周易正義十卷, 魏王弼‧韓康伯注, 唐孔穎達等正義.
			                         
                        		
                        		
                        		
	                     		
			                       	
			                       	
	                     		
	                     		
		                        
                        	
                        	
                        	
                        	
                        		
                        			
                        			
			                        
                        		
                        		
                        		
	                     		
			                       	
			                       	
	                     		
	                     		
		                        
                        	
                        	
                        	
                        	
                        		
                        			
                        			
			                        
			                        	毛詩正義七十卷, 漢毛公傳, 鄭玄箋, 唐孔穎達等正義.
			                         
                        		
                        		
                        		
	                     		
			                       	
			                       	
	                     		
	                     		
		                        
                        	
                        	
                        	
                        	
                        		
                        			
                        			
			                        
                        		
                        		
                        		
	                     		
			                       	
			                       	
	                     		
	                     		
		                        
                        	
                        	
                        	
                        	
                        		
                        			
                        			
			                        
                        		
                        		
                        		
	                     		
			                       	
			                       	
	                     		
	                     		
		                        
                        	
                        	
                        	
                        	
                        		
                        			
                        			
			                        
                        		
                        		
                        		
	                     		
			                       	
			                       	
	                     		
	                     		
		                        
                        	
                        	
                        	
                        	
                        		
                        			
                        			
			                        
			                        	春秋左傳正義六十卷, 晉杜預注, 唐孔穎達等正義.
			                         
                        		
                        		
                        		
	                     		
			                       	
			                       	
	                     		
	                     		
		                        
                        	
                        	
                        	
                        	
                        		
                        			
                        			
			                        
                        		
                        		
                        		
	                     		
			                       	
			                       	
	                     		
	                     		
		                        
                        	
                        	
                        	
                        	
                        		
                        			
                        			
			                        
                        		
                        		
                        		
	                     		
			                       	
			                       	
	                     		
	                     		
		                        
                        	
                        	
                        	
                        	
                        		
                        			
                        			
			                        
                        		
                        		
                        		
	                     		
			                       	
			                       	
	                     		
	                     		
		                        
                        	
                        	
                        	
                        	
                        		
                        			
                        			
			                        
                        		
                        		
                        		
	                     		
			                       	
			                       	
	                     		
	                     		
		                        
                        	
                        	
                        	
                        	
                        		
                        			
                        			
			                        
                        		
                        		
                        		
	                     		
			                       	
			                       	
	                     		
	                     		
		                        
                        	
                        	
                        	
                        	
                        		
                        			
                        			
			                        
                        		
                        		
                        		
	                     		
			                       	
			                       	
	                     		
	                     		
		                        
                        	
                        	
                        	
                        	
                        		
                        			
                        			
			                        
                        		
                        		
                        		
	                     		
			                       	
			                       	
	                     		
	                     		
		                        
                        	
                        	
                        	
                        	
                        		
                        			
                        			
			                        
                        		
                        		
                        		
	                     		
			                       	
			                       	
	                     		
	                     		
		                        
                        	
                        	
                        	
                        	
                        		
                        			
                        			
			                        
                        		
                        		
                        		
	                     		
			                       	
			                       	
	                     		
	                     		
		                        
                        	
                        	
                        	
                        	
                        		
                        			
                        			
			                        
			                        	有宋十行本注疏者하니 卽南宋岳珂九經三傳沿革例에 所載建本附釋音注疏也라
			                         
                        		
                        		
                        		
	                     		
			                       	
			                       	
	                     		
	                     		
		                        
                        	
                        	
                        	
                        	
                        		
                        			
                        			
			                        
			                        	其書刻于宋南渡之後러니 由元入明하여 遞有修補하니 至明正德中하여 其板猶存이라
			                         
                        		
                        		
                        		
	                     		
			                       	
			                       	
	                     		
	                     		
		                        
                        	
                        	
                        	
                        	
                        		
                        			
                        			
			                        
                        		
                        		
                        		
	                     		
			                       	
			                       	
	                     		
	                     		
		                        
                        	
                        	
                        	
                        	
                        		
                        			
                        			
			                        
			                        	此後有閩板하니 乃明嘉靖中에 用十行本重刻者요 有明監板하니 乃明萬曆中에 用閩本重刻者요 有汲古閣毛氏板하니 乃明崇禎中에 用明監本重刻者라 輾轉翻刻하여 訛謬百出이라
			                         
                        		
                        		
                        		
	                     		
			                       	
			                       	
	                     		
	                     		
		                        
                        	
                        	
                        	
                        	
                        		
                        			
                        			
			                        
			                        	明監板已燬하니 今各省書坊通行者는 唯有汲古閣毛本이로되 此本漫漶하여 不可識讀이요 近人修補에 更多訛舛이라
			                         
                        		
                        		
                        		
	                     		
			                       	
			                       	
	                     		
	                     		
		                        
                        	
                        	
                        	
                        	
                        		
                        			
                        			
			                        
			                        	元家所藏十行宋本은 有十一經하여 雖無儀禮爾雅나 但有蘇州北宋所刻之單疏板本하니 爲賈公彦邢昺之原書로되 此二經은 更在十行本之前이라
			                         
                        		
                        		
                        		
	                     		
			                       	
			                       	
	                     		
	                     		
		                        
                        	
                        	
                        	
                        	
                        		
                        			
                        			
			                        
			                        	元이 舊作十三經注疏校勘記할새 雖不專主十行本單疏本이나 而大端은 實在此二本이라
			                         
                        		
                        		
                        		
	                     		
			                       	
			                       	
	                     		
	                     		
		                        
                        	
                        	
                        	
                        	
                        		
                        			
                        			
			                        
			                        	嘉慶二十年에 元至江西하니 武寧盧氏宣旬이 讀余校勘記하고 而有慕于宋本이요 南昌給事中黃氏中傑도 亦苦毛板之朽하여 因以元所藏十一經으로 至南昌學堂重刻之하고 且借校蘇州黃氏丕烈所藏單疏二經重刻之하며
			                         
                        		
                        		
                        		
	                     		
			                       	
			                       	
	                     		
	                     		
		                        
                        	
                        	
                        	
                        	
                        		
                        			
                        			
			                        
			                        	近鹽巡道胡氏稷도 亦從吳中하여 購得十一經하니 其中에 有可補元藏本中所殘缺者라
			                         
                        		
                        		
                        		
	                     		
			                       	
			                       	
	                     		
	                     		
		                        
                        	
                        	
                        	
                        	
                        		
                        			
                        			
			                        
			                        	於是에 宋本注疏 可以復行於世하니 豈獨江西學中所私哉아
			                         
                        		
                        		
                        		
	                     		
			                       	
			                       	
	                     		
	                     		
		                        
                        	
                        	
                        	
                        	
                        		
                        			
                        			
			                        
                        		
                        		
                        		
	                     		
			                       	
			                       	
	                     		
	                     		
		                        
                        	
                        	
                        	
                        	
                        		
                        			
                        			
			                        
			                        	今重刻宋板에 凡有明知宋板之誤字라도 亦不使輕改하고 但加圈於誤字之旁하고 而別據校勘記하여 擇其說하여 附載於每卷之末하여 俾後之學者로 不疑于古籍之不可據하니 愼之至也라
			                         
                        		
                        		
                        		
	                     		
			                       	
			                       	
	                     		
	                     		
		                        
                        	
                        	
                        	
                        	
                        		
                        			
                        			
			                        
			                        	其經文注文은 有與明本不同하니 恐後人習讀明本하여 而反臆疑宋本之誤라
			                         
                        		
                        		
                        		
	                     		
			                       	
			                       	
	                     		
	                     		
		                        
                        	
                        	
                        	
                        	
                        		
                        			
                        			
			                        
			                        	故로 盧氏亦引校勘記하여 載於卷後하니 愼之至也라
			                         
                        		
                        		
                        		
	                     		
			                       	
			                       	
	                     		
	                     		
		                        
                        	
                        	
                        	
                        	
                        		
                        			
                        			
			                        
			                        	竊謂士人讀書는 當從經學始요 經學은 當從注疏始라
			                         
                        		
                        		
                        		
	                     		
			                       	
			                       	
	                     		
	                     		
		                        
                        	
                        	
                        	
                        	
                        		
                        			
                        			
			                        
			                        	空疏之士
와 高明之徒
로 讀注疏
에 不終卷而思臥者
는 是不能潛心
索
하여 終生不知有聖賢諸儒經傳之學矣
라 
                        		
                        		
                        		
	                     		
			                       	
			                       	
	                     		
	                     		
		                        
                        	
                        	
                        	
                        	
                        		
                        			
                        			
			                        
                        		
                        		
                        		
	                     		
			                       	
			                       	
	                     		
	                     		
		                        
                        	
                        	
                        	
                        	
                        		
                        			
                        			
			                        
			                        	我朝經學最盛하여 諸儒論之甚詳하니 是又在好學深思實事求是之士 由注疏而推求尋覽之也라
			                         
                        		
                        		
                        		
	                     		
			                       	
			                       	
	                     		
	                     		
		                        
                        	
                        	
                        	
                        	
                        		
                        			
                        			
			                        
			                        	二十一年秋에 刻板初成이어늘 藏其板於南昌學하여 使士林書坊으로 皆可就而印之라
			                         
                        		
                        		
                        		
	                     		
			                       	
			                       	
	                     		
	                     		
		                        
                        	
                        	
                        	
                        	
                        		
                        			
                        			
			                        
			                        	學中因書成에 請序於元하니 元謂聖賢之經은 如日月經天하고 江河行地하니 安敢以小言冠玆卷首리오
			                         
                        		
                        		
                        		
	                     		
			                       	
			                       	
	                     		
	                     		
		                        
                        	
                        	
                        	
                        	
                        		
                        			
                        			
			                        
			                        	惟記刻書始末於目錄之後하고 復敬錄欽定四庫全書十三經注疏各提要於各注疏之前하여 俾束身修行之士로 知我大淸儒學이 遠軼前代하니 由此로 潛心敦品하고 博學篤行하여 以求古聖賢經傳之本源이요 不爲虛浮孤陋兩途所誤云爾라
			                         
                        		
                        		
                        		
	                     		
			                       	
			                       	
	                     		
	                     		
		                        
                        	
                        	
                        	
                        	
                        		
                        			
                        			
			                        
			                        	太子少保光祿大夫江西巡撫兼提督 揚州阮元은 謹記하노라
			                         
                        		
                        		
                        		
	                     		
			                       	
			                       	
	                     		
	                     		
		                        
                        	
                        	
                        	
                        	
                   			
                        	
                        	
                        	
                        	
	                       	
	                       	
	                       	
	                       	
							                       	
	                        
	                        
	                        	
	                        
	                        	
	                        
	                        	
	                        
	                        	
	                        
	                        	
	                        
	                        	
	                        
	                        	
	                        
	                        	
	                        
	                        	
	                        
	                        	
	                        
	                        	
	                        
	                        	
	                        
	                        	
	                        
	                        	
	                        
	                        	
	                        
	                        	
	                        
	                        	
	                        
	                        	
	                        
	                        	
	                        
	                        	
	                        
	                        	
	                        
	                        	
	                        
	                        	
	                        
	                        	
	                        
	                        	
	                        
	                        	
	                        
	                        	
	                        
	                        	
	                        
	                        	
	                        
	                        	
	                        
	                        	
	                        
	                        	
	                        
	                        	
	                        
	                        	
	                        
	                        	
	                        
	                        	
	                        
	                        	
	                        
	                        	
	                        
	                        	
	                        
	                        	
	                        
	                        	
	                        
	                        	
	                        
	                        	
	                        
	                        	
	                        
	                        	
	                        
	                        	
	                        
	                        	
	                        
	                        	
	                        
	                        	
	                        
	                        	
	                        
	                        	
	                        
	                        	
	                        
	                        	
	                        
	                        	
	                        
	                        	
	                        
	                        	
	                        
	                        	
	                        
	                        	
	                        
	                        	
	                        
	                        	
	                        
	                        	
	                        
	                        	
	                        
	                        	
	                        
	                        	
	                        
	                        	
	                        
	                        	
	                        
	                        	
	                        
	                        	
	                        
	                        	
	                        
	                        	
	                        
	                        	
	                        
	                        	
	                        
	                        	
	                        
	                        	
	                        
	                        	
	                        
	                        	
	                        
	                        
	                        
                        	
		                        
		                        
		                        
		                        
                        		
                        	
		                        
		                        
		                        
		                        	
		                        	
		                        
		                        
                        		
                        		
                        			
			                        
			                        	《주역정의周易正義》 10권:위魏나라 왕필王弼과 한강백韓康伯의 주注, 당唐나라 공영달孔穎達 등의 정의正義.
			                              
                        			
                        		
                        		
	                     		
			                       	
			                       	
	                     		
		                        
                        	
		                        
		                        
		                        
		                        
                        		
                        	
		                        
		                        
		                        
		                        	
		                        	
		                        
		                        
                        		
                        		
                        			
			                        
			                        	《상서정의尙書正義》 20권:한漢나라 공안국孔安國의 전傳, 당唐나라 공영달孔穎達 등의 정의正義.
			                              
                        			
                        		
                        		
	                     		
			                       	
			                       	
	                     		
		                        
                        	
		                        
		                        
		                        
		                        
                        		
                        	
		                        
		                        
		                        
		                        	
		                        	
		                        
		                        
                        		
                        		
                        			
			                        
			                        	《모시정의毛詩正義》 70권:한漢나라 모공毛公의 전傳, 정현鄭玄의 전箋, 당唐나라 공영달孔穎達 등의 정의正義.
			                              
                        			
                        		
                        		
	                     		
			                       	
			                       	
	                     		
		                        
                        	
		                        
		                        
		                        
		                        
                        		
                        	
		                        
		                        
		                        
		                        	
		                        	
		                        
		                        
                        		
                        		
                        			
			                        
			                        	《주례주소周禮注疏》 42권:한漢나라 정현鄭玄의 주注, 당唐나라 가공언賈公彦의 소疏.
			                              
                        			
                        		
                        		
	                     		
			                       	
			                       	
	                     		
		                        
                        	
		                        
		                        
		                        
		                        
                        		
                        	
		                        
		                        
		                        
		                        	
		                        	
		                        
		                        
                        		
                        		
                        			
			                        
			                        	《의례주소儀禮注疏》 50권:한漢나라 정현鄭玄의 주注, 당唐나라 가공언賈公彦의 소疏.
			                              
                        			
                        		
                        		
	                     		
			                       	
			                       	
	                     		
		                        
                        	
		                        
		                        
		                        
		                        
                        		
                        	
		                        
		                        
		                        
		                        	
		                        	
		                        
		                        
                        		
                        		
                        			
			                        
			                        	《예기정의禮記正義》 63권:한漢나라 정현鄭玄의 주注, 당唐나라 공영달孔穎達 등의 정의正義.
			                              
                        			
                        		
                        		
	                     		
			                       	
			                       	
	                     		
		                        
                        	
		                        
		                        
		                        
		                        
                        		
                        	
		                        
		                        
		                        
		                        	
		                        	
		                        
		                        
                        		
                        		
                        			
			                        
			                        	《춘추좌전정의春秋左傳正義》 60권:진晉나라 두예杜預의 주注, 당唐나라 공영달孔穎達 등의 정의正義.
			                              
                        			
                        		
                        		
	                     		
			                       	
			                       	
	                     		
		                        
                        	
		                        
		                        
		                        
		                        
                        		
                        	
		                        
		                        
		                        
		                        	
		                        	
		                        
		                        
                        		
                        		
                        			
			                        
			                        	《춘추공양전주소春秋公羊傳注疏》 28권:한漢나라 하휴何休의 주注, 당唐나라 서언徐彦의 소疏.
			                              
                        			
                        		
                        		
	                     		
			                       	
			                       	
	                     		
		                        
                        	
		                        
		                        
		                        
		                        
                        		
                        	
		                        
		                        
		                        
		                        	
		                        	
		                        
		                        
                        		
                        		
                        			
			                        
			                        	《춘추곡량전주소春秋穀梁傳注疏》 20권:진晉나라 범녕范甯의 주注, 당唐나라 양사훈楊士勛의 소疏.
			                              
                        			
                        		
                        		
	                     		
			                       	
			                       	
	                     		
		                        
                        	
		                        
		                        
		                        
		                        
                        		
                        	
		                        
		                        
		                        
		                        	
		                        	
		                        
		                        
                        		
                        		
                        			
			                        
			                        	《논어주소論語注疏》 20권:위魏나라 하안何晏 등의 주注, 송宋나라 형병邢昺의 소疏.
			                              
                        			
                        		
                        		
	                     		
			                       	
			                       	
	                     		
		                        
                        	
		                        
		                        
		                        
		                        
                        		
                        	
		                        
		                        
		                        
		                        	
		                        	
		                        
		                        
                        		
                        		
                        			
			                        
			                        	《효경주소孝經注疏》 9권:당唐나라 현종명황제玄宗明皇帝의 어주御注, 송宋나라 형병邢昺의 소疏.
			                              
                        			
                        		
                        		
	                     		
			                       	
			                       	
	                     		
		                        
                        	
		                        
		                        
		                        
		                        
                        		
                        	
		                        
		                        
		                        
		                        	
		                        	
		                        
		                        
                        		
                        		
                        			
			                        
			                        	《이아주소爾雅注疏》 10권:진晉나라 곽박郭璞의 주注, 송宋나라 형병邢昺의 소疏.
			                              
                        			
                        		
                        		
	                     		
			                       	
			                       	
	                     		
		                        
                        	
		                        
		                        
		                        
		                        
                        		
                        	
		                        
		                        
		                        
		                        	
		                        	
		                        
		                        
                        		
                        		
                        			
			                        
			                        	《맹자주소孟子注疏》 14권:한漢나라 조기趙岐의 주注, 송宋나라 손석孫奭의 소疏.
			                              
                        			
                        		
                        		
	                     		
			                       	
			                       	
	                     		
		                        
                        	
		                        
		                        
		                        
		                        
                        		
                        	
		                        
		                        
		                        
		                        	
		                        	
		                        
		                        
                        		
                        		
                        			
			                        
			                        	이상 십삼경주소十三經注疏는 모두 460권이다.
			                              
                        			
                        		
                        		
	                     		
			                       	
			                       	
	                     		
		                        
                        	
		                        
		                        
		                        
		                        
                        		
                        	
		                        
		                        
		                        
		                        	
		                        	
		                        
		                        
                        		
                        		
                        			
			                        
			                        	삼가 살펴보건대, 《오대회요五代會要》에 “후당後唐 장흥長興 3년(932)에 처음으로 석경石經의 문자文字에 의거하여 구경九經을 판각했다.” 하였으니, 경서經書의 목판을 판각한 것은 실로 이때에 시작되었다.
			                              
                        			
                        		
                        		
	                     		
			                       	
			                       	
	                     		
		                        
                        	
		                        
		                        
		                        
		                        
                        		
                        	
		                        
		                        
		                        
		                        	
		                        	
		                        
		                        
                        		
                        		
                        			
			                        
			                        	양송兩宋(北宋과 남송南宋)에 이르러서는 판각본이 점점 많아졌다.
			                              
                        			
                        		
                        		
	                     		
			                       	
			                       	
	                     		
		                        
                        	
		                        
		                        
		                        
		                        
                        		
                        	
		                        
		                        
		                        
		                        	
		                        	
		                        
		                        
                        		
                        		
                        			
			                        
			                        	송宋나라 때에는 십행본十行本 주소注疏가 있었으니, 바로 남송南宋 악가岳珂의 《구경삼전연혁례九經三傳沿革例》에 실려 있는 음석音釋이 붙은 건본建本(建陽 판각본板刻本) 주소注疏이다.
			                              
                        			
                        		
                        		
	                     		
			                       	
			                       	
	                     		
		                        
                        	
		                        
		                        
		                        
		                        
                        		
                        	
		                        
		                        
		                        
		                        	
		                        	
		                        
		                        
                        		
                        		
                        			
			                        
			                        	이 책은 송宋나라가 남천南遷한 뒤에 판각하였는데 원元나라를 거쳐 명明나라에 들어와서 번갈아 수보修補함이 있었는바, 명明나라 정덕正德 연간(1506~1521)까지도 이 판각본이 여전히 남아 있었다.
			                              
                        			
                        		
                        		
	                     		
			                       	
			                       	
	                     		
		                        
                        	
		                        
		                        
		                        
		                        
                        		
                        	
		                        
		                        
		                        
		                        	
		                        	
		                        
		                        
                        		
                        		
                        			
			                        
			                        	이 때문에 십행본十行本이 여러 본本들 중에 가장 오래된 책이 된 것이다.
			                              
                        			
                        		
                        		
	                     		
			                       	
			                       	
	                     		
		                        
                        	
		                        
		                        
		                        
		                        
                        		
                        	
		                        
		                        
		                        
		                        	
		                        	
		                        
		                        
                        		
                        		
                        			
			                        
			                        	이 뒤에 민판閩板이 있었으니, 바로 명明나라 가정嘉靖 연간(1522~1566)에 십행본十行本을 사용하여 중각重刻한 것이고, 명明나라 감판監板(國子監 판板)이 있었으니, 바로 명明나라 만력萬曆 연간(1573~1619)에 민본閩本을 사용하여 중각한 것이고, 급고각汲古閣 모씨毛氏(毛晉)의 판본板本이 있었으니, 바로 명明나라 숭정崇禎 연간(1628~1643)에 명明나라 감본監本을 사용하여 중각重刻한 것인바, 이곳저곳에서 이리저리 판각하여 여러 가지 오류가 많이 나왔다.
			                              
                        			
                        		
                        		
	                     		
			                       	
			                       	
	                     		
		                        
                        	
		                        
		                        
		                        
		                        
                        		
                        	
		                        
		                        
		                        
		                        	
		                        	
		                        
		                        
                        		
                        		
                        			
			                        
			                        	명明나라 감판監板은 이미 불타 없어졌으니, 지금 각 성省의 서점에서 통행되는 것으로는 오직 급고각汲古閣의 모본毛本이 있는데, 이 판본은 흐려서 판독할 수가 없고 근래 사람들이 수보修補한 것은 또 오류가 많다.
			                              
                        			
                        		
                        		
	                     		
			                       	
			                       	
	                     		
		                        
                        	
		                        
		                        
		                        
		                        
                        		
                        	
		                        
		                        
		                        
		                        	
		                        	
		                        
		                        
                        		
                        		
                        			
			                        
			                        	나의 집에 소장된 송宋나라 때의 십행본十行本은 십일경十一經만 있어 비록 《의례儀禮》와 《이아爾雅》가 없으나 다만 소주蘇州에서 북송北宋 때 판각한 단소본單疏本(疏만 있는 본本)이 있으니, 이는 가공언賈公彦과 형병邢昺의 원 책인데 이 두 경서經書는 또 십행본十行本 이전에 있었던 것이다.
			                              
                        			
                        		
                        		
	                     		
			                       	
			                       	
	                     		
		                        
                        	
		                        
		                        
		                        
		                        
                        		
                        	
		                        
		                        
		                        
		                        	
		                        	
		                        
		                        
                        		
                        		
                        			
			                        
			                        	내가 예전에 《십삼경주소교감기十三經注疏校勘記》를 지을 적에 오로지 십행본十行本과 단소본單疏本만을 주장하지는 않았으나 대체는 실로 이 두 본本에 있었다.
			                              
                        			
                        		
                        		
	                     		
			                       	
			                       	
	                     		
		                        
                        	
		                        
		                        
		                        
		                        
                        		
                        	
		                        
		                        
		                        
		                        	
		                        	
		                        
		                        
                        		
                        		
                        			
			                        
			                        	가경嘉慶 20년(1815)에 내가 강서江西에 이르니, 무령武寧에 있는 노선순盧宣旬 씨가 나의 《교감기校勘記》를 읽고서 송본宋本을 흠모하였고, 남창南昌의 급사중給事中으로 있는 황중걸黃中傑 씨도 모판毛板이 노후老朽한 것을 애통하게 여기고는 인하여 내가 소장한 십일경十一經을 가지고 남창南昌의 학당에서 중각重刻하고, 또 소주蘇州의 황비열黃丕烈 씨가 소장한 단소본單疏本 두 경經(《儀禮》와 《이아爾雅》)을 빌려다가 교정하여 중각重刻하였다.
			                              
                        			
                        		
                        		
	                     		
			                       	
			                       	
	                     		
		                        
                        	
		                        
		                        
		                        
		                        
                        		
                        	
		                        
		                        
		                        
		                        	
		                        	
		                        
		                        
                        		
                        		
                        			
			                        
			                        	근래에 염순도鹽巡道 호직胡稷 씨도 오중吳中에서 십일경十一經을 구입하였는데, 이 가운데에는 나의 소장본所藏本 중에 빠진 것을 보충할 만한 것들이 있었다.
			                              
                        			
                        		
                        		
	                     		
			                       	
			                       	
	                     		
		                        
                        	
		                        
		                        
		                        
		                        
                        		
                        	
		                        
		                        
		                        
		                        	
		                        	
		                        
		                        
                        		
                        		
                        			
			                        
			                        	이에 송본宋本의 주소注疏가 다시 세상에 통행하게 되었으니, 어찌 다만 강서江西의 학당 안에서만 사사로이 간직할 수 있겠는가.
			                              
                        			
                        		
                        		
	                     		
			                       	
			                       	
	                     		
		                        
                        	
		                        
		                        
		                        
		                        
                        		
                        	
		                        
		                        
		                        
		                        	
		                        	
		                        
		                        
                        		
                        		
                        			
			                        
			                        	책을 판각하는 자의 가장 큰 병통은 자기의 억견으로 옛 책을 고치는 것이다.
			                              
                        			
                        		
                        		
	                     		
			                       	
			                       	
	                     		
		                        
                        	
		                        
		                        
		                        
		                        
                        		
                        	
		                        
		                        
		                        
		                        	
		                        	
		                        
		                        
                        		
                        		
                        			
			                        
			                        	지금 송판宋板을 중각重刻하면서 무릇 송판宋板의 오자誤字를 분명히 알더라도 곧바로 고치지 않고, 다만 오자誤字의 옆에 권점圈點을 가하고서 별도로 《교감기校勘記》에 의거하여 그 말을 가려 뽑은 뒤에 매권의 끝에 수록하여 후세의 배우는 자들이 옛 전적을 의거할 수 없다고 의심하지 않게 하였으니, 신중함이 지극한 것이다.
			                              
                        			
                        		
                        		
	                     		
			                       	
			                       	
	                     		
		                        
                        	
		                        
		                        
		                        
		                        
                        		
                        	
		                        
		                        
		                        
		                        	
		                        	
		                        
		                        
                        		
                        		
                        			
			                        
			                        	그리고 경문經文과 주문注文은 명본明本과 똑같지 않은 것이 있는데, 후인들이 명본明本을 익숙히 읽어서 도리어 송본宋本이 잘못되었다고 억측할까 염려되었다.
			                              
                        			
                        		
                        		
	                     		
			                       	
			                       	
	                     		
		                        
                        	
		                        
		                        
		                        
		                        
                        		
                        	
		                        
		                        
		                        
		                        	
		                        	
		                        
		                        
                        		
                        		
                        			
			                        
			                        	그러므로 노씨盧氏가 또한 《교감기校勘記》를 인용하여 책 뒤에 실었으니, 신중함이 지극한 것이다.
			                              
                        			
                        		
                        		
	                     		
			                       	
			                       	
	                     		
		                        
                        	
		                        
		                        
		                        
		                        
                        		
                        	
		                        
		                        
		                        
		                        	
		                        	
		                        
		                        
                        		
                        		
                        			
			                        
			                        	내 삼가 생각하건대 사인士人들이 책을 읽음은 마땅히 경학經學으로부터 시작해야 하고, 경학經學은 마땅히 주소注疏로부터 시작해야 한다.
			                              
                        			
                        		
                        		
	                     		
			                       	
			                       	
	                     		
		                        
                        	
		                        
		                        
		                        
		                        
                        		
                        	
		                        
		                        
		                        
		                        	
		                        	
		                        
		                        
                        		
                        		
                        			
			                        
			                        	부박浮薄한 선비와 고명高明한 무리들은 주소注疏를 읽으면 한 권을 다 읽기도 전에 염증을 내어 누울 것을 생각하니, 이는 잠심潛心하여 깊이 연구하지 못해서 종신토록 여러 성현聖賢과 학자들의 경전經傳의 학學이 있음을 알지 못하는 것이다.
			                              
                        			
                        		
                        		
	                     		
			                       	
			                       	
	                     		
		                        
                        	
		                        
		                        
		                        
		                        
                        		
                        	
		                        
		                        
		                        
		                        	
		                        	
		                        
		                        
                        		
                        		
                        			
			                        
			                        	주소注疏의 여러 뜻에 있어서는 또한 옳고 그름이 있다.
			                              
                        			
                        		
                        		
	                     		
			                       	
			                       	
	                     		
		                        
                        	
		                        
		                        
		                        
		                        
                        		
                        	
		                        
		                        
		                        
		                        	
		                        	
		                        
		                        
                        		
                        		
                        			
			                        
			                        	우리 조정은 경학經學이 가장 성하여 여러 학자들이 매우 자세히 논하였으니, 이는 또 학문을 좋아하고 깊이 생각하며 실사구시實事求是하는 선비들이 주소注疏를 통하여 미루어 찾고 연구해서 찾아봄에 달려 있는 것이다.
			                              
                        			
                        		
                        		
	                     		
			                       	
			                       	
	                     		
		                        
                        	
		                        
		                        
		                        
		                        
                        		
                        	
		                        
		                        
		                        
		                        	
		                        	
		                        
		                        
                        		
                        		
                        			
			                        
			                        	가경嘉慶 21년(1816) 가을에 판각이 처음 이루어졌는데, 이 판각을 남창南昌의 학당에 보관하고 있으면서 사림士林과 서점書店으로 하여금 모두 가져다가 인쇄하게 하였다.
			                              
                        			
                        		
                        		
	                     		
			                       	
			                       	
	                     		
		                        
                        	
		                        
		                        
		                        
		                        
                        		
                        	
		                        
		                        
		                        
		                        	
		                        	
		                        
		                        
                        		
                        		
                        			
			                        
			                        	학당에서는 책이 이루어지자 나에게 서문序文을 청하였는데, 내가 생각건대 성현聖賢의 경전은 해와 달이 하늘을 순행하고 강하江河가 땅에 흘러가는 것과 같으니, 어찌 감히 하찮은 말을 책머리에 쓸 수 있겠는가.
			                              
                        			
                        		
                        		
	                     		
			                       	
			                       	
	                     		
		                        
                        	
		                        
		                        
		                        
		                        
                        		
                        	
		                        
		                        
		                        
		                        	
		                        	
		                        
		                        
                        		
                        		
                        			
			                        
			                        	다만 이 책을 판각한 시말始末을 목록의 뒤에 기록하고, 다시 흠정사고전서欽定四庫全書 십삼경주소十三經注疏의 각 제요提要를 각 주소注疏의 앞에 공경히 기록해서 몸을 단속하여 행실을 닦는 선비들로 하여금 우리 대청大淸의 유학이 이전 세대를 크게 뛰어넘음을 알게 하였으니, 이로 말미암아 잠심하여 품행을 돈독히 하며 널리 배우고 행실을 돈독히 해서 옛 성현聖賢의 경전의 본원本源을 찾아야 할 것이요, 허황됨과 고루함의 두 길에 그릇되는 바가 되지 않아야 할 것이다.
			                              
                        			
                        		
                        		
	                     		
			                       	
			                       	
	                     		
		                        
                        	
		                        
		                        
		                        
		                        
                        		
                        	
		                        
		                        
		                        
		                        	
		                        	
		                        
		                        
                        		
                        		
                        			
			                        
			                        	태자소보太子少保 광록대부光祿大夫 강서순무겸제독江西巡撫兼提督 양주揚州 완원阮元은 삼가 기록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