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東萊博議(3)

동래박의(3)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동래박의(3)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5-02 晉文夢與楚子搏
15-02-01 晉文夢與楚子搏
[左傳]僖二十八年이라 四月 晉侯夢與楚子 하다
是以懼하다 子犯曰 吉이니이다 我得天하고 리이다 楚師敗績하다
15-02-02 楚子玉夢河神求瓊弁玉纓
[左傳]僖二十八年이라 하야 未之服也러니
15-02-03 燕姞夢天與己蘭
[左傳]宣三年이라 鄭穆公卒하다 鄭文公有賤妾曰이라 夢天使與己蘭曰 余爲 而祖也
旣而文公見之하고 與之蘭而御之한대 辭曰 妾不才 幸而有子라도 將不信하리니 잇가
公曰 諾 生穆公 名之曰蘭이라하다 穆公有疾曰 蘭死 吾其死乎ㄴ저 吾所以生也 하다
15-02-04 魏顆夢結草之老人
[左傳]宣十五年이라 秦桓公伐晉하야 次于하다 壬午 魏顆敗秦師하야 獲杜回하니 秦之力人也
魏武子有嬖妾하니 無子 有疾 命顆曰 必嫁是하라하더니 疾病則曰 必以爲殉하라하다
及卒 顆嫁之曰 라하다
及輔氏之役 顆見老人結草以亢杜回러니 杜回躓而顚이라 故獲之하다
夜夢之曰 余 所嫁婦人之父也 爾用先人之治命일새 余是以報호라
15-02-05 韓厥夢子輿
[左傳]成二年이라 謂己曰 辟左右하라 하다
邴夏曰 射其御者하소서 君子也니이다 公曰 라하고
射其左하야 越于車下하고 射其右하야 斃于車中하다
15-02-06 趙嬰夢天使
[左傳]成五年이라 原屛放趙嬰於齊하다 嬰曰 我在 故欒氏不作하니 我亡이면 吾二昆其憂哉ㄴ저
하니 舍我何害리오 弗聽하다
嬰夢天使謂己호대 祭余 余福女하리라 使問諸士貞伯한대
貞伯曰 不識也라하고 旣而告其人曰 神 福仁而禍淫이어늘 淫而無罰 福也 祭其得亡乎ㄴ저 祭之之明日而亡하다
15-02-07 晉侯夢大厲 夢疾爲二豎子 小臣夢負公登天
[左傳]成十年이라 晉侯夢 大厲 被髮及地하고 搏膺而踊曰 殺余孫하니 不義로다
라하고 壞大門及寢門而入이어늘 公懼하야 入于室하니 又壞戶하다
公覺하야하니 이어늘 리이다
公疾病하야 求醫于秦하니 하다 未至 公夢疾爲二豎子曰 彼 良醫也 懼傷我하니 焉逃之
其一曰 리오 醫至曰 疾不可爲也니이다
在肓之上膏之下하야 하고 達之不及하고 藥不至焉하니 로이다 公曰 良醫也라하고 厚爲之禮而歸之하다
하야 使獻麥하고 하야 召桑田巫하야 示而殺之하다
將食 하야 하다 小臣有晨夢負公以登天이러니 及日中하야 負晉侯出諸厠하다 하다
15-02-08 呂錡夢射月
[左傳]成十六年이라 夢射月中之하고 退入於泥하다 占之하니 必楚王也
射而中之하고 리라 及戰 射共王中目하다
15-02-09 聲伯夢瓊瑰
[左傳]成十七年이라 聲伯夢涉 하고 하다
러니 還自鄭 壬申 至于貍脤而占之曰 余恐死 故不敢占也러니
라하다 言之之莫而卒하다
15-02-10 中行獻子夢與厲公訟
[左傳] 襄十八年이라 하다 夢與厲公訟하야 弗勝하다
公以戈擊之하니 首隊於前이어늘 跪而戴之하야 奉以走라가 하다
他日 見諸道하야 이라 巫曰 必死어니와 이리라 獻子許諾하다
15-02-11 叔孫穆子夢天壓巳
問其行이어늘 告之故한대 哭而送之하다 適齊하야 하야 生孟丙仲壬하다
夢天壓己하니 弗勝이라 深目而豭喙
하다
而皆召其徒하니 無之
對曰 魯人召之하니 不告而歸하다 所宿庚宗之婦人 獻以雉어늘
하니 對曰 余子長矣하야 라하다
召而見之하니 則所夢也 未問其名하고 號之曰牛야하니 曰 唯 皆召其徒하야 使視之하고 遂使爲豎하다 云云
15-02-12 魯昭夢襄公祖
[左傳]昭七年이라 楚子成章華之臺하야 하니 大宰薳啓彊來召公하다
하다 梓愼曰 君不果行이리이다 襄公之適楚也 夢周公祖而行이어니와
하소서 子服惠伯曰 行하소서 先君未嘗適楚 故周公祖以道之하고
襄公適楚矣 而祖以道하니 君不行이면 何之릿가 三月 公如楚하다
15-02-13 晉侯夢黃熊
[左傳]昭七年이라 鄭子産聘于晉이러니 晉侯有疾하다
韓宣子逆客하야 曰 寡君寢疾 於今三月矣 호되 有加而無瘳
今夢黃熊入於寢門하니 其何厲鬼也 對曰 以君之明으로 子爲大政하니 其何厲之有리오
한대 其神化爲黃熊하야 以入于羽淵이러니 實爲ㄹ새 三代祀之니라
15-02-14 孔成子夢康叔
[左傳]昭七年이라 衛襄公夫人姜氏無子하고 嬖人婤姶生孟縶하다
史朝亦夢康叔謂己호되 余將命而子苟與孔烝鉏之曾孫圉相元하리라 史朝見成子하고 告之夢하니 夢協이라 故立靈公하다
15-02-15 泉丘人有女 夢以其帷幕孟氏之廟
[左傳]昭十一年이라 泉丘人有女러니 夢以其帷幕孟氏之廟하고 遂奔僖子하니 하다
反自祲祥하야 宿於薳氏하야 生懿子及南宮敬叔於泉丘人하다 其僚無子하니 하다
15-02-16 趙宣子夢文公授之陸渾
[左傳] 昭十七年이라 九月丁卯吳帥師涉自하야 使祭史先用牲于雒하다
하야 遂滅陸渾하다 宣子夢文公攜荀吳而授之陸渾이라 하다
15-02-17 宋元公夢太子欒卽位
[左傳]昭二十五年이라 이러니卽位於廟 하다
召六卿하야 公曰 寡人不佞하야 하야 以爲二三子憂하니 寡人之罪也
若以群子之靈으로 獲保首領以歿이면 하노라
仲幾對曰 君若以社稷之故 이면 群臣弗敢知어니와
若夫宋國之法 라면 先君有命矣 群臣以死守之 弗敢失隊니이다
臣之失職이면 常刑不赦 이니이다 宋公遂行하다 己亥 卒于曲棘하다
15-02-18 曹人夢衆君子立于社宮
[左傳]哀七年이라 曹人或夢衆君子立于社宮하야 而謀亡曹어늘 하다
而求之하니 曹無之하다 曰 我死 爾聞公孫強爲政이어든 必去之하라
及曹伯陽卽位하야 好田弋하다 曹鄙人公孫強好弋하여 獲白雁獻之하다 有寵하야 使爲司城以聽政하니 夢者之子乃行하다
한대 曹伯從之하야 하니 宋人伐之하다
15-02-19 衛侯夢渾良夫
[左傳]哀十七年이라 하야 被髮北面而譟曰 登此昆吾之虛하니 로다
余爲渾良夫 하리라 公親筮之하니 胥彌占之曰 不害라하다
하다 衛侯하니 其繇曰 하니 衡流而方羊이로다
大國 滅之하니 將亡하리라 闔門塞竇하고 乃自後踰하리라 冬十月 하야 入其郛하다
15-02-20 宋得夢己爲烏
[左傳]哀二十六이라 하고 己爲烏而集於上하니
咮加於南門하고 尾加於桐門하다 曰 余夢美하니 必立하리라 大尹奉啓以奔楚하다 乃立得하다
形神相接而夢者 世歸之想이요 形神不接而夢者 世歸之因이라
因之說曰 因羊而念馬하고 因馬而念車하고 因車而念盖 固有牧羊而夢者矣
是雖非今日之想이나 實因於前日之想也 故因與想一說也
信如是說이면 無想則無因이요 無因則無夢이니 擧天下之夢이라도 不出於想而已矣
鳴呼 하고 萬理皆備於心하니 豈以想而有 豈以不想而無哉리오
耳之所聞者有限也 然天下之聲皆具於吾耳之中하니 非可以聞不聞限也 目之所見者有限也
然天下之色皆具於吾目之中하니 非可以見不見限也 心之所想者有限也
然天下之理皆具於吾心之中하니 非可以想不想限也
上天下澤 內華外夷 往古來今 其鉅其細 其晦其明 皆與吾心同流而無間하야
或感於志氣하고 或動於四體하고 或發於夢寐하야 層見錯出 軸運機旋하니 豈待想而後有因하고 待因而後有夢耶
苟必謂因想而後有夢이면 則是未想之前 胷中本無是物이요 因想而後有是物也
未想之前 胷中本無是理 因想而後有是理也 抑不知心猶地而想特其一塵耳 心猶海而想特其一漚耳
以想爲心이면 何異指塵爲地하고 指漚爲海乎 是其爲論 淺狹潰亂하야 猶未離乎夢中語어늘 反欲證他人之夢하니 甚矣 其惑也
歷擧左氏所載之夢컨대 自晉文公至於宋得 無慮於數十이니 名之以想可也 名之以因亦可也어니와
至於叔孫穆子夢童牛之貌於牛未至之前하고 曹人夢公孫強之名於強未生之前이니 是果出於想乎 果出於因乎
雖起於九原이라도 吾知其未必能判是義也
以有窮之說 而欲盡無窮之理하고 以有外之見으로 而欲測無外之心이면 難矣哉
嗚呼 理本無窮이어늘 而人自窮之하고 心本無外어늘 而人自外之
故左氏之所謂夢 出於所因所思之外蓋無幾 其餘未有不局於區區念慮之間者也
持樂廣之論以揆之注+持樂廣之論以揆之: 固已十中其八九矣 然醫不至於神이면 治常疾則精이나 治非常之疾則疏하고
論不至於極이면 談常夢則合이나 談非常之夢則敗 魯襄公之夢周公 固子服惠伯之所能辨也
如使論이면 吾不知其何辭以對


文公이 꿈에 楚子手搏하다
文公이 꿈에 楚子手搏하다
僖公 28년, 4월에 晉侯가 꿈에 楚子手搏하는데 楚子 文公을 넘어뜨려 놓고 몸 위에 엎드려 를 파먹었다.
이 꿈 때문에 文公이 두려워하니, 子犯이 말하였다. “吉夢입니다. 우리는 누워서 하늘을 향하였으니 하늘의 도움을 얻을 徵兆이고, 楚子地面을 향해 엎드렸으니 임금님께 伏罪할 징조입니다. 그러니 우리가 장차 저들을 柔順하게 만들 수 있을 것입니다.” 楚軍大敗하였다.
나라 子玉의 꿈에 河神瓊弁玉纓을 요구하다
僖公 28년, 당초에 나라 子玉이 스스로 瓊弁玉纓을 만들어 아직 사용하지 않았는데,
戰爭에 앞서 꿈에 河神子玉에게 “그것을 나에게 달라. 나는 너에게 孟諸를 주겠다.”고 하였다.
燕姞의 꿈에 天使가 그에게 을 주다
宣公 3년, 겨울에 穆公하였다. 당초 文公에게 燕姞이라는 賤妾이 있었는데, 꿈에 天使가 그에게 을 주며 “나는 伯鯈이니, 나는 너의 祖上이다.
으로 너의 아들을 만들어줄 것이니, 國中의 꽃 중에 香氣가 가장 뛰어나므로 사람들이 그를 처럼 친애하고 사랑할 것이다.”라고 하였다.
이윽고 文公燕姞을 보고서 그에게 을 주며 侍寢하게 하자, 燕姞이 말하기를 “才能이 없는 몸으로 다행히 姙娠하더라도 〈사람들은 임금님의 아이로〉 믿지 않을 것이니, 감히 이 徵據로 삼아도 좋겠습니까?”라고 하니,
文公이 좋다고 승낙하였다. 뒤에 穆公이 태어나자 이름을 ‘’이라고 하였다. 穆公이 병이 나자 말하기를 “이 죽으면 나도 죽을 것이다. 나를 태어나게 한 것이 이기 때문이다.”라고 하였다. 〈어떤 자가 실수로〉 을 베어내자, 穆公이 죽었다.
魏顆의 꿈에 풀을 묶는 노인이 보이다
宣公 15년, 가을에 桓公나라를 討伐하기 위해 輔氏駐屯하였다. 壬午日魏顆秦軍敗北시키고서 杜回를 사로잡았으니, 杜回나라의 力士이다.
과거에 魏武子에게 자식이 없는 嬖妾이 하나 있었는데, 魏武子가 처음 이 들었을 때는 魏顆에게 하기를 “〈내가 죽거든〉 이 사람을 반드시 改嫁시켜라.”라고 하더니, 병이 위독해지자 “반드시 이 사람을 殉葬시켜라.”라고 하였다.
魏武子가 죽은 뒤에 魏顆는 그 여자를 개가시키며 “병이 위독하면 정신이 혼란하니, 나는 아버지의 정신이 맑을 때 하신 을 따르려는 것이다.”라고 말한 일이 있었다.
輔氏에서 戰爭할 때 魏顆는 어떤 한 老人이 풀을 묶어 杜回의 길을 막는 것을 보았는데, 杜回가 그 맺어놓은 풀에 걸려 넘어졌기 때문에 杜回를 사로잡은 것이다.
그날 밤 꿈에 〈그 老人魏顆에게 나타나〉 말하기를 “나는 그대가 개가시킨 婦人의 아비이다. 그대가 先人治命(정신이 맑을 때 내린 )을 따랐기 때문에 내가 이로써 보답한 것이다.”라고 하였다.
韓厥의 꿈에 子輿가 보이다
成公 2년, 韓厥의 꿈에 그 아비 子輿가 그에게 이르기를 “내일 出戰할 때 車左車右의 자리를 피하라.”고 하였다. 그러므로 韓厥은 가운데에 서서 수레를 몰며 齊侯를 추격하였다.
邴夏齊侯에게 말하기를 “저 뒤쫓는 수레의 御者를 쏘십시오. 제가 보기에 그는 君子입니다.”라고 하니, 齊侯가 말하기를 “그를 君子라고 하면서 쏘라는 것은 가 아니다.”라고 하고서,
車左를 쏘아 수레 밑으로 떨어뜨리고, 그 車右를 쏘아 수레 안에서 죽게 하였다.
趙嬰의 꿈에 天使가 보이다
成公 5년, (趙同)과 (趙括)이 趙嬰나라로 추방하려 하자, 趙嬰이 말하기를 “내가 있기 때문에 欒氏을 일으키지 못한 것입니다. 만약 내가 도망간다면 우리 두 께 아마도 憂患이 있게 될 것입니다.
게다가 사람에게는 각각 잘해내는 일과 잘해내지 못하는 일이 있으니, 나를 赦免[]한다 해서 무슨 가 있겠습니까?”라고 하였으나, 은 들어주지 않았다.
趙嬰의 꿈에 하늘이 使者를 보내어 趙嬰에게 이르기를 “나에게 祭祀를 지내라. 그러면 나는 너에게 을 주겠다.”고 하였다. 趙嬰士貞伯에게 사람을 보내어 꿈에 대해 물으니,
貞伯은 “모르겠다.”고 하고서, 한참 있다가 그 사람에게 말하기를 “仁慈한 사람에게 을 내리고 淫亂한 사람에게 를 내리는 것인데, 淫亂한 짓을 하고도 ()을 받지 않는 것은 이다. 제사를 지낸다면 아마 추방[]을 당하게 될 것이다.”라고 하였다. 趙嬰은 제사를 지낸 이튿날 추방당하였다.
晉侯의 꿈에 큰 厲鬼가 보이다, 晉侯의 꿈에 이 두 더벅머리 아이가 되다, 小臣이 꿈에 景公을 업고 하늘로 올라가다
成公 10년, 晉侯의 꿈에 큰 厲鬼가 머리는 풀어 헤쳐 땅에 끌리고, 가슴을 치고 뛰면서 말하기를 “네가 나의 손자를 죽였으니, 義理를 모르는 놈이다.
내가 〈너에게 復讐할 것을〉 上帝하여 허락을 받았다.”고 하면서 大門寢門을 부수고 들어오자, 景公은 겁이 나서 內室로 들어가니 또 內室을 부수었다.
景公이 꿈에서 깨어 桑田에 사는 무당을 불러 점을 치게 하니, 무당의 말도 꿈에서 들었던 것과 같았다. 景公이 “그 吉凶이 어떠하냐?”고 물으니, 무당은 “新麥(새로 생산된 보리)을 먹지 못하실 것입니다.”라고 대답하였다.
景公이 과연 병이 위중해져서 나라에 사람을 보내어 醫員을 보내주기를 요구하니, 秦伯醫員 을 보내어 치료하게 하였다. 醫員이 도착하기 전에 景公이 꿈을 꾸니, 이 두 더벅머리 아이[豎子]가 되어 〈한 아이가〉 말하기를 “저 의원은 良醫이니, 우리를 다치게 할까 두렵다. 어디로 도망해야 하겠는가?”라고 하자,
한 아이가 말하기를 “의 위와 의 아래로 가서 있으면 우리를 어찌하겠는가?”라고 하였다. 의원이 와서 진찰한 다음 景公에게 말하기를 “병을 치료할 수 없습니다.
의 위와 의 아래에 있으므로 뜸으로도 다스릴 수 없고, []도 그곳까지 미치지 않고, 의 힘도 그곳까지 이르지 않으니, 어찌할 수 없습니다.”라고 하니, 景公은 “참으로 良醫이다.”라고 하고서 후하게 禮遇하여 돌려보냈다.
6월 丙午日晉侯新麥을 먹고자 하여 甸人에게 보리를 바치게 하고 饋人에게 新麥으로 밥을 짓게 하고서, 桑田의 무당을 불러 〈新麥으로 만든 음식을〉 보이고는 그를 죽였다.
그리고서 막 그 밥을 먹으려 하는데 갑자기 배가 膨脹하여 변소에 갔다가 변소에 빠져 죽었다. 어떤 小臣이 새벽에 景公을 업고 하늘로 올라가는 꿈을 꾸었는데, 正午晉侯를 업고 변소에서 나왔다. 드디어 그를 殉葬시켰다.
呂錡가 꿈에 달을 쏘아 맞히다
成公 16년, 呂錡가 달을 쏘아 맞히고 물러나 진창으로 들어간 꿈을 꾸고는 그 꿈의 吉凶을 점치니, 卜人이 말하기를 “姬姓은 해이고, 異姓은 달이니, 그 달은 楚王이 틀림없습니다.
그러나 활을 쏘아 맞히고 물러나다가 진창에 빠졌으니, 당신도 반드시 죽을 것입니다.”라고 하였다. 交戰할 때에 미쳐 呂錡楚王을 쏘아 눈을 맞혔다.
聲伯이 꿈에 珠玉을 먹다
成公 17년, 당초에 聲伯이 잠을 자다가 洹水를 건너는데, 어떤 사람이 聲伯에게 珠玉[瓊瑰]을 주자 그것을 먹고 聲伯이 눈물을 흘리니 그 눈물이 珠玉이 되어 품안에 가득히 쌓였다.
聲伯은 〈珠玉을 준 사람을〉 따라가며 “洹水를 건너는데 어떤 이가 나에게 珠玉을 주었네. 돌아갈 것이다. 돌아갈 것이다. 珠玉이 내 품에 가득하니.”라고 노래하는 꿈을 꾸었다.
聲伯은 꿈에서 깬 뒤에〉 겁이 나서 감히 점을 치지 못하였더니. 이번에 나라 討伐에서 돌아올 때 壬申日貍脤에 이르러 점을 치게 하며 말하기를 “나는 죽을 것이 두려워 감히 점을 묻지 못하였다.
그러나 지금은 많은 무리가 나를 따른 지 3년이나 되었으니, 가 없을 것이다.”라고 하였다. 그러나 그는 이 말을 한 날 저녁[]에 죽었다.
中行獻子가 꿈에 厲公訟事를 하다
襄公 18년, 中行獻子(荀偃)가 나라를 토벌하려 하였다. 꿈에, 先君 厲公訟事를 하여 勝訴하지 못하자,
厲公이 창으로 치니 머리가 잘려 앞에 떨어졌는데, 무릎을 꿇고 앉아 떨어진 머리를 집어 목 위에 얹고 두 손으로 붙들고서 달아나다가 梗陽의 무당 를 만났다.
後日에 길에서 그 무당을 만나 이야기하니 그도 똑같은 꿈을 꾸었다. 무당이 말하기를 “금년에 大夫는 반드시 죽을 것이지만 東方의 나라와 戰爭을 한다면 뜻을 이룰 수 있을 것입니다.”라고 하니, 獻子가 허락하였다.
叔孫穆子의 꿈에 하늘이 자기를 내리누르다
昭公 4년, 당초 穆子(叔孫豹)가 叔孫氏訣別하고 〈나라를 떠나 나라로 갈 때〉 庚宗에 미쳐 한 女人(婦人)을 만나, 그 여인에게 은밀히 밥을 짓게 하여 먹고 그 여인과 同寢하였다.
그 여인이 穆子에게 떠날 것이냐고 묻자, 〈穆子가 떠나야 할〉 緣由를 말해주니, 그 여인은 울면서 穆子를 보내주었다. 穆子나라로 가서 國氏의 딸에게 장가들어 孟丙仲壬을 낳았다.
하루는 穆子의 꿈에 하늘이 자기를 내리누르니 버틸 수가 없었다. 고개를 돌려 보니 어떤 사람이 있는데, 얼굴은 검고 두 어깨는 앞으로 굽었으며, 눈은 깊고 입은 돼지주둥이 같았다.
큰소리로 그에게 “야! 나를 도와달라.”고 말하였다. 그의 도움으로 끝내 버틸 수가 있었다. 다음 날 아침에 穆子從者들을 다 불러 세워놓고서 살펴보았으나, 꿈에서 본 자와 같이 생긴 자가 없었다.
穆子從者들에게 꿈 이야기를 해주면서〉 “잘 기억해두라.”고 하였다. 宣伯이 말하기를 “나라는 우리 先子의 일로 인해 우리 宗族을 보존시키기 위해 반드시 너를 불러들일 것이니, 너를 부른다면 어찌하겠느냐?”고 묻자,
穆子는 “그렇게 되기를 바란 지 오래입니다.”라고 대답하였다. 魯人이 부르니, 穆子宣伯에게 하지 않고 歸國하였다. 穆子이 된 뒤에 庚宗에서 동침했던 女人이 꿩을 바치자,
穆子가 아들이 있느냐고 물으니, 그 여인은 “내 아들이 이미 자라서 꿩을 奉獻할 수 있을 나이가 되었으므로 나를 따라왔습니다.”라고 대답하였다.
穆子가 그 아이를 불러 보니, 바로 꿈에서 보았던 아이였다. 穆子는 그 이름도 묻지 않고 ‘야’라고 부르니 아이가 ‘예’라고 대답하였다. 從者들을 다 불러 그 아이를 보게 하고는 드디어 (小臣)로 삼았다. 운운.
昭公의 꿈에 襄公祖道祭를 지내다
昭公 7년, 楚子章華臺를 완성하고서 諸侯들을 초청해 落成式을 거행하기를 원하자, 太宰 薳啓彊나라에 와서 昭公을 초청하였다.
昭公나라에 가려 할 때 襄公祖道祭를 지내는 꿈을 꾸었다. 梓愼이 말하기를 “임금님께선 과연 가시지 못할 것입니다. 襄公께서 나라에 가실 적에 周公祖道祭를 지내는 꿈을 꾸고서 가셨지만,
지금 襄公께서 실로 祖道祭를 지내는 꿈을 꾸셨으니, 임금님께선 가지 마소서.”라고 하자, 子服惠伯이 말하기를 “가소서. 先君(襄公)께선 나라에 가신 적이 없었기 때문에 周公께서 祖道祭를 지내어 길을 引導하셨고,
襄公께선 나라에 가신 적이 있기 때문에 祖道祭를 지내어 임금님을 인도하신 것이니, 나라에 가시지 않는다면 어디로 가시겠습니까?”라고 하였다. 3월에 昭公나라에 갔다.
晉侯의 꿈에 黃熊이 보이다
昭公 7년, 나라 子産나라에 聘問하였는데, 이때 晉侯가 병을 앓고 있었다.
韓宣子(子産)을 맞이하면서 은밀히 말하기를 “우리 임금께서 병으로 자리에 누우신 지 지금 석 달이 되었습니다. 응당 祭祀 지낼 모든 山川에 달려가서 祈禱하였으나 병이 더하기만 하고 낫지 않았습니다.
오늘 임금님의 꿈에 黃熊寢室으로 들어왔으니, 그것이 무슨 厲鬼(惡鬼)입니까?”라고 하니, 子産이 대답하기를 “晉君英名함으로 그대를 大政(正卿)으로 삼았으니, 어찌 厲鬼가 있겠습니까?
옛날에 帝堯羽山에서 죽이자 그 鬼神黃熊으로 변하여 羽淵으로 들어갔는데, 이 이 실로 夏郊가 되었으므로 三代가 모두 그 에게 제사를 지냈습니다.
나라는 盟主가 되어, 혹시 그 에게 제사를 지내지 않아서 그런 것인지 모르겠습니다.”라고 하였다. 韓子夏郊()에 제사를 지내니 晉侯의 병에 차도가 있었다. 晉侯子産에게 나라에서 바친 方鼎 두 개를 下賜하였다.
孔成子의 꿈에 康叔이 보이다
昭公 7년, 襄公夫人 姜氏(宣姜)는 아들을 낳지 못하였고, 嬖人 婤姶孟縶을 낳았다.
孔成子의 꿈에 康叔(나라의 始祖)이 孔成子에게 말하기를 “( 靈公)을 임금으로 세우라. 내 孫子 와 〈史朝의 아들〉 史苟로 하여금 을 섬기게 하겠다.”고
하였다. 史朝 역시 꿈에 康叔史朝에게 말하기를 “내 장차 너의 아들 孔烝鉏曾孫 에게 하여 을 섬기게 하겠다.”고 하였다. 史朝成子를 찾아가 꿈 이야기를 하니, 두 사람의 꿈이 같았다. 그러므로 〈孔成子가〉 靈公을 세웠다.
泉丘에 사는 어떤 女人이 자기의 帳幕으로 孟氏家廟를 덮는 꿈을 꾸다
昭公 11년, 泉丘(나라 )에 사는 어떤 女人이 있었는데, 자기의 帳幕으로 孟氏家廟를 덮는 꿈을 꾸고서 드디어 孟僖子에게로 달려가니, 그 벗도 그를 따라갔다.
〈두 여인은 孟僖子와〉 淸丘社神 앞에서 맹약하기를 “아들을 낳으면 〈우리를〉 버리지 말라.”고 하였다. 孟僖子는 그 여인을 薳氏補助하는 이 되게 하였다.
孟僖子祲祥에서 돌아와서 薳氏의 처소에 묵으면서 泉丘人에게서 懿子南宮敬叔을 낳았다. 그 벗에게 아들이 없자 敬叔을 양육하게 하였다.
趙宣子의 꿈에 文公이 그에게 陸渾을 주다
昭公 17년, 9월 丁卯日나라 荀吳가 군대를 거느리고 棘津에서 渡河한 뒤에 祭史(祭祀를 주관하는 官員)를 보내어 먼저 犧牲을 잡아 雒水에 제사 지내게 하였다.
그런데도 陸渾人은 〈晉人이 자기들을 치려 한다는 것을〉 알아차리지 못하니, 晉軍은 그 뒤를 따라가서 드디어 陸渾擊滅하였다. 宣子文公荀吳의 손을 잡고서 그에게 陸渾을 주는 꿈을 꾸었다. 그러므로 穆子(荀吳)에게 군대를 거느리고 가서 陸渾을 치게 하고, 〈勝利하고 돌아온 뒤에〉 俘虜文公에 바쳤다.
元公의 꿈에 太子 卽位式을 하다
昭公 25년, 元公 昭公을 위한 일로 나라에 가려 하였더니, 太子 宗廟에서 卽位式을 거행하는데 자기와 平公朝服을 입고 輔佐하는 꿈을 꾸었다.
아침에 六卿을 불러놓고서 元公이 말하기를 “寡人이 변변치 못하여 父兄을 잘 섬기지 못해 여러분에게 근심을 끼쳤으니 이는 寡人이다.
그러니 여러분의 []을 힘입어 〈橫死를 당하지 않고〉 壽命으로 죽는다면 오직 楄柎만을 쓰고 屍身 밑에 까는 것들은 先君의 장례 때보다 모자라게 하기를 청한다.”고 하였다.
仲幾가 대답하기를 “임금님께서 만약 국가의 일로 사사로이 昵宴을 줄이는 것이라면 群臣이 감히 알려 하지 않겠습니다만,
만약 나라의 死生의 제도에 관계된 것이라면 先君이 있으니 群臣은 죽음으로 지켜 감히 어길 수 없습니다.
등이 직무를 소홀히 하면 법이 용서하지 않습니다. 신 등은 〈직무를 소홀히 함으로써〉 죽임을 당할 짓을 차마 할 수 없으니, 임금님의 을 받들 수 없습니다.” 하였다. 元公은 드디어 길을 떠났다. 己亥日曲棘에서 하였다.
曹人의 꿈에 여러 君子들이 社宮에 서 있다
哀公 7년, 당초에 나라의 어떤 사람이 꿈에 여러 君子들이 社宮에 서서 나라를 멸망시킬 일을 謀議하는데, 曹叔 振鐸公孫 이 〈執政할 때를〉 기다리기를 청하자 여러 君子가 허락하는 것을 보았다.
그 사람은 이튿날 公孫 이란 자를 찾아보았으나 나라에는 그런 자가 없었다. 그러자 그 아들에게 경계하기를 “내가 죽은 뒤에 너는 公孫 이란 사람이 執政이 되었다는 말을 듣거든 반드시 이곳을 떠나라.”고 하였다.
曹伯 이 즉위함에 미쳐 사냥[田弋]을 좋아하였다. 나라 변방 사람 公孫 이 주살로 새 잡기를 좋아하여 白雁을 잡아 曹伯 에게 바쳤다. 〈曹伯 公孫 을〉 寵愛하여 司城으로 삼아 國政을 처리하게 하니, 꿈꾼 자의 아들이 곧 나라를 떠났다.
公孫 曹伯에게 霸者가 되는 방법[]을 말하자, 曹伯이 그 말을 따라 나라를 배반하고 나라를 침범하니, 宋人나라를 토벌하였다.
衛侯의 꿈에 渾良夫가 보이다
哀公 17년, 衛侯北宮에서 꿈을 꾸었는데, 꿈에 어떤 사람이 昆吾觀에 올라가서 머리를 풀어 헤치고서 북쪽을 향해 큰소리로 “이 昆吾의 옛터에 올라보니 오이 넝쿨 끊어지지 않고 이어져 있네.
나는 바로 渾良夫이니 하늘에 無辜함을 부르짖겠노라.”고 하는 것을 보았다. 莊公이 이 꿈에 대해 친히 蓍草占을 쳤는데, 胥彌赦가 그 점을 풀이해 말하기를 “해롭지 않습니다.”라고 하였다.
莊公이 그에게 을 주니 胥彌赦는 그 을 받지 않고 도망해 나라로 달아났다. 衛侯가 거북점을 치니, 그 占辭에 “물고기처럼 꼬리가 붉으니 흐르는 물살을 뚫고 정처 없이 헤매리라.
邊隣大國이 멸망시키려 하니 장차 망할 것이로다. 문을 닫고 구멍을 막고서 뒷담을 넘어 도망가리라.”고 하였다. 겨울 10월에 나라가 다시 나라를 토벌하여 그 外郭까지 들어갔다.
宋得의 꿈에 자신이 까마귀가 되다
哀公 26년, 宋得( 昭公)은, (의 아우)가 북쪽으로 머리를 두고 盧門(東門) 밖에서 잠을 자고, 자기는 까마귀가 되어 의 몸 위에 앉았는데,
부리는 南門에 걸치고 꼬리는 桐門(北門)에 걸친 꿈을 꾸고서, 말하기를 “내 꿈이 좋으니 반드시 임금이 될 것이다.”라고 하였다. 大尹를 모시고 나라로 出奔하였다. 이에 을 임금으로 세웠다.
형상과 정신이 서로 접촉하여 꿈이 되는 것을 세상 사람들은 ‘’이라 하고, 형상과 정신이 서로 접촉하지 않고도 꿈이 되는 것을 세상 사람들은 ‘’이라 한다.
’의 뜻은 “하여 말[]을 생각하고, 말을 하여 수레를 생각하고, 수레를 하여 車盖를 생각한다.”는 따위이다. 본래 을 치는 〈가난한 집 자식이〉 鼓吹曲盖를 꿈꾸는 경우가 있으니,
이는 비록 오늘의 생각이 아니지만 실은 전일의 생각에서 起因한 것이다. 그러므로 은 그 이치가 하나이다.
진실로 이 과 같다면 이 없으면 이 없고 이 없으면 꿈이 없으니, 온 천하 사람들의 꿈이 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아! 천하의 온갖 사물이 모두 내 마음속에 갖추어져 있고, 온갖 이치가 모두 내 마음속에 갖추어져 있으니, 어찌 생각한다 해서 〈가〉 있고 생각하지 않는다 해서 〈가〉 없겠는가?
귀가 들을 수 있는 것은 有限하다. 그러나 천하의 소리가 모두 내 귀 가운데 갖추어져 있으니, 듣거나 듣지 못함으로써 有限無限을 논할 것이 아니다. 눈이 볼 수 있는 것은 有限하다.
그러나 천하의 색깔이 모두 내 눈 가운데 갖추어져 있으니 보거나 보지 못함으로써 유한과 무한을 논할 것이 아니다. 마음이 생각할 수 있는 것은 有限하다.
그러나 천하의 이치가 모두 내 마음속에 갖추어져 있으니 생각하거나 생각하지 않는 것으로써 유한과 무한을 논할 것이 아니다.
위로 하늘, 아래로 山澤, 안으로 中華, 밖으로 夷狄, 예로부터 지금까지의 鉅細晦明이 모두 내 마음과 함께 흘러 일치해 조금의 간격도 없어서,
혹은 志氣에 감응하기도 하고 혹은 四體에 작동하기도 하며 혹은 夢寐에 드러나기도 하여, 끊임없이 거듭 나타나는 것이 마치 機軸이 돌아가는 것과 같다. 그러니 어찌 을 기다린 뒤에 이 있고, 을 기다린 뒤에 꿈이 있겠는가?
만약 반드시 생각함을 인한 뒤에 꿈이 있다고 한다면, 이는 생각하기 전에는 가슴속에 본래 이 事物이 없다가 생각함을 인한 뒤에 이 사물이 있고,
생각하기 전에는 가슴속에 본래 이 이치가 없다가 생각함을 인한 뒤에 이 이치가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는 마음은 땅과 같고 생각은 땅 위의 한 티끌일 뿐이며, 마음은 바다와 같고 생각은 물결의 한 거품일 뿐임을 모르고서 한 말이다.
생각을 마음이라 한다면 티끌을 가리켜 땅이라 하고, 거품을 가리켜 바다라고 하는 것과 무엇이 다르겠는가? 이것은 그 논리가 천박하고 雜亂하여 잠꼬대 같은 말인데도 도리어 〈이를 통해〉 다른 사람의 꿈을 증명하고자 하니, 미혹됨이 심하다.
春秋左氏傳≫에 실린 꿈에 대한 기록을 일일이 들면 文公으로부터 宋得( 昭公)에 이르기까지 무려 수십 조에 달하니, ‘’으로 명칭해도 괜찮고 ‘’으로 명칭해도 괜찮다.
그러나 叔孫穆子가 꿈에서 어린 를 본 것이 가 이르기 이전이었고, 曹人이 꿈에서 公孫 의 이름을 말한 것이 公孫 이 출생하기 이전이니, 이것도 과연 에서 나온 것인가?
비록 樂廣이 다시 살아 돌아온다 해도 내가 알기로는 그도 반드시 이런 도리를 판단할 수 없을 것이다.
유한한 말로 무한한 이치를 다 말하고자 하고, 유한[有外]한 견문으로 무한[無外]한 마음을 헤아리고자 하면 어려울 것이다.
아! 이치는 본래 다함이 없는데 사람들은 스스로 다함이 있는 것으로 여기고, 마음은 본래 밖이 없는데 사람들은 스스로 밖이 있는 것으로 여긴다.
그러므로 左氏가 말한 ‘꿈’이란, ()의 밖에서 나온 것은 얼마 되지 않고, 나머지는 모두 사람들의 자잘한 생각 사이에 국한된 것들이다.
樂廣의 말을 가지고 헤아려보면注+일이 ≪晉書≫ 〈樂廣傳〉에 보인다. 본래 열에 이미 여덟아홉은 맞았다. 그러나 醫術이 신묘한 경지에 이르지 못하면 보통의 질병을 치료하는 데는 정교하지만 비상한 질병을 치료하는 데는 정밀하지 못하며,
언론이 지극한 경지에 이르지 못하면 평범한 꿈을 담론함에는 부합하지만 비상한 꿈을 담론함에는 적절치 않다. 襄公이 꿈에 周公을 본 것은 본래 子服惠伯이 그 吉凶禍福을 판별한 바이지만,
가령 그에게 孔子께서 꿈에서 周公을 보신 것을 논하게 한다면 나는 그가 무슨 말로 대답할지 모르겠다.


역주
역주1 : 搏은 手搏이다. 手搏은 서로 손으로 치는 것으로 지금의 拳鬪와 같은 것이다.
역주2 楚子伏己而盬其腦 : 楚子가 晉 文公의 몸 위에 엎드려 입으로 그 腦를 먹은 것이다.〈附注〉
역주3 楚伏其罪 吾且柔之矣 : 晉侯는 위로 하늘을 향하였기 때문에 ‘得天(하늘을 도움 얻음)’이라 한 것이고, 楚子는 땅을 향하였기 때문에 ‘伏罪(죄를 받아들여 복종함)’라고 한 것이다.〈杜注〉 楚子가 剛한 이(齒)를 사용해 나의 頭骨을 씹는데, 나는 부드러운[柔] 腦로써 받쳐 주었으니, 이것이 剛한 것을 부드럽게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柔之’라고 한 것이다.〈楊注〉
역주4 (與) : 저본에는 ‘與’가 있으나, 四庫全書本과 三民書局本에 의거하여 衍文으로 처리하였다.
역주5 楚子玉自爲瓊弁玉纓 : 瓊弁과 玉纓은 모자와 갓끈을 옥으로 장식한 것이다.
역주6 先戰 : 城濮의 戰爭이 있기 전이다.〈附注〉
역주7 夢河神謂己曰 畀余 : 子玉의 꿈에 河神이 나타나 ‘瓊弁과 玉纓을 나에게 달라.’고 하였다는 말이다.〈附注〉
역주8 余賜汝孟諸之麋 : 孟諸는 宋나라의 藪澤(濕地)이다. 물과 풀의 어름을 麋라고 한다. 河神의 뜻은 내가 너에게 地利(地勢가 험준하여 敵을 방어하기 좋은 곳)를 주어 네가 勝戰하도록 돕겠다는 것이다.〈附注〉
역주9 燕姞 : 姞은 南燕의 姓이다.
역주10 伯鯈 : 伯鯈는 南燕의 祖上이다.
역주11 以是爲而子 : 蘭을 너의 아들의 이름으로 삼으라는 말이다.〈杜注〉 이 蘭으로 너의 아들을 만들어주겠다는 말이지, 네 아들의 이름으로 삼으라는 말이 아니다.〈楊注〉
역주12 以蘭有國香 人服媚之如是 : 媚는 사랑하는 것이니, 사람들로 하여금 그를 蘭처럼 사랑하게 한다는 말이다.〈杜注〉 國香은 그 香의 高貴함이 예사 品種과 같지 않다는 말이다. 服은 차는 것이다. 옛사람들은 香草를 장식물로 찼다.〈附注〉
역주13 敢徵蘭乎 : 장차 믿음을 받지 못할 것이 두려웠기 때문에 文公이 준 蘭으로 姙娠한 月數를 계산하고자 한 것이다.〈杜注〉
역주14 刈蘭而卒 : 〈楊注〉에 의하면 ‘刈蘭而卒’에 세 가지 解釋이 있는데, 蘭의 꽃이 열매가 되어 어떤 사람이 蘭을 베어 그 열매를 취하자 穆公이 바로 죽었다는 說이 一解이고, 穆公이 자기의 生死를 試驗하기 위해 蘭을 베어내니 과연 죽었다는 說이 二解이고, 어떤 사람이 실수로 蘭을 베어내자 穆公이 죽었다는 說이 三解이다. 譯者는 三解의 說을 취해 번역하였다.
역주15 輔氏 : 晉나라 땅이다.
역주16 武子 : 魏犫로 魏顆의 아버지이다.
역주17 疾病則亂 吾從其治也 : 사람이 病이 위중하면 精神이 혼란해지니, 내가 이 妾을 改嫁시키는 것은 우리 아버지의 정신이 혼란할 때 하신 말을 따르지 않고, 정신이 맑을 때 내리신 命[治命]을 따르기 위함이라고 말한 것이다.〈附注〉
역주18 : ‘너’이다.
역주19 韓厥夢子輿 : 子輿는 韓厥의 아버지이다.
역주20 (且)[旦] : 저본에는 ‘且’로 되어 있으나, ≪春秋左傳正義≫에 의거하여 ‘旦’으로 바로잡았다.
역주21 故中御而從齊侯 : 韓厥이 司馬이니 이 또한 諸將 중의 하나이다. 꿈 때문에 가운데 타고서 수레를 몰았다고 말하여, 그가 본래 御者가 아니기 때문에 가운데 탈 수 없다는 것을 밝혔다. 만약 御者가 없었다면 ‘代御’라고 말하지 않았을 것이니, 여기에서 韓厥이 元帥가 아닌 것을 알 수 있다. 그 밖의 諸將의 兵車에는 모두 御者가 가운데 타고 將帥가 왼쪽에 탄다.(≪春秋左傳正義≫)
역주22 謂之君子而射之 非禮也 : 戰爭에는 敵을 죽이는 것을 禮로 삼는데, 齊侯는 ‘君子를 쏘는 것은 禮가 아니다.’라고 하였으니, 이는 戎禮를 모른 것이다.
역주23 人各有能有不能 : 禮를 지켜 집안을 바르게 다스리는 일이라면 잘해내지 못하지만, 굳세고 힘이 있어 趙氏의 종족을 공고히 하는 일이라면 잘해낸다는 말이다.
역주24 余得請於帝矣 : 내가 上帝에게 원통함을 호소해 이미 허락을 받았다는 말이다.〈附注〉
역주25 桑田 : 晉나라 邑이다.
역주26 巫言如夢 : 鬼神이 怒했다는 무당의 말이 晉 景公이 꿈에서 들은 것과 같다는 것이다.〈杜注〉
역주27 公曰 何如 : 꿈이 길한지 흉한지를 물은 것이다.〈附注〉
역주28 不食新矣 : 晉 景公이 新麥을 먹을 때까지 살 수 없다는 말이다.〈杜注〉
역주29 秦伯使醫緩爲之 : 緩은 醫員의 이름이고, 爲는 治와 같다.〈杜注〉
역주30 居肓之上膏之下 若我何 : 肓은 膈膜이고, 心腸 아래를 膏라 한다.〈杜注〉
역주31 攻之不可 : 攻은 뜸을 뜨는 것이니, 불로도 病을 다스릴 수 없다는 말이다.〈附注〉
역주32 不可爲也 : 針이 도달할 수 없다는 말이다.〈附注〉
역주33 六月丙午 晉侯欲麥 : 周正의 6월은 지금의 4월로 보리가 비로소 익는 때이다.〈杜注〉
역주34 甸人 : 公田을 주관하는 사람이다.
역주35 饋人爲之 : 饋人은 飮食 만드는 일을 주관하는 사람이므로 그에게 음식을 장만하게 한 것이다.
역주36 : 漢方의 脹症으로 腹腔에 물이 차서 배가 부어오르는 病이다.
역주37 如厠 陷而卒 : 변소 속에 빠져 죽어, 끝내 新麥을 먹지 못한 것이다.〈附注〉
역주38 遂以爲殉 : 小臣은 꿈을 말하였기 때문에 스스로 禍를 부른 것이다.
역주39 呂錡 : 魏錡이다.
역주40 姬姓 日也 : 周代에 姬姓은 존귀하였다.〈杜注〉
역주41 異姓 月也 : 異姓은 비천하였다.〈杜注〉
역주42 退入於泥 亦必死矣 : 呂錡가 스스로 진창으로 들어갔으니, 역시 죽음을 상징한 것이다.〈杜注〉
역주43 : 洹水는 汲郡 林慮縣에서 발원하여 동북으로 흘러 魏郡 長樂縣에 이르러 淸水로 들어간다.〈杜注〉
역주44 或與己瓊瑰 食之 : 瓊은 玉이고, 瑰는 珠이다. 珠玉을 먹인 것은 飯含의 상징이다.〈杜注〉
역주45 泣而爲瓊瑰 盈其懷 : 눈물을 흘리니 그 눈물이 珠玉이 되어 그 품안에 가득 쌓인 것이다.〈杜注〉
역주46 從而歌之曰……瓊瑰盈吾懷乎 : 從은 따라가는 것이다. 꿈속에서 珠玉을 준 사람은 바로 저승사자이니, 그 使者를 따라가는 것으로 해석하는 것이 옳을 듯하다.
역주47 懼不敢占也 : 聲伯이 꿈에서 깬 뒤에 겁이 나서 감히 이 꿈의 吉凶을 점치지 못한 것이다.〈附注〉
역주48 余恐死……無傷也 : 聲伯이 처음에는 凶夢으로 여겼으나, 지금은 따르는 무리가 이미 많고, 또 따른 지가 3년이나 되었으니, 珠玉이 품속에 가득한 것이 이 많은 무리를 상징하는 것으로 여겨 吉夢으로 생각했다. 그러므로 害가 없다고 한 것이다.〈楊注〉
역주49 中行獻子將伐齊 : 이해 가을에 齊侯가 魯나라의 북쪽 邊邑을 侵伐하였기 때문이다. 厲公은 獻子가 弑害한 임금이다.
역주50 見梗陽之巫皐 : 梗陽은 晉나라 邑으로 太原 晉陽縣 남쪽에 있다. 皐는 무당의 이름이다. 獻子가 꿈에 그 무당을 만난 것이다.〈杜注〉
역주51 與之言 同 : 무당도 꿈에 獻子가 厲公과 訟事하는 것을 본 것이다.〈杜注〉
역주52 今玆主 : ≪春秋左氏傳≫에 기재된 ‘主’의 용례를 살펴보면, 成公 이전에는 家臣이 그 大夫를 ‘君’으로 칭하였고 襄公 이후로는 ‘主’로 칭하였는데, 家臣뿐만이 아니라 그 밖의 사람도 大夫를 ‘主’로 칭하였다.
역주53 若有事於東方 則可以逞 : 무당은 獻子가 죽을 징조가 있는 것을 알았기 때문에 결심해 齊나라를 討伐하도록 권한 것이다.〈杜注〉
역주54 穆子去叔孫氏 及庚宗 : 叔孫豹는 成公 16년에 형인 叔孫僑如(宣伯)의 難을 피해 齊나라로 出奔하였다. 庚宗은 魯나라 땅이다.
역주55 遇婦人 使私爲食而宿焉 : 穆子가 女人에게 사사로이 음식을 차리게 하고, 그 집에 寄宿한 것이다.〈附注〉
역주56 娶于國氏 : 國氏는 齊나라 正卿으로 姜姓이다.〈杜注〉
역주57 顧而見人 黑而上僂 : 穆子가 돌아보니 사람이 하나 있는데, 얼굴이 검고 어깨 위가 굽었다는 말이다.〈附注〉
역주58 號之曰……乃勝之 : 꿈속에 그 이름을 ‘소’라고 불러, 그 소로 하여금 나를 돕게 하여 마침내 하늘을 버틸 수 있었다는 말이다.〈附注〉
역주59 (朝)[旦]而皆召其徒 無之 : 꿈에서 본 자와 비슷한 容貌와 ‘牛’라는 이름을 가진 자가 없었다는 말이다.〈附注〉
역주60 (朝)[旦] : 저본에는 ‘朝’로 되어 있으나, ≪春秋左氏傳≫에 의거하여 ‘旦’으로 바로잡았다. ‘朝’는 朝鮮 太祖 李旦의 피휘로 보인다.
역주61 魯以先子之故 : 先子는 宣伯의 先人이다.〈杜注〉
역주62 將存吾宗……召女何如 : 叔孫氏의 後嗣를 보존시키기 위해 반드시 穆子를 불러 魯나라로 돌아오게 할 것이니, 만약 너를 부른다면 너는 어떻게 처신하겠느냐고 물은 것이다.〈附注〉
역주63 願之久矣 : 兄이 처음 亂을 일으켰을 때부터 나는 오늘과 같이 되기를 원하였다는 말이니, 忿言(분해서 하는 말)인 듯하다.〈杜注〉
역주64 旣立 : 穆子가 齊나라에 있을 때 孟丙과 仲壬을 낳았다. 魯나라가 穆子를 불러들여 卿으로 삼은 것이다.〈杜注〉
역주65 獻以雉 問其姓 : 古禮에 의하면 士가 相見할 때에 꿩을 禮物로 가지고 간다. 이 女人이 꿩을 바쳐 아들이 있다는 것을 暗示하였기 때문에 穆子가 아들이 있느냐고 물은 것이다.〈楊注〉 여자가 아이를 낳는 것을 ‘姓’이라 하니, 姓은 아들을 이른다.〈附注〉
역주66 能奉雉而從我矣 : 襄公 2년에 豎牛의 나이가 5, 6세였다.〈杜注〉
역주67 願與諸侯落之 : 宮室이 처음 완성되면 제사 지내는 것을 ‘落’이라 한다.〈杜注〉 諸侯를 會合하여 落成祭를 거행하고자 한 것이다.〈附注〉
역주68 公將往 夢襄公祖 : 祖는 道路의 神에 제사하는 것이다. 옛사람은 出行할 때 반드시 路神에게 제사를 지냈다.〈楊注〉
역주69 今襄公實祖 君其不行 : 襄公 28년에 襄公이 楚나라에 갈 적에 일찍이 周公이 祖道祭를 지내는 꿈을 꾼 뒤에 가기로 결정하였는데, 지금 〈周公이 아닌〉 襄公이 실로 昭公을 위해 祖道祭를 지냈으니 魯君은 아마도 가지 못할 것이라는 말이다.〈附注〉
역주70 私焉 : 은밀히 말한 것이다.〈杜注〉
역주71 竝走群望 : 晉나라가 望祭를 지내는 山川에 모두 가서 祈禱했다는 말이다.〈杜注〉
역주72 昔堯殛鯀于羽山……三代祀之 : 鯀은 禹王의 아버지인데, 夏王朝는 郊祭에 그를 配享하였다. 殷‧周 二代를 거치면서도 夏王朝와 같이 群神의 數에 들었던 것이 모두 祀典에 보인다.〈杜注〉
역주73 羽山 : 東海 祝其縣 서남쪽에 있다.〈杜注〉
역주74 夏郊 : 夏나라가 天祭인 郊祭를 지낼 때 鯀을 配享하는 神으로 삼은 것이다.
역주75 晉爲盟主 其或者未之祀也乎 : 周나라가 衰하자, 晉나라가 盟主가 되어 天子를 도와 群神에 제사 지내게 된 것이다.〈杜注〉
역주76 韓子祀夏郊 : 鯀에게 제사 지낸 것이다.〈杜注〉
역주77 晉侯有間 : 間은 病이 조금 나은 것이다.〈杜注〉
역주78 方鼎 : 莒나라가 바친 것이다.〈杜注〉 발이 네 개 달린 鼎이다. ≪春秋左傳正義≫에 “발이 세 개 달린 鼎은 圓形이고, 발이 네 개 달린 鼎은 方形이다.”라고 하였다.
역주79 孔成子夢康叔謂己 立元 : 成子는 衛나라 卿으로 孔達의 손자 烝鉏이다. 元은 孟縶의 아우이다. 꿈을 꿀 때는 元이 태어나기 전이다.〈杜注〉
역주80 余使羈之孫圉與史苟相之 : 羈는 烝鉏의 아들이고, 苟는 史朝의 아들이다.〈杜注〉
역주81 其僚從之 : 이웃에 사는 그녀의 벗도 그녀를 따라 孟僖子에게 달려간 것이다.〈杜注〉
역주82 盟于淸丘之社曰……無相棄也 : 두 女人이 孟僖子와 맹약한 것이라고 한 〈楊注〉의 說을 취해 번역하였다. 〈附注〉에서는 “後日에 만약 아들을 낳는다면 서로 버리거나 등지지 말기를 盟誓한 것이다.”라고 하였다.
역주83 僖子使助薳氏之簉(추) : 簉는 副倅(妾)이다. 薳氏의 딸이 孟僖子의 副妾(두 번째 첩)이 되어 밖에 別居하고 있었으므로 孟僖子가 泉丘의 여인들을 받아들여 薳氏를 補助하게 한 것이다.〈杜注〉
역주84 使字敬叔 : 字는 養育이다. 懿子와 敬叔이 쌍둥이인 듯하다.〈杜注〉
역주85 (甸)[荀] : 저본에는 ‘甸’으로 되어 있으나, ≪春秋左氏傳≫에 의거하여 ‘荀’으로 바로잡았다.
역주86 棘津 : 黃河의 나루 이름이다.〈杜注〉
역주87 陸渾人弗知 師從之 : 陸渾이 晉軍이 자기들을 치려 한다는 것을 알아차리지 못하니, 晉나라 荀吳가 군대를 거느리고 祭史의 뒤를 따라간 것이다.〈附注〉
역주88 故使穆子帥師 獻俘于文宮 : 이렇게 함으로써 꿈에 應對(報答)하려 한 것이다.〈杜注〉
역주89 宋元公將爲公故如晉 : 昭公을 魯나라로 들여보내기를 청하기 위해 가려 한 것이다.〈杜注〉
역주90 太子欒 : 太子 欒은 元公의 太子이다.〈附注〉
역주91 己與平公服而相之 : 己는 元公이다. 平公은 元公의 아버지이다. 元公과 平公이 朝服을 입고서 太子 欒을 輔佐한 것이다.〈附注〉
역주92 (朝)[旦] : 저본에는 ‘朝’로 되어 있으나, ≪春秋左氏傳≫에 의거하여 ‘旦’으로 바로잡았다. ‘朝’는 朝鮮 太祖 李旦의 피휘로 보인다.
역주93 不能事父兄 : 父兄은 華氏와 向氏를 이른다.〈杜注〉
역주94 唯是楄柎 所以藉幹者 : 楄柎는 ≪左氏會箋≫에 의하면, 楄은 나무를 엮는 것이고 柎는 뗏목이니, 나무를 뗏목처럼 엮어 棺 밑에 깔아 屍身이 썩으면서 생기는 汁이 새어나가게 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藉幹은 屍身을 받쳐놓는 寢牀만을 말한 것이 아니고 棺 안에 넣는 일체의 副葬品까지 아울러 말한 것인 듯하다.
역주95 請無及先君 : 스스로 줄이고자 한 것이다.〈杜注〉
역주96 私降昵宴 : 昵은 近이다. 降昵宴은 聲樂과 飮食을 가까이하는 일을 줄이는 것을 이른다.〈杜注〉
역주97 死生之度 : 死者를 葬送하고 生者를 섬기는 法度를 이른다.〈附注〉
역주98 臣不忍其死 君命祗辱 : 임금님의 명령을 기필코 奉行할 수 없다는 말이다. 祗는 適(다만)이다.〈杜注〉 ≪左氏會箋≫에서는 “命을 내렸는데도 奉行하지 않기 때문에 ‘辱’이라 한 것이다.”라고 하였다.
역주99 曹叔振鐸請待公孫強 許之 : 振鐸은 曹나라 始祖이다. 여러 군자들에게 公孫 強이 執政할 때를 기다린 뒤에 曹나라를 멸망시키기를 청하자 여러 군자들이 허락한 것이다.〈附注〉
역주100 (朝)[旦]而求之 曹無之 : 꿈을 꾼 다음날 曹나라에 두루 찾아보았으나 이른바 公孫 強이란 자가 없었다는 말이다.〈附注〉
역주101 (朝)[旦] : 저본에는 ‘朝’로 되어 있으나, ≪春秋左氏傳≫에 의거하여 ‘旦’으로 바로잡았다. ‘朝’는 朝鮮 太祖 李旦의 피휘로 보인다.
역주102 戒其子 : 꿈을 꾼 자가 그 아들에게 경계한 것이다.〈附注〉
역주103 強言霸說於曹伯 : 公孫 強이 曹伯 陽에게 霸業을 創建하는 방법[說]을 進言한 것이다.〈附注〉
역주104 乃背晉而奸宋 : 宋나라를 침범한 것이다.〈附注〉
역주105 衛侯夢于北宮 : 衛 莊公이 北宮에서 꿈을 꾼 것이다.〈附注〉
역주106 見人登昆吾之觀 : 옛날 昆吾氏의 터에 衛나라의 樓臺[觀]가 있다. 지금의 濮陽城中이다.〈杜注〉
역주107 綿綿生之瓜 : 綿綿은 넝쿨이 끊어지지 않고 이어져 있는 모양이다. ≪詩經≫ 〈大雅 綿〉篇에 “끊임없이 이어진 오이 넝쿨이여, 周나라에 사람이 처음 산 것은[綿綿瓜瓞 民之初生]”이라 하였다. 渾良夫는 衛나라가 처음 開國한 때로부터 지금까지 끊어지지 않게 한 것과 衛侯를 세운 것이 자기의 힘이라는 것을 비유한 말이다.〈楊注〉
역주108 叫天無辜 : 본래의 盟約은 죽을죄를 응당 세 번 赦免하겠다고 하였는데, 同時의 일을 列擧하여 세 가지 罪目으로 삼아서 죽였기 때문에 스스로 無辜하다고 한 것이다.〈杜注〉
역주109 : 衛나라의 筮史이다.〈杜注〉
역주110 與之邑 寘之 : 衛侯가 기뻐서 邑을 賞으로 주었으나, 胥彌赦는 그 邑을 버리고 받지 않은 것이다.〈附注〉
역주111 逃 奔宋 : 衛侯가 無道하므로 卜人이 감히 사실대로 대답하지 않고서, 禍難이 닥칠 것이 두려워 도망간 것이다.〈杜注〉
역주112 貞卜 : ‘貞’은 점을 쳐서 吉凶을 묻는 것이다. ‘貞’字가 卜辭에 흔히 보인다.〈楊注〉
역주113 如魚(窺)[竀]尾 : 竀은 赤이다. 魚類는 괴로우면 꼬리가 붉어진다.〈杜注〉
역주114 (窺)[竀] : 저본에는 ‘窺’로 되어 있으나, ≪春秋左氏傳≫에 의거하여 ‘竀’으로 바로잡았다.
역주115 衡流而方羊 裔焉 : 〈杜注〉에는 ‘裔焉’을 上句에 붙여 ‘물살을 뚫고 물가를 정처 없이 헤맨다.’는 뜻으로 해석하였으나, 劉炫은 “卜辭는 文句에 韻을 다니, ‘裔焉’ 두 글자를 下句에 붙여 읽어야 ‘方羊’의 ‘羊’과 ‘將亡’의 ‘亡’이 서로 운이 맞는다.”라고 하면서 ‘裔焉’을 上句에 붙인 〈杜注〉는 옳지 않다고 하였다. 後代의 註釋書에는 대체로 劉炫의 설을 따랐다.(≪春秋左傳正義≫, ≪左氏會箋≫)
역주116 晉復伐衛 : 蒯聵를 피해 도망간 것이다.〈杜注〉
역주117 宋得夢啓北首而寢於盧門之外 : 盧門은 宋나라 東門이다. 北首는 죽음의 상징이고, 門外에 있는 것은 失國을 뜻한다.〈杜注〉
역주118 鼓吹曲盖 : 鼓吹는 귀인의 행차에 앞에서 북을 치고 나팔을 부는 樂隊를 이르고, 曲盖은 귀인의 행차에 儀仗으로 쓰는 傘蓋(日傘)를 이른다.
역주119 萬物皆備於我 : ≪孟子≫ 〈盡心 上〉에 나오는 말이다.
역주120 樂廣 : 晉나라 때 사람으로 識見이 遠大하였다. 담론에 더욱 뛰어나서, 매번 간단한 말로 이치를 분석하여 사람들의 마음을 만족시켰고 한다.(≪晉書≫ 〈樂廣傳〉)
역주121 事見本傳 : ≪晉書≫ 〈樂廣傳〉에 “衛玠가 어린 시절에 樂廣에게 꿈에 대해 물어보았는데, 樂廣은 ‘이것은 想이다.’라고 대답하였다. 衛玠가 ‘정신과 형상이 서로 접촉하지 않고 꿈을 꾸었는데 이것이 어찌 想입니까?’ 하자, 樂廣은 ‘因이다.’라고 대답하였다.[衛玠總角時 嘗問廣夢 廣云 是想 玠曰 神形所不接而夢 豈是想邪 廣曰 因也]”는 내용이 보인다.
역주122 孔子之夢周公 : ≪論語≫ 〈述而〉에 “孔子께서 말씀하셨다. ‘심하도다. 나의 노쇠함이여! 오래되었도다, 내가 다시 꿈에서 周公을 보지 못한 것이.’[子曰 甚矣 吾衰也 久矣 吾不復夢見周公]”라는 내용이 보인다.

동래박의(3) 책은 2020.12.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