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註解千字文

주해천자문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주해천자문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2‧1‧20 이리오 (恭惟鞠●養◯하면 豈◯敢◯毁◯傷◎이리오)
人之有此身 莫非父母鞠養之恩이니 爲子者當敬以思之也
孝經曰 身體髮膚 受之父母 不敢毁傷 孝之始也라하니
苟思父母鞠養之恩하면 則其必不敢毁傷矣리라


키워주고 길러주심을 공손히 생각하면, 어찌 감히 훼손할까.
사람의 이 몸은 부모께서 길러주신 은혜가 아닌 것이 없으니, 자식이 된 자는 마땅히 恭敬히 이것을 생각해야 할 것이다.
《孝經》에 이르기를 “신체와 毛髮과 皮膚는 부모에게 받은 것이니, 감히 훼손[毁傷]하지 않음이 효도의 시작이다.” 하였다.
만일 부모께서 길러주신 은혜를 생각한다면 반드시 몸을 감히 훼상하지 못할 것이다.
[節旨] 이 이하는 학자가 몸을 수련하는 일을 말하였다.(《釋義》)
[節解] 이는 장차 몸을 수련하는 일을 말하기 위해, 우선 몸이 지극히 중요함을 말하여 수련하지 않으면 안 됨을 보인 것이다. 외면으로 형체는 四大가 있고 내면으로 심성은 五常이 있는데, 몸을 수련하는 사람은 오상의 덕을 수련한 뒤에야 사대의 體를 훼손하지 않을 수 있다. 감히 훼손하지 못하는 것은 四大에 있고, 훼손하지 못하는 까닭은 五常을 수련하는 데에 있다.(《釋義》)


역주
역주1 恭惟鞠養 豈敢毁傷 : 恭은 공경한다는 뜻이다. 惟는 전념하는 말이다. 鞠은 기른다는 뜻이다. 豈敢은 감히 못한다와 같다. 毁는 파괴한다는 뜻이다. 傷은 손상한다는 뜻이다. 《孝經》에 이르기를 “…… 감히 훼손하지 않는다.” 하였는데, 이 몸‧털은 부모가 길러주는 것이어서 감히 손상하거나 훼손해서는 안 됨을 말한 것이다.(《釋義》)
신습
한자
恭:공손 공 恭敬 恭遜 恭賀 篤恭 不恭 溫恭 過恭非禮
惟:생각할 유/오직 유 惟獨 伏惟 思惟 永惟 惟日不足 惟精惟一
鞠:공 국/굽힐 국/국문할 국/기를 국 鞠問 鞠養 鞠育 鞠戱 撫鞠 蹴鞠 鞠躬盡瘁
養:기를 양 養女 養育 敎養 滋養 孝養 養虎遺患 養生喪死
豈:어찌 기 豈但 豈非 豈若 豈相厄 豈敢反 豈有此理
敢:감히 감/구태여 감 敢爲 敢行 果敢 勇敢 吾豈敢 焉敢生心
毁:헐 훼 毁謗 毁損 毁撤 讒毁 毁瘠骨立 不敢毁傷
傷:상할 상 傷心 傷處 傷痕 感傷 死傷 中傷 傷痍軍人
동영상 재생
1 2·1·20 공유국양하 … 131

주해천자문 책은 2023.12.14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