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註解千字文

주해천자문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주해천자문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4‧1‧84 이라 (稅◑熟●貢◑新하고 勸◑賞◯黜●陟◉이라)
稅以田畝호되 必用熟以備國用하고 貢以土産호되 必用新以薦宗廟니라
田事旣成이어든 農官 賞其勤者以勸之하고 黜其惰者以戒之하니
陟亦賞也


익은 곡식을 租稅 받으며 새로운 농산물을 貢物 바치고, 〈勸農官이〉 권하며 상 주거나 내치며 올려준다.
농토[田畝]에서 조세를 받되 반드시 익은 것을 사용하여 국가의 쓰임에 대비하고, 토산물을 바치되 반드시 새 것을 사용하여 종묘에 올린다.
농사[田事]가 이루어지고 나면 勸農官이 부지런한 자에게 상을 주어 勸勉하고 게으른 자를 내쳐 경계한다.
陟도 상을 주는 뜻이다.
[節旨] 이 이하는 君子가 집을 다스리며 처신하는 도를 말하였다. 이 節은 집을 다스리는 이는 富를 근본으로 하는 것을 중요하게 여김을 말하였다.(《釋義》)
[節解] 이는 삶을 다스리는 이는 반드시 밭에서 노력하는 것을 근본으로 삼아서 심으며 거두는 데에 오로지 힘써야 한다고 말한 것이다. 그 처음에는 앞밭에서 일하여 黍稷을 심는 것이 있고 그 성숙함에 이르러서는 이것을 날라 조세를 낸다. 농사를 권장하여 상을 주어 위로하고 이어서 1년의 성과를 헤아려서 그 게으른 자를 물리치며 그 부지런한 자를 나아가게 하여 그들에게 각각 농사에 힘쓰도록 한다. 俶載 두 구절은 심는 것을 위주로 말하였고, 稅熟 두 구절은 거두는 것을 위주로 말하였다.(《釋義》)


역주
역주1 稅熟貢新 勸賞黜陟 : 위로부터 아래에서 취하는 것을 稅라 한다. 아래에서 위에 바치는 것을 貢이라 한다. 熟은 곡식이 익은 것이니, 《孟子》 〈滕文公 上〉에 말하기를 “五穀이 익어 사람들이 양육된다.” 하였다.
처음 이룩된 것을 新이라 하니, 《論語》 〈陽貨〉에 말하기를 “새 곡식이 이미 익었다.” 하였다. 勸은 힘쓴다는 뜻이니, 농사에 힘쓰는 것이다. 賞은 칭찬하여 내려주는 것이다. 黜은 물리친다는 뜻이다. 陟은 진취시킨다는 뜻이다.(《釋義》)
신습
한자
稅:징수할 세 稅金 稅法 課稅 租稅 脫稅 稅務署 附加稅
熟:익을 숙 熟考 熟達 熟練 熟成 未熟 半熟 習熟 完熟
貢:바칠 공 貢納 貢物 貢米 貢士 貢獻 賓貢 朝貢 歲貢
新:새 신 新舊 新聞 新婦 新春 一新 最新 新陳代謝
勸:권할 권 勸告 勸勉 勸獎 强勸 勸善懲惡 德業相勸
賞:상줄 상 賞罰 賞狀 鑑賞 受賞 褒賞 皆勤賞 不賞之功
黜:물리칠 출 黜敎 黜斥 黜退 放黜 削黜 陞黜 罷黜 廢黜
陟:오를 척 陟岡 陟降 陟方 陟罰 登陟 昇陟 進陟 黜陟
동영상 재생
1 4·1·84 세숙공신하 … 207

주해천자문 책은 2023.12.14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