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註解千字文

주해천자문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주해천자문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11‧14 問道하고 이라 (坐◯朝問◑道◯하고 垂拱◯平章◎이라)
人君爲治之要 只在恭己而坐朝하여 尊賢問道而已
書畢命曰 垂拱仰成이라하고 堯典曰 平章百姓이라하니 言恭己尊賢이면 則垂衣拱手하되 而自致均平章明之


조정에 앉아 道를 묻고, 옷을 드리우고 두 손을 마주 잡고만 있어도 고르며 밝은 치적을 이룬다.
임금이 치적을 이루는 요체는 다만 몸을 공손히 하고 조정에 앉아 賢者를 존경하고 이치를 물어 논의함에 달려 있을 뿐이다.
《書經》 〈畢命〉에 이르기를 “衣裳을 드리우고 두 손을 마주 잡고서 성공하기만을 우러러 바란다.” 하였고, 《書經》 〈堯典〉에 이르기를 “백성을 고루 밝힌다.” 하였으니, 몸을 공손히 하고 현자를 존경하면 의상을 드리우고 두 손을 마주 잡고만 있어도 저절로 고르며 밝은 치적을 이루게 됨을 말한 것이다.
[節旨] 위의 3절을 이어서 말하였다.(《釋義》)
[節解] 이는 윗글의 여러 임금들이 모두 조정에 앉아서 治道를 묻고, 의상을 드리우고 두 손을 마주 잡고만 있어도 고르게 바로잡으며 밝혀서 천하를 다스림을 총괄하여 말한 것이니, 그 도가 있는 형용을 말한 것이다.(《釋義》)


역주
역주1 坐朝 : 살펴보면 옛날 임금은 모두 조정에 서서 정무를 다스렸는데 秦나라에 이르러 임금을 높이며 신하를 억제하여 비로소 조정에 앉는 禮가 있었다. 여기서 坐朝라고 말한 것은 역시 후세에 의거하여 말했을 뿐이다.(《釋義》)
역주2 坐朝問道 垂拱平章 : 朝는 조정이다. 道는 다스림이다. 위에서 아래에 이르는 것을 垂라 한다. 拱은 두 손을 마주 잡은 것이다. 《書經》 〈武成〉에 이르기를 “의상을 드리우고 두 손을 마주 잡고만 있어도 천하가 다스려진다.” 하였다. 平은 바르게 하여 기울지 않게 함이다. 章은 밝혀서 어둡지 않게 함이다.(《釋義》)
역주3 : 치적. ‘爲治之要 治 直吏翻’(《資治通鑑》 卷73 〈魏紀 5〉 烈祖明皇帝中之下 景初元年 胡三省注)의 反切에 의하면 治는 去聲이니, ‘치적’의 뜻으로 풀이된다.
신습
한자
坐:앉을 좌 坐視 坐禪 安坐 環坐 坐不安席 坐井觀天
朝:아침 조/조정 조 朝野 朝廷 朝會 王朝 六朝 輟朝 退朝 皇朝
問:물을 문 問答 問罪 問責 反問 質問 詰問 東問西答
道:길 도/이치 도 道德 道理 道學 問道 王道 孝道 大道無門
垂:드리울 수 垂楊 垂直線 懸垂幕 垂簾聽政 垂頭失氣
拱:두 손 마주 잡을 공/팔짱 낄 공 拱己 拱北 拱手 拱揖 拱把 端拱 拜拱
平:평평할 평/고를 평 平均 平年 平凡 平生 公平 泰平 和平 平地風波
章:글 장/밝을 장 章明 章句 文章 章回小說 斷章取義 含章可貞
동영상 재생
1 1·11·14 좌조문도하… 181

주해천자문 책은 2023.12.14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