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列女傳補注(1)

열녀전보주(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열녀전보주(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10 楚子發母
楚將子發之母也注+① 子發名舍, 不知其姓, 見荀子及國策․藝文類聚引作子反, 誤矣.注+② 【集注】 梁云 “此從標目讀下, 故不複擧子發母者四字. 古書簡而有法, 今本參差不一, 蓋後人所羼改. 子發名舍, 見荀子彊國篇楊倞注, 楚令尹, 未知其姓, 淮南道應訓注, 子發楚宣王之將.” 王云 “見荀子及國策․類聚引作子反, 誤矣.” 道管案淮南子子發盤罪威王而出奔注, 盤, 辟也. 子發攻秦絶糧注+③ 【校注】 藝文類聚․太平御覽, 秦下有軍字, 後破秦同, 余知古渚宮舊事, 此句有軍字, 下句無.하여 使人請於王하고 因歸問其母
母問使者曰 士卒得無恙乎注+④ 【校注】 藝文類聚․太平御覽, 無得字, 下同. 對曰 士卒幷分菽粒而食之注+⑤ 【校注】 人和孫氏志祖曰 “幷疑半之譌, 渚宮舊事, 作升亦非. 藝文類太平御覽聚無幷字, 下同.”
又問 將軍得無恙乎 對曰 將軍朝夕芻豢黍粱이라
子發破秦而歸 其母閉門而不內하고 使人數之曰 子不聞越王句踐之伐吳 客有獻醇酒一器注+① 類聚引吳下有邪字, 器下有者字, 此脫.어늘 王使人江之上流注+② 類聚引往作注, 此誤.하고 使士卒飮其下流하니 味不注+③ 及字衍也. 類聚引美作喙, 此誤.로되 而士卒戰自五注+④ 【集注】 梁云 “渚宮舊事, 五下有倍字.” 道管案文選七命注, 黃石公記曰 “昔良將之用兵也, 人有饋一簞之醪, 投河, 令衆迎流而飮之. 夫一簞之醪, 不味一河, 而三軍思爲致死者, 以滋味及之也.”
異日 有獻一囊糗糒者注+⑤ 糗糒, 乾餱也.어늘 王又以賜軍士注+⑥ 【校注】 渚宮舊事, 重軍士二字.하여 分而食之하니 甘不踰嗌注+⑦ 嗌, 咽也.하되 而戰自十注+⑧ 【校注】 渚宮舊事․太平御覽飮食部十八, 十下有倍字. 今子爲將하여 士卒幷分菽粒而食之어늘 子獨朝夕芻豢黍粱 何也
詩不云乎 好樂無荒 良士休休라하니 言不失和也 夫使人入於死地하고 而自康樂於其上注+⑨ 文選注引作康樂於上, 無自其二字. 又引曹大家注曰 “軍事危險, 故爲死地也.”하니 雖有以得勝이나 非其術也注+⑩ 【校注】 術, 渚宮舊事作道. 子非吾子也 無入吾門하라 子發於是謝其母하니 然後內之
君子謂子發母能以敎誨라하니라 詩云 敎誨爾子하여 式穀似之라하니 此之謂也
頌曰
子發之母
刺子驕泰로다
將軍稻粱하고
士卒菽注+① 粒․泰非韻, 疑菽粒當作蔬糲.하니
責以無禮하여
不得人力이로다
君子嘉焉하여
編於母德이로다


1-10 나라 자발子發의 어머니
나라 장수 자발子發의 어머니이다.注+자발子發의 이름은 이고, 그 은 알지 못한다. ≪순자荀子≫ 및 ≪전국책戰國策≫과 ≪예문유취藝文類聚≫의 이 구절을 인용한 곳에는 ‘자반子反’으로 되어 있는 것이 보이니, 오류이다.注+② 【집주集注양단梁端이 이르기를 “이는 제명題名으로부터 읽어 내려가기 때문에 ‘자발모자子發母者’라는 4자를 다시 거론하지 않은 것이다. 고서古書간이簡易하면서 법도가 있는데 금본今本은 어긋나서 한결같지 않으니, 대개 후인이 마구 뒤섞어 고쳤기 때문이다. 자발子發은 이름은 이니, ≪순자≫ 〈강국편彊國篇〉의 에 ‘나라 영윤令尹으로 그 성은 모른다.’고 한 내용과 ≪회남자淮南子≫ 〈도응훈道應訓〉의 에 ‘자발子發 선왕宣王 때의 장수이다.’라고 한 내용이 보인다.”라고 하였다. 왕조원王照圓이 이르기를 “≪순자≫ 및 ≪전국책≫과 ≪예문유취≫의 이 구절을 인용한 곳에는 ‘자반子反’으로 되어 있는 것이 보이니, 잘못된 것이다.”라고 하였다. 내(소도관蕭道管)가 상고해보건대, ≪회남자≫에 ‘자발子發위왕威王에게 죄를 지어 출분出奔하였다.[자발반죄위왕이출분子發盤罪威王而出奔]’고 한 데 대한 에 ‘은 죄를 짓는다는 뜻이다.’라고 하였다. 자발이 나라를 공격하던 중에 군량軍糧이 떨어져서注+③ 【교주校注】 ≪예문유취≫와 ≪태평어람太平御覽≫에는 ‘’ 아래에 ‘’자가 있고 뒤의 ‘파진破秦’ 아래에도 같으며, 의 ≪저궁구사渚宮舊事≫에는 이 에는 ‘’자가 있고 아래 에는 없다. 사람을 보내 왕에게 청하게 하고, 돌아오는 길에 자신의 어머니에게 안부를 여쭙게 하였다.
자발의 어머니가 심부름꾼에게 묻기를 “사졸士卒들은 탈이 없는가?”注+④ 【교주校注】 ≪예문유취≫와 ≪태평어람≫에는 ‘’자가 없고 아래도 같다.라고 하니, 심부름꾼이 대답하기를 “사졸들은 콩을 섞은 거친 밥을 함께 나누어 먹고 있습니다.”注+⑤ 【교주校注인화仁和 가 말하기를 “‘’은 아마 ‘’의 오자인 듯하고, ≪저궁구사≫에 ‘’으로 되어 있는 것도 잘못이다. ≪예문유취≫와 ≪태평어람≫에는 ‘’자가 없고, 아래도 같다.”라고 하였다.라고 하였다.
〈자발의 어머니가〉 또 묻기를 “장군은 탈이 없는가?”라고 하니, 심부름꾼이 대답하기를 “장군은 아침저녁으로 고량진미膏粱珍味를 드시며 지내고 계십니다.”라고 하였다.
자발子發나라를 격파하고 돌아오자, 그 어머니는 문을 닫고 자발을 집안에 들이지 않았다. 그리고 사람을 시켜 자발을 꾸짖기를 “너는 월왕越王 구천句踐나라를 칠 때의 일을 듣지 못하였느냐? 어떤 이 진한 술 한 단지를 바치자,注+① ≪예문유취藝文類聚≫의 이 구절을 인용한 곳에는 ‘’ 아래에 ‘’자가 있고, ‘’ 아래에 ‘’자가 있는데, 여기에는 빠졌다. 월왕은 사람을 시켜 강의 상류에 술을 붓게 하고注+② ≪예문유취≫의 이 구절을 인용한 곳에는 ‘’이 ‘’로 되어 있으니, 이곳의 ‘’은 오자이다. 사졸士卒들에게 하류에서 마시게 하였다. 술맛이 입에 느껴지지 않았지만注+③ ‘’자는 연자衍字이다. ≪예문유취≫의 이 구절을 인용한 곳에는 ‘’가 ‘’로 되어 있으니, 이곳의 ‘’는 오자이다. 사졸들이 다섯 배의 힘을 내어 싸웠다.注+④ 【집주集注양단梁端이 이르기를 “≪저궁구사渚宮舊事≫에는 ‘’ 아래에 ‘’자가 있다.”라고 하였다. 내(소도관蕭道管)가 상고해보건대, ≪문선文選≫의 〈칠명七命〉에 대한 의 〈황석공기黃石公記〉에 말하기를 “옛날에 훌륭한 장군이 군대를 운용할 적에, 한 대그릇의 술을 선물한 자가 있었는데, 이것을 강물에 던지고 병사들로 하여금 흐르는 물을 맞이하여 마시게 하였다. 한 대그릇의 술이 강물을 맛있게 하지는 못하였으나, 삼군三軍의 병사들이 사력死力을 다할 것을 생각했던 것은 자미滋味가 자신에게 미쳤기 때문이다.”라고 하였다.
다른 날 어떤 사람이 한 자루의 건량乾糧을 바치자,注+구비糗糒건량乾糧이다. 월왕이 또 군사들에게 주어注+⑥ 【교주校注】 ≪저궁구사≫에는 ‘군사軍士’ 2자가 중복되어 있다. 나누어 먹게 하였다. 단맛이 목구멍에 넘어갈 것도 없는 양이었지만注+는 목구멍이다. 군사들은 열 배의 힘을 내어 싸웠다.注+⑧ 【교주校注】 ≪저궁구사≫와 ≪태평어람太平御覽≫ 〈음식부飮食部 18〉에는 ‘’ 아래에 ‘’자가 있다. 지금 너는 장수가 되어 사졸들은 콩을 섞은 거친 밥을 함께 나누어 먹고 있는데 너만 홀로 아침저녁으로 고량진미를 먹으며 지낸 것은 어찌된 일이냐?
시경詩經≫에 라고 하지 않았느냐. 이는 사람들과 화합을 잃지 않아야 함을 말한 것이다. 대저 사람을 사지死地에 몰아넣고 스스로 그 위에서 평안히 즐겼으니,注+⑨ ≪문선≫ 의 이 구절을 인용한 곳에는 ‘강악어상康樂於上’으로 되어 있고, ‘’, ‘’ 2자는 없다. 또 조대가曹大家를 인용하여 말하기를 “군대의 일은 위험하기 때문에 사지死地라고 한 것이다.”라고 하였다. 비록 전쟁에서 승리를 거두었으나 병사를 통솔하는 방법은 아니었다.注+⑩ 【교주校注】 ‘’은 ≪저궁구사≫에 ‘’로 되어 있다. 너는 내 자식이 아니니, 내 집안에 들어오지 말라.”라고 하였다. 자발이 이에 그 어머니께 사죄하니, 그런 뒤에 자발을 집안에 들여 놓았다.
군자가 이르기를 “자발子發의 어머니가 가르침을 잘하였다.”라고 하였다. ≪시경≫에 이르기를 라고 하였으니, 이를 두고 이른 말이다.
초자발모楚子發母초자발모楚子發母
은 다음과 같다.
자발子發의 어머니는
자식의 교만함을 꾸짖었도다
장군은 고량진미를 먹고
사졸들은 콩과 거친 밥을 먹었으니注+① ‘’과 ‘’는 운이 맞지 않으니, 아마도 ‘숙립菽粒’이 ‘소려蔬糲’가 되어야 할 듯하다.
가 없고서는
사람의 힘을 얻을 수 없음을 책망하였도다
군자君子가 이를 아름답게 여겨
있는 어머니 편에 실었도다


역주
역주1 楊倞 : 唐나라 사람으로, 저서에 ≪荀子注≫가 있다.
역주2 余知古 : 唐 文宗때 사람으로, 段成式 溫庭筠 등과 함께 倡和하였는데 그 시를 모아 ≪漢上題襟集≫을 만들었다. 관직은 將仕郞 守太子校書를 역임하였다. 저서에 古代 荊州 楚나라의 기록을 수집한 ≪渚宮舊事≫가 있다.
역주3 孫氏 志祖 : 淸나라 학자로, 자는 貽穀, 호는 約齋이다. 浙江 仁和 사람으로, 저서에 ≪家語疏證≫, ≪文選考異≫ 등이 있다.
역주4 즐거움을……바이니라 : ≪詩經≫ 〈唐風 蟋蟀〉에 “귀뚜라미가 堂에 있으니, 이 해가 드디어 저물었도다. 지금 우리가 즐거워하지 않으면, 세월이 가버리리라. 그러나 너무 편안하지 않겠는가, 직분에 맡은 것을 생각하여, 즐거움을 좋아하되 너무 지나침이 없게 함이, 良士가 돌아보고 돌아보는 바이니라.[蟋蟀在堂 歲聿其莫 今我不樂 日月其除 無已大康 職思其居 好樂無荒 良士瞿瞿]”라고 하였다.
역주5 [邪] : 저본에는 ‘邪’가 없으나, 王照圓의 注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
역주6 [者] : 저본에는 ‘者’가 없으나, 王照圓의 注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
역주7 (往)[注] : 저본에는 ‘往’으로 되어 있으나, 王照圓의 注에 의거하여 ‘注’로 바로잡았다.
역주8 (及) : 저본에는 ‘及’이 있으나, 王照圓의 注에 의거하여 衍文으로 처리하였다.
역주9 (美)[喙] : 저본에는 ‘美’로 되어 있으나, 王照圓의 注에 의거하여 ‘喙’로 바로잡았다.
역주10 [倍] : 저본에는 ‘倍’가 없으나, ≪列女傳集注≫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
역주11 [倍] : 저본에는 ‘倍’가 없으나, ≪列女傳集注≫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
역주12 네……하라 : ≪詩經≫ 〈小雅 小宛〉에 보인다.
역주13 (粒)[糲] : 저본에는 ‘粒’으로 되어 있으나, 王照圓의 注에 의거하여 ‘糲’로 바로잡았다.

열녀전보주(1) 책은 2024.01.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