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列女傳補注(1)

열녀전보주(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열녀전보주(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3 契母簡狄
契母簡狄者注+① 【校注】 初學記帝王部引下有帝嚳之少妃五字. 太平御覽人事部一作次妃. 有娀氏之長女也 當堯之時하여 與其妹娣注+② 史記云 “三人行浴.” 蓋簡狄與其妹及娣爲三人也.注+③ 【校注】 妹名建疵, 見淮南墜形訓. 太平御覽作姊妹, 與史記云三人合. 浴於邱之水注+④ 【校正】 瑞辰案路史引作姊妹浴於元邱之水, 今本作與其妹娣誤也. 又案妹娣一人耳. 呂氏春秋音初篇云 “有娀氏有二佚女.” 鴻烈墜形云 “有娀在不周之北, 長女簡翟, 少女建疵.” 注云 “簡翟․建疵姊妹二人.” 皆謂簡翟與其妹爲二. 史記三人行浴, 三當爲二之譌, 補注分妹娣爲二似誤.러니 有元鳥銜卵하고 過而墜之하니 五色甚好 簡狄與其妹娣 競往取之 簡狄得而含之라가 誤而呑之注+⑤ 【校注】 太平御覽引下有有妊二字.러니 遂生契焉이라
簡狄性好人事之治注+① 人事, 謂五敎之屬, 人所有事也. 契之能明人倫, 亦母敎使之然.하며 上知天文하고 樂於施惠러니 及契長하여 而敎之理順之序 契之性聰明而仁하여 能育其敎하여 卒致其名이라
堯使爲司徒하여 封之於亳注+② 南亳也, 湯所都. 故書序云 “湯始居亳, 從先王居.”이러니 及堯崩하고 舜卽位 乃勅之曰 契 百姓不親하며 五品不遜일새 汝作司徒 而敬敷五敎호되 在寬하라하니라 其後世世居亳이러니 至殷湯하여 興爲天子
君子謂簡狄仁而有禮라하니라 詩云 有娀方將일새 立子生商注+① 毛詩, 立上有帝字, 此蓋魯詩.이라하고 又曰 天命元鳥하여 降而生商이라하니 此之謂也
頌曰
契母簡狄
敦仁厲翼이로다
呑卵産子하여
遂自修飾이로다
敎以事理하고
推恩有德이로다
契爲帝輔
蓋母有力이니라


1-3 의 어머니
의 어머니 간적簡狄注+① 【교주校注제왕부帝王部〉의 이 구절을 인용한 곳에는 이 아래에 ‘제곡지소비帝嚳之少妃’ 5자가 있다. 인사부人事部 1〉에는 ‘차비次妃’로 되어 있다. 장녀長女이다. 임금 때에 注+② ≪사기史記≫에 이르기를 라고 하였으니, 아마 간적簡狄과 그 세 사람일 것이다.注+③ 【교주校注의 이름은 건자建疵이니 추형훈墜形訓〉에 보인다. ≪태평어람≫에 ‘자매姊妹’로 되어 있으니, ≪사기≫에 ‘삼인三人’이라 이른 것과 합치한다. 원구元邱의 물에서 목욕하고 있었다.注+④ 【교정校正마서신馬瑞辰이 상고해보건대, ≪노사路史≫의 이 구절을 인용한 곳에는 ‘자매가 원구元邱의 물에서 목욕하였다.[자매욕어원구지수姊妹浴於元邱之水]’로 되어 있으니, 금본今本에 ‘여기매제與其妹娣’라고 한 것은 오류이다. 또 상고해보건대, 매제妹娣는 한 사람일 뿐이다. ≪여씨춘추呂氏春秋≫ 〈음초편音初篇〉에 이르기를 “유융씨有娀氏에게는 2명의 미녀가 있었다.”라고 하였고, 추형훈墜形訓〉에 이르기를 “유융有娀부주산不周山의 북쪽에 있는데, 장녀長女간적簡翟이고 소녀少女건자建疵이다.”라고 하였고, 그 에 이르기를 “간적과 건자는 자매 두 사람이다.”라고 하였으니, 모두 간적과 그 여동생이 둘이 됨을 말한 것이다. ≪사기≫에 ‘세 사람이 목욕하러갔다.[삼인행욕三人行浴]’라고 하였는데, 은 응당 의 오자이고, 보주補注에서 를 나누어 둘로 한 것은 오류인 듯하다. 그때 제비가 알을 물고 지나가다가 떨어뜨렸는데 오색五色이 매우 찬란하였다. 간적이 그 여동생과 앞다투어 달려가 알을 취하려 하였다. 간적이 먼저 알을 주워 입에 머금었다가 실수로 삼켰는데,注+⑤ 【교주校注】 ≪태평어람≫의 이 구절을 인용한 곳에는 이 아래에 ‘유임有妊’ 2자가 있다. 드디어 설을 낳았다.
간적簡狄의 성품이 사람들 사이에 지켜야 할 예의를 닦기를 좋아하였으며,注+① ‘인사人事’는 오교五敎의 등속을 말하니, 사람이 일삼는 바이다. 설이 인륜人倫을 밝힌 것은 또한 어머니의 가르침이 그렇게 만든 것이다. 위로 하늘의 이치를 알고 사람들에게 은혜 베풀기를 좋아하였다. 이 성장하기에 이르러 윤리의 준칙을 가르치고 윤리의 규범을 따르게 하였다. 설의 성품이 총명聰明하고 인애仁愛하여 어머니의 가르침을 받들어 마침내 명성을 이루었다.
임금이 설을 로 삼아 땅에 봉하였다.注+남호南亳이니 탕이 도읍한 곳이다. 그러므로 에 이르기를 “탕이 처음 박에 거처한 것은 선왕先王의 거처를 따른 것이다.”라고 하였다. 요임금이 붕어崩御하고 임금이 즉위하자 곧 명하기를 라고 하였다. 그의 후손들이 대대로 땅에 살았는데, 나라 에 이르러 흥기하여 천자가 되었다.
군자가 이르기를 “‘간적簡狄은 인후하고 예의를 중시하였다.’라고 하였다. ≪시경詩經≫에 이르기를 注+① ≪모시毛詩≫에는 ‘’ 위에 ‘’자가 있으니, 이는 아마 ≪노시魯詩≫인 듯하다.라고 하고, 또 말하기를 라고 하였으니, 이를 두고 이른 말이다.
은 다음과 같다.
의 어머니 간적簡狄
인후仁厚하고 남을 힘써 도왔도다
제비 알을 삼켜 자식을 낳아
마침내 스스로 수양하였도다
올바른 도리로 을 가르치고
은혜를 미루어 덕을 쌓았도다
설이 임금의 보좌가 된 것은
어머니의 가르침 덕분이었네


역주
역주1 : 偰로도 쓴다. 堯임금 때에 商에 봉해졌으며 子姓을 하사받았다. 고대 전설 중의 商族의 始祖이다. 玄王이라고도 한다.
역주2 簡狄 : 簡易, 또는 簡逿(탕)으로도 쓴다. 전설 중의 帝嚳(곡)의 次妃이다.
역주3 初學記 : 唐나라 玄宗이 徐堅 등에게 명하여 만든 책으로, 모두 36권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經史의 서책 가운데 좋은 문장과 고사를 뽑아서 만든 책이다.
역주4 太平御覽 : 宋나라 太平興國 2년(977) 李昉 등이 皇命으로 지은 辭書이다. 古今의 사실을 널리 모어 모두 55門으로 분류하였다. 뒤에 考證學의 연원이 되었다.
역주5 有娀氏 : 고대 部族의 이름으로, 지금의 山西省 運城縣 蒲州鎭에 거주하였다.
역주6 여동생과 함께 : 이 구절은 王照圓의 注를 따르지 않고 馬瑞辰의 校正에 의거하여 번역하였다.
역주7 세……갔다 : ≪史記≫ 권3 〈殷本紀〉에 “세 사람이 목욕하러 갔다가 제비가 알을 떨어뜨리는 것을 보고 簡狄이 주워서 삼켰는데 인하여 임신하여 契을 낳았다.[三人行浴 見玄鳥墮其卵 簡狄取而呑之 因孕生契]”라고 하였다.
역주8 淮南子 : 前漢의 淮南王 劉安이 幕下의 학자들에게 명하여 각각 그 道를 강론시켜 만든 책으로, 道家思想의 경향이 짙다.
역주9 淮南鴻烈 : ≪淮南子≫의 처음 書名이다.
역주10 : ≪列女傳校注≫와 ≪列女傳集注≫에는 모두 ‘玄’으로 되어 있다. 아래도 같다.
역주11 司徒 : 周나라 때 六卿의 하나로, 국가의 토지와 백성의 교육을 담당하였다.
역주12 書序 : ≪尙書≫ 각 편 머리에 있는 小序를 말한다. ≪漢書≫ 〈藝文志〉에는 “序의 기원이 오래되었다. 孔子가 纂修하면서 위로는 堯에서 끊었고, 아래로는 秦나라에서 마쳤는데 모두 백 편이다. 그리고 序를 지어 그 지은 뜻을 설명하였다.”라고 하였고, ≪隋書≫ 〈經籍志〉에는 “孔子가 書를 刪削하고 별도로 序를 지어 그 書가 지어진 이유를 설명하였다.”라고 하였다. 馬融, 鄭玄, 王肅, 孔穎達 등은 孔子가 지은 것이라고 하였으나, 宋나라의 吳棫, 朱熹, 蔡沈은 모두 孔子가 지은 것이 아닐 것이라고 의심하였고, 근래의 康有爲의 ≪新學僞經考≫와 崔適의 ≪史記探源≫에서는 劉歆의 僞作이라고 지적하였다. 그러나 누가 지었는지는 아직까지 定論은 없다.
역주13 설아……하라 : ≪書經≫ 〈虞書 舜典〉에 보인다. 五品은 父子, 君臣, 夫婦, 長幼, 朋友 다섯 가지의 名位와 等級이다. 五敎는 다섯 가지 가르침으로, 父子有親, 君臣有義, 夫婦有別, 長幼有序, 朋友有信의 五倫을 말한다.
역주14 有娀이……탄생시켰다 : ≪詩經≫ 〈商頌 長發〉에 보인다.
역주15 하늘이……탄생시켰다 : ≪詩經≫ 〈商頌 玄鳥〉에 보인다.

열녀전보주(1) 책은 2024.01.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