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揚子法言(1)

양자법언(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양자법언(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6. 或問 何如라야 斯謂之人이닛고 曰 取四重하고 去四輕이면 則可謂之人이니라
曰 何謂四重 曰 重言, 重行, 重貌, 重好 注+重言……重好:光曰 “宋吳本, 言重行重貌重好重, 今從李本. 行, 下孟反. 下可以意求.”
言重則有法하고 行重則有德하고 貌重則有威하고 好重則有觀 注+好重則有觀:可觀望也. ○祕曰 “非禮不好, 必有可觀.” ○光曰 “觀, 古玩切.”이니라
敢問四輕한대 曰 言輕則招憂 注+言輕則招憂:咸曰 “犯人必衆, 故憂及矣.”하고 行輕則招辜 注+行輕則招辜:咸曰 “冒禁必多, 故罪至矣.”하고 貌輕則招辱 注+貌輕則招辱:咸曰 “人必易之, 所辱亦多.”하고 好輕則招淫 注+好輕則招淫:咸曰 “嗜其邪也, 不亦淫乎.”이니라


혹자가 물었다. “어떠해야 사람답다고 이를 수 있습니까?”양자揚子가 말하였다. “네 가지 중후한 것을 취하고 네 가지 경박한 것을 버리면 사람답다고 이를 수 있다.”
혹자가 물었다. “무엇을 네 가지 중후한 것이라 합니까?”양자揚子가 말하였다. “말을 중후하게 하고, 행동을 중후하게 하고, 용모를 중후하게 하고, 좋아하기를 중후하게 하는 것이다.注+사마광司馬光이 말하였다. “송함본宋咸本오비본吳祕本에는 ‘언중행중모중호중言重行重貌重好重’으로 되어 있으나, 지금 이궤본李軌本을 따랐다. 반절反切이다. 이하는 뜻으로 헤아려 음을 알 수 있다.”
말이 중후하면 법칙이 있고, 행동이 중후하면 덕이 있고, 용모가 중후하면 위엄이 있고, 좋아하는 바가 중후하면 볼 만한 것이 있다.”注+관망할 만한 것이다. ○오비吳祕가 말하였다. “예가 아닌 것을 좋아하지 않으면 반드시 볼 만할 것이 있다.” ○사마광司馬光이 말하였다. “반절反切이다.”
혹자가 물었다. “감히 네 가지 경박한 것에 대해 묻겠습니다.”양자揚子가 말하였다. “말이 경박하면 우환을 부르고注+송함宋咸이 말하였다. “〈말을 가볍게 하면〉 사람을 침범하는 일이 반드시 많다. 그러므로 근심이 미친다.”, 행동이 경박하면 죄를 부르고注+송함宋咸이 말하였다. “〈행동을 가볍게 하면〉 금법을 어기는 일이 반드시 많다. 그러므로 죄가 이른다.”, 용모가 경박하면 욕됨을 부르고注+송함宋咸이 말하였다. “〈용모를 가볍게 하면〉 사람들이 반드시 경시하므로 욕을 당하는 일이 또한 많다.”, 좋아하는 바가 경박하면 음란함을 부른다.”注+송함宋咸이 말하였다. “〈좋아하기를 가볍게 하면〉 간사한 것을 좋아하니, 또한 음란하지 않겠는가.”



양자법언(1) 책은 2019.06.07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