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揚子法言(1)

양자법언(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양자법언(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01. 注+吾寡見人之好假者也……假則偭焉:祕曰 “遐, 一本作假, 古字也. 我寡見人之好遠者. 惟邇文則視, 邇言則聽, 至於論遐遠之道則背焉, 所謂舛馳者也. 偭, 背也. 離騷曰 ‘偭規矩而改錯.’” ○光曰 “偭, 邇箭‧彌兖二切.”이니라
或曰 曷若玆之甚也 先王之道滿門 注+曷若玆之甚也 先王之道滿門:言此談過也, 學先王之道者, 亦滿門耳. ○光曰 “言學先王之道者, 所在滿於師門, 不爲少.”이니라
曰 不得已也 得已則已矣 注+不得已也 得已則已矣:祕曰 “時有策試選補, 故學者不獲已也, 如得已則各至其所至矣. 所至邇文邇言.” ○光曰 “宋吳本, 作得已則至矣, 今從李本.”리라 得已而不已者寡哉 注+得已而不已者寡哉:夫以策試而後, 學者爲官也, 得不策試而好學者, 爲己也. 爲己之學也內, 爲官之學也外. 外之與內, 由南之與北, 相去甚遠. 是以慨其少也. ○祕曰 “不爲補試, 而不已於聖人之道者, 寡哉.”인저


나는 성인聖人의 심오하고 원대한 말을 좋아하는 자를 별로 보지 못했다. 사람들은 비근한 글을 보고 비근한 말을 들으려 할 뿐, 심오하고 원대한 말에는 등을 돌린다.注+오비吳祕가 말하였다. “‘’는 일본一本에 ‘’로 되어 있으니, 고자古字이다. 나는 성인의 심원한 도를 좋아하는 자를 별로 보지 못했다. 오직 비근한 글만 보고 비근한 말만 들을 뿐, 심원한 도를 논함에 이르러서는 등을 돌리니, 이른바 천치舛馳(서로 어김)라는 것이다. 은 어기는 것이다. 《이소경離騷經》에 ‘규구規矩를 어기고 뒤바꾸어 놓는다.’라고 하였다.” ○사마광司馬光이 말하였다. “반절反切, 반절反切 두 가지 음이다.”
혹자가 말하였다. “어찌 이리도 심하게 말씀하십니까? 선왕先王를 배우는 자가 사문師門에 가득합니다.”注+이 말은 지나치니, 선왕先王의 도를 배우는 자가 또한 문에 가득하다는 말이다. ○사마광司馬光이 말하였다. “선왕先王를 배우는 자가 사문師門에 가득하여 적지 않다는 말이다.”
양자揚子가 말하였다. “그들은 〈성인聖人의 심오한 말과 선왕先王를 참으로 좋아하여 배우는 것이 아니라 벼슬하기 위하여〉 부득이 배우는 것이니, 만약 그만둘 수 있다면 그만둘 것이다.注+오비吳祕가 말하였다. “당시에 선비들을 책시策試하여 선발해서 보임補任하였기 때문에 배우는 자들이 어쩔 수 없이 배운 것이니, 만약 그만둘 수 있다면 각기 자신이 이를 수 있는 바에 이르렀을 것이다. 이르는 바는 천근한 글과 천근한 말이다.” ○사마광司馬光이 말하였다. “송함본宋咸本오비본吳祕本에는 ‘득이즉지의得已則至矣’로 되어 있으나, 지금 이궤본李軌本을 따랐다.” 그만둘 수 있어도 그만두지 않는 자가 적을 것이다.”注+책시策試에 응시한 뒤에야 배우는 자가 관리가 될 수 있으니, 책시策試에 응시하지 않고 배우기를 좋아하는 자는 자기 완성을 위해서 학문하는 것이다. 자기완성을 위해서 학문하는 것은 이고 벼슬을 위해서 학문하는 것은 이다. 의 관계는 의 관계와 같아서 거리가 매우 멀다. 이 때문에 적음을 개탄한 것이다. ○오비吳祕가 말하였다. “선보選補책시策試를 위하여 배우지 않고 성인聖人를 배우기를 그만두지 않는 자가 적을 것이다.”나는 성인聖人의 심오하고 원대한 말을 좋아하는 자를 별로 보지 못했다. 사람들은 비근한 글을 보고 비근한 말을 들으려 할 뿐, 심오하고 원대한 말에는 등을 돌린다.


역주
역주1 吾寡見人之好假者也……假則偭焉 : 四部叢刊本에는 ‘假則偭焉’ 아래에 “歎人皆好視聽諸子近言近說 至於聖人遠言遠義 則偭然而不視聽(사람들이 모두 諸子의 천근한 말을 보고 듣기 좋아하고, 聖人의 고원한 말에 이르러서는 등을 돌리고 보고 듣지 않음을 한탄한 것이다.)”라고 한 李軌의 주가 있다.

양자법언(1) 책은 2019.06.07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