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註解千字文

주해천자문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주해천자문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4‧3‧91 이리오 (兩◯疏見◑機하니 解◯組◯誰逼◉이리오)
兩疏 漢太傅疏廣 及其兄子少傅疏受
上疏하니 蓋見幾而作也
解脫印紱하고 長往하니 誰能逼迫而尼其行哉리오


두 疏氏는 機微를 알아보니, 인끈을 풀고 은퇴함을 누가 핍박하겠는가.
두 疏氏는 한나라 때의 太傅 疏廣과 그의 조카인 少傅 疏受이다.
상소하여 사직하기를 원하였으니, 幾微를 보고 떠나간 것이다.
印綬를 풀어놓고 물 흘러가듯이 떠나갔으니, 누가 핍박하여 그의 떠나감을 막을 수 있겠는가.
[節旨] 이 節은 명철하게 낌새[幾]를 보는 것 또한 處身의 道임을 말한 것이다.(《釋義》)
[節解] 이 節은 “사람이 당연히 꾸짖음과 경계할 일로 스스로 그 몸을 반성하여 꾸지람을 받을 만하며 경계할 만한 것은, 尊榮이 지나쳐서 위로 지극함에 오르게 되는 것보다 심한 것이 없다. 지위가 높은 이는 몸이 위태로워서 반드시 강등과 축출에 이르러 치욕스런 일에 장차 미치게 될 것이다. 이러한 때에 이르러 야외 물가로 물러나면 곧 재앙에서 다행히 면할 수 있게 되리니, 예를 들면 漢나라의 두 疏氏가 낌새를 보고 일어나 인끈을 벗어놓고 벼슬을 사절하여 떠나갔으니, 어찌 다른 사람이 압박하여 그렇게 하게 한 것이겠는가. 진실로 그 스스로 편안한 은퇴를 달가워하는 것에 말미암을 뿐이니, 군자는 마땅히 만족할 줄 아는 분수를 살펴서 치욕을 멀리해야 한다.”고 말한 것이다. 이는 또한 《論語》 〈泰伯〉의 “도가 없으면 은둔한다.”는 뜻이다.(《釋義》)


역주
역주1 兩疏見機 解組誰逼 : 疏는 姓이다. 漢나라 太子太傅 疏廣, 太子少傅 疏受가 나이가 많아 벼슬을 사직하고 귀향하자 사람들이 모두 고상하게 여겼다.
눈으로 보는 것을 見이라 한다. 機는 幾(기미 기)와 옛날에 통용하였는데, 작음이다. 《周易》 〈繫辭 下〉 5장에 이르기를 “幾는 움직임이 작은 것이다. 君子는 기미를 보고 작동하여 종일토록 기다리지 않는다.” 하였다. 解는 벗는다는 뜻이다. 組는 끈 종류인데 도장 끈이다. 誰는 누구이다. 逼은 압박한다는 뜻이다.(《釋義》)
역주2 : 偪(핍박할 핍)과 같다.(《註解》)
逼을 《註解》는 ‘핍박하여 떠나감을 막다’ 즉 ‘핍박하여 못 떠나게 하다’로 설명하였으나, 《釋義》는 “예컨대 漢나라의 두 疏氏가 기미를 보고 동작하여 인끈을 풀어놓고 벼슬을 사직하고 떠나간 것은 어찌 다른 사람이 핍박하여 그렇게 하게 한 것이겠는가![何人迫之而使然哉]”라고 하여 ‘핍박하여 떠나게 하다.’로 설명하였다.
역주3 乞骸骨 : 고대에 관리가 퇴직을 스스로 요청하는 것이니, 骸骨(몸)을 고향으로 돌아가 장사지낼 수 있게 해달라는 뜻으로 말하는 것이다.(《漢》)
역주4 浩然 : 물이 흐르듯이 그칠 수 없는 것이다.(《孟子》 〈公孫丑 下〉 集註)
신습
한자
兩:둘 량 兩國 兩立 兩者 斤兩 兩手執餠 兩虎相鬪
疏:성길 소/상소할 소 疏密 疏外 疏遠 疏通 上疏 注疏 飯疏食飮水
見:볼 견/나타날 현 見聞 發見 所見 見利思義 見蚊拔劍 見危致命 莫見乎隱
機:틀 기/기미 기 機械 機先 機心 動機 萬機 忘機 好機勿失
解:풀 해 解決 解雇 解答 解放 誤解 理解 精解 和解
組:인끈 조 組成 組合 勞組 如組 朱組 靑組 組織體
誰:누구 수 誰某 誰哉 誰何 誰得誰失 誰怨誰咎 誰因誰極
逼:핍박할 핍 逼迫 逼眞 驅逼 勢逼 畏逼 侵逼 勢危事逼
동영상 재생
1 4·3·91 양소견기하 … 393

주해천자문 책은 2023.12.14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