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註解千字文

주해천자문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주해천자문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4‧16‧116 恬倫紙하고 (恬筆●倫紙◯하고 鈞巧◯任◑釣◉)
古者 削竹爲冊하여 畫漆而書러니 秦蒙恬 始造兎毫筆하며 後漢宦者蔡倫 始用楮皮敗絮하여 爲紙하니라
魏馬鈞 有巧思하여하니 車有木人하여 指必向南하고 戰國任公子 爲百鈞之鉤하여 垂竿東海하여 釣巨魚하니라


蒙恬은 붓과 먹을 만들고 蔡倫은 종이를 만들었으며, 馬鈞은 技巧가 있었고 任公子는 낚시를 만들었다.
옛날에는 대나무를 깎아 책을 만들어 옻을 칠해서 글씨를 썼는데, 秦나라 蒙恬이 처음으로 토끼털 붓과 松煙墨을 만들었으며, 後漢의 환관인 蔡倫이 처음으로 닥나무 껍질과 썩은 솜을 이용하여 종이를 만들었다.
위나라 馬鈞은 뛰어난 생각이 있어 指南車를 만들었는데, 수레 안에 나무로 만든 사람이 있어 손가락이 반드시 남쪽을 지향하였으며, 전국시대 任나라 공자는 百鈞(1鈞은 30斤)의 갈고리를 만들어 동해에 낚싯대를 드리워 큰 고기를 낚았다.


역주
역주1 : 속자는 笔(붓 필)이다.(《註解》)
역주2 : 30근이다. 또 均(고를 균)과 같다. 朝鮮 宣祖의 初名이니, 당연히 읽기를 斤(근)과 같이 해야 한다.(《註解》)
鈞을 ‘근’으로 읽는 이외에 글자를 바꾸어서 勻으로 쓰기도 하였다.(해제 참조)
역주3 恬筆倫紙 鈞巧任釣 : 筆은 《釋名》에 말하기를 “기술함이니, 일을 기술하여 쓰는 것이다.” 하였다. 紙는 《釋名》에 말하기를 “숫돌 같음이니, 평평하고 매끄럽기가 숫돌과 같은 것이다.” 하였다.
馬鈞은 성격이 정교하여 지남거를 만들고 또 나무 사람을 만들었는데 능히 뛰어 춤을 추어 사람과 다름이 없었다. 任은 성이다. 미끼로 물고기를 잡는 것을 釣라 한다.(《釋義》)
蒙恬은 秦나라, 蔡倫은 東漢, 馬鈞은 魏나라, 任公子는 戰國의 인물이다. 이들을 시대 순서로 서술한다면 ‘任釣恬筆倫紙鈞巧’라고 해야 할 것인데, 釣의 압운 사용으로 도치된 모습을 보인다.
역주4 松煙墨 : 소나무를 태운 그을음과 아교를 섞어 만든 먹이다.(《中》)
역주5 指南車 : 고대에 사용한 방향을 지시하는 수레이다. 黃帝가 지남거를 만들어 〈안개로 뒤덮인〉 사방을 보이게 하여 마침내 蚩尤를 사로잡았다. 또 周나라 초기에 越裳氏가 와서 공물을 바치고 사자가 돌아가는 길에 헷갈리자 周公이 軿車(병거:휘장 친 수레)를 주었는데 모두 남쪽 지시를 담당하도록 제작되었다. 뒤에 東漢 張衡, 三國 魏나라 馬鈞, 南朝 齊나라 祖沖之도 모두 지남거를 만든 일이 있었다.(《漢》)
신습
한자
恬:편안 념 恬虛 恬靜 安恬 恬淡 恬不爲愧 以恬養志
筆:붓 필 筆記 筆舌 筆者 達筆 名筆 毛筆 一筆揮之
倫:인륜 륜 倫理 倫序 五倫 天倫 人倫大事 潔身亂倫
紙:종이 지 紙甲 紙物 紙幣 色紙 便紙 表紙 紙筆硯墨
鈞:서른근 균/도자기 물레 균/고를 균 鈞陶 鈞衡 國鈞 大鈞 秉鈞 千鈞 鈞旋轂轉 關石和鈞
巧:공교할 교 巧妙 巧拙 工巧 精巧 巧言令色 巧詐不若拙誠
任:맡길 임 任免 任命 任務 任員 委任 責任 任重道遠
釣:낚시 조 釣臺 釣名 釣魚 獨釣 閑釣 釣龍臺 以利釣人
동영상 재생
1 4·16·116 염필륜지 … 411

주해천자문 책은 2023.12.14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