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周易正義(3)

주역정의(3)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주역정의(3)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中孚 豚魚吉하니 利涉大川하고 利貞하니라
[疏]正義曰:‘中孚 豚魚吉’者, 中孚, 卦名也. 信發於中, 謂之中孚.
魚者, 蟲之幽隱. 豚者, 獸之微賤. 人主內有誠信, 則雖微隱之物, 信皆及矣, 莫不得所而獲吉, 故曰“豚魚吉也.”
‘利涉大川 利貞’者, 微隱獲吉, 顯者可知. 旣有誠信, 光被萬物, 萬物得宜,
以斯涉難, 何往不通. 故曰“利涉大川.” 信而不正, 凶邪之道, 故利在貞也.
彖曰 中孚 柔在內而剛得中하고 說而巽일새
[注]有上然後 乃孚
[疏]正義曰:此就 及上下二體說而以巽, 釋此卦名爲中孚之義也.
柔內剛中, 各當其所, 說而以巽, 乖爭不作, 所以信發於內, 謂之中孚, 故曰“柔在內而剛得中, 說而巽, 孚”也.
乃化邦也니라
[注]信立而後 邦乃化也 柔在內而剛得中 各當其所也
剛得中이면 則直而正하고 柔在內 則靜而順하며 說而以巽이면 則乖爭不作이니 如此 則物无巧競하여 敦實之行著하여 而篤信發乎其中矣
豚魚吉 信及豚魚也일새요
[注]魚者 蟲之隱者也 豚者 獸之微賤者也 爭競之道不興하고 中信之德淳著 則雖微隱之物이라도 信皆及之
[疏]正義曰:釋所以得吉, 由信及豚魚故也.
利涉大川 乘木舟虛也일새요
[注]乘木於川舟之虛 則終已无溺也 用中孚以涉難 若乘木舟虛也
[疏]正義曰:釋此涉川所以得利, 以中信而濟難, 若乘虛舟以涉川也.
中孚以利貞 乃應乎天也일새니라
[注]盛之至也
[疏]正義曰:釋中孚所以利貞者, 天德剛正而氣序不差, 是正而信也. 今信不失正, 乃得應於天, 是中孚之盛, 故須濟以利貞也.
象曰 澤上有風 中孚 君子以議獄緩死하나니라
[注]信發於中하니 雖過 可亮이라
‘君子以議獄緩死’者, 中信之世, 必非故犯, 過失爲辜, 情在可恕, 故君子以議其過失之獄, 緩捨當死之刑也.
初九 虞吉이니 有它 不燕하리라
[注]虞 猶專也 爲信之始하여 而應在四하니 得乎專吉者也 志未能變하여 繫心於一이라 有它 不燕也
象曰 初九虞吉 志未變也일새라
[疏]正義曰:‘志未變’者, 所以得專一之吉, 以志未改變, 不更親於他也.
九二 在陰이어늘 其子和之로다 我有好爵하여 吾與爾靡之로다
[注]處內而居重陰之下로되 而履不失中하니 不徇於外하여 任其眞者也
立誠篤至하면 雖在闇昧 物亦應焉이라 曰 鳴鶴在陰이어늘 其子和之也라하니라
不私權利하고 唯德是與 誠之至也 曰 我有好爵하여 與物散之라하니라
[疏]正義曰:‘鳴鶴在陰 其子和之’者, 九二體剛, 處於卦內, 又在三ㆍ四重陰之下, 而履不失中, 是不徇於外, 自任其眞者也.
處於幽昧, 而行不失信, 則聲聞于外, 爲同類之所應焉, 如鶴之鳴於幽遠, 則爲其子所和, 故曰“鳴鶴在陰, 其子和之”也.
‘我有好爵 吾與爾靡之’者, 又无偏應, 是不私權利, 惟德是與.
若我有好爵, 吾願與爾賢者, 分散而共之, 故曰“我有好爵, 吾與爾靡之.”
象曰 其子和之 中心願也
[疏]正義曰:‘中心願’者, 誠信之人, 願與同類相應, 得誠信而應之, 是中心願也.
六三 得敵하여 或鼓或罷하고 或泣或歌로다
[注]하여 對而不相比하니 敵之謂也
以陰居陽 欲進者也 欲進而閡敵故 或鼓也 四履正而承五하니 非己所克故 或罷也
不勝而退 懼見侵陵故 或泣也 四履乎順하여 不與物校하여 退而不見害故 或歌也 不量其力하고 進退无恒이면 可知也
[疏]正義曰:六三與四, 俱是陰爻, 相與爲類. 然三居少陰之上, 四居長陰之下, 各自有應對, 而不相比, 敵之謂也, 故曰“得敵.”
欲進礙四, 恐其害己, 故或鼓而攻之, 而四履正承尊, 非己所勝, 故或罷而退敗也.
象曰 或鼓或罷 位不當也일새라
[疏]正義曰:‘位不當’者, 所以或鼓或罷, 進退无恒者, 止爲不當其位, 妄進故也.
六四 月幾望이니 馬匹亡이라야 无咎리라
[注]居中孚之時하여 處巽之始하고 應說之初하고 居正履順하여 以承於五하니 內毗元首하고 外宣德化者也
充乎陰德之盛이라 曰 月幾望이라하니라 馬匹亡者 棄群類也
若夫居盛德之位하여 而與物校其競爭이면 則失其所盛矣 曰 絶類而上하여 履正承尊하여 不與三爭이라야 乃得无咎也라하니라
[疏]正義曰:‘月幾望’者, 六四居中孚之時, 處巽應說, 得位履順, 上承於五, 內毗元首, 外宣德化,
充乎陰德之盛, 如月之近望, 故曰“月幾望”也.
‘馬匹亡 无咎’者, 三與己敵, 進來攻己, 己若與三校戰, 則失其所盛,
象曰 馬匹亡 絶類하여 上也
[注]類 謂三이니 俱陰爻故 曰 類也
[疏]正義曰:‘絶類 上’者, 絶三之類, 不與爭, 而上承於五也.
九五 有孚攣如라야 无咎리라
[注]攣如者 繫其信之辭也 處中誠以相交之時하여 居尊位以爲群物之主하니 信何可舍리오 有孚攣如라야 乃得无咎也
[疏]正義曰:‘有孚攣如 无咎’者, 攣如者, 相牽繫不絶之名也. 五在信時, 處於尊位, 爲群物之主,
繫信不絶, 乃得无咎, 故曰“有孚攣如, 无咎”也.
象曰 有孚攣如 位正當也일새라
[疏]正義曰:‘位正當’者, 以其正當尊位, 故戒以繫信, 乃得无咎.
以陽得正位, 而无有繫信, 則招有咎之嫌也.
上九 翰音登于天이니 貞凶하니라
[注]翰 高飛也 飛音者 音飛而實不從之謂也 居卦之上하고 處信之終하니
信終則衰하여 忠篤內喪하고 華美外揚이라 曰 翰音登于天也라하니라 翰音登天이면 正亦滅矣
[疏]正義曰:翰, 高飛也, 飛音者, 音飛而實不從之謂也. 上九處信之終, 信終則衰也.
信衰則詐起, 而忠篤內喪, 華美外揚, 若鳥翰音登于天, 虛聲遠聞也, 故曰“翰音登于天.”
象曰 翰音登于天하니 何可長也리오
[疏]正義曰:‘何可長也’者, 虛聲无實, 何可久長.


中孚는 돼지와 물고기에게도 〈믿음이 미쳐〉 吉하니, 大川을 건넘이 이롭고 貞함이 이롭다.
正義曰:[中孚 豚魚吉] ‘中孚’는 卦의 이름이다. 믿음(誠信)이 中心에서 發함을 ‘中孚’라 이른다.
‘물고기’는 벌레 중에 그윽하고 숨어 있는 것이고, ‘돼지’는 짐승 중에 미천한 것이다. 군주가 안에 誠信이 있으면 비록 미천하고 숨어 있는 물건이라도 믿음이 모두 미쳐서 제자리를 얻어 吉함을 얻지 않는 것이 없다. 그러므로 “돼지와 물고기에게도 〈믿음이 미쳐〉 吉하다.”라고 한 것이다.
[利涉大川 利貞] 미천하고 숨어 있는 물건까지도 吉함을 얻으면 드러난 것은 〈말하지 않아도〉 알 수 있다. 이미 誠信이 있어서 광채가 萬物에 입혀져서 만물이 마땅함을 얻었으니,
이로써 어려움을 건너가면 어디로 간들 형통하지 않겠는가. 그러므로 “大川을 건넘이 이롭다.”라고 한 것이다. 믿으면서 바르지 못함은 흉하고 간사한 道이다. 그러므로 이로움이 貞에 있는 것이다.
〈彖傳〉에 말하였다. “‘中孚’는 柔가 안에 있고 剛이 中을 얻고 기뻐하고 공손하므로 믿으니,
위에 네 德이 있은 뒤에야 비로소 믿는 것이다.
正義曰:이는 ‘六三과 六四가 陰柔로서 함께 두 體의 안에 있고 九二와 九五가 剛德으로 각각 한 卦의 중앙에 있으며 상하의 두 體가 기뻐하고 공손함으로써 함’을 가지고 이 卦의 이름이 ‘中孚’가 된 뜻을 해석한 것이다.
柔가 안에 있고 剛이 中에 있음은 각각 제자리에 마땅한 것이고, 기뻐하고 공손함으로써 하면 괴리와 다툼이 일어나지 않으니, 이 때문에 믿음이 안에 發함을 ‘中孚’라 한 것이다. 그러므로 “柔가 안에 있고 剛이 中을 얻고 기뻐하고 공손하므로 믿는다.”라고 한 것이다.
마침내 나라를 교화시킨다.
믿음이 확립된 뒤에 나라가 비로소 교화되는 것이다. 柔가 안에 있고 剛이 中을 얻음은 각각 제자리에 마땅한 것이다.
剛이 中을 얻으면 곧고 바르며 柔가 안에 있으면 고요하고 순하며 기뻐하고 공손함으로써 하면 괴리와 다툼이 일어나지 않으니, 이와 같이 하면 사람들이 공교롭게 경쟁함이 없어서 돈후하고 진실한 행실이 드러나 돈독한 믿음이 마음속에서 발하게 될 것이다.
正義曰:誠信이 안에서 發하면 나라가 밖에서 교화된다. 그러므로 “마침내 나라를 교화시킨다.”라고 한 것이다.
‘돼지와 물고기까지도 吉함’은 믿음이 돼지와 물고기에게도 미쳤기 때문이요,
‘물고기’는 벌레 중에 숨어 있는 것이고, ‘돼지’는 짐승 중에 미천한 것이다. 경쟁하는 道가 일어나지 않고 마음에 誠信한 德이 淳厚하게 드러나면 비록 미천하고 숨어 있는 물건이라도 믿음이 모두 미치게 된다.
正義曰:吉함을 얻은 이유가 믿음이 돼지와 물고기에게도 미쳤기 때문임을 해석한 것이다.
‘大川을 건넘이 이로움’은 나무를 타되 배가 비어 있기 때문이요,
나무를 탈 적에 냇물의 배 중에 빈 배를 타면 끝내 빠짐이 없으니, 中孚를 사용하여 어려움을 건넘은 나무를 타되 배가 빈 것과 같은 것이다.
正義曰:이 냇물을 건넘이 이로움을 얻는 까닭은 中心이 誠信함으로써 어려움을 구제하여 마치 빈 배를 타고 냇물을 건너는 것과 같기 때문임을 해석한 것이다.
中孚가 貞함이 이로운 까닭은 마침내 하늘에 應하기 때문이다.”
盛함이 지극하다.
正義曰:‘中孚가 貞함이 이로운 까닭은 하늘의 德이 剛正하여 기후의 節序가 어긋나지 않기 때문이니, 이는 바르고 믿는 것임’을 해석한 것이다. 지금 믿음이 바름을 잃지 않으면 마침내 하늘에 應하니, 이는 中孚의 盛함이다. 그러므로 모름지기 건너서 貞함이 이로운 것이다.
〈象傳〉에 말하였다. “못 위에 바람이 있는 것이 中孚卦이니, 君子가 보고서 獄事를 의논하고 死刑을 늦춘다.”
믿음이 中心에서 發하니, 비록 과실을 범하였으나 亮察(諒察)할 수 있는 것이다.
正義曰:[澤上有風 中孚] 바람이 못 위를 지나가면 두루하지 않는 바가 없으니, 이는 믿음이 물건에 입혀짐에 이르지 않는 바가 없는 것과 같다. 그러므로 “못 위에 바람이 있는 것이 中孚卦이다.”라고 한 것이다.
[君子以議獄緩死] 中心이 믿는 세상에서는 반드시 고의로 죄를 범하는 것이 아니요 과실로 죄를 지은 것이어서 情狀이 용서할 만한 처지에 있다. 그러므로 君子는 과실의 獄事를 의논하고 마땅히 죽여야 하는 형벌을 늦추고 놓아주는 것이다.
初九는 專一한 吉함이니, 다른 것을 구함이 있으면 편안하지 못하리라.
‘虞’는 ‘專’과 같다. 信의 시초가 되어 應이 六四에 있으니, 專一한 吉함을 얻은 자이다. 뜻이 변치 않아서 마음이 하나에 매여 있다. 그러므로 다른 것을 구함이 있으면 편안하지 못한 것이다.
正義曰:‘虞’는 ‘專’과 같다. ‘燕’은 편안함이다. 初九는 信의 시초가 되고 應이 六四에 있어서 그 專一한 吉함을 얻었다. 그러므로 “전일한 길함이다.”라고 한 것이다.
이미 마음이 하나에 매여 있으므로 다시 다른 것을 구함이 있으면 그와 서로 함께 편안하지 못하다. 그러므로 “다른 것을 구함이 있으면 편안하지 못하리라.”라고 한 것이다.
〈象傳〉에 말하였다. “初九의 전일한 吉함은 뜻이 변치 않기 때문이다.”
正義曰:[志未變] 專一한 吉함을 얻은 이유는 뜻이 고쳐지고 바뀌지 않아서 다시 다른 사람과 친하지 않기 때문이다.
九二는 우는 鶴이 陰地에 있는데 그 새끼가 화답하도다. 내가 좋은 관작을 소유하여 내 너에게 흩어주겠다.
안에 처하고 거듭된 陰의 아래에 거하였으나 밟고 있는 것이 中을 잃지 않았으니, 밖을 따르지 아니하여 그 진솔함에 맡기는 자이다.
성실함을 세움이 돈독하고 지극하면 비록 어두운 곳에 있으나 물건(남)들이 또한 應한다. 그러므로 “우는 鶴이 음지에 있는데 그 새끼가 화답한다.”라고 한 것이다.
權利를 사사로이 하지 않고 오직 德이 있는 사람에게 줌은 誠信이 지극한 것이다. 그러므로 “내 좋은 관작을 소유하여 남(너)에게 흩어주겠다.”라고 한 것이다.
正義曰:[鳴鶴在陰 其子和之] 九二가 體가 剛하면서 卦의 안에 처하고 또 六三과 六四의 거듭된 陰 아래에 있으나 밟고 있는 자리가 中을 잃지 않았으니, 이는 밖을 따르지 아니하여 스스로 그 진솔함에 맡기는 자이다.
어두운 곳에 처하였으나 행실이 믿음을 잃지 않으면 명성이 밖에 알려져서 同類들이 應하는 바가 되니, 鶴이 그윽하고 먼 곳에서 울면 새끼가 화답하는 것과 같다. 그러므로 “우는 鶴이 陰地에 있는데 그 새끼가 화답한다.”라고 한 것이다.
[我有好爵 吾與爾靡之] ‘靡’는 흩어줌이다. 〈九二는〉 또 치우친 應이 없으니, 이는 權利를 사사로이 하지 아니하여 오직 德이 있는 이에게 주는 것이다.
만약 내가 좋은 벼슬을 소유하였으면 내가 너 賢者들에게 나누어 흩어주어서 함께하기를 원한다. 그러므로 “내가 좋은 관작을 소유하여 내 너에게 흩어주겠다.”라고 한 것이다.
〈象傳〉에 말하였다. “‘그 새끼가 화답함’은 中心에 원하는 것이다.”
正義曰:[中心願] 誠信한 사람은 同類와 서로 應하되 誠信함을 얻어 應하기를 원하니, 이는 中心에 원하는 것이다.
六三은 敵을 얻어 혹은 북을 치고 혹은 罷하며, 혹은 울고 혹은 노래를 부르도다.
六三은 少陰의 위에 거하고 六四는 長陰의 아래에 거하여 각각 應待(正應)가 있어서 서로 친하지 못하니, 이것을 ‘敵’이라 이른다.
陰으로서 陽의 자리에 거함은 나아가고자 하는 자이니, 나아가고자 하면서 敵을 꺼리므로 혹은 북을 치는 것이요, 六四가 正位를 밟고 九五를 받들고 있으니, 자기가 이길 수 있는 바가 아니므로 혹은 罷하는 것이다.
이기지 못하고 후퇴하면 적에게 침공과 능멸을 당할까 두려우므로 혹은 우는 것이요, 六四가 順을 밟고 있어서 남과 잘잘못을 따지지 아니하여 물러가도 해로움을 받지 않으므로 혹은 노래를 부르는 것이다. 자기 힘을 헤아리지 않고 나아가고 물러가기를 항상함이 없게 하면 피곤함을 알 수 있다.
正義曰:六三과 六四가 모두 陰爻로서 서로 더불어 同類가 된다. 그러나 六三은 少陰의 위에 거하고 六四는 長陰의 아래에 거하여 각각 저마다의 應對가 있어서 서로 친하지 못하니, 이것을 ‘敵’이라 이른다. 그러므로 “敵을 얻는다.”라고 한 것이다.
나아가고자 하면 六四에게 막혀서 자기를 해칠까 두려우므로 혹은 북을 쳐 공격하나, 六四가 正位를 밟고 尊位을 받들어서 자기가 이길 수 있는 바가 아니므로 혹은 罷하고 후퇴하여 패하는 것이다.
이기지 못하고 물러가면 적에게 침공과 능멸을 당할까 두려우므로 혹 눈물을 흘려 근심하고 슬퍼하는 것이요, 六四가 順을 밟고 있어서 남과 잘잘못을 따지지 아니하여 후퇴하여도 해로움을 받지 않으므로 혹은 노래하여 즐거워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혹은 북을 치고 혹은 罷하며 혹은 울고 혹은 노래를 부른다.”라고 한 것이다.
〈象傳〉에 말하였다. “‘혹은 북을 치고 혹은 罷함’은 자리가 마땅하지 않기 때문이다.”
正義曰:[位不當] 혹은 북을 치고 혹은 罷하여 나아가고 물러감이 항상함이 없는 까닭은 다만 자리에 마땅하지 못하여 망령되이 나아가기 때문이다.
六四는 달이 거의 보름이 되었으니, 말이 짝을 잃어야 허물이 없으리라.
中孚의 때에 거하여 巽의 시초(六四)에 처하고 기뻐하는(兌) 처음(初九)에 應하며 正位에 거하고 順함을 밟으면서 九五를 받드니, 안으로는 元首를 돕고 밖으로는 德化를 베푸는 자이다.
陰德의 盛함이 충만하므로 “달이 거의 보름이 되었다.”라고 한 것이다. ‘馬匹亡’은 여러 동류를 버리는 것이다.
만약 盛한 德의 지위에 거하여 남과 경쟁을 다투면 그 盛한 바를 잃는다. 그러므로 “무리를 끊고 올라가서 正位를 밟고 尊位를 받들어 六三과 다투지 않아야 비로소 허물이 없을 수 있다.”고 말한 것이다.
正義曰:[月幾望] 六四가 中孚의 때에 거하여 巽에 처하고 기뻐함에 應하며 正位를 얻고 順을 밟고 있어서 위로 九五를 받들어 안으로는 元首를 돕고 밖으로는 德化를 베푸니,
陰德의 盛함이 충만하여 마치 달이 보름에 가까운 것과 같다. 그러므로 “달이 거의 보름이 되었다.”라고 한 것이다.
[馬匹亡 无咎] 六三이 자기와 敵이 되어서 나아와 자기를 공격하니, 자기가 만약 六三과 더불어 잘잘못을 따지고 싸우면 자기의 盛한 바를 잃는다.
그러므로 동류인 六三을 버리기를 말이 짝을 잃는 것과 같이 하여, 위로 九五를 받들고 六三과 다투지 않아야 비로소 허물이 없을 수 있다. 그러므로 “말이 짝을 잃어야 허물이 없으리라.”라고 한 것이다.
〈象傳〉에 말하였다. “‘말이 짝을 잃음’은 同類를 끊고 위로 올라가는 것이다.”
‘類’는 六三을 이르니, 〈六三과 六四가〉 모두 陰爻이다. 그러므로 類(同類)라고 한 것이다.
正義曰:[絶類 上] 동류인 六三을 끊어 六三과 다투지 아니하여 위로 九五를 받드는 것이다.
九五는 孚信이 있어 매어두어야 허물이 없으리라.
‘攣如’는 孚信을 매어둔다는 말이다. 中心이 誠信하여 서로 사귀는 때에 처해서 높은 지위에 거하여 여러 물건의 주체가 되었으니, 誠信을 어찌 버릴 수 있겠는가. 그러므로 孚信이 있어 매어두어야 비로소 허물이 없을 수 있는 것이다.
正義曰:[有孚攣如 无咎] ‘攣如’는 서로 끌고 매여 있어 끊어지지 않는 이름이다. 九五가 誠信의 때에 있으면서 높은 지위에 처하여 여러 물건의 주체가 되었으니,
항상 모름지기 中心의 誠信으로 물건(남)과 사귀어야 하니, 孚信을 어찌 잠시라도 버릴 수 있겠는가. 그러므로 “孚信이 있어 매어둔다.”라고 한 것이다. 孚信을 매어두어 끊지 않아야 비로소 허물이 없을 수 있다. 그러므로 “孚信이 있어 매어두어야 허물이 없으리라.”라고 한 것이다.
〈象傳〉에 말하였다. “‘孚信이 있어 매어둠’은 자리가 바로 여기에 當했기 때문이다.”
正義曰:[位正當] 바로 높은 자리에 당했기 때문에 ‘孚信을 매어두어야 비로소 허물이 없을 수 있다.’고 경계한 것이다.
만약 단지 陽으로서 正位를 얻기만 하고 孚信을 매어둠이 없다면 허물이 있는 혐의를 초래할 것이다.
上九는 날아가는 소리가 하늘에 오르니, 正道가 흉하다.
‘翰’은 높이 날아가는 것이니, 날아가는 소리는 소리만 날고 실제가 따르지 않음을 말한 것이다. 卦의 위에 거하고 信의 끝에 처하였으니,
信이 끝나면 쇠하여 忠信과 독실함을 안에서 잃고 화려함과 아름다움을 밖에서 드날린다. 그러므로 “날아가는 소리가 하늘로 올라간다.”라고 말한 것이다. 날아가는 소리가 하늘로 올라가면 正道가 또한 滅한다.
正義曰:‘翰’은 높이 나는 것이니, 나는 소리는 소리만 날고 실제가 따르지 않음을 이른다. 上九가 信의 끝에 처하였으니, 信이 끝나면 쇠한다.
信이 쇠하면 속임수가 일어나서 忠信과 독실함을 안에서 잃고 화려함과 아름다움을 밖에서 드날리니, 마치 새의 나는 소리가 하늘로 올라가서 빈 소리가 멀리 들리는 것과 같다. 그러므로 “날아가는 소리가 하늘에 오른다.”라고 한 것이다.
빈 소리여서 실제가 없음은 正道가 凶한 것이다. 그러므로 “正道가 흉하다.”라고 한 것이다.
〈象傳〉에 말하였다. “날아가는 소리가 하늘에 올라가니, 어찌 長久할 수 있겠는가.”
正義曰:[何可長也] 빈 소리여서 실제가 없으니, 어찌 長久할 수 있겠는가.


역주
역주1 四德 : 陰柔(六三‧六四)가 內(六畫卦의 內)에 있음과, 陽剛(九二‧九五)이 中(三畫卦의 中)에 있음과, 下卦 兌卦의 德인 說과, 上卦 巽卦의 德인 巽, 네 가지를 가리킨다.
역주2 三四陰柔倂在兩體之內 二五剛德各處一卦之中 : ‘兩體’는 두 개의 小成卦(三畫卦)로 이루어진 大成卦(六畫卦)를 가리키는바, 六畫卦의 內(中)는 三位와 四位이며, ‘一卦’는 小成卦 하나를 가리키는바, 三畫卦의 中은 二位와 五位이다.
역주3 誠信發於內……故曰乃化邦也 : 程伊川은 ‘中孚 柔在內而剛得中’를 한 節로 삼고 ‘說而巽 孚乃化邦也’를 한 節로 삼았는데, ‘孚乃化邦也’를 한 句로 본 것은 朱子도 같다.
첫 번째 절에 대한 ≪程傳≫은 다음과 같다. “두 柔爻가 안에 있어 中이 虛함은 誠信의 象이 되고, 두 剛爻가 上體와 下體의 中을 얻어 中이 實함은 孚信의 象이 되니, 卦가 이 때문에 中孚가 된 것이다.[二柔在內 中虛 爲誠之象 二剛得上下體之中 中實 爲孚之象 卦所以爲中孚也]” 中孚卦(䷼)는 두 爻씩 합하여 볼 경우 小成卦인 離卦(☲)가 되어 虛中의 象이 되므로 ‘中이 虛함은 誠信의 象이 된다.’라고 한 것이다.
두 번째 절에 대한 ≪程傳≫은 다음과 같다. “두 體로 卦의 用을 말하였다. 위가 巽이고 아래가 說인 것은 윗사람이 至誠으로 아랫사람에게 巽順하고 아랫사람이 孚信이 있어 윗사람을 기뻐하여 따름이 되니, 이와 같이 하면 孚信이 마침내 나라를 감화시킬 수 있다. 만약 사람이 기뻐하여 따르지 않고 혹 事理를 어긴다면 어찌 天下를 감화시키겠는가.[以二體言卦之用也 上巽下說 爲上至誠以順巽於下 下有孚以說從其上 如是 其孚乃能化於邦國也 若人不說從 或違拂事理 豈能化天下乎]”
역주4 澤上有風中孚者……中孚 : 孔穎達은 ‘澤上有風’을 ‘誠信이 모든 물건에 두루 입혀짐을 의미하는 象’으로 보았는데, 程伊川과 朱子는 이를 ‘바람이 못을 감동시키는 象’으로 보았는바, ≪程傳≫은 다음과 같다. “못 위에 바람이 있으면 못 가운데를 감동시키니, 물의 體가 비어 있기 때문에 바람이 들어갈 수 있고 사람의 마음이 비어 있기 때문에 물건이 감동시킬 수 있는 것이니, 바람이 못을 감동시킴은 물건이 사람의 心中을 감동시킴과 같다. 그러므로 中孚의 象이 된 것이다.[澤上有風 感于澤中 水體虛 故風能入之 人心虛 故物能感之 風之動乎澤 猶物之感于中 故爲中孚之象]”
한편 朱子의 ≪本義≫는 다음과 같다. “바람이 감동시킴에 물이 받아들임은 中孚의 象이요, 獄事를 의논하고 사형을 늦춤은 中孚의 뜻이다.[風感水受 中孚之象 議獄緩死 中孚之意]”
역주5 初爲信始……故曰虞吉 : ‘虞吉’을 王弼과 孔穎達은 ‘마음이 專一해서 얻어지는 길함’으로 訓하였는바, 初九가 六四에 마음이 전일하게 매여 있으므로 이러한 길함을 얻는다고 본 것이다.
반면 程伊川과 朱子는 ‘虞’를 ‘헤아림[度]’으로 訓하였는바, ≪程傳≫은 다음과 같다. “九가 中孚의 初를 당하였으므로 경계함이 믿을 바를 살핌에 있는 것이다. 虞는 헤아림이니, 믿을 만한 사람을 헤아린 뒤에 따르는 것이다. 비록 지극한 믿음이 있으나 만약 제자리를 얻지 못하면 뉘우침과 허물이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헤아린 뒤에 믿으면 吉한 것이다.[九當中孚之初 故戒在審其所信 虞 度也 度其可信而後從也 雖有至信 若不得其所 則有悔咎 故虞度而後信則吉也]”
역주6 旣係心於一……不燕也 : ‘有它 不燕’을 王弼과 孔穎達은 ‘初九가 六四가 아닌 다른 것을 구하면 편안하지 못할 것임’의 의미로 보았다.
반면 程伊川은 初九와 六四의 正應 관계를 가지고 이를 해석해서는 안 된다고 하였는바, ≪程傳≫은 다음과 같다. “이미 믿을 바를 얻었으면 마땅히 정성스럽게 하고 한결같이 하여야 하니, 만약 다른 마음을 두면 편안함을 얻지 못할 것이다. 燕은 安裕함이요 有他(有它)는 마음이 定해지지 못한 것이니, 사람의 마음이 定해지지 못하면 의혹하여 편안하지 못하다. 初九는 六四와 正應이니, 六四는 巽體로서 正에 거하여 不善함이 없으나 爻가 시작을 도모하는 뜻이 크므로 서로 應하는 뜻을 취하지 않았으니, 만약 應을 쓴다면 헤아림이 아니다.[旣得所信 則當誠一 若有他 則不得其燕安矣 燕 安裕也 有他 志不定也 人志不定 則惑而不安 初與四爲正應 四巽體而居正 无不善也 爻以謀始之義大 故不取相應之義 若用應 則非虞也]”
역주7 (鶴鳴)[鳴鶴] : 저본에는 ‘鶴鳴’으로 되어 있으나, 阮元의 〈校勘記〉에, “살펴보건대, 十行本의 初刻과 여러 本이 같은데, 正德補板에 ‘鳴鶴’이 ‘鶴鳴’으로 잘못되어 있으니, 이제 訂正한다.”라고 한 것에 의거하여 ‘鳴鶴’으로 바로잡았다.
역주8 靡 散也 : 程伊川과 朱子는 ‘靡’를 ‘縻’와 통하는 것으로 보아 ‘係慕’ 혹은 ‘繫戀’으로 訓하였는바, 係慕는 마음이 거기에 매여 있어 잊지 못하고 사모하는 것이다. 이 訓釋에 따르면 ‘吾與爾靡之’는 “내 그대와 함께 나의 좋은 벼슬을 戀慕한다.”로 해석되는데, 程伊川은 이에 대하여 “좋은 벼슬을 내(군주)가 가지고 있으면 저 賢者 또한 戀慕함은 좋은 벼슬을 좋아하는 뜻이 같기 때문이요, 마음속에 孚信이 있으면 물건이 應하지 않음이 없음은 정성이 같기 때문이다.[好爵我有而彼亦係慕 說好爵之意同也 有孚於中 物无不應 誠同故也]”라고 설명하였다.
한편 李光地는 ≪周易折中≫에서, “好爵은 맛있는 술을 이르고, 靡는 취함을 이른다.[好爵 謂旨酒也 靡 謂醉也]”라고 하여 經文을 “내 맛있는 술이 있어 내 그대와 함께 취한다.”로 해석하였다.
역주9 三居少陰之上 四居長陰之下 : 六三이 속해 있는 兌卦(☱)는 가족의 상징으로 보면 少女에 해당하고, 六四가 속해 있는 巽卦(☴)는 長女에 해당하므로 이렇게 말한 것이다.
역주10 六三與四……或泣或歌也 : 王弼과 孔穎達은 ‘敵’을 六四를 가리키는 것으로 보고, ‘或鼓或罷 或泣或歌’를 ‘六三이 六四와 대적하여 북을 치며 공격하나 이기지 못하고 후퇴해서 두려워 울기도 하고 해로움을 받지 않아 노래하기도 함’의 의미로 해석하였다.
반면 程伊川과 朱子는 ‘敵’을 上九를 가리키는 것으로 보았는바, ≪程傳≫은 다음과 같다. “敵은 對敵함이니, 서로 믿는 자를 이르는바, 正應인 上九가 이것이다. 六三과 六四가 모두 虛中으로 孚信을 이룬 주체가 되었으나 처한 바가 다르다. 六四는 제자리를 얻고 正에 거하였으므로 짝을 잃어 위를 따르고, 六三은 中하지 못하고 正을 잃었으므로 짝을 얻어 뜻을 매어둔다. 柔說의 자질로 이미 매여 있는 바가 있으니, 오직 믿는 바를 따라서 혹 북을 펼쳐놓고 치기도 하고 혹 그만두기도 하며 혹 슬피 울기도 하고 혹 노래하며 즐거워하기도 하니, 동하고 쉬며 근심하고 즐거워함이 모두 믿는 바에 매여 있는 것이다. 오직 믿는 바에 매여 있으므로 吉凶을 알지 못한다. 그러나 밝고 통달한 君子의 소행은 아니다.[敵 對敵也 謂所交孚者 正應上九是也 三四皆以虛中爲成孚之主 然所處則異 四 得位居正 故亡匹以從上 三 不中失正 故得敵以累志 以柔說之質 旣有所係 唯所信是從 或鼓張 或罷廢 或悲泣 或歌樂 動息憂樂 皆係乎所信也 唯係所信 故未知吉凶 然非明達君子之所爲也]”
역주11 馬匹亡无咎者……无咎也 : ‘馬匹亡’을 王弼과 孔穎達은 ‘六四가 六三과 다투지 않고 九五를 받듦’의 의미로 보았는바, ‘匹’을 六三을 가리키는 말로 본 것이다.
반면 程伊川과 朱子는 ‘匹’을 初九를 가리키는 말로 보았는바, ≪程傳≫은 다음과 같다. “말[馬]은 가는 물건이니, 初九가 위로 六四에 應하고 六四 또한 나아가 九五를 따라 모두 위로 가기 때문에 말을 象으로 삼은 것이다. 孚信의 道는 專一함에 있으니, 六四가 이미 九五를 따르고 만약 다시 아래로 初六에 매여 있으면 專一하지 못하여 孚信을 해치니, 허물이 있음이 된다. 그러므로 말의 짝이 없어지면 허물이 없는 것이니, 위로 九五를 따르고 初六에 얽매이지 않으면 이는 그 짝을 잃는 것이다. 初六에 매여 있으면 나아가지 못하여 孚信의 功을 이루지 못한다.[馬者 行物也 初上應四而四亦進從五 皆上行 故以馬爲象 孚道在一 四旣從五 若復下係於初 則不一而害於孚 爲有咎矣 故馬匹亡則无咎也 上從五而不係於初 是亡其匹也 係初則不進 不能成孚之功也]”
역주12 (二)[三] : 저본에는 ‘二’로 되어 있으나, 六四 爻辭의 注에 ‘不與三爭’이라고 한 것에 의거하여 ‘三’으로 바로잡았다.
역주13 有孚攣如……故曰有孚攣如 : 程伊川은 ‘攣如’를 ‘잡아당기듯이 함[如拘攣然]’으로 訓하였는바, ≪程傳≫은 다음과 같다. “九五가 君位에 거하였으니, 人君의 도리는 마땅히 至誠으로 天下를 感通시켜 天下의 마음으로 하여금 굳게 맺어 믿게 하기를 잡아당기듯이 하면 허물이 없는 것이다. 人君의 孚信이 天下의 사람들로 하여금 굳게 믿게 하기를 이와 같이 하지 못한다면 億兆의 마음이 떠나지 않음을 어찌 보장하겠는가.[五居君位 人君之道 當以至誠感通天下 使天下之心信之固結 如拘攣然 則爲无咎也 人君之孚 不能使天下固結如是 則億兆之心 安能保其不離乎]”
역주14 (眞)[直] : 저본에는 ‘眞’으로 되어 있으나, 錢本ㆍ宋本에 의거하여 ‘直’으로 바로잡았다.(阮元의 〈校勘記〉 참조)
역주15 (於)[之] : 저본에는 ‘於’로 되어 있으나, 錢本ㆍ宋本에 의거하여 ‘之’로 바로잡았다.(阮元의 〈校勘記〉 참조)
역주16 虛聲无實……故曰貞凶 : 程伊川은 ‘貞凶’을 ‘貞固하여 흉함’으로 해석하였는데, 즉 上九가 위로 나아감에 성실하여 이를 貞固히 지키고 변통할 줄 모르면 흉하다고 본 것이다.
반면 朱子는 ‘貞凶’을 ‘貞하더라도 흉함’으로 보았으며, ‘翰音’을 ≪禮記≫ 〈曲禮〉를 따라 ‘닭’으로 풀이하였는바, ≪本義≫는 다음과 같다. “信의 極에 거하여 변통할 줄을 모르니, 비록 貞을 얻더라도 흉한 道이다. 그러므로 그 象과 占이 이와 같은 것이다. 닭을 翰音이라고 하니 닭은 바로 巽의 象이요, 巽의 極에 처하였으니 하늘에 오름이 된다. 닭은 하늘에 오르는 물건이 아닌데 하늘에 오르고자 하니, 믿을 바가 아닌 것을 믿어 변통할 줄을 모름이 또한 이와 같은 것이다.[居信之極而不知變 雖得其貞 亦凶道也 故其象占如此 鷄曰翰音 乃巽之象 居巽之極 爲登于天 鷄非登天之物 而欲登天 信非所信而不知變 亦猶是也]”

주역정의(3) 책은 2019.10.15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