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列女傳補注(1)

열녀전보주(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열녀전보주(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4-13 魯寡陶嬰
陶嬰者 魯陶門之女也 少寡하여 養幼孤호대 無强昆弟注+① 強, 壯也. 北堂書鈔引無強字.하여 紡績爲産이러라 魯人或聞其義하여 將求焉하니 嬰聞之하고 恐不得免하여 歌明己之不二也하다
其歌曰
黃鵠之早寡兮
七年不雙이로다
獨宿兮注+① 鵷當與宛同. 宛轉也.
不與衆同이로다
夜半悲鳴兮
想其故雄이로다
天命早寡兮
獨宿何傷이리오
寡婦念此兮
泣下數行이로다
嗚呼注+② 哉上脫哀字. 書鈔引未脫.
死者不可忘이로다
飛鳥尙然兮
況於貞良
雖有賢雄兮注+③ 書鈔引雄作匹.
호리라
魯人聞之曰 斯女不可得已라하고 遂不敢復求하다 嬰寡終身不改하다
君子謂 陶嬰貞壹而思注+① 思, 睿也. 諡法曰 “道德純一曰思.”라하니라 詩云 心之憂 我歌且謠호라하니 此之謂也
頌曰
陶嬰少寡하여
紡績養子로다
或欲取焉이어늘
乃自修理로다
作歌自明하니
求者乃止로다
君子稱揚하여
以爲女紀로다


4-13 나라 과부寡婦 도영陶嬰
도영陶嬰나라 도씨陶氏 집안의 여자이다. 젊어서 과부가 되어 어린 고아를 길렀는데, 장성한 형제가 없어注+① ‘’은 건장함이다. 길쌈으로 생계를 잇고 있었다. 노나라 사람 가운데 어떤 이가 그녀의 의로움을 듣고 장차 그녀에게 구혼求婚하려 하니, 도영陶嬰이 이를 듣고는 피하지 못할까 저어하여 노래를 지어 개가改嫁하지 않겠다는 자신의 뜻을 밝혔다.
그 노래는 다음과 같다.
슬프게도 황곡黃鵠이 일찍 홀몸이 되어
칠년이나 짝을 이루지 않았네
목을 움츠리고 홀로 자며注+① ‘’은 응당 ‘’과 같으니, 돌린다는 뜻이다.
무리들과 함께 지내지 않았네
한밤중에 서글피 울며
죽은 수컷을 그리워하는구나
천명天命이 일찍 홀몸이 되게 하였으니
홀로 잔들 무엇이 서러우랴
과부가 이를 생각하니
몇 줄기 눈물이 흐르누나
아아, 애통하다注+② ‘’ 위에 ‘’자가 빠졌다. ≪북당서초北堂書鈔≫의 이 구절을 인용한 곳에는 빠지지 않았다.
죽은 이를 잊지 못하리로다
나는 새도 오히려 그러한데
하물며 곧고 어진 사람임에랴
아무리 훌륭한 짝이 있어도注+③ ≪북당서초≫의 이 구절을 인용한 곳에는 ‘’이 ‘’로 되어 있다.
종신토록 개가하지 않으리로다
나라 사람이 이를 듣고 말하기를 “이 여인은 얻을 수 없겠다.” 하고는, 마침내 감히 다시 구혼하지 못하였다. 도영은 과부로 지내면서 종신토록 개가하지 않았다.
노과도영魯寡陶嬰노과도영魯寡陶嬰
군자가 말하기를 “도영陶嬰은 곧고 한결같으며 도덕道德순일純一하였다.”注+① ‘’는 슬기롭다는 뜻이다. 시법諡法에 “도덕道德순일純一한 것을 ‘’라 한다.”라고 하였다.라고 하였다. ≪시경詩經≫에 이르기를 라고 하였으니, 이를 두고 한 말이다.
은 다음과 같다.
도영은 젊어서 과부가 되어
길쌈을 하여 자식을 길렀다네
어떤 이가 그녀와 혼인하려 하였는데
자신의 몸을 닦고 다스렸다오
노래를 지어 자신의 뜻을 밝히니
구혼하던 사람이 그만두었다네
군자가 칭찬하고 선양하여
여자의 본보기로 삼았다네


역주
역주1 北堂書鈔의……없다 : 唐나라 虞世南의 ≪北堂書鈔≫ 권106 〈樂部 歌篇 2〉의 ‘歌黄鵠’에 대한 明나라 陳禹謨의 補註에 보인다.
역주2 : ≪太平御覽≫에는 이 앞에 ‘乃’가 더 있다.
역주3 : ≪太平御覽≫에는 없다.
역주4 [悲] : 저본에는 ‘悲’가 없으나, ≪列女傳校注≫, ≪列女傳集注≫, ≪北堂書鈔≫, ≪太平御覽≫ 등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
역주5 (鵷)[宛] : 저본에는 ‘鵷’으로 되어 있으나, ≪列女傳校注≫, ≪列女傳集注≫, ≪太平御覽≫ 등에 의거하여 ‘宛’으로 바로잡았다.
역주6 : ≪列女傳校注≫에는 ‘鵛’으로 되어 있다.
역주7 [哀] : 저본에는 ‘哀’가 없으나, 王照圓의 注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 ≪列女傳校注≫에는 ‘悲’로 되어 있다.
역주8 : ≪列女傳校注≫에는 없다.
역주9 [悲]黃鵠之早寡兮……終不重行 : ≪太平御覽≫에는 ‘悲黄鵠之蚤寡兮 十年不雙 宛頸戢翼兮 不爲衆同 時則飛鳴兮 獨行惸惸 天命令然兮 愧獨永傷 感鳥愠己兮 淚下成行 嗚呼悲兮 死者不可忘 飛鳥尚然兮 何况貞良 雖有賢雄兮 終不重行’으로 되어 있다.
역주10 마음에……흥얼거리노라 : ≪詩經≫ 〈魏風 園有桃〉에 보인다.
역주11 : ≪列女傳校注≫에는 ‘兮’로 되어 있다.

열녀전보주(1) 책은 2024.01.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