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東萊博議(1)

동래박의(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동래박의(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04-02 魯爲班後鄭
04-02-01 魯爲班後鄭
【左傳】桓六年이라 北戎伐齊어늘 齊侯使乞師于鄭하니 鄭太子忽帥師救齊하다
大敗戎師하고 獲其二帥大良 三百하야 以獻於齊하다
於是諸侯之大夫戍齊러니 齊人饋之餼하고 使魯爲其班한대
後鄭하니 鄭忽以其有功也
故有郞之師하다
04-02-02 齊衛鄭戰于郞
【左傳】桓十六年이라 齊衛鄭〈來〉戰于郞하니 我有辭也
北戎病齊하야 諸侯救之 鄭公子忽有功焉하다
齊人餼諸侯하고 使魯次之하니 하다
〈鄭人怒하야 請師於齊하니〉 齊人以衛師助之
하다
【主意】鄭忽救齊有功하고 自謂過人이라하야 至欲躐王爵하고 而又伐魯하니
初不知盛德大功 皆當爲之事 何過人之有哉리오
天下之事 有當爲者하고 有不當爲者하니 凡當爲者 皆常也 凡不當爲者 皆過也
曰是 曰正 曰善 皆所當爲也注+人當爲合理之事 曰非 曰邪 曰惡 皆所不當爲也注+人不當爲背理之事
事雖有萬不同이나 豈有出于此兩端之外者哉注+事雖多端 理則一致
古今以驕矜爲通患注+驕矜二字 暗指鄭忽하니 抑未之思也注+彼驕矜之人 蓋
盍反觀吾之所行
果不當爲耶注+背理之事ㄴ댄 方且愧懼之不暇注+言方將內愧懼之心어늘 何敢誇人注+豈敢外誇於人이며 果當爲邪注+合理之事ㄴ댄 則亦饑食渴飮之類耳注+饑者必食 渴者必飮 猶爲人者 必當行理어늘 何足誇人注+我自行理 何足誇人이리오
是天下本無可誇之事 彼驕矜之心 亦何自而生乎리오
目當視而反盲하고 耳當聽而反聵 則爲殘疾人矣
苟目能視耳能聽이면 始可謂之無疾之人이니 豈有持此以誇世者哉리오
雖舜之孝注+至孝莫如舜 禹之功注+大功莫如禹 皐陶之謨注+善陳謨者 莫如皐陶 稷契之忠注+盡忠愛者 莫如稷與契 夷齊之清注+淸節 莫如伯夷叔齊 孔孟之學注+學道 莫如孔子孟子 冠萬世而絶出者注+此皆後人所莫及者 其實皆人之所當爲也注+其實皆人當行之理 聖人亦不以誇人也
世之人 僅有一善注+如鄭忽僅能救齊有功之類如毫髮이면 遽自衒以爲過人之行注+便謂人莫及我하니 亦惑矣注+此等人 蓋不可曉矣로다
人之爲人 非聖人이면 莫能盡注+故到聖人 方盡爲人之道이어늘 今受人之形而反自謂過人注+自謂有過人之行이면 豈特翼而飛鬣而馳耶注+身生翼而能飛 背生鬣而能馳 則誠異矣 不然則亦人耳 雖有小善 何能過人
甚矣
其惑也注+應前惑字
鄭太子忽之救齊注+入本題事 雖曰有功注+大敗戎師이나 然捄災恤隣注+捄恤隣國災患 亦諸侯之所當爲耳注+乃是諸侯當爲之理어늘
遽軒然伐其功注+軒然自高之意 責鄭忽矜伐其功하야 輕周室之爵祿而欲躐之注+周室班爵 先侯後伯 鄭伯爵也 忽以有攻 欲列於侯之上하고 又從而加兵于魯注+謂來戰于郞하니 嗚呼注+歎而論之
使小國有功 而可躐處于大國之上이면 則臣有功 可陵其君이며 子有功 可傲其父矣注+果從鄭忽之意 則是臣子有功者 可處君父之上矣 曾不如無功之爲愈也니라
吾嘗觀鄭忽始敗戎師之時注+此段 轉說鄭忽中無所主 惟視外物以爲輕重 囚二帥注+獲戎之二帥大良小良하고 注+獲其甲首三百하야 振旅而獻乎齊注+整振師旅而獻所獲二帥甲士于齊하니 氣呑諸侯 邈視王爵注+欲以伯而加侯이라
餼饋之際 暫爲人所注+齊人餼諸侯 魯以周班後鄭이라하야 亟連三國之兵而伐之하니 何其壯也注+齊衛鄭伐魯 戰于郞 當是之時 其氣如此之壯
及其嗣位注+鄭莊公卒 太子忽立 是爲昭公하야 微弱不振注+爲人所逐하야 爲國人所賤하고
其出奔注+宋人執祭仲 使立厲公突 故昭公出奔其復歸注+其後 厲公欲殺祭仲不克 故出奔 而昭公復歸 斥其名而赴諸侯注+春秋書鄭忽出奔衛 又書鄭世子忽復歸于鄭 見得鄭人斥其名 以赴告諸侯하고 曾不以君視之하며
甚者童之稱注+詩鄭國風狡童刺忽也하니라
〈其〉注+爲國人之所侮受侮受辱 一至於此
하니 前日之壯氣安在耶注+無復前日呑諸侯之氣矣
蓋忽之爲人注+斷上文兩節意 得志則氣盈하야 而自視其身不勝其大注+前日敗戎時如此하야 人少慢之注+魯爲班後鄭라도 已不能平注+怒而加兵於魯하며 失志則氣涸하야 而自視其身不勝其小注+後日受傳時如此하야 人共賤之注+斥名狡童之類라도 反不能較注+此時全不能爭니라
中初無所主注+此心初無義理之養하고 惟視外物以爲輕重注+心無所主 聽命於物하야 隨物而盈하고 隨物而涸注+應前氣盈氣涸하며 隨物而大하고 隨物而小注+應前身不勝其大 不勝其小하야 終身爲物所驅하야
乍驕乍沮하고 乍勇乍怯注+前日驕而勇 後日沮而怯 己亦不能自知也注+言其絶無所見하니
一身不能自主注+聽命於物 況欲主人之國哉注+況能爲君而使一國聽命於我哉 結語十分精神


나라가 선후先後의 차례를 정할 때에 나라를 뒤로 정하다
나라가 선후先後의 차례를 정할 때에 나라를 뒤로 정하다
환공桓公 6년, 북융北戎나라를 공격하자 제후齊侯나라로 사신을 보내어 구원병을 요청하니, 나라 태자太子 이 군대를 거느리고 가서 나라를 구원救援하였다.
북융北戎의 군대를 대패大敗시키고 북융北戎장수將帥 대량大良소량小良갑수甲首 300을 베어 나라에 바쳤다.
이때 제후諸侯의 대부가 나라를 지키고 있었는데, 제인齊人이 그들에게 음식飮食호궤犒饋하면서 나라로 하여금 음식을 주는 선후의 차례를 정하게 하였다.
나라가 나라의 차례를 맨 뒤로 정하니, 나라 태자太子 은 자기가 이번 전쟁에 공이 있다고 하여 크게 노하였다.
그러므로 뒤에 의 전쟁이 발생하였다.
나라 나라 나라가 에서 싸우다
환공桓公 16년, 겨울에 이 군대를 거느리고 와서 나라와 에서 전쟁하니, 우리 나라의 행위行爲는 정당하여 할 말이 있었다.
당초에 북융北戎나라를 괴롭힘으로 인해 제후諸侯가 군대를 보내어 나라를 구원救援할 적에 나라 공자公子 이 있었다.
제인齊人제후諸侯의 군대에 음식을 보내면서 나라에게 차례를 정하게 하니, 나라가 주왕周王이 내린 작위爵位의 서열에 따라 차례를 정하여 나라의 차례를 맨 뒤로 정하였다.
이로 인해 정인鄭人이 노하여 나라에 군대를 요청하니, 제인齊人나라 군대를 거느리고 와서 나라를 도왔다.
그러므로 침벌侵伐이라고 하지 않았다.
나라와 나라를 먼저 기록한 것은 주왕周王이 내린 작위爵位의 서열에 따른 것이다.
나라 공자公子 나라를 구원하는 일에 공을 세우고는 스스로 남보다 뛰어나다고 여겨 심지어 주왕周王이 내린 작위爵位의 등급을 뛰어넘고자 하고, 또 나라를 침공하기까지 하였다.
이는 애당초 성대한 덕을 베풀고 위대한 공을 세우는 일이 모두 〈제후가〉 당연히 해야 할 일임을 모른 것이니, 남보다 뛰어난 점이 어디에 있는가.
천하의 일에는 해야 할 것이 있고 하지 말아야 할 것이 있으니, 해야 할 것은 모두 정상의 일이고, 하지 말아야 할 것은 모두 과오의 일이다.
옳음‧바름‧선함은 모두 해야 할 것들이요注+사람은 이치에 합당한 일을 해야 한다., 그름‧부정함‧악함은 모두 하지 말아야 할 것들이다注+사람은 이치에 위배되는 일을 해서는 안 된다..
일에는 비록 종류가 같지 않은 것이 수없이 많지만 어찌 이 두 가지에서 벗어나는 것이 있겠는가?注+일에는 비록 종류가 많으나, 이치는 하나라는 말이다.
예나 지금이나 교만驕慢과시誇示를 공통의 병통으로 여기니注+교긍驕矜’ 두 자는 나라 암시暗示한 것이다., 이는 깊이 생각해보지 않아서이다注+저 교만하고 과시하는 사람은 항상 도리에 합당하게 할 것을 생각하지 않아서일 뿐이다..
어찌 나의 행위를 돌이켜보지 않는가?
나의 행동이 과연 하지 말아야 할 것이었다면注+도리를 저버리는 일이다. 바야흐로 부끄러워하기에도 겨를이 없을 것인데注+바야흐로 내면에 부끄럽고 두려운 마음이 있게 될 것이라는 말이다. 어느 겨를에 감히 남에게 자랑하겠으며注+어찌 감히 밖으로 남에게 과시하겠느냐는 말이다., 과연 해야 할 일이었다면注+도리에 합당한 일이다. 이 또한 배고프면 먹고 목마르면 마시는 일상사와 같은 것인데注+배고픈 자가 반드시 먹기를 구하고 목마른 자가 반드시 마시기를 구하는 것은 사람이 된 자가 반드시 도리를 행하는 것과 같다. 남에게 자랑할 게 뭐 있겠는가?注+내가 스스로 나의 도리를 행하는 것이니 남에게 자랑할 것이 뭐 있겠는가?
그렇다면 천하에는 본래 자랑할 만한 일이 없는 것이니 저 교만과 과시하는 마음이 어디에서 생겨나겠는가?
눈은 당연히 보게 마련인데 도리어 보지 못하고 귀는 당연히 듣게 마련인데 도리어 듣지 못한다면 이는 장애가 있는 사람이다.
진실로 눈으로 볼 수 있고 귀로 들을 수 있으면 비로소 장애가 없는 사람이라고 말할 수 있으니, 어찌 보고 들을 수 있는 것을 가지고서 세상 사람들에게 자랑할 것이 있겠는가?
비록 임금의 효성孝誠注+지극한 효성은 만 한 이가 없다., 임금의 공적功績注+큰 공적은 만 한 이가 없다., 고요皐陶지략智略注+계획을 잘 개진開陳한 이로는 고요皐陶만 한 이가 없다., 후직后稷충성忠誠注+임금에 대한 충성과 나라에 대한 사랑을 다한 이로는 후직后稷만 한 이가 없다., 백이伯夷숙제叔齊청렴淸廉注+청렴한 절개는 백이伯夷숙제叔齊만 한 이가 없다., 공자孔子맹자孟子학문學問注+학문과 도덕으로는 공자孔子맹자孟子만 한 이가 없다. 만세에 뛰어나지만注+이들은 모두 후인後人이 미칠 수 없는 분들이다. 사실은 모두 사람이 당연히 해야 할 일이다注+사실은 모두 사람이 당연히 행하여야 할 도리이기 때문에 성인도 남에게 과시하지 아니하였다..
세상 사람들은 작은 선행善行이라도 하나 있으면注+나라 이 겨우 나라를 구원하는 데 공이 있는 것과 같은 따위이다. 서둘러 남보다 뛰어나다고 스스로 자랑하니注+곧 다른 사람들이 나에게 미칠 수 없다고 여기는 것이다., 이 또한 사리를 헤아리지 못하는 것이다注+이런 사람들은 사리에 밝지 못하다는 말이다..
사람이 사람다움은 성인聖人이 아니고서는 극진히 할 수 없는데注+그러므로 성인의 경지에 도달하여야 비로소 사람의 도리를 다할 수 있다., 지금 사람의 형체를 받고 태어나서 도리어 남보다 뛰어나다고 한다면注+스스로 남보다 뛰어난 행실이 있다고 여기는 것이다. 어찌 날개가 돋아 새처럼 날고 갈기가 생겨 말처럼 달려야 하지 않겠는가?注+몸에 날개가 돋아날 수 있고 등에 갈기가 생겨 달릴 수 있다면 참으로 사람들과 다르다고 하겠으나, 그렇지 않다면 그 또한 사람일 뿐이니 비록 작은 선행善行이 있다 하더라도 어찌 남보다 뛰어나다고 하겠는가?
심하도다.
미혹됨이여注+앞의 ‘’자에 호응한다.!
나라 태자太子 나라를 구원할 때에注+〈여기부터〉 본편의 일로 들어간다. 비록 공이 있었으나注+북융北戎의 군대를 크게 무찌른 일을 이른다., 재난을 구제하고 이웃을 구휼하는 것은注+이웃나라의 재해災害를 구휼하는 것이다. 또한 제후로서 마땅히 해야 할 일이다注+바로 제후諸侯가 마땅히 해야 할 도리이다..
그런데 갑자기 우쭐대며 자신의 공을 자랑하여注+헌연軒然’은 스스로 높은 체한다는 뜻이니, 나라 태자太子 이 자기 공을 자랑한 것을 꾸짖은 것이다.나라 왕실王室에서 봉한 작위爵位를 무시하고 등급을 뛰어넘고자 하였으며注+나라 왕실의 반작班爵가 앞이고 이 뒤이다. 정나라는 백작伯爵인데 나라 태자太子 이 공이 있다 하여 후작侯爵상렬上列에 서려 한 것이다., 또 분노를 참지 못하고 군대를 일으켜 나라를 침공하였으니注+〈군대를 끌고〉 와서 에서 전쟁한 것을 이른다., 아注+탄식하고 의론議論한 것이다.!
가령 소국이 공을 세웠을 경우 등급을 넘어 대국의 위에 처할 수 있다면, 신하가 공이 있을 경우 그 임금을 능멸할 수 있고, 자식이 공이 있을 경우 그 아비에게 불경할 수 있을 것이니注+과연 나라 태자太子 의 뜻을 따라준다면 공이 있는 신하와 아들이 그 임금과 아비의 윗자리에 있을 수 있다는 말이다., 〈이럴 바에야 차라리〉 공이 없는 것만 못하다.
내 일찍이 관찰하건대 나라 이 처음 북융北戎의 군사를 패퇴시켰을 적에注+이 단락은 〈논지論旨를〉 전환하여 나라 이 마음속에 주견이 없어 오직 외부의 물론物論만을 살펴 경중으로 삼은 것을 말하였다. 두 장수를 사로잡고注+북융北戎의 두 장수 대량大良소량小良을 사로잡은 것을 이른다.부괵俘馘을 진열해놓고서注+북융北戎갑사甲士 300인의 수급首級을 벤 것이다. 군대를 정돈하여 나라에 바쳤으니注+군사의 대오隊伍를 정돈해 반사班師하여 두 장수와 벤 갑사의 수급을 나라에 바친 것이다., 그 기세가 제후를 삼킬 듯하여 왕작王爵을 하찮게 보았다注+의 신분으로 를 능멸하고자 한 것이다..
호궤犒饋하는 즈음에 잠시 다른 사람이 선두先頭가 되었다 하여注+제인齊人제후군諸侯軍에게 음식을 대접할 때에 나라가 나라 왕실王室반작班爵에 따라 나라의 자리를 뒤로 정한 것이다. 서둘러 세 나라 군대를 연합하여 나라를 쳤으니 어쩌면 그리도 씩씩하였던가?注+나라를 토벌하기 위해 〈군대를 거느리고 와서〉 에서 싸웠는데 그때에는 그의 기개가 이처럼 씩씩하였다.
그러나 나라 군주의 자리를 계승함에 미쳐서는注+ 장공莊公이 죽고 태자太子 이 즉위하였으니 이가 소공昭公이다. 미약해 떨치지 못하여注+남에게 축출당한 것을 이른다.국인國人천시賤視를 받았고,
그의 출분出奔注+송인宋人채중祭仲을 억류하고서 여공厲公 나라 임금으로 세우게 하였으므로 소공昭公이 출분한 것이다.복귀復歸에 대해注+그 뒤에 여공厲公채중祭仲을 죽이려다가 실패하고 출분하니 소공昭公이 복귀하였다. 그 이름을 지적해 제후에게 통보通報하고注+춘추春秋환공桓公 15년에 “정홀출분위鄭忽出奔衛”로 기록하고, 또 “정세자홀복귀우정鄭世子忽復歸于鄭”이라고 기록하였으니, 정인鄭人이 그 이름을 지적해 제후에게 통보通報하였음을 알 수 있다. 임금으로 보지 않았으며,
심지어 ‘교동狡童(교활한 아이)’과 ‘광동狂童(미친 아이)’이라는 말로 꾸짖었다注+시경詩經》 〈정풍鄭風 교동狡童〉은 태자太子 을 풍자한 이다..
그가 모욕을 받은 것이 끝내 이 지경에 이르렀으니注+국인國人에게 모욕을 받은 것이다. 전날의 씩씩했던 기상은 다 어디로 갔는가?注+제후를 집어삼킬 듯하던 지난날의 기개를 다시 찾아볼 수 없다는 말이다.
대체로 의 사람됨은注+상문上文의 두 인 ‘하기장야何其壯也’와 ‘전일지장기안재야前日之壯氣安在耶’의 뜻을 논단論斷한 것이다. 뜻을 얻으면 기운이 넘쳐 자신을 말할 수 없이 크게 여겨注+전날 나라 북융北戎을 패퇴시킬 때에 이와 같았다. 남이 조금만 무시해도注+나라가 반차班次를 정할 때에 나라의 차례를 뒤로 정한 것을 이른다. 평정심을 잃으며注+나라 이 노하여 나라를 침공한 것을 이른다., 뜻을 잃으면 기운이 말라 자신을 말할 수 없이 작게 여겨注+뒤에 〈군위君位를〉 물려받을 때에 이와 같았다. 남들이 함께 천대해도注+이름을 지적하고 ‘미친 아이’라고 부른 따위를 이른다. 도리어 따지지도 못한다注+이때에는 전혀 항쟁抗爭하지 못하였다..
그 마음에 처음부터 주견이 없어서注+이는 마음에 처음부터 의리義理의 수양이 없었기 때문이다. 오직 외물(得志와 실지失志)만을 보고서 자신을 중하게 여기고 가볍게 여기는 기준으로 삼아注+마음에 주견이 없어 외물의 을 따른 것이다., 외물에 따라 기운이 넘치기도 하고 외물에 따라 기운이 마르기도 하며注+앞의 ‘기영氣盈’과 ‘기학氣涸’에 호응한다., 외물에 따라 크게 여기기도 하고 외물에 따라 작게 여기기도 하여注+앞의 ‘신불승기대身不勝其大’와 ‘신불승기소身不勝其小’에 호응한다., 종신토록 외물에 사역使役을 당하였다.
갑자기 교만하였다가 갑자기 기가 꺾이고, 갑자기 용감하였다가 갑자기 겁을 내는 것을注+전일前日엔 교만하여 용감하였고, 후일後日엔 기가 꺾여 겁보가 된 것이다. 자신도 스스로 알지 못하였다注+그는 전혀 소견이 없었음을 말한 것이다..
한 몸도 스스로 주재할 수 없었는데注+외물의 명령을 따름이다., 하물며 남의 나라를 주재할 수 있었겠는가?注+하물며 임금이 되어 일국一國의 사람들로 하여금 자기의 명을 따르게 할 수 있겠는가? 결어結語가 매우 생동감 있다.


역주
역주1 [역주] (少)[小] : 저본에는 ‘少’로 되어 있으나, 《춘추좌씨전》에 의거하여 ‘小’로 바로잡았다.
역주2 [역주] 甲首 : 갑옷 입은 자의 머리이다.
역주3 [역주] 魯以周班後鄭 : 魯나라가 周나라 관작의 서열에 따라 鄭나라의 차례를 맨 뒤로 정한 것이다.
역주4 [역주] 不稱侵伐 : ‘侵伐’이라 칭하지 않고 ‘戰’이라고 써서 魯나라가 옳고 제후가 그르다는 것을 밝혔다. 그러므로 우리가 정당하여 할 말이 있다고 말한 것이다. 禮로써 서로의 원한을 풀고 兩軍이 交戰하지 않고 물러갔으므로 크게 敗戰하는 일이 없었다.
역주5 [역주] 先書齊衛 王爵也 : 鄭나라가 權限을 가지고 군대를 통솔하였는데도 순서를 齊‧衛의 아래에 둔 것은 周王이 내린 爵位의 서열로 차례를 정하였기 때문이다.
역주6 [역주] 未常思〈合〉理 : 저본에는 ‘思’자 뒤에 1자가 빠졌는데 전후의 문맥을 살펴 ‘合’자를 보충하였다.
역주7 [역주] 俘馘 : 俘는 사로잡은 적군이고, 馘은 살해한 적군의 귀를 자른 것이다.
역주8 [역주] 〈先〉 : 저본에는 없으나, 사고전서본에 의거하여 ‘先’자를 보충하였다.
역주9 [역주] 詆以狡童(狡)[狂]童之稱 : 《詩經》 〈鄭風 狡童〉에 ‘狡童’이란 말이 보이고, 〈蹇裳〉에 ‘狂童’이란 말이 보인다.
역주10 [역주] (狡)[狂] : 저본에는 ‘狡’로 되어 있으나, 三民書局本에 의거하여 ‘狂’으로 바로잡았다.
역주11 [역주] 〈其〉 : 저본에는 없으나, 사고전서본에 의거하여 ‘其’자를 보충하였다.
역주12 [역주] 〈其〉 : 저본에는 없으나, 사고전서본에 의거하여 ‘其’자를 보충하였다.
역주13 [역주] 〈且〉 : 저본에는 없으나, 사고전서본에 의거하여 ‘且’자를 보충하였다.

동래박의(1) 책은 2023.12.18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