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列女傳補注(1)

열녀전보주(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열녀전보주(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5 湯妃有㜪
湯妃有㜪者 有㜪氏之女也注+① 【校注】 史記殷紀集解, 作有莘, 漢書人表注云 “㜪與莘同.” 殷湯娶以爲妃仲壬外丙注+② 孟子言外丙․仲壬之前, 又有太丁, 蓋生子三人也. 亦明敎訓하여 致其功이라 有㜪之妃湯也 統領九嬪注+③ 九嬪, 九御也, 位在三夫人下.하니 後宮有序하여 咸無妒媢逆理之人이라 卒致王功注+④ 【校注】 太平御覽皇親部一引湯妃, 有莘之女也, 德高而伊尹爲之媵臣, 佐湯致王. 訓正後宮, 嬪御有序, 咸無嫉妒逆理之人. 生三子太丁․外丙․仲壬, 敎誨有成. 太丁早卒, 丙․壬嗣登大位. 後漢書崔琦傳注引德高而明, 伊尹爲之媵臣. 北堂書鈔后妃部一引有㜪高明, 后妃部二引訓正後宮, 嬪御有序. 疑今本有脫文.이라
君子謂妃明而有序라하니라 詩云 窈窕淑女 君子好逑로다하니 言賢女能爲君子和好衆妾注+① 此蓋魯詩說也. 與毛氏異義, 爲鄭箋所本.하니 其有㜪之謂也
頌曰
湯妃有㜪
行聰明注+① 【校注】 質, 舊誤賢, 從北堂書鈔后妃部三, 校改.이로다
媵從伊尹하고
自夏適注+② 殷當作商, 上下相韻.이로다
勤慤治中하니
九嬪有行이로다
化訓內外하니
亦無愆殃이로다


1-5 임금의 비
임금의 유신有㜪유신씨有㜪氏의 딸이니,注+① 【교주校注】 ≪사기집해史記集解≫ 〈은본기殷本紀〉에 ‘유신有莘’으로 되어 있고, ≪한서漢書≫ 〈고금인표古今人表〉의 에 이르기를 “‘’과 ‘’은 같다.”라고 하였다. 나라 탕임금이 장가들어 로 삼았다. 태정太丁중임仲壬외병外丙을 낳음에注+ 아들 3인을 낳은 듯하다. 또한 가르침을 밝혀 그 공을 이루었다. 유신이 탕임금의 가 되어 을 통솔하니,注+구빈九嬪이니, 지위가 삼부인三夫人의 아래에 있다. 후궁後宮에 차례가 있어서 투기하거나 도리를 어기는 사람이 아무도 없었다. 그리하여 마침내 탕임금이 제왕帝王의 공업을 이루게 하였다.注+④ 【교주校注】 ≪태평어람太平御覽≫ 〈황친부皇親部 1〉의 이 구절을 인용한 곳에는 “임금의 유신有莘의 딸이니, 덕이 높았는데 을 보좌하여 왕업을 이루었다. 〈유신有㜪이〉 후궁後宮을 가르쳐 바로잡으니 빈어嬪御가 차례가 있어서 투기하거나 도리를 어기는 사람이 아무도 없었다. 〈유신有㜪이〉 태정太丁외병外丙중임仲壬 세 아들을 낳아 가르쳐 성취하게 하였다. 태정은 일찍 죽고 외병과 중임이 이어 왕위에 올랐다.”라고 하였다. ≪후한서後漢書≫ 〈최기전崔琦傳의 이 구절을 인용한 곳에는 “〈유신有㜪은〉 덕이 높고 현명하였는데 이윤이 그 잉신媵臣이 되었다.”라고 하였다. 후비부后妃部 1〉의 이 구절을 인용한 곳에는 “유신有㜪고명高明하다.”라고 하였고, 〈후비부 2〉의 이 구절을 인용한 곳에는 “후궁을 가르치고 바로잡으니 빈어嬪御가 차례가 있었다.”라고 하였다. 금본今本에는 빠진 글이 있는 듯하다.
군자가 이르기를 “임금의 는 현명하여 빈어嬪御가 차례가 있게 하였다.”라고 하였다. ≪시경詩經≫에 이르기를 라고 하였으니, 현명한 여자가 군자를 위하여 여러 첩과 화목함을 말한 것이다.注+① 이는 아마 ≪노시魯詩≫의 설인 듯하다. 모씨毛氏와 뜻이 다르니, 정현鄭玄전주箋注가 근본한 것이다. 아마 유신有㜪을 두고 이른 말일 것이다.
은 다음과 같다.
임금의 유신有㜪
품행이 질박하고 총명하였도다注+① 【교주校注】 ‘’은 구본舊本에 ‘’으로 잘못되어 있었는데, ≪북당서초北堂書鈔≫ 〈후비부后妃部 3〉을 따라 교정하였다.
잉신媵臣 이윤伊尹을 데리고
나라에서 나라로 시집갔도다注+은 응당 이 되어야 하니, 그래야 상하에 서로 운이 맞는다.
성실하게 궁중의 일을 다스리니
구빈九嬪이 덕행이 있게 되었도다
교화로 내외內外를 가르치니
또한 허물과 재앙이 없었도다


역주
역주1 : 夏 桀王을 멸하고 商王朝를 건립한 제왕으로, 亳에 도읍하였다. 후에 여러 차례 도읍을 옮겼는데, 盤庚이 殷으로 도읍을 옮기기에 이르러 인하여 商나라를 殷나라라고 일컬었다.
역주2 有㜪 : 바로 有莘氏이다. 姒姓으로, 고대 나라 이름이다. 夏后 啓가 支子를 莘에 봉하고 有莘氏라 일컬었다. 지금의 山東省 曹縣의 서북쪽에 있었다.
역주3 孟子가……하였으니 : ≪孟子≫ 〈萬章 上〉에 “伊尹이 湯임금을 도와 천하에 왕 노릇 하게 하였는데, 湯임금이 붕어하시니, 太丁은 즉위하지 못하고 죽었으며, 外丙은 2년, 仲壬은 4년을 하였다.[伊尹相湯以王於天下 湯崩 太丁未立 外丙二年 仲壬四年]”라고 하였다.
역주4 九嬪 : 周나라 때 천자가 둘 수 있는 아홉 사람의 嬪이다. ≪禮記≫ 〈昏義〉에 “옛적에 天子의 皇后는 六宮․三夫人․九嬪․二十七世婦․八十一御妻를 세운다.”라고 하였다. 여기서는 후궁을 포함하여 궁중의 여인들을 포괄적으로 말한 것으로 보인다.
역주5 九御 : 궁중의 女官을 지칭한다. 女官을 9인 1조로 하여 9조, 즉 81명이 왕의 시중을 들게 한 데서 온 말이다.(≪周禮≫ 〈天官 內宰〉)
역주6 伊尹이……되어 : 伊尹은 商나라를 건국한 湯王의 대신이다. ≪史記≫ 권3 〈殷本紀〉에 의하면, 伊尹이 湯王을 聖君으로 만들고 싶어도 방법이 없자 有莘氏의 媵臣이 된 뒤에 “솥과 도마를 지고 찾아가서 음식 요리를 가지고 湯王을 설득하여 王道에 이르게 했다.[負鼎俎 以滋味說湯 致于王道]”라고 하였는데, ≪孟子≫ 〈萬章 上〉에는 “이윤이 堯舜의 道를 가지고 湯王에게 요구했다는 말은 들었지만, 음식 요리를 가지고 요구했다는 말은 듣지 못했다.[聞其以堯舜之道要湯 未聞以割烹也]”라고 반박하였다. 媵은 고대 혼인제도의 하나로 제후의 딸이 시집갈 때 함께 가는 사람을 말하는데, 여자는 媵妾이라 하였고 남자는 媵臣이라 하였다.
역주7 北堂書鈔 : 虞世南이 隋나라 秘書郞으로 있을 때 지은 책이다. 현전하는 중국 최초의 類書로, 총 160권이다. 北堂은 隋나라 秘書省의 後堂이다.
역주8 [太丁] : 저본에는 ‘太丁’이 없으나, 王照圓의 注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
역주9 窈窕한……짝이로다 : ≪詩經≫ 〈周南 關雎〉에 보인다.
역주10 (賢)[質] : 저본에는 ‘賢’으로 되어 있으나, ≪列女傳校注≫에 의거하여 ‘質’로 바로잡았다.
역주11 (殷)[商] : 저본에는 ‘殷’으로 되어 있으나, 王照圓의 注에 의거하여 ‘商’으로 바로잡았다.

열녀전보주(1) 책은 2024.01.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