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揚子法言(1)

양자법언(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양자법언(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問明* 第六
* 窮神知化, 是謂明矣, 故次之問神.
明哲煌煌하여 旁燭無疆 注+明哲煌煌 旁燭無疆:咸曰 “明哲之人, 逆見微隱, 故施照無窮.”하고 遜于不虞 注+遜于不虞:祕曰 “遜, 遜順, 虞, 度也. 遜順乎不虞之非理.”하여 以保天命 注+遜于不虞 以保天命:咸曰 “不虞, 猶不度也. 遜, 順也. .’ 故不度之辰, 遜可捨乎. 揚子之屈身莽庭, 亦有謂矣. 故曰 ‘.’” ○光曰 “李奇曰 ‘常行遜順, 以備不虞.’ 光謂雖有明智, 旁照無極, 不能思不虞之患, 而預防之, 使墜失上天福祿之命, 猶未足以爲明也.”이라 譔問明 注+譔問明:祕曰 “, 而遠憂患之虞.” ○光曰 “論聖賢之明哲.”이로라


문명問明 제육第六
신명神明의 이치를 궁구하여 천지의 조화를 아는 것을 이라고 이른다. 그러므로 이 편을 〈문신問神〉 다음에 놓은 것이다.
명철한 사람은 기미에 밝아 끝없이 두루 살피고注+송함宋咸이 말하였다. “명철明哲한 사람은 은미한 것을 미리 보기 때문에 앞일을 살펴보는 것이 무궁하다.”, 생각지 못한 일이 발생했을 때에 겸손함을 실천하여注+오비吳祕가 말하였다. “공순恭順함이고 는 헤아림이다. 뜻하지 않은 일이 도리에 어그러졌을 때에 공순恭順한 것이다.” 천명을 보전한다.注+송함宋咸이 말하였다. “불우不虞부도不度과 같다. 함이다. 《시경詩經》 〈대아大雅〉에 ‘이미 밝고 또 지혜로워서 그 몸을 보존한다.’라고 하였다. 그러므로 생각지 못한 일이 발생했을 때에 겸손함을 버릴 수 있겠는가. 양자揚子왕망王莽의 조정에서 몸을 굽힌 것도 이유가 있었을 것이다. 그러므로 ‘나라에 가 없을 때에는 행실은 높게 하되 말은 겸손하게 하여야 한다.’고 하였다.” ○사마광司馬光이 말하였다. “이기李奇가 ‘평상시의 행동을 겸손하게 하여 뜻하지 않은 일에 대비한다.’라고 하였다. 내가 생각건대 비록 명철하고 지혜롭더라도 끝없이 두루 살펴서 생각지 못한 우환을 생각하여 미리 방비하지 못하고 상천上天이 내려준 복록福祿을 실추한다면 오히려 명철한 사람이 될 수 없다.” 〈그러므로 사람들로 하여금 천명을 보전하는 도리를 알게 하기 위하여〉 〈문명問明〉을 지었다.注+오비吳祕가 말하였다. “군자君子는 기미를 보고 떠나서 하루가 다하기를 기다리지 아니하여 우환憂患에 대한 근심을 멀리한다.” ○사마광司馬光이 말하였다. “성현聖賢명철明哲함을 논한 것이다.”


역주
역주1 大雅云……以保其身 : 《詩經》 〈大雅 蒸民〉에 보인다.
역주2 邦無道 危行言遜 : 《論語》 〈憲問〉에 “나라에 도가 있을 때에는 말과 행동 모두 높게 해야 하고, 나라에 도가 없을 때에는 행동은 높게 하되 말은 낮춰서 겸손하게 해야 한다.[邦有道 危言危行 邦無道 危行言遜]”라고 하였으니, 화를 피하기 위해 겸손하게 말하는 것이다.
역주3 君子見幾而作 不俟終日 : 《周易》 〈繫辭傳 下〉에 보이는 말로, 소인이 득세하여 위태로운 시국에서는 망설이지 않고 즉시 벼슬을 버리고 떠났다는 뜻이다.

양자법언(1) 책은 2019.06.07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