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列女傳補注(2)

열녀전보주(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열녀전보주(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7-4 衛宣公姜
宣姜者 齊侯之女 衛宣公之夫人也 宣公夫人夷姜生伋子注+① 【校注】 左傳作急子.하니 以爲太子 又娶於齊하니 曰宣姜이니 生壽及朔이라 夷姜旣死 宣姜欲立壽하여 乃與壽弟朔으로 謀構伋子
公使伋子之齊할새 宣姜乃陰使力士待之界上而殺之注+② 【集注】 案新序 將沈而殺之, 因與之同舟, 舟人不得殺伋. 方乘舟時, 伋傅母恐其死也, 閔而作詩, 二子乘舟之詩是也. 其詩曰 ‘二子乘舟, 泛泛其景. 顧言思子, 中心養養.’ 於是壽閔其兄之且見害, 作憂思之詩,曰 有四馬白旄至者어든 必要殺之注+③ 按詩曰 “孑孑干旄, 在浚之郊. 素絲紕之, 良馬四之. 彼姝者子, 何以畀之?” 今以傳推之, 疑詩卽爲此事而作也. 必用白旄者, 取易於識別也, 以詩言素絲, 故知爲白旄也. 浚, 衛之界上邑, 姜使力士待伋之地也. 姝, 忠順貌. 姝子, 謂伋子也. 畀, 與也. 言彼四馬白旄忠順之子, 何故以此與之, 深痛惜之辭也. 此蓋出於魯詩之說而劉氏述之, 與毛詩異也. 其敍夷姜․宣姜, 與左傳又異, 蓋皆本於魯詩耳. 要, 遮也. 史記曰 與太子白旄, 而告界盜見持白旄者殺之.” 義與此合.라하니라
壽聞之하고 以告太子曰 太子其避之어다하니 伋子曰 不可 夫棄父之命이면 則惡用子也리오하니라
壽度太子必行하고 乃與太子飮하고 奪之旄而行하니 盜殺之
伋子醒하여 求旄不得하여 遽往追之한대 壽已死矣 伋子痛壽爲己死하여 乃謂盜曰 所欲殺者 乃我也 此何罪 請殺我하라하니 盜又殺之
二子旣死 朔遂立爲太子 宣公薨 朔立하니 是爲惠公이라 竟終無後하여 亂及라가 至戴公而後寧注+① 五當作三, 字之誤也. 三世, 謂宣惠懿也. 戴公, 昭伯頑之子也. 寧, 安也.이라
詩云 乃如之人이여 德音無良이로다하니 此之謂也
頌曰
衛之宣姜
謀危太子로다
欲立子壽하여
陰設力士로다
壽乃俱死하니
衛果危殆로다
五世不寧하니
亂由姜起로다


7-4 의 부인 선강宣姜
선강宣姜나라 제후의 딸이요 선공宣公의 부인이다. 당초에 선공宣公부인夫人 이강夷姜급자伋子를 낳자注+① 【교주校注】 〈‘급자伋子’는〉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에는 ‘급자急子’로 되어 있다. 선공이 태자太子로 삼았다. 선공이 또 제나라에 장가드니, 그 여인이 바로 선강으로 을 낳았다. 이강이 이미 죽자 선강은 수를 태자로 세우고자 하여 수의 아우 삭과 모의하여 급자를 무함誣陷하였다.
선공이 급자를 제나라에 사신으로 가게 하자, 선강이 몰래 역사力士를 시켜 국경에서 기다리다가 죽이게 하면서注+② 【집주集注】 상고해보건대, ≪신서新序≫에 “사람을 시켜 과 함께 하중河中에서 배를 타고 〈물을 건널 적에〉 빠뜨려 죽이게 하였다. 가 인하여 그 배에 함께 타니 뱃사람이 을 죽이지 못하였다. 이 막 배에 올랐을 때 부모傅母이 죽음을 당할까 염려하여 불쌍히 여겨 시를 지었으니, 〈이자승주二子乘舟〉의 가 바로 이것이다. 그 시에 말하기를 ‘두 사람이 배를 타고 가니, 둥둥 떠가는 그 그림자로다. 그리워하여 그대를 생각하는지라, 중심中心이 울렁거리노라.’라고 하였다. 이에 가 그 형이 또 해를 입을까 불쌍히 여겨 근심하는 시를 지었으니, 〈서리黍離〉의 가 바로 이것이다.”라고 하였다. 말하기를 “네 마리 말이 끄는 수레에 흰 소꼬리 털을 깃대 머리에 매달고 지나가는 자가 있거든 반드시 가로막고 죽여야 한다.”注+③ 상고해보건대, ≪시경詩經≫에 말하기를 “펄럭이는 간모干旄여, 준읍浚邑의 교외에 있도다. 흰 실로 짜서 매달고, 좋은 말 네 필에 멍에를 메니, 저 충순忠順한 그대에게, 어찌 이것을 주는고?”라고 하였다. 지금 이 으로 미루어보건대, 아마 이 는 곧 이 일 때문에 지은 듯하다. 반드시 흰 소꼬리 털을 깃대 머리에 매단 [백모白旄]를 사용한 것은 식별을 쉽게 함을 취한 것이다. 에 흰 실[소사素絲]을 말하였기 때문에 백모白旄임을 아는 것이다. 나라의 경계에 있는 이니, 선강宣姜역사力士로 하여금 을 기다리게 한 곳이다. 충순忠順한 모양이니, 주자姝子급자伋子를 이른다. 는 줌이다. ‘저 네 마리 말이 끄는 수레에 흰 소꼬리 털을 깃대 머리에 매달아서 수레에 꽂은 충순한 사람에게 무슨 까닭으로 이것을 주는고?’라는 말이니, 매우 애통하게 여기는 말이다. 이는 아마 ≪노시魯詩≫의 에서 나와서 가 서술한 듯하니 ≪모시毛詩≫와 다르다. 아마 모두 ≪노시≫에 근본한 듯하다. 는 가로막음이다. ≪사기史記≫에 말하기를 “자객刺客으로 하여금 국경에서 가로막고 살해하게 하였는데, 태자太子에게 백모白旄를 주고는 국경의 자객에게 백모를 가진 자를 죽이라고 고하였다.”라고 하였으니, 의미가 여기서 기술한 내용과 합치한다.라고 하였다.
가 이를 듣고 태자太子에게 고하여 말하기를 “태자께서는 피하십시오.”라고 하였는데, 급자伋子가 말하기를 “안 된다. 아버지의 명을 저버리면 어찌 자식이라 할 수 있겠는가.”라고 하였다.
수는 태자가 반드시 나라로 사신가리라는 것을 헤아리고 태자와 함께 술을 마셔 〈태자가 취하자〉 흰 쇠 꼬리털로 장식한 깃발을 빼앗아 가지고 국경으로 가니 자객刺客이 수를 죽였다.
급자가 술에서 깨어 그 깃발을 찾다가 찾지 못하여 급히 뒤쫓아 갔으나 수는 이미 죽은 뒤였다. 급자는 수가 자신을 위해 죽은 것을 애통히 여겨 자객에게 일러 말하기를 “네가 죽이려고 했던 자는 바로 나다. 이 사람이 무슨 죄가 있단 말이냐. 청컨대 나를 죽여라.”라고 하니, 자객이 또 급자를 죽였다.
두 아들이 이미 죽자 이 드디어 태자太子가 되었다. 선공宣公훙어薨御하자 삭이 왕위에 올랐으니, 이가 바로 혜공惠公이다. 혜공은 끝내 후사가 없어 혼란이 3대까지 이어지다가 에 이른 뒤에 안정되었다.注+① ‘’는 응당 ‘’이 되어야 하니, 글자의 오류이다. 삼세三世선공宣公, 혜공惠公, 의공懿公을 이른다. 대공戴公소백昭伯 의 아들이다. 은 안정이다.
시경詩經≫에 이르기를 라고 하였으니, 이를 두고 이른 말이다.
은 다음과 같다.
나라의 선강宣姜
모의하여 태자太子를 위태롭게 하였도다
자신의 아들 를 태자로 세우려고
몰래 역사力士를 숨겨 놓았도다
수가 이에 태자와 함께 죽으니
나라는 과연 위태롭게 되었도다
오대五代 동안 안정되지 못하니
혼란함이 선강으로 말미암아 일어났도다


역주
역주1 衛 宣公 : 春秋時代 衛나라의 임금으로, 姬姓이며 이름은 晉이다.
역주2 劉氏 : 劉向을 말한다.
역주3 그……다르니 : ≪春秋左氏傳≫ 桓公 16년 조에는 “처음에 衛 宣公이 夷姜과 姦淫하여 急子를 낳고서 급자를 右公子에게 부탁하였다. 얼마의 세월이 지난 뒤에 急子를 위하여 齊나라에서 아내를 맞이하게 하였는데, 그 여자의 美貌가 뛰어나자, 선공이 그 여자를 자기의 아내로 맞이하였다. 그리하여 壽와 朔을 낳았는데, 선공은 수를 左公子에게 부탁하였다. 선공의 사랑을 잃은 이강은 스스로 목매어 죽었다. 宣姜이 公子 삭과 함께 급자를 誣陷하니 선공은 급자를 齊나라에 使臣으로 보내고 刺客을 시켜 莘에서 기다리다가 그를 죽이게 하고자 하였다.[初 衛宣公烝於夷姜 生急子 屬諸右公子 爲之娶於齊 而美 公取之 生壽及朔 屬壽於左公子 夷姜縊 宣姜與公子朔構急子 公使諸齊 使盜待諸莘 將殺之]”라고 하였다.
역주4 使人與伋乘舟於河中 : ≪新序≫ 卷7 〈節士 衛宣公之子〉에는 이 앞에 “壽의 어머니가 朔과 모의하여 太子 伋을 죽이고 壽를 太子로 세우려고[壽之母與朔謀 欲殺太子伋而立壽也]”라는 구절이 더 있다.
역주5 : ≪新序≫ 卷7 〈節士 衛宣公之子〉에는 이 뒤에 “모의를 알았으나 중지시킬 수 없는지라[知 不能止也]”라는 구절이 더 있다.
역주6 黍離之詩是也 : ≪新序≫ 卷7 〈節士 衛宣公之子〉에는 이 뒤에 “그 시에 말하기를 ‘길 가기를 더디고 더디하여, 중심에 울렁거리노라. 이내마음 아는 자는 나더러 마음에 근심한다 하거늘, 이내마음 알지 못하는 자는 나더러 무엇을 구하는고 하니, 아득하고 아득한 蒼天아, 이 어떤 사람이 이렇게 하였는고?[其詩曰 行邁靡靡 中心搖搖 知我者謂我心憂 不知我者謂我何求 悠悠蒼天 此何人哉]’라고 하였다.”라는 구절이 더 있다.
역주7 令盜遮界上殺之 : ≪史記≫ 卷37 〈衛康叔世家〉에는 이 구절 앞에 ‘宣公이 太子 伋이 나쁘다는 소문을 듣게 되자 크게 노하여 태자 급을 齊나라에 사신으로 파견하고서[及聞其惡 大怒 乃使太子伋於齊而]’라는 구절이 더 있다.
역주8 戴公 : 春秋時代 衛나라 임금으로, 姬姓이며 이름은 申이다.
역주9 (五)[三] : 저본에는 ‘五’로 되어 있으나, 王照圓의 注에 의거하여 ‘三’으로 바로잡았다.
역주10 이와……못하도다 : ≪詩經≫ 〈邶風 日月〉에 보인다.

열녀전보주(2) 책은 2024.01.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