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列女傳補注(1)

열녀전보주(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열녀전보주(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2 棄母姜嫄
棄母姜嫄者 邰侯之女也 當堯之時하여 行見巨人迹하고 好而履之러니 歸而有娠하여 浸以益大
心怪惡之하여 卜筮禋祀하여 以求無子注+① 毛詩作以弗無子, 此蓋魯詩說也.러니 終生子 以為不祥하여 而棄之隘巷이러니 牛羊避而不踐이라
乃送之平林之中이러니 後伐平林者咸薦之覆之注+② 薦, 席也. 覆, 蓋也. 乃取置寒冰之上이러니 飛鳥傴翼之注+③ 傴, 曲背也, 言飛鳥曲身, 以翼蔽其上下也.注+④ 【校正】 牟房案傴當作嫗, 同聲假借字也. -釋名云 “耨似鋤, 嫗, 薅禾也.” 其嫗字亦是傴字假借, 謂傴僂俯地而薅也. 說文曰 “鋤立薅所用也.” 呂氏春秋曰 “耨柄尺, 蓋耨之柄短, 不可以立薅, 故云嫗薅也.” 可證傴․嫗古通用也.- 詩生民作鳥覆翼之, 覆․傴古字通用. 本書齊威虞姬傳“柳下覆寒女”. 詩巷伯毛傳作“柳下惠嫗不逮門之女”, 其明證也. 樂記“煦嫗覆育萬物”, 嫗․覆皆以體親之之意. 姜嫄以為異하여 乃收以歸하여 因命曰棄
姜嫄之性 淸靜專一注+① 荀子曰 “好稼者衆矣, 而后稷獨傳者, 壹也.” 是后稷之性專壹, 亦母敎使之然.하며 好種稼穡이러니 及棄長하여 而敎之種樹桑麻 棄之性明而仁注+② 【校正】 瑞辰案路史注引作性敷而仁.하여 能育其敎注+③ 育, 養也, 長也. 言棄能長養服習母敎也.하여 卒致其名이라
堯使棄居稷官하고 更國邰地하여 遂封棄於邰하고 號曰后稷이라하니라 及堯崩하고 舜卽位 乃命之曰 棄 黎民阻飢하니 汝居稷注+④ 居, 俗本作后, 形之誤也, 今書舜典, 亦同. 此誤, 詩思文正義引鄭注, 作汝居稷官, 可證. 夫后者, 君也, 舜方命官, 君主之號, 不容施於其臣也. 汝居稷, 猶言汝作士, 汝作司徒耳, 何有后稷之稱乎.注+⑤ 【校正】 臧庸案居蓋后字之誤. 史記五帝本紀亦作汝后稷, 是古今文皆作后字也. 古天子․諸侯․卿大夫, 皆有君稱, 君之爲言主也. 故夔亦稱后夔矣. 鄭注云“汝居稷官”, 猶此傳下文云“其後世世居稷”, 居稷之文, 當因此致誤. 稷爲天官, 故有君稱. 后稷之文, 其來已久, 考證之說, 蓋未可從.하여 播時百穀하라하니라 其後世世居稷이러니 至周文武하여 而興爲天子
君子謂姜嫄靜而有化로다하니라 詩云 赫赫姜嫄 其德不回하사 上帝是依하시니라하고 又曰 思文后稷이여 克配彼天이삿다 立我烝民이로다하니 此之謂也
頌曰
棄母姜嫄
淸靜專一이로다
履迹而孕하니
懼棄於注+① 野字失韻, 蓋誤.注+② 【校正】 庸案野乃隘字之誤. 隘與野俗音相近, 遂誤作野. 詩生民所謂“誕寘之隘巷”是也. 一․恤․畢皆脂類, 隘從益聲, 屬支類, 古支․脂通.로다
鳥獸覆翼하니
乃復收恤이로다
卒爲帝佐하니
母道旣畢이로다


1-2 의 어머니
의 어머니 강원姜嫄의 딸이다. 임금 때에 강원이 길을 가다가 거인巨人의 발자국을 보고 호기심에 발자국을 밟으며 따라갔더니, 집으로 돌아와 임신하여 배가 점점 더욱 불러왔다.
마음에 괴이하게 여기고 싫어하여
점을 치고 하늘에 제사를 지내 자식을 낳지 않기를 바랐는데注+① ≪모시毛詩≫에는 ‘자식이 없음을 제액除厄하다.[이불무자以弗無子]’로 되어 있으니, 이는 아마 인 듯하다. 마침내 아이를 낳았다.
아이가 상서롭지 않다고 여겨 좁은 골목에 버렸더니 소와 양이 지날 때에 모두 피하고 밟지 않았다.
이에 아이를 평원의 숲 속에 버렸더니 후에 평원의 숲 속에서 나무를 베는 자들이 모두 풀로 자리를 깔아주고 덮어주었다.注+② ‘’은 깐다는 뜻이고, ‘’는 덮는다는 뜻이다. 이에 아이를 데려다가 찬 얼음 위에 버렸더니 날아가던 새가 몸을 굽혀 날개로 덮어주었다.注+③ ‘’는 등을 굽히는 것이니, 날아가던 새가 몸을 굽혀 날개로 그 위아래를 덮어줌을 말한다.注+④ 【교정校正이 상고해보건대, ‘’는 응당 ‘’가 되어야 하니, 음이 같아서 가차假借이다. -에 이르기를 “와 비슷하니, 는 곡식을 김매는 것이다.”라고 하였는데, 여기서의 ‘’자는 또한 ‘’자의 가차자假借字이니, 몸을 구부려 땅에 숙이고 김매는 것을 이른다. ≪설문해자說文解字≫에 말하기를 “는 서서 김맬 때 사용하는 기구이다.”라고 하였고, ≪여씨춘추呂氏春秋≫에 말하기를 “은 자루의 길이가 1척이니, 대개 의 자루가 짧아서 서서 김맬 수 없기 때문에 몸을 구부려 김을 맨다고 한 것이다.”라고 하였으니, 고자古字에 통용하였음을 증거할 만하다.- ≪시경詩經≫ 〈대아大雅 생민生民〉에 ‘새가 날개로 덮어주고 깔아주었다.[조복익지鳥覆翼之]’로 되어 있으니, 고자古字에 통용하였다. 본서本書의 〈제위우희전齊威虞姬傳〉에 “유하혜柳下惠는 추위에 떠는 여자에게 자신의 옷으로 덮어주었다.[유하복한녀柳下覆寒女]”라고 하였고, ≪시경詩經≫ 〈소아小雅 항백巷伯〉의 모전毛傳에 ‘유하혜柳下惠가 밤중에 문한門限에 이르지 못한 여자에게 자신의 옷으로 덮어주었다.[유하혜구부체문지녀柳下惠嫗不逮門之女]’로 되어 있으니, 분명한 증거이다. 은 모두 몸으로 가까이한다는 뜻이다. 강원이 기이하게 여겨 이에 아이를 거두어 돌아와 인하여 ‘’라고 명명하였다.
기모강원棄母姜嫄기모강원棄母姜嫄
강원姜嫄의 성품이 청정淸靜하고 전일專一하며注+① ≪순자荀子≫에 말하기를 “농사를 좋아하는 자는 많았으나 후직后稷만이 후세에 전해지는 것은 전일專一하였기 때문이다.”라고 하였다. 이는 후직의 성품이 전일專一한 것이고, 또 어머니의 가르침이 그렇게 만든 것이다. 종자를 심고 수확하는 농사일을 좋아하였는데, 가 장성하기에 이르러 그에게 뽕나무와 삼을 심는 법을 가르쳤다. 기의 성품이 총명聰明하고 인혜仁惠하여注+② 【교정校正마서신馬瑞辰이 상고해보건대, ≪노사路史에서 이 구절을 인용한 곳에는 ‘성품이 관대하고 인자하였다.[성부이인性敷而仁]’로 되어 있다. 강원의 가르침을 받들어注+③ ‘’은 기름이며 자라게 함이니, 가 어머니의 가르침을 배양하여 익혔다는 말이다. 마침내 명성을 이루었다.
가 기로 하여금 을 맡게 하고, 다시 땅에 나라를 세워 마침내 기를 에 봉하고 후직后稷이라 하였다. 요가 붕어崩御하고 이 즉위하자 곧 명하기를 “기야! 백성들이 곤궁하고 굶주리니 너가 직관稷官을 맡아注+④ ‘’는 속본俗本에 ‘’로 되어 있으니 자형字形이 비슷해서 생긴 오자誤字인데, 지금 ’가 오자임은 ≪시경詩經≫ 〈주송周頌 사문思文〉에 대한 ≪모시정의毛詩正義≫의 정현鄭玄를 인용한 대목에 “너가 직관稷官을 맡으라.[여거직관汝居稷官]”로 되어 있으니, 증거할 만하다. 라는 것은 군주이니, 이 관직을 명할 때에 군주의 명호名號를 그 신하에게 베풀 수 없다. “너가 직관稷官을 맡으라.”는 것은 고 말하는 것과 같을 뿐이니, 후직后稷이라는 호칭이 어디에 있겠는가.注+⑤ 【교정校正장용臧庸이 상고해보건대, ‘’는 아마 ‘’자의 오자인 듯하다. ≪사기史記≫ 〈오제본기五帝本紀〉에 또한 ‘여후직汝后稷’으로 되어 있으니, 이는 고문古文금문今文이 모두 ‘’자로 되어 있는 것이다. 옛날에 천자天子제후諸侯경대부卿大夫를 모두 이라 일컬은 경우가 있으니, 이라는 말은 주관한다는 뜻이다. 그러므로 또한 ‘후기后夔’라고 일컬은 것이다. 정현鄭玄에 이르기를 “너가 직관稷官을 맡으라.”라고 한 것이 이 하문下文에 이르기를 “의 후손들이 대대로 직관稷官을 맡았다.”라고 한 것과 같으니, ‘거직居稷’이라는 글은 응당 이로 인해 잘못되었을 것이다. 천관天官이기 때문에 이라 일컬은 것이다. ‘후직后稷’이라는 글은 그 유래가 이미 오래되었으니, 왕안인王安人고증考證한 설은 따를 수 없을 듯하다. 백곡百穀을 파종하라.”라고 하였다. 기의 후손들이 대대로 직관稷官을 맡았는데, 나라의 문왕文王무왕武王에 이르러 흥기하여 천자가 되었다.
군자가 이르기를 “강원姜嫄은 성품이 청정淸靜하고 교화敎化의 도리를 알았도다.”라고 하였다. ≪시경詩經≫에 이르기를 라고 하고, 또 말하기를 라고 하였으니, 이를 두고 이른 말이다.
은 다음과 같다.
의 어머니 강원姜嫄
청정淸靜하고 전일專一하였도다
발자국 밟았다가 임신하니
두려워 아이를 좁은 골목에 버렸도다注+① ‘’자는 이 맞지 않으니, 아마 오자인 듯하다.注+② 【교정校正장용臧庸이 상고해보건대, ‘’는 바로 ‘’자의 오자이다. ‘’와 ‘’는 속음俗音이 서로 비슷하여 마침내 잘못 ‘’가 된 것이다. ≪시경詩經≫ 〈대아大雅 생민生民〉에 이른바 라는 것이 바로 이것이다. ‘’과 ‘’과 ‘’은 모두 지류脂類이고, ‘’는 ‘’의 독음을 따르니 지류支類에 속하는데, 옛적에 지류支類지류脂類는 통용하였다.
새와 짐승이 감싸주고 덮어주니
이에 다시 거두어 길렀도다
마침내 임금의 보좌 되었으니
어머니의 도리 다하였도다


역주
역주1 : 周나라의 시조 后稷의 이름으로, 성은 姬이다.
역주2 姜嫄 : 帝嚳(곡)의 元妃로, 嫄은 시호이다. 帝嚳에게는 네 명의 妃가 있었는데 姜嫄은 棄를 낳고, 簡狄은 契을 낳고, 慶都는 堯를 낳고, 常虞는 摯를 낳았다고 한다. 帝嚳은 전설 중의 五帝의 하나인 高辛氏로 皇帝의 曾孫이다.
역주3 邰侯 : 有邰氏이다. 전설 중의 炎帝 神農氏의 후예로, 성은 姜이며 邰 땅에 봉해졌다. 邰는 지금의 陝西省 武功縣에 있었다.
역주4 卜筮 : 길흉을 판단하기 위하여 거북껍질을 가지고 점을 치는 것을 卜이라고 하고, 蓍草를 사용하여 점을 치는 것을 筮라고 한다.
역주5 강원이……낳았다 : ≪詩經≫ 〈大雅 生民〉에 “맨 처음 周나라 사람을 낳은 분은, 이 姜嫄이니, 사람을 낳기를 어떻게 하였는고, 정결히 제사하고 郊禖에 제사하여, 자식이 없음을 除厄하고, 上帝의 발자국을 밟아, 크게 여기고 멈춘 바에 歆動하여, 임신하고 조심하여, 낳고 키우시니, 이가 后稷이니라.[厥初生民 時維姜嫄 生民如何 克禋克祀 以弗無子 履帝武敏 歆攸介攸止 載震載夙 載生載育 時維后稷]”라고 하였다. ≪시경≫에서는 아이를 낳기를 바랐다고 하고, ≪列女傳≫에서는 아이를 낳지 않기를 바랐다고 했으니, 그 의미가 다르다.
역주6 魯詩 : 46쪽 주 12) 참조.
역주7 牟房 : 淸나라의 학자로, 原名은 廷相, 자는 陌人, 호는 默人이다. 山東省 棲霞 사람이다. 저서에 ≪周公年表≫, ≪投壺算草≫, ≪詩切≫, ≪改定崔氏易林≫, ≪同文尚書≫ 등이 있다.
역주8 釋名 : 後漢의 劉熙가 지은 책으로, ≪爾雅≫의 체제를 본떠 釋天․釋地 등의 27類로 나누어 物名의 訓詁를 싣고, 그 풀이를 한 辭典이다. 8권으로 이루어져 있다.
역주9 禮記……하였으니 : ≪禮記≫ 〈樂記〉에 “‘천지의 기가 교합하고 음양이 잘 조화되어 만물을 따뜻하게 감싸서 길러 준다. 그런 뒤에 초목이 무성해진다.[天地訢合 陰陽相得 煦嫗覆育萬物 然後艸木茂]”라고 하였다.
역주10 稷官 : 농사를 주관하는 관원이다.
역주11 書經의……있다 : ≪書經≫ 〈虞書 舜典〉에 舜임금이 말하기를 “棄야, 백성들이 곤궁하고 굶주리므로 너를 后稷으로 삼으니, 이 百穀을 播種하도록 하라.[棄 黎民阻飢 汝后稷 播時百穀]”라고 하여 ‘后稷’이라고 표기하였으므로 이른 말이다.
역주12 너를……삼는다 : ≪書經≫ 〈虞書 舜典〉에 舜임금이 말하기를 “皐陶야, 蠻夷가 中夏를 어지럽히며 약탈하고 죽이며 밖을 어지럽히고 안을 어지럽히므로 너를 士로 삼으니, 五刑에 服罪하게 하되 오형의 服罪를 세 곳에 나아가게 하며 다섯 가지 流刑에 머무는 곳이 있게 하되 다섯 가지 머무는 곳에 세 등급으로 거처하게 할 것이니, 밝게 살펴야 백성들이 믿을 것이다.[皐陶 蠻夷猾夏 寇賊姦宄 汝作士 五刑有服 五服三就 五流有宅 五宅三居 惟明克允]”라고 하였다.
역주13 너를……삼는다 : ≪書經≫ 〈虞書 舜典〉에 舜임금이 말하기를 “契아! 백성이 친목하지 않고 五品이 순하지 않으므로 너를 司徒로 삼으니, 공경히 다섯 가지 가르침을 펴되 너그러움에 있게 하라.[契 百姓不親 五品不遜 汝作司徒 敬敷五敎 在寬]”라고 하였다.
역주14 赫赫한……돌보신다 : ≪詩經≫ 〈魯頌 閟宮〉에 보인다.
역주15 文德을……먹였도다 : ≪詩經≫ 〈周頌 思文〉에 보인다.
역주16 좁은……버려두었다 : ≪詩經≫ 〈大雅 生民〉에 “좁은 골목에 버려두자, 소와 양이 비호하고 사랑해주며, 숲속에 버려두자, 마침 나무를 베러온 자가 거두어주며, 찬 얼음 위에 버려두자, 새가 날개로 덮어주고 깔아주도다. 새가 떠나가거늘, 后稷이 응애응애 우니, 울음소리가 실로 길고 커서, 그 소리가 길에 가득하였도다.[誕寘之隘巷 牛羊腓字之 誕寘之平林 會伐平林 誕寘之寒氷 鳥覆翼之 鳥乃去矣 后稷呱矣 實覃實訏 厥聲載路]”라고 하였다.
역주17 (野)[隘] : 저본에는 ‘野’로 되어 있으나, 臧庸의 校正에 의거하여 ‘隘’로 바로잡았다.

열녀전보주(1) 책은 2024.01.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