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列女傳補注(2)

열녀전보주(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열녀전보주(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8-12 漢馮昭儀
漢馮昭儀者 孝元帝之昭儀 右将軍光祿勲馮奉世之女也 元帝二年 昭儀以選入後宫하여 始爲長使라가 數月爲美人注+① 美人․長史․婕妤, 皆婦官名. 元帝加昭儀.하여 生男하니 是爲中山孝王이라 美人爲婕妤
建昭中 上幸虎圈鬪獸할새 後宫皆従이러니 熊逸出圈하여 攀檻欲上殿하니
左右貴人傅昭儀皆驚走어늘 而馮婕妤直當熊而立注+① 昭儀下脫等字, 當熊上脫前字.한대 左右格殺熊이라
天子問婕妤호되 人情皆驚懼어늘 何故當熊 對曰 妾聞猛獸得人而止라하니 妾恐至御坐注+① 【校注】 漢書至上有熊字. 故以身當之 元帝嗟嘆하고 以此敬重焉이라 傅昭儀等皆慙이라
明年 王封注+② 中山, 當作信都. 此時封信都王, 至河平中, 乃徙封中山, 見外戚傳. 乃立婕妤爲昭儀하여 随王之國이라 號中山太后注+③ 【校注】 漢書馮倢伃男立爲信都王, 尊倢伃爲昭儀. 元帝崩, 河平中, 隨王之國. 此傳有脫誤.
君子謂昭儀勇而慕義로다 詩云 公之媚子 從公于狩로다하고 論語曰 見義不爲 無勇也라하니 昭儀兼之矣로다


8-12 나라
나라 풍소의馮昭儀소의昭儀 의 딸이다. 원제元帝 2년에 풍소의가 후궁後宫으로 뽑혀 들어가 처음에 장사長使가 되었다가 몇 달 만에 미인美人이 되어注+미인美人장사長史첩여婕妤는 모두 부관婦官의 명칭이다. 원제元帝소의昭儀에게 더해준 것이다. 아들을 낳으니, 이가 바로 이 되었는지라 미인美人에서 첩여婕妤가 되었다.
연간(B.C. 38~B.C. 34)에 원제元帝가 호랑이 우리에서 짐승들이 싸우는 것을 구경하러 행차할 적에 후궁後宫들이 모두 따라 갔다. 그런데 곰이 우리를 뛰쳐나와 난간을 타고 전각 위로 오르려고 하였다.
좌우의 귀인貴人들과 등은 모두 놀라 달아났지만 풍첩여馮婕妤는 곧장 나아가 곰을 가로막아 섰다.注+① ‘소의昭儀’ 아래에 ‘’자가 빠졌고, ‘당웅當熊’ 위에 ‘’자가 빠졌다. 이에 좌우의 호위하던 병사들이 곰을 때려서 죽였다.
천자天子첩여婕妤에게 묻기를 “사람들은 모두 놀라 두려워하였는데 무슨 연고로 곰을 가로막아 섰는가?”라고 하니, 첩여가 대답하기를 “이 들으니 맹수猛獸는 한 사람을 잡으면 멈추어 선다고 하였습니다. 첩은 곰이 어좌御坐에 이를까 두려웠습니다.注+① 【교주校注】 ≪한서漢書≫ 〈외척전外戚傳〉에는 ‘’ 위에 ‘’자가 있다. 그러므로 첩의 몸으로 가로막아 선 것입니다.”라고 하였다. 원제元帝가 감탄하고 이 일 때문에 첩여를 공경하고 중히 여겼다. 부소의傅昭儀 등은 모두 부끄러워하였다.
이듬해 아들이 신도왕信都王에 봉해지자注+② ‘중산中山’은 응당 ‘신도信都’가 되어야 한다. 이 당시에 신도왕信都王에 봉해졌다가 연간(B.C. 28~B.C. 25)에 이르러서야 중산왕中山王에 옮겨 봉해졌다. ≪한서≫ 〈외척전〉에 보인다. 원제가 첩여를 세워 소의昭儀로 삼아 신도왕을 따라 봉국封國으로 가도록 하였다. 후에 중산태후中山太后라고 호칭하였다.注+③ 【교주校注】 ≪한서≫ 〈외척전〉에 “풍첩여馮倢伃의 아들이 신도왕信都王에 책립되자 첩여倢伃를 높여 소의昭儀로 삼았다. 원제元帝붕어崩御하자, 신도태후信都太后가 되었다. 하평河平 연간에 왕을 따라 봉국封國으로 갔다. 후에 중산中山으로 옮겼다.”라고 하였다. 이 에는 탈자脫字오자誤字가 있다.
한풍소의漢馮昭儀한풍소의漢馮昭儀
군자君子가 이르기를 “풍소의馮昭儀는 용감하면서도 를 숭상하였도다.”라고 하였다. ≪시경詩經≫에 이르기를 라고 하였고, ≪논어論語≫에 말하기를 라고 하였으니, 풍소의馮昭儀는 이 두 가지를 겸하였도다.


역주
역주1 馮昭儀 : 이름은 媛이다. 昭儀는 前漢 妃嬪의 칭호로, 妃嬪 중 가장 높은 등급이다. 地位는 丞相과 같고 爵位는 諸侯王과 같다.
역주2 孝元帝 : 前漢의 11대 皇帝로, 이름은 奭이다.
역주3 右將軍 : 官名으로, 漢代에 前․後․左․右의 장군이 있었는데, 모두 황제 左右의 大臣이다.
역주4 光祿勲 : 官名으로, 宿衛와 侍從을 관장하였다.
역주5 馮奉世 : 자는 子明이다. ≪春秋≫를 공부하여 大義를 알았고, 兵法에 능하였다. 일찍이 군사를 이끌고 羌族을 토벌하여 戰功을 세웠다.
역주6 中山孝王 : 元帝의 셋째 아들로, 이름은 興이다.
역주7 建昭 : 漢 元帝의 연호이다.
역주8 傅昭儀 : 元帝의 昭儀로, 定陶恭王의 어머니이며 哀帝의 祖母이다. 恭王을 따라 歸國하여 定陶太后로 불렸으며, 후에 恭皇太后로 追尊되었다.
역주9 [等] : 저본에는 ‘等’이 없으나, 王照圓의 注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
역주10 [前] : 저본에는 ‘前’이 없으나, 王照圓의 注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
역주11 河平 : 漢 成帝의 연호이다.
역주12 [熊] : 저본에는 ‘熊’이 없으나, ≪列女傳校注≫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
역주13 (中山)[信都] : 저본에는 ‘中山’으로 되어 있으나, 王照圓의 注와 ≪列女傳校注≫에 의거하여 ‘信都’로 바로잡았다.
역주14 爲信都太后 : ≪漢書≫ 〈外戚傳〉에는 이 뒤에 ‘與王俱居儲元宮’이 더 있다.
역주15 後徙中山 : ≪漢書≫ 〈外戚傳〉에는 이 뒤에 ‘是爲孝王’이 더 있다.
역주16 公의……사냥하도다 : ≪詩經≫ 〈秦風 駟驖〉에 보인다.
역주17 義를……것이다 : ≪論語≫ 〈爲政〉에 보인다.

열녀전보주(2) 책은 2024.01.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