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列女傳補注(1)

열녀전보주(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열녀전보주(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8 齊女傅母
傅母者 齊女之傅母也 女爲衛莊公夫人하여 號曰莊姜이라 姜交好注+① 交亦姣字.호되 始往 操行衰惰하고 有冶容之行 淫泆之心이라
傅母見其婦道不正하고 諭之云 子之家 世世尊榮하니 當爲民法則이요 子之質 聰達於事하니 當爲人表式이요 儀貌壯麗하니 不可不自修整어늘 衣錦絅裳하고 飾在輿馬하니 是不貴德也라하고
乃作詩曰 碩人其頎注+① 以爲傅母作, 亦魯詩說也.하니 衣錦絅衣注+② 絅, 襌也. 毛詩作褧, 音苦․迥切. 此作絅, 音與之同. 中庸引衣錦尙絅, 正與此合, 魯詩說也.로다 齊侯之子 衛侯之妻 東宮之妹 邢侯之姨 譚公維私注+③ 【集注】爾雅 “女子謂姊妹之夫爲私.”로다
砥厲女之心以高注+① 砥厲, 磨厲也. 高節, 文選注引作高其節.注+② 【校注】 文選秋胡詩注引砥上有以字.하니 以爲人君之子弟이며 爲國君之夫人하니 尤不可有邪僻之行焉이라 女遂感而自修 君子善傅母之防未然也러라
莊姜者 東宮得臣之妹也 無子하여 姆戴嬀之子桓公注+① 姆, 卽母字也.注+② 【校注】 金壇段氏玉裁曰 “姆當是母, 謂以桓公爲己子也.”이라 公子州吁 嬖人之子也 有寵하여 驕而好兵호되 莊公弗禁이라 後州吁果殺桓公이라
詩曰 毋敎猱升木이라하니 此之謂也
頌曰
齊女傅母
防女未然이로다
稱列先祖하니
莫不注+① 當作榮尊, 與上下韻.이로다
作詩明指하여
使無辱先하니
莊姜姆注+② 當作姆嬀, 言爲嬀氏子之母也. 或曰 “當是母桓.”注+③ 【集注】 黃氏丕烈云 “妹, 宋本模餬, 似是敎字.” 王云 “當作姆嬀, 言爲嬀氏子之母也.” 道管案嬀氏子不當稱嬀.하여
卒能修身이로다


1-8 나라 딸의
부모傅母나라 제후의 딸을 가르친 부모이다. 나라 제후의 딸은 나라 장공莊公의 부인이 되어 장강莊姜이라 불렸다. 장강은 미모가 빼어났으나注+① ‘’ 또한 ‘’자이다. 처음 시집왔을 때 조행操行이 단정하지 못하고 용모를 꾸미는 행실과 음란한 마음을 가지고 있었다.
부모傅母장강莊姜부도婦道가 바르지 못함을 보고 타이르기를 “그대의 친정은 대대로 존귀하고 영화로우니 마땅히 백성들의 법칙이 되어야 하고, 그대의 타고난 바탕은 총명하여 사리에 통달하였으니 마땅히 사람들의 모범이 되어야 하고, 용모가 훌륭하고 아름다우니 스스로 가다듬어 바르게 하지 않아서는 안 됩니다. 그런데 비단옷에 홑옷을 덧입고 수레와 말을 장식하였으니, 이는 을 귀하게 여기지 않는 것입니다.”라고 하고,
이어 시를 짓기를 注+부모傅母가 지은 것이라고 하니, 또한 ≪노시魯詩≫의 이다. 비단옷을 입고 그 위에 홑옷을 덧입었도다.注+은 홑옷이다. ≪모시毛詩≫에 ‘’으로 되어 있으니, 독음은 반절反切이다. 여기에 ‘’으로 되어 있으나 독음은 ≪모시≫와 같다. ≪중용中庸≫의 이 구절을 인용한 곳에는 ‘의금상경衣錦尙絅’으로 되어 있으니, 정히 여기와 합치한다. ≪노시≫의 이다. 제후齊侯의 자식이요, 위후衛侯의 아내요, 동궁東宮의 누이요, 형후邢侯의 처제요, 담공譚公이 형부로다.”注+③ 【집주集注】 ≪이아爾雅≫에 “여자가 자매의 남편을 라고 이른다.”라고 하였다.라고 하였다.
장강莊姜의 마음을 갈고 닦아 그 절조를 고상하게 하였으니,注+지려砥厲는 갈고 닦음이다. 고절高節은 ≪문선文選의 이 구절을 인용한 곳에는 ‘그 절조를 고상하게 하였다.[고기절高其節]’로 되어 있다.注+② 【교주校注】 ≪문선文選 임금의 자제이자 임금의 부인된 몸으로 더욱 사벽邪僻한 행실을 해서는 안 된다고 여겼기 때문이다. 장강莊姜이 드디어 감동하여 스스로 수양하였다. 군자는 부모傅母장강莊姜이 잘못을 저지르기 전에 방지한 것을 훌륭하게 여겼다.
제녀부모齊女傅母제녀부모齊女傅母
장강莊姜나라 태자太子 득신得臣의 누이이다. 〈장강은〉 자식이 없어서 대규戴嬀의 아들 환공桓公을 자식으로 삼았다.注+는 바로 ‘’자이다.注+② 【교주校注김단金壇 가 말하기를 “‘’는 마땅히 ‘’가 되어야 하니, 환공을 자신의 자식으로 삼은 것을 이른다.”라고 하였다. 공자公子 주우州吁장공莊公의 애첩 소생의 아들이다. 주우가 장공의 총애를 받게 되자 교만해졌고 전쟁을 좋아하였는데, 장공이 이를 금하지 않았다. 후일 주우는 과연 환공을 죽였다.
시경詩經≫에 말하기를 라고 하였으니, 이를 두고 이른 말이다.
은 다음과 같다.
나라 제후의 딸 장강莊姜부모傅母
장강莊姜의 잘못을 미연에 방지하였도다
선조先祖를 일컬어 나열하였으니
영화롭고 존귀하지 않은 분 없었도다注+① 〈‘존영尊榮’은〉 마땅히 ‘영존榮尊’이 되어야 하니, 그래야 상하의 운과 맞다.
시를 지어 뜻을 밝혀
선조를 욕되게 함이 없게 하였도다
장강莊姜부모傅母의 가르침 받아注+② 〈‘모매姆妹’는〉 마땅히 ‘모규姆嬀’가 되어야 하니, 규씨嬀氏 아들의 어머니가 됨을 말한 것이다. 혹자는 말하기를 “마땅히 ‘모환母桓’이 되어야 한다.”라고 하였다.注+③ 【집주集注이 이르기를 “‘’는 송본宋本모호模餬하니 ‘’자인 듯하다.”라고 하였다. 왕조원王照圓이 이르기를 “마땅히 ‘모규姆嬀’가 되어야 하니, 규씨嬀氏 아들의 어머니가 됨을 말한 것이다.”라고 하였다. 내(소도관蕭道管)가 상고해보건대, 규씨嬀氏의 아들을 응당 라고 일컫지는 않았을 것이다.
마침내 몸을 닦을 수 있었도다


역주
역주1 傅母 : 女師이다. 고대에 女師의 관원을 두어 三從, 四德 등의 婦德으로 貴族의 자녀를 교육하게 하였다.
역주2 碩人이……형부로다 : ≪詩經≫ 〈衛風 碩人〉에 보인다. 碩人은 莊姜을 가리키고, 東宮은 齊나라의 太子 得臣을 말한다.
역주3 秋胡詩의……있다 : 〈秋胡詩〉는 南北朝時代 宋나라의 문인 顔延之가 지은 90句 450字로 이루어진 五言詩이다. 魯나라 사람 秋胡의 고사를 통하여 정숙한 부인을 찬미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그 注에는 ‘齊母乃作詩以砥礪女之心 高其節’로 되어 있다.
역주4 [其] : 저본에는 ‘其’가 없으나, 王照圓의 注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
역주5 段氏 玉裁 : 1735~1815. 淸代의 訓詁學家이자 經學家로, 자는 若膺, 호는 懋堂이다. 文字學에 특히 뛰어났으며 校勘에 정심하였다. 저서에 ≪說文解字注≫, ≪六書音韻表≫, ≪古文尚書撰異≫, ≪毛詩故訓傳定本≫, ≪經韻樓集≫ 등이 있다.
역주6 원숭이에게……말지어다 : ≪詩經≫ 〈小雅 角弓〉에 “원숭이에게 나무타기를 가르치지 말지어다, 진흙에 진흙을 붙이는 것과 같으니라.[毋敎猱升木 如塗塗附]”라고 하였다. 이 시는 九族을 친애하지 않고 아첨하는 사람들을 좋아하여 골육 간에 서로 원망함을 풍자한 것이다.
역주7 黃氏 丕烈 : 1763~1825. 淸나라 吳縣 사람으로, 자는 紹武, 또 다른 자는 蕘圃이며, 호는 復翁, 별호는 民山山民, 縣橋小隱, 抱守老人, 半恕道人 등 수십 개다. 分部主事를 역임하였으며, 藏書를 좋아하였다. 저서에 ≪蕘言卬須集≫이 있다.
역주8 (尊榮)[榮尊] : 저본에는 ‘尊榮’으로 되어 있으나, 王照圓의 注에 의거하여 ‘榮尊’으로 바로 잡았다.
역주9 (妹)[敎] : 저본에는 ‘妹’로 되어 있으나, ≪列女傳集注≫에 의거하여 ‘敎’로 바로 잡았다.

열녀전보주(1) 책은 2024.01.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