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列女傳補注(2)

열녀전보주(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열녀전보주(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8-9 漢楊夫人
楊夫人者 漢丞相安平侯楊敞之妻也 漢昭帝崩하고 昌邑王賀即帝位어늘 淫亂하니 大將軍霍光與車騎將軍張安世謀하여 欲廢賀更立帝
議已定 使大司農田延年報敞한대 敞驚懼하여 不知所言하여 汗出浃背하여 徒曰唯唯而已
延年出更衣어늘 夫人遽従東廂謂敞曰
此國之大事 今大将軍議已定하고 使九卿来報君侯어늘 君侯不疾應하여 與大將軍同心하고 猶與無决이면 先事誅矣리라
延年従更衣還이어늘 敞夫人與延年参語許諾注+① 參, 猶錯也. 敞與延年共語, 夫人從旁參錯之, 代敞許諾也.하고 請奉大將軍教令이라 遂共廢昌邑王하고 立宣帝 居月餘 敞薨하니 益封三千五百户
君子謂敞夫人可謂知事之機者矣로다 詩云 展彼碩女注+① 展, 信也. 碩, 大也. 言信彼大賢之女, 以善德來敎也. 此蓋魯詩, 毛詩展作辰. 令徳来教라하니 此之謂也


8-9 나라 부인夫人
양부인楊夫人나라 승상丞相 양창楊敞의 아내이다. 붕어崩御하고 가 황제로 즉위하였는데 생활이 음란淫亂하였다. 와 모의하여 를 폐하고 다른 황제皇帝를 세우고자 하였다.
의논이 이미 정해지자 에게 이를 승상丞相 양창에게 보고하게 하였는데, 양창이 놀라고 두려워 무슨 말을 해야 할지 몰라 등에 땀을 줄줄 흘리면서 그저 ‘예, 예.’라고 할 뿐이었다.
전연년田延年이 잠시 측간에 간 사이에 양창楊敞의 부인이 급히 동쪽 방에서 나와 양창에게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한양부인漢楊夫人한양부인漢楊夫人
“이는 나라의 대사大事입니다. 지금 대장군大将軍이 의논을 이미 정하고 구경九卿으로 하여금 군후君侯에게 와서 보고하게 하였습니다. 그런데 군후께서 속히 응답하여 대장군과 마음을 함께하지 않고 머뭇거리며 결정하지 않는다면 일이 벌어지기도 전에 군후를 먼저 죽일 것입니다.”
전연년이 측간에서 돌아오자 양창과 부인이 전연년과 더불어 함께 상의하여 허락하고注+① ‘’은 섞임과 같으니, 양창楊敞전연년田延年과 함께 얘기를 나눌 적에 부인夫人이 곁에서 참여하여 양창楊敞을 대신해서 허락한 것이다. 대장군의 명령을 받들기를 청하였다. 드디어 함께 창읍왕昌邑王을 폐하고 를 옹립하였다. 한 달 남짓 지나 양창이 죽었는데 식읍食邑 3,500호를 더 받았다.
군자君子가 이르기를 “양창楊敞부인夫人은 일의 기미를 아는 여인이라 이를 만하도다.”라고 하였다. ≪시경詩經≫에 이르기를
“진실로 저 현명한 여인이注+① ‘’은 진실함이고, ‘’은 큼이니, 진실로 저 크게 현명賢明한 여인이 으로 와서 가르쳐 줌을 말한 것이다. 이는 ≪노시魯詩≫이니, ≪모시毛詩≫에는 ‘’이 ‘’으로 되어 있다. 한 덕으로 와서 가르쳐주네.”
라고 하였으니, 이를 두고 이른 말이다.


역주
역주1 楊敞 : 前漢 華陰 사람이다. 관직이 丞相에 이르렀고, 安平侯에 封해졌고 諡號는 敬侯이다.
역주2 安平 : 縣名으로, 지금의 河北省 安平에 있었다.
역주3 漢 昭帝 : 漢 武帝의 아들로, 이름은 劉弗陵이다.
역주4 昌邑王 賀 : 武帝의 손자이며 哀王의 아들이다. 昌邑은 지금의 山東省 巨野 동남쪽 지역이다.
역주5 大將軍 : 官名으로, 병사를 통솔하여 出征해서 싸우는 일을 관장하는 직임이다. 漢代에는 大司馬의 명칭을 大將軍 위에 더하여 정사에 참여하는 皇帝 左右의 大臣이 되었다.
역주6 霍光 : 河東 平陽 사람으로, 자는 子孟이고, 시호는 宣成이다. 驃騎大將軍 霍去病의 배다른 아우이다. 昭帝 때 桑弘羊과 더불어 정사를 보좌하여 大司馬大將軍의 지위에 올랐으며 博陸侯에 봉해졌다.
역주7 車騎將軍 : 官名으로, 職位가 大將軍과 驃騎將軍의 다음이다.
역주8 張安世 : 자는 子孺이다. 張湯의 아들로 富平侯에 봉해졌다.
역주9 大司農 : 官名으로, 九卿의 하나이다. 租稅, 錢穀, 鹽鐵과 國家의 財政 收支를 담당하였다.
역주10 田延年 : 자는 子賓이다. 벼슬이 大司農에 이르렀고 陽成侯에 봉해졌다.
역주11 宣帝 : 前漢의 7대 황제 劉詢으로, 武帝의 太子 劉據의 손자이다.
역주12 진실로……주네 : ≪詩經≫ 〈小雅 車舝〉에 보인다.

열녀전보주(2) 책은 2024.01.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