”
馬季長云“易有太極, 謂北辰也,
太極生兩儀, 兩儀生日月, 日月生四時, 四時生五行, 五行生十二月, 十二月生二十四氣,
以五行氣通, 凡五行減五, 大衍又減一, 故四十九也.”
姚信․董遇云“天地之數五十有五者, 其六以象六畫之數, 故減之而用四十九.”
但五十之數, 義有多家, 各有其說, 未知孰是. 今案王弼云“演天地之數, 所賴者五十”, 據王弼此說, 其意皆與諸儒不同.
其用此策, 推演天地之數, 唯用五十策也.
一謂自然所須策者, 唯用五十, 就五十策中, 其所用揲蓍者, 唯用四十有九.
其一不用, 以其虛无, 非所用也, 故不數之.
顧懽同王弼此說. 故顧懽云 “立此五十數, 以數神, 神雖非數, 因數而顯. 故虛其一數, 以明不可言之義.”
[疏]○注‘王弼’至‘宗也’
○正義曰:‘王弼云演天地之數 所賴者五十’者, 韓氏親受業於王弼, 承王弼之旨, 故引王弼云, 以證成其義.
‘演天地之數 所賴者五十’, 謂萬物籌策, 雖萬有一千五百二十, 若用之, 推演天地之數, 所賴者唯賴五十, 其餘不賴也.
但賴五十者, 自然如此, 不知其所以然.
云‘則其一不用’者, 經旣云“五十”, 又云“其用四十九也”, 旣稱其用, 明知五十之內, 其一是不用者也.
言‘不用而用以之通’者, 若全不用, 理應不賴, 此旣當論用, 所以幷言不用爲用.
五十者, 雖是不用, 其有用從不用而來, 以不用而得用也, 故云“不用而用以之通”, 所用者則四十九蓍也.
蓍所以堪用者, 從造化虛无而生也. 若无造化之生, 此蓍何由得用也.
言‘非數而數以之成’者, 太一虛无, 无形无數, 是非可數也. 然有形之數, 由非數而得成也.
卽四十九是有形之數, 原從非數而來, 故將非數之一, 總爲五十, 故云“非數而數以之成也.”
言‘斯易之太極’者, 斯, 此也, 言此其一不用者, 是易之太極之虛无也. 无形, 卽无數也.
凡有皆從无而來, 故易從太一爲始也.
[疏]言‘夫无不可以无明 必因於有’者, 言虛无之體, 處處皆虛, 何可以无說之, 明其虛无也.
若欲明虛无之理, 必因於有物之境, 可以却本虛无. 猶若春生秋殺之事, 於虛无之時, 不見生殺之象, 是不可以无明也.
就有境之中, 見其生殺, 却推於无, 始知无中有生殺之理, 是明无必因於有也.
言‘故常於有物之極 而必明其所由之宗’者, 言欲明於无, 常須因有物至極之處, 而明其所由宗.
若易由太, 有由於无, 變化由於神, 皆是所由之宗也.
言有且何因如此, 皆由於虛无自然而來也.
分而爲二하여 以象兩하고 掛一하여 以象三하고
揲之以四하여 以象四時하고 歸奇於扐하여 以象閏하니 五歲再閏이라 再扐而後掛하나니라
[注]奇 況四揲之餘 不足復揲者也 分而爲二하여 旣揲之餘 合掛於一이라 曰 再扐而後掛라하니라
凡閏 十九年七閏爲一章이니 五歲再閏者二故 略擧其凡也
[疏]正義曰:‘分而爲二以象兩’者, 五十之內, 去其一, 餘有四十九, 合同未分, 是象太一也, 今以四十九分而爲二, 以象兩儀也.
‘掛一以象三’者, 就兩儀之間, 於天數之中, 分掛其一, 而配兩儀, 以象三才也.
‘揲之以四以象四時’者, 分揲其蓍, 皆以四四爲數, 以象四時.
‘歸奇於扐以象閏’者, 奇謂四揲之餘, 歸此殘奇於所扐之策而成數, 以法象天道,
‘五歲再閏’者, 凡前閏後閏, 相去大略三十二月, 在五歲之中, 故五歲再閏.
又以四四揲地之數, 最末之餘, 又合於前所歸之扐, 而總掛之, 是再扐而後掛也.
天數五
[注]五奇也
[疏]正義曰:謂一․三․五․七․九也.
地數五
[注]五耦也
[疏]正義曰:謂二․四․六․八․十也.
五位相得而各有合하니
[注]天地之數 各五 五數相配하여 以合成金․木․水․火․土
天數二十有五
[注]五奇合爲二十五
[疏]正義曰:總合五奇之數.
地數三十이라
[注]五耦合爲三十이라
[疏]正義曰:總合五耦之類也.
[注]變化以此成하고 鬼神以此行이라
[疏]正義曰:‘凡天地之數 五十有五’者, 是天地二數相合爲五十五, 此乃天地陰陽奇耦之數, .
而宣行鬼神之用, 言鬼神以此陰陽而得宣行, 故云“而行鬼神也.”
乾之策 二百一十有六이요
[注]陽爻六이요 一爻三十六策이니 六爻二百一十六策이라
[疏]正義曰:以乾老陽, 一爻有三十六策, 六爻凡有二百一十六策也.
坤之策 百四十有四
[注]陰爻六이요 一爻二十四策이니 六爻百四十四策이라
[疏]正義曰:坤之老陰, 一爻有二十四策, 六爻故一百四十有四策也.
若坤之少陰, 一爻有三十二, 六爻則有一百九十二, 此經據坤之老陰, 故百四十有四也.
凡三百有六十이니 當期之日하고 二篇之策 萬有一千五百二十이니 當萬物之數也
[注]二篇三百八十四爻 陰陽各半이니 合萬一千五百二十策이라
[疏]正義曰:‘凡三百有六十 當期之日’者, 擧合乾․坤兩策, 有三百有六十, 當期之數.
‘二篇之策 萬有一千五百二十 當萬物之數’者, 二篇之爻, 總有三百八十四爻, 陰陽各半,
陽爻一百九十二爻, 爻別三十六, 總有六千九百一十二也, 陰爻亦一百九十二爻, 爻別二十四, 總有四千六百八也.
陰陽總合, 萬有一千五百二十, 當萬物之數也.
是故 四營而成易하고
[注]分而爲二하여 以象兩 一營也 掛一以象三 二營也 揲之以四 三營也 歸奇於扐 四營也
[疏]正義曰:營謂經營, 謂四度經營蓍策, 乃成易之一變也.
十有八變而成卦하여 八卦而小成하여 引而伸之하니
[注]伸之六十四卦
謂初一揲, 不五則九, 是一變也, 第二揲, 不四則八, 是二變也, 第三揲, 亦不四則八, 是三變也.
若三者俱多, 爲老陰, 謂初得九, 第二․第三俱得八也. 若三者俱少, 爲老陽, 謂初得五, 第二․第三俱得四也.
若兩少一多, 爲少陰, 謂初與二․三之間, 或有四, 或有五而有八也, 或有二箇四而有一箇九, 此爲兩少一多也.
其兩多一少爲少陽者, 謂三揲之間, 或有一箇九, 有一箇八而有一箇四, 或有二箇八而有一箇五, 此爲兩多一少也.
如此三變旣畢, 乃定一爻, 六爻則十有八變, 乃始成卦也.
‘八卦而小成’者, 象天地雷風日月山澤, 於略盡, 是易道小成.
‘引而伸之’者, 謂引長八卦而伸盡之, 謂引之爲六十四卦也.
觸類而長之하면 天下之能事 畢矣
[疏]正義曰:‘觸類而長之’者, 謂觸逢事類而增長之, 若觸剛之事類, 以次增長於剛, 若觸柔之事類, 以次增長於柔.
‘天下之能事畢矣’者, 天下萬事, 皆如此例, 各以類增長, 則天下所能之事, 法象皆盡, 故曰“天下之能事畢矣”也.
顯道하며
[注]顯 明也
神德行이라
[注]由神以成其用이라
[疏]正義曰:言易理備盡天下之能事, 故可以顯明无爲之道, 而神靈其德行之事.
言大虛以養萬物爲德行, 今易道以其神靈助太虛而養物, 是神其德行也.
是故 可與酬酢하여 可與祐神矣니라
[注]可以應對萬物之求하여 助成神化之功也 酬酢 猶應對也
[疏]正義曰:‘是故可與酬酢’者, 酬酢謂應對報答, 言易道如此. 若萬物有所求爲, 此易道可與應答, 萬物有求則報,
故曰“可與酬酢”也. ‘可與祐神矣’者, 祐, 助也, 易道弘大, 可與助成神化之功也.


정의왈正義曰의 [대연지수大衍之數]에서 [祐神矣]까지 이는 제8장이다.
점서占筮하는 설시揲蓍하는 를 밝혔으니, 천지天地를 드러내고 건곤乾坤책수策數를 정하여 64를 만들어서 384를 만들어낸 것이다.
대연大衍가 50이니, 그 쓰임은 49개이다.
왕필王弼이 말하였다. “천지天地를 부연하면 사용하는 것이 50개인데 그 쓰임은 49개이니, 그렇다면 그 하나는 쓰이지 않는 것이다.
쓰이지 않는데도 쓰임이 이 때문에 통하고, 가 아닌데도 가 이 때문에 이루어지니, 이것이 태극太極인바, 49는 이다.
로써 밝힐 수가 없어서 반드시 를 의거해야 한다. 그러므로 항상 유물有物에서 반드시 그 말미암은 바의 (근본)을 밝히는 것이다.”
의 [대연大衍]에서 [有九]까지
정의왈正義曰경방京房은 “50은 10, 12, 28宿를 이르니 모두 50이요, 그중 하나는 쓰지 않음은 생기生氣가 장차 함으로써 함을 불러오고자 하므로 49를 쓰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마계장馬季長(마융馬融)은 “‘태극太極이 있음’은 북신北辰(북극성)을 이르니,
태극이 양의兩儀를 낳고 양의가 일월日月을 낳고 일월이 사시四時를 낳고 사시가 오행五行을 낳고 오행이 12을 낳고 12이 24절기節氣를 낳으니,
북신北辰은 제자리에 가만히 있으면서 움직이지 않고 그 나머지 49가 돌아가 쓰이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순상荀爽은 “에는 각각 6가 있으니 6×8은 48이요, 여기에 을 더하여 모두 50이다. 이 가운데 건괘乾卦초구初九잠룡潛龍이어서 쓰지 않으므로 49를 쓰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정강성鄭康成(정현鄭玄)은 “천지天地가 55인데, 오행五行은 그 기운이 통하므로 오행에서 5를 빼고, 대연大衍에서 또 하나를 뺀다. 그러므로 49이다.”라고 하였다.
요신姚信동우董遇는 “천지天地가 55인데, 이중에 6은 6를 형상한 것이므로 하고 49를 쓰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다만 50의 뜻을 풀이한 이론가가 여럿이 있어서 각각 그 이 있으니, 누가 옳은지는 알 수 없다. 지금 살펴보건대, 왕필王弼이 “천지天地를 부연하면 사용하는 것이 50개이다.”라고 하였으니, 왕필의 이 말을 근거해보면 그 뜻이 다 제유諸儒들과 똑같지 않다.
만물萬物책수策數가 모두 11,520이니, 이 책수를 사용하여 천지의 수를 미루어 부연함에 오직 50을 쓴 것이다.
하나는 ‘자연히 사용하는 책수策數는 오직 50을 쓰는데, 50 가운데에서 사용하는 설시揲蓍는 오직 49를 사용함’을 이른다.
그 하나는 쓰지 않음은 허무虛无여서 쓰는 바가 아니기 때문에 수에 넣지 않은 것이다.
고환顧懽왕필王弼의 이 설과 같다. 그러므로 고환顧懽은 “이 50를 세워서 을 세니, 이 비록 가 아니나 로 인하여 드러난다. 그러므로 한 를 비워두어서 말할 수 없는 뜻을 밝힌 것이다.”라고 하였다.
다만 이 뜻과 같다면 특별한 이유가 없고 자연히 50이 있는 것이니, 지금 그 말을 따라 사용한다.
의 [왕필王弼]에서 [宗也]까지
정의왈正義曰:[王弼云演天地之數 所賴者五十] 한씨韓氏(한강백韓康伯)가 직접 왕필王弼에게서 수업하였으니, 왕필의 뜻을 계승하였으므로 왕필의 말을 인용하여 그 뜻을 증명하여 이룬 것이다.
[演天地之數 所賴者五十] 만물萬物주책籌策이 비록 11,520이나 만약 이것을 사용하여 천지天地를 미루어 부연하면, 사용하는 것이 오직 50을 쓰고 그 나머지는 쓰지 않음을 말한 것이다.
다만 50을 사용하는 것은 자연히 이와 같은 것이요 그 소이연所以然은 알지 못한다.
[則其一不用] 경문經文에 이미 “50”이라 말하였고, 또 “그 쓰임은 49개이다.”라고 말하여서 이미 그 쓰임을 말했으니, 50의 안에서 그 하나를 사용하지 않는 것임을 분명히 알 수 있는 것이다.
[不用而用以之通] 만약 전혀 쓰지 않으면 이치상 응당 쓸 수 없지만, 여기에서는 이미 ‘씀’을 논하였으니, 이 때문에 ‘쓰이지 않음이 쓰임이 됨’을 아울러 말한 것이다.
50은 비록 쓰이지 않으나 쓰임이 쓰이지 않음으로부터 와서 쓰이지 않음으로써 쓰임을 얻었다. 그러므로 “쓰이지 않는데도 쓰임이 이 때문에 통한다.”라고 하였으니, 사용하는 것은 49개의 시초蓍草이다.
시초는 쓸 수 있는 것이니, 조화造化허무虛无로부터 생겨난 것이다. 만약 조화의 생성작용이 없으면 이 시초가 무엇으로 말미암아 쓰일 수 있겠는가.
[非數而數以之成] 태일太一허무虛无하여 형체가 없고 가 없으니, 이는 셀 수 있는 것이 아니다. 그러나 유형有形가 아님에 말미암아 이루어진다.
이는 곧 49인 유형有形가 원래 가 아님으로부터 온 것으로, 이 때문에 가 아닌 하나를 가지고 총계하여 50이 된 것이다. 그러므로 “가 아닌데도 가 이 때문에 이루어진다.”라고 한 것이다.
[斯易之太極] ‘’는 이것이니, 이 ‘그 하나는 쓰이지 않음’이 바로 태극太極허무虛无임을 말한 것이다. 형체가 없음은 바로 가 없는 것이다.
모든 가 다 로부터 왔으므로 태일太一로부터 시작된 것이다.
[夫无不可以无明 必因於有] ‘허무虛无가 곳곳마다 모두 하니, 어떻게 로써 설명하여 그 허무함을 밝힐 수 있겠는가.
만약 허무한 이치를 밝히고자 한다면 반드시 유물有物의 경계에 의거해야 허무에 근본할 수 있다.’라고 말한 것이다. 이는 마치 봄의 낳는 일과 가을의 죽이는 일이 허무의 때에는 그 낳고 죽이는 을 볼 수 없는 것과 같으니, 이것이 ‘로써 밝힐 수 없음’이다.
의 경계에 나아가서 낳고 죽임을 보고서 에로 미루어야 비로소 가운데에 낳고 죽이는 이치가 있음을 아니, 이것이 ‘를 밝힘은 반드시 를 의거해야 함’이다.
[故常於有物之極 而必明其所由之宗] 를 밝히고자 하면 항상 모름지기 유물有物의 지극한 곳을 의거하여 그 말미암은 바의 (근본)을 밝혀야 함을 말한 것이다.
예를 들면 태일太一에 말미암고 에 말미암고 변화變化에 말미암는 것과 같으니, 이는 다 말미암는 바의 인 것이다.
가 또 무엇을 인하여 이와 같은 것인가? 모두 허무虛无자연自然에 말미암아 온 것이다.’라고 말한 것이다.
나누어 둘로 만들어서 양의兩儀를 형상하고, 하나를 걸어서 삼재三才를 형상하고,
넷씩 떼어내서 사시四時를 형상하고, 남는 것을 했던 〈책수策數로〉 돌려서 윤달을 형상하니, 5년에 두 번 윤달이 있다. 그러므로 두 번 한 뒤에 거는 것이다.
(남는 수)는 넷씩 떼어낸 나머지는 다시 떼어낼 수 없음을 비유한 것이다. 나누어 둘을 만들어서 이미 〈넷씩〉 떼어낸 나머지를 합하여 하나에 걸기 때문에 “두 번 한 뒤에 건다.”라고 한 것이다.
무릇 윤달은 19년에 7번 윤달이 있는 것을 일장一章이라 하니, ‘오세재윤五歲再閏’이란 〈5년에 윤달이〉 두 번이므로 대략적인 수를 든 것이다.
정의왈正義曰:[分而爲二以象兩] 50개의 안에서 하나를 빼고 나머지 49개가 합쳐져 아직 나누어지지 않음은 바로 태일太一을 형상한 것인데, 지금 49개를 나누어 둘로 만들어서 양의兩儀를 형상한 것이다.
[掛一以象三] 양의兩儀의 사이에 나아가 천수天數(왼쪽에 있는 시초) 가운데에서 하나를 분리하여 〈손가락에〉 걸고서 이를 양의兩儀에 배합하여 삼재三才를 형상한 것이다.
[揲之以四以象四時] 시초를 나누어 떼어내되 모두 넷씩 넷씩 로 삼아서 사시四時를 형상한 것이다.
[歸奇於扐以象閏] ‘’는 넷씩 떼어낸 나머지를 이르니, 이 남은 수를 했던 책수策數로 돌려서 를 이루어 천도天道법상法象(본받아 형상함)하니, 남은 것을 돌리고 나머지를 모으고서 〈이를 30일씩〉 나누어 윤달을 이루는 것이다.
[오세재윤五歲再閏] 무릇 앞 윤달과 뒤 윤달이 서로 대략 32개월쯤 떨어져 있어서 5년 안에 있으므로 5년에 두 번 윤달이 있는 것이다.
[再扐而後掛] 이미 하늘과 땅을 나누어서 하늘은 왼손에 잡고 땅은 오른손에 잡고서 마침내 천수天數(왼손의 시초)를 넷씩 넷씩 떼어내서 가장 끝에 남은 나머지를 돌려서 륵괘扐掛의 한 곳에 합치니, 이것이 첫 번째 이다.
지수地數(오른손의 시초)를 넷씩 넷씩 떼어내서 가장 끝에 남은 나머지를 또 전에 돌렸던 과 합하여 모두 합해서 거니, 이것이 두 번 한 뒤에 거는 것이다.
하늘의 가 다섯이고
다섯 기수奇數이다.
정의왈正義曰:1․3․5․7․9를 이른다.
땅의 가 다섯이니,
다섯 우수耦數(우수偶數)이다.
정의왈正義曰:2․4․6․8․10을 이른다.
다섯 자리가 서로 맞아 각각 합함이 있으니,
하늘과 땅의 수가 각각 다섯이니, 다섯의 가 서로 짝하여 를 합하여 이루는 것이다.
정의왈正義曰:예를 들면 하늘의 1이 땅의 6과 서로 맞아서 합하여 가 되고, 땅의 2가 하늘의 7과 서로 맞아서 합하여 가 되고, 하늘의 3이 땅의 8과 서로 맞아서 합하여 이 되고, 땅의 4가 하늘의 9와 서로 맞아서 합하여 이 되고, 하늘의 5가 땅의 10과 서로 맞아서 합하여 가 되는 것과 같은 것이다.
하늘의 가 25이고
다섯 기수奇數를 합하면 25가 된다.
정의왈正義曰:다섯 기수奇數를 총합한 것이다.
땅의 가 30이다.
다섯 우수耦數(우수偶數)를 합하면 30이 된다.
정의왈正義曰:다섯 우수耦數의 무리를 총합한 것이다.
무릇 하늘과 땅의 가 55이니, 이것이 변화變化를 이루고 귀신鬼神을 행하게 하는 것이다.
변화變化가 이로써 이루어지고, 귀신鬼神이 이로써 행해지는 것이다.
정의왈正義曰:[凡天地之數 五十有五] 하늘과 땅의 두 가 서로 합하여 55가 되니, 이는 바로 천지天地음양기우陰陽奇耦이니, 위 글의 ‘천지天地책수策數를 부연한 것’이 아니다.
[此所以成變化而行鬼神] 이 기수奇數우수耦數변화變化를 성취함을 말한 것이다. ‘변화가 이 음양陰陽 때문에 이루어짐’을 말하였으므로 “변화를 이룬다.”라고 한 것이다.
귀신鬼神의 쓰임을 펴서 행하니, ‘귀신이 이 음양 때문에 펴서 행해짐’을 말하였으므로 “귀신을 행하게 한다.”라고 말한 것이다.
이 216이고,
양효陽爻가 여섯이고 한 가 36이니, 6에 216이다.
정의왈正義曰노양老陽은 한 에 36이 있으니, 여섯 면 모두 216이다.
소양少陽은 한 에 28이 있어서 여섯 면 168이 있으니, 이 경문은 노양老陽을 근거한 것이다.
이 144이다.
음효陰爻가 여섯이고 한 가 24이니, 6에 144이다.
정의왈正義曰노음老陰은 한 에 24이 있으니, 6이므로 144이다.
소음少陰으로 말하면 한 에 32가 있어서 여섯 면 192가 있으니, 이 경문은 노음老陰을 근거하였으므로 144가 되는 것이다.
의 책수 216과 의 책수 144를 합하면〉 모두 360이니 기년期年의 날짜에 해당하고, 두 이 11,520이니 만물萬物에 해당한다.
〉 두 의 384이 각각 반이니, 합치면 11,520이다.
정의왈正義曰:[凡三百有六十 當期之日] 을 모두 합하면 360이 있어서 기년期年의 숫자에 해당하는 것이다.
360일은 대략을 들어서 5일과 1/4일을 세지 않은 것이다.
[二篇之策 萬有一千五百二十 當萬物之數] 두 가 총 384이고 이 각각 반이다.
양효陽爻가 192인데 가 따로 36이니 총 6,912가 있는 것이요, 음효陰爻 또한 192인데 가 따로 24이니 총 4,608이 있는 것이다.
을 모두 합하면 11,520이니, 만물萬物에 해당한다.
이 때문에 4번 경영하여 을 이루고,
나누어 둘을 만들어서 양의兩儀를 형상함이 첫 번째 경영이요, 하나를 걸어서 삼재三才를 형상함이 두 번째 경영이요, 넷씩 떼어냄이 세 번째 경영이요, 남는 것을 했던 〈책수策數로〉 돌림이 네 번째 경영이다.
정의왈正義曰:‘’은 경영經營을 이르니, 네 차례 시초의 책수策數를 경영하여 마침내 의 한 을 이룸을 말한 것이다.
18번 변하여 를 이루어서 팔괘八卦에 〈를〉 조금 이루고서 이끌어 펴니,
펴면 64이다.
정의왈正義曰:[十有八變而成卦] 매 한 마다 3이 있으니,
맨 처음 시초를 떼어낸 것이 5 아니면 9이니 이것이 1이요, 두 번째 떼어낸 것이 4 아니면 8이니 이것이 2이요, 세 번째 떼어낸 것 또한 4 아니면 8이니 이것이 3이다.
만약 세 번 모두 많으면 노음老陰이 되니, 첫 번째에 를 얻고 두 번째와 세 번째에 모두 8을 얻음을 말한 것이다. 만약 세 번 모두 적으면 노양老陽이 되니, 첫 번째에 5를 얻고 두 번째와 세 번째에 모두 4를 얻음을 이른다.
만약 두 번 적고 한 번 많으면 소음少陰이 되니, 첫 번째와 두 번째․세 번째 사이에 혹 4가 있고 혹 5가 있고 혹 8이 있거나 혹 두 번은 4이고 한 번은 9임을 이르니, 이것이 두 번 적고 한 번 많음이 되는 것이다.
두 번 많고 한 번 적음이 소양少陽이 되는 것은 세 번 떼어내는 사이에 혹 한 번은 9이고 한 번은 8이고 한 번은 4이거나 혹 두 번은 8이고 한 번은 5임을 이르니, 이것이 두 번 많고 한 번 적음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3이 이미 끝나면 비로소 한 를 정하여 여섯 이면 18번 변하니, 이에 비로소 를 이루는 것이다.
[八卦而小成] 하늘()과 땅(), 우레()와 바람(), 해()와 달(), 산()과 못()을 형상한 것을 〈대상전大象傳〉에서 대략 다 말하였으니, 이는 가 조금 이루어진 것이다.
[引而伸之] 팔괘八卦를 이끌어 키워서 이를 펴서 다함을 이르니, 〈팔괘를〉 이끌어 64로 만듦을 이른 것이다.
일의 종류를 만나 키우면 천하天下의 능한 일이 끝난다.
정의왈正義曰:[觸類而長之] 일의 종류를 만나 더하고 키움을 이르니, 만약 의 일의 종류를 만나면 차례로 을 더하고 키우며, 만약 의 일의 종류를 만나면 차례로 를 더하고 키우는 것이다.
[天下之能事畢矣] 천하 만사가 모두 이 준례와 같아서 각각 종류로써 더하고 키우면 천하의 능한 바의 일이 그 법상法象이 모두 다 끝난다. 그러므로 “천하天下의 능한 일이 끝난다.”라고 말한 것이다.
를 밝히며
은 밝힘이다.
덕행德行을 신령스럽게 한다.
으로 말미암아 그 쓰임을 이루는 것이다.
정의왈正義曰:‘의 이치가 천하의 능한 일을 갖추어 다하였기 때문에 무위无爲를 드러내어 밝혀서 그 덕행德行의 일을 신령스럽게 함’을 말한 것이다.
태허太虛는 만물을 기름을 덕행으로 삼고, 지금 는 신령스러움으로써 태허를 도와 물건을 길러주니, 이것이 덕행을 신령스럽게 하는 것임’을 말한 것이다.
이 때문에 이로써 수작酬酢(응대應對)할 수 있어서 이로써 을 도울 수 있는 것이다.
이로써 만물萬物의 구함에 응대應對하여 신화神化을 도와 이룰 수 있는 것이다. ‘수작酬酢’은 응대와 같다.
정의왈正義曰:[是故可與酬酢] ‘수작酬酢’은 응대應對하고 보답報答함을 이르니, 가 이와 같음을 말한 것이다. 만약 만물萬物이 하고자 하는 바가 있으면 이 가 이로써 응답하여 만물이 구함이 있으면 보답한다.
그러므로 “이로써 수작(응대)할 수 있다.”라고 말한 것이다. [可與祐神矣] ‘’는 도움이니, 가 넓고 커서 이로써 신화神化을 도울 수 있는 것이다.


역주
역주1 王弼曰……而必明其所由之宗也 : 王弼의 말이 어디까지인지 분명하지 않은데, 李鼎祚의 ≪周易集解≫에는 ‘四十有九 數之極也’까지를 왕필의 말로 인용하였고, 魏了翁의 ≪周易要義≫에는 이 注 전체를 왕필의 말로 인용하였다.
역주2 馬季長云易有太極……其餘四十九轉運而用也 : 馬融은 大衍數(50)가 ‘太極(1)+兩儀(2)+日月(2)+四時(4)+五行(5)+12달(12)+24절기(24)’로 구성된 것으로 보고, ‘其用 四十有九’를 ‘태극(북극성)은 움직이지 않으므로 이를 빼고 나머지만 쓰임’의 뜻으로 본 것이다.
역주3 荀爽云卦各有六爻……故用四十九也 : 여기에서 말한 ‘卦’는 重疊卦를 가리킨 듯하다. 중첩괘는 모두 8개(重天乾䷀, 重澤兌䷹, 重火離䷝, 重雷震䷲, 重風巽䷸, 重水坎䷜, 重山艮䷳, 重地坤䷁)이고 각 괘에 6개의 爻가 있어서 모두 48爻인데, 乾卦와 坤卦의 경우에는 用九와 用六이 하나씩 더 있으므로 모두 50이 되는바, 荀爽은 이것을 大衍數의 구성으로 보고, ‘49를 씀’을 ‘乾卦 初九는 潛龍勿用이므로 이 爻를 빼고 나머지만 씀’의 뜻으로 본 것이다.
역주4 鄭康成云天地之數五十有五 : ‘天地의 數가 55임’은 아래 節에 보이는바, 55는 天의 數인 5개의 奇數(1․3․5․7․9)의 합과 地의 數인 5개의 偶數(2․4․6․8․10)의 합을 더하여 얻어진 것이다.
역주5 萬物之策 凡有萬一千五百二十 : ‘만물의 數가 11,520임’ 역시 아래 節에 보이는바, 이 숫자는 ≪周易≫ 전체 384爻 중에 절반인 192개의 陽爻에는 陽爻의 策數 36을 곱해서 6,912를 얻고, 또 다른 절반인 192개의 陰爻에는 陰爻의 策數 24를 곱해서 4,608을 얻은 다음, 이 두 數를 합하여 도출된 것이다.
역주6 只如此意……今依用之 : 孔穎達도 언급하고 있듯이, 王弼의 說은 大衍數가 왜 50이 되는지에 대해서는 밝혀주지 못하고 있다.
반면 朱子는 다음의 말로 그 이유를 설명하였다. “大衍의 數가 50이라는 것은 河圖의 中宮에 있는 天數 5를 가지고 地數 10을 곱하여 얻은 것이요, 占을 치는 데에 사용함에 이르러는 또 다만 49를 쓰니, 이는 모두 이치와 형세의 자연스러움에서 나온 것이요, 사람의 지혜와 힘으로 가감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大衍之數五十 蓋以河圖中宮天五 乘地十而得之 至用以筮 則又止用四十有九 蓋皆出於理勢之自然 而非人之知力所能損益也]”
역주7 [一] : 저본에는 ‘一’이 없으나, 宋本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阮元의 〈校勘記〉 참조)
역주8 歸殘聚餘 分而成閏也 : 1년은 天體로 볼 때 365일인데 이것을 5로 곱하면 1,825일이 되고 여기에 약 2일의 남은 數가 있어 5년이면 1,827일이 된다. 반면에 음력의 달은 작은 달(29일)이 있어 1년에 대략 354일이 조금 넘어서 이를 5로 곱하면 1,770일이 되어 약 55일이 남아 두 번의 윤달이 있게 되므로 이렇게 말한 것이다.
역주9 再扐而後掛者……是再扐而後掛也 : 이 經文과 注疏의 말은 시초점 치는 법을 알아야 그 뜻을 이해할 수 있다. 시초점의 筮法을 간략히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① 점을 치기 위한 도구를 마련한다. 50개의 蓍草와 나무판자, 향로, 점친 결과를 적을 필기도구가 필요하다.
② 몸과 마음을 깨끗이 한 후 50개의 蓍草를 들어 향로에 연기를 쐬고 자신이 묻고 싶은 내용을 말한다.
③ 오른손으로 蓍草 하나를 뽑아 별도로 둔다. 이 시초는 太極을 상징하는 것으로 점이 끝날 때까지 사용하지 않는다. 경문의 “그 쓰임은 49개이다.[其用 四十有九]”가 여기에 해당한다.
④ 남은 49개의 蓍草를 무심한 상태에서 반으로 나눈다. 나눈 시초를 양쪽에 놓는다. 경문의 “나누어 둘로 만들어서 兩儀를 형상한다.[分而爲二以象兩]”가 여기에 해당한다.
⑤ 왼손으로 왼쪽의 蓍草(왼쪽은 陽으로 天에 해당함)를 잡고 오른손으로 오른쪽에 놓아둔 시초 중 하나를 왼손 새끼손가락 사이에 건다. 경문의 “하나를 걸어서 三才를 형상한다.[掛一以象三]”가 여기에 해당한다.
⑥ 오른손으로 왼손의 蓍草를 4개씩 떼어낸다[揲]. 경문의 “넷씩 떼어내서 四時를 형상한다.[揲之以四以象四時]”가 여기에 해당한다.
⑦ 떼고 남은 것을 왼손 넷째손가락 사이에 건다. 경문의 “남는 것을 扐했던 〈策數로〉 돌려서 윤달을 현상한다.[歸奇於扐以象閏]”가 여기에 해당한다. 손가락 사이에 거는 것을 ‘扐’이라고 한다. 다 세고 난 蓍草는 왼쪽에 다시 내려놓는다.
⑧ 이번에는 오른쪽에 놓아두었던 蓍草(오른쪽은 陰으로 地에 해당함)를 오른손으로 잡고 왼손으로 오른손의 시초를 4개씩 뗀다. 떼고 남은 것을 왼쪽 셋째손가락 사이에 건다. 다 세고 난 시초는 오른쪽에 다시 내려놓는다.
⑨ 왼손에 걸려 있는 세 묶음의 蓍草(처음의 掛․왼손 시초에서 남은 扐․오른손 시초에서 남은 扐)를 합하여 판자 위편에 올려놓는다. 이상을 第1變이라고 한다.
⑩ 왼쪽과 오른쪽에 놓여 있는 蓍草를 다시 합하여 ④부터 ⑧까지의 과정을 두 번 더 반복한다.
⑪ 이렇게 총 3變의 과정을 거치면 판자 위에 올려놓은 蓍草가 총 세 묶음이 되는데 이것을 합한 수로 한 爻를 결정하게 된다. 3變으로 한 爻를 얻으므로 총 18變을 거쳐야만 6爻, 즉 한 卦를 얻을 수 있다.
이상의 과정으로 볼 때, 경문의 “再扐而後掛”는 ‘처음에 하나를 掛하고 두 번 扐해서 1變을 끝낸 뒤에 다시 처음부터 시작해서 하나를 掛하는 것’의 뜻이 되는바, 朱子의 풀이 또한 이와 같다.
반면 孔穎達은 여기의 ‘掛’를 “掛一以象三”의 ‘掛’와 같은 것으로 보지 않고, 1變의 數를 총괄하여 거는 것으로 풀이하였다.
역주10 若天一與地六相得……合爲土也 : 韓康伯과 孔穎達은 ‘相得’과 ‘各有合’을 구분하지 않고 하나의 일로 보았는바, ‘天數 다섯과 地數 다섯이 같은 五行의 數끼리 서로 맞아서 합함’의 의미로 본 것이다.
반면 朱子는 ‘相得’과 ‘各有合’을 구분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하였다. “서로 맞는다는 것은 1과 2, 3과 4, 5와 6, 7과 8, 9와 10이 각기 奇數와 偶數로서 類가 되어 스스로 서로 맞음을 이르고, 합함이 있다는 것은 1과 6, 2와 7, 3과 8, 4와 9, 5와 10이 모두 둘씩 서로 합함을 이른다.[相得 謂一與二 三與四 五與六 七與八 九與十 各以奇偶爲類而自相得 有合 謂一與六 二與七 三與八 四與九 五與十 皆兩相合]”
역주11 天數五……此所以成變化而行鬼神也 : 朱子는 이 經文을 “大衍之數 五十” 앞으로 옮겨놓았다.
역주12 非是上文演天地之策也 : ‘演天地之策’은 ‘大衍數인 50’을 가리켜 말한 것으로, 위 절의 經文 ‘大衍之數 五十’에 대한 注疏에 그 설명이 보인다.
역주13 此所以成變化而行鬼神者……故云成變化也 : ‘成變化’를 朱子는 다음과 같이 설명하였다. “變化는 1이 變하여 水를 낳으면 6이 化하여 이루고, 2가 化하여 火를 낳으면 7이 變하여 이루고, 3이 變하여 木을 낳으면 8이 化하여 이루고, 4가 化하여 金을 낳으면 9가 變하여 이루고, 5가 變하여 土를 낳으면 10이 化하여 이룸을 이른다.[變化 謂一變生水而六化成之 二化生火而七變成之 三變生木而八化成之 四化生金而九變成之 五變生土而十化成之]” 變은 반쯤만 변하는 것이고 化는 완전히 변하는 것으로, 예컨대 누에가 번데기로 변함은 變이고, 번데기가 나방으로 다시 변함은 化라 하는바, 陽變陰化여서 1․3․5․7․9인 陽數에는 變을, 2․4․6․8․10의 陰數에는 化를 붙였으며, 1․2․3․4․5에는 生을, 6․7․8․9․10에는 成을 붙인 것이다.
역주14 以乾老陽……此經據老陽之策也 : 老陽과 少陽, 老陰과 少陰은 四象에서 온 것인데, 각각의 고유숫자와 생성순서, 策數는 다음과 같다. 책수는 고유숫자에 4를 곱하여 얻은 것이다. 자세한 내용은 〈해제〉 참조.
老陽 ⚌少陰 ⚍少陽 ⚎老陰 ⚏
생성순서1234
고유숫자9876
策數36322824
역주15 三百六十日……不數五日四分日之一也 : 한 해는 太陽으로 보면 365일과 1/4일이 되는데, 음력 12개월을 30일씩 계산하면 360일이 되므로 ‘5일과 1/4일을 세지 않은 것’이라고 한 것이다. 그러나 실제 음력은 29일의 작은 달이 거의 절반이어서 실제는 1년이 354일이 조금 넘는다. 이 때문에 19년에 일곱 번 윤달을 두어 天體와 太陽에 맞게 한 것이다.
역주16 十有八變而成卦者……此爲兩多一少也 : 남은 蓍草의 개수를 계산하여 爻를 얻는 법을 설명한 것이다. 1變이 끝나고 남은 시초의 개수는 처음 손가락에 걸었던 시초 하나와, 왼쪽의 시초를 4개씩 떼어내고서 남은 시초 개수와, 오른쪽의 시초를 4개씩 떼어내고서 남은 시초 개수, 이 셋을 합하여 얻는다. 맨 처음 왼손의 시초를 4개씩 나누었을 때 나오는 나머지는 1․2․3․4 중 하나이다. 4로 완전히 나누어 떨어질 경우, 남는 시초가 없어서는 안 되기 때문에 4개를 남기는 것이다. 49개의 시초로 시작했기 때문에 처음 4개씩 뗀 나머지가 나오면 그 다음 나오는 나머지의 숫자는 정해져 있다. 왼쪽의 시초에서 1개가 남았을 경우 오른쪽 시초에서 3개가 남으며, 왼쪽에서 2개가 남았을 경우 오른쪽에서 2개가, 3개가 남았을 경우 1개가, 4개가 남았을 경우 4개가 남는다. 따라서 1變을 끝냈을 때 얻어지는 남은 시초의 개수는 5(1+1+3, 1+2+2, 1+3+1) 아니면 9(1+4+4)가 된다. 마찬가지 원리로 2變을 끝냈을 때 얻어지는 남은 시초의 개수도 4 아니면 8로 정해져 있고, 3變을 끝냈을 때 얻어지는 개수도 4 아니면 8로 정해져 있다. 3變을 통해 도출된 남은 시초의 개수로 爻가 정해지는데 이를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표의 차례는 疏에서 소개한 순서를 따랐다. 남은 시초 개수를 말할 때는 많은 것을 偶數(耦數)라 하고, 적은 것을 奇數라 한다.
老陰3多(三偶)나머지가 9·8·8
老陽3少(三奇)나머지가 5·4·4
少陰2少1多(二奇一偶)나머지가 5·8·4 / 5·4·8 / 9·4·4
少陽2多1少(二偶一奇)나머지가 9·8·4 / 9·4·8 / 5·8·8
역주17 大象 : 〈象傳〉은 卦 전체의 의의를 해설한 大象과 爻辭를 해설한 小象으로 구성되어 있다. 大象은 64괘 모두에 달려 있으며, 대체적으로 먼저 그 卦를 이루고 있는 上卦(外卦)와 下卦(內卦)의 象을 설명하고 그 象에 의거하여 人倫的 의리를 서술하고 있다.

주역정의(4) 책은 2022.01.2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