傳
		                       		
		                        
		                        	
		                        		
		                            	【左傳】桓六年이라 齊侯欲以文姜妻鄭太子忽이러니 太子忽辭한대
		                            	 
									
                        			
                        			
                        		
	                     		
			                       	
			                       	
	                     		
	                     		
		                        
                        	
                        	
                        	
                        	
                        		
                        		
                        		
                        			
                        			
		                       		
		                       		
		                       		
		                        
		                        	
		                        		
									
                        			
                        			
                        		
	                     		
			                       	
			                       	
	                     		
	                     		
		                        
                        	
                        	
                        	
                        	
                        		
                        		
                        		
                        			
                        			
		                       		
		                       		
		                       		
		                        
		                        	
		                        		
									
                        			
                        			
                        		
	                     		
			                       	
			                       	
	                     		
	                     		
		                        
                        	
                        	
                        	
                        	
                        		
                        		
                        		
                        			
                        			
		                       		
		                       		
		                       		
		                        
		                        	
		                        		
									
                        			
                        			
                        		
	                     		
			                       	
			                       	
	                     		
	                     		
		                        
                        	
                        	
                        	
                        	
                        		
                        		
                        		
                        			
                        			
		                       		
		                       		
		                       		
		                        
		                        	
		                        		
									
                        			
                        			
                        		
	                     		
			                       	
			                       	
	                     		
	                     		
		                        
                        	
                        	
                        	
                        	
                        		
                        		
                        		
                        			
                        			
		                       		
		                       		
		                       		
		                        
		                        	
		                        		
									
                        			
                        			
                        		
	                     		
			                       	
			                       	
	                     		
	                     		
		                        
                        	
                        	
                        	
                        	
                        		
                        		
                        		
                        			
                        			
		                       		
		                       		
		                       		
		                        
		                        	
		                        		
									
                        			
                        			
                        		
	                     		
			                       	
			                       	
	                     		
	                     		
		                        
                        	
                        	
                        	
                        	
                        		
                        		
                        		
                        			
                        			
		                       		
		                       		
		                       		
		                        
		                        	
		                        		
		                            	人問其故한대 太子曰 無事於齊라도 吾猶不敢이온 今以君命奔齊之急이라가 而受室以歸면 是以師昏也니 民其謂我何오하고 遂辭諸鄭伯하다
		                            	 
									
                        			
                        			
                        		
	                     		
			                       	
			                       	
	                     		
	                     		
		                        
                        	
                        	
                        	
                        	
                        		
                        			
                        			
                        				
                        				 
                        			
			                        
                        		
                        		
                        		
	                     		
			                       	
			                       	
	                     		
	                     		
		                        
                        	
                        	
                        	
                        	
                        		
                        		
                        		
                        			
                        			
		                       		
		                       		
		                       		
		                       			
		                        			
		                       			
		                       			
		                       			
		                       				傳
		                       		
		                        
		                        	
		                        		
		                            	【左傳】桓十一年이라 鄭昭公之敗北戎也에 齊人將妻之하니 昭公辭하다
		                            	 
									
                        			
                        			
                        		
	                     		
			                       	
			                       	
	                     		
	                     		
		                        
                        	
                        	
                        	
                        	
                        		
                        		
                        		
                        			
                        			
		                       		
		                       		
		                       		
		                        
		                        	
		                        		
									
                        			
                        			
                        		
	                     		
			                       	
			                       	
	                     		
	                     		
		                        
                        	
                        	
                        	
                        	
                        		
                        		
                        		
                        			
                        			
		                       		
		                       		
		                       		
		                        
		                        	
		                        		
		                            	君多內寵
하니 子無大援
이면 將不立
이요 리이다 弗從
하다 
									
                        			
                        			
                        		
	                     		
			                       	
			                       	
	                     		
	                     		
		                        
                        	
                        	
                        	
                        	
                        		
                        		
                        		
                        			
                        			
		                       		
		                       		
		                       		
		                        
		                        	
		                        		
									
                        			
                        			
                        		
	                     		
			                       	
			                       	
	                     		
	                     		
		                        
                        	
                        	
                        	
                        	
                        		
                        		
                        		
                        			
                        			
		                       		
		                       		
		                       		
		                        
		                        	
		                        		
									
                        			
                        			
                        		
	                     		
			                       	
			                       	
	                     		
	                     		
		                        
                        	
                        	
                        	
                        	
                        		
                        		
                        		
                        			
                        			
		                       		
		                       		
		                       		
		                        
		                        	
		                        		
									
                        			
                        			
                        		
	                     		
			                       	
			                       	
	                     		
	                     		
		                        
                        	
                        	
                        	
                        	
                        		
                        		
                        		
                        			
                        			
		                       		
		                       		
		                       		
		                        
		                        	
		                        		
									
                        			
                        			
                        		
	                     		
			                       	
			                       	
	                     		
	                     		
		                        
                        	
                        	
                        	
                        	
                        		
                        		
                        		
                        			
                        			
		                       		
		                       		
		                       		
		                        
		                        	
		                        		
									
                        			
                        			
                        		
	                     		
			                       	
			                       	
	                     		
	                     		
		                        
                        	
                        	
                        	
                        	
                        		
                        		
                        		
                        			
                        			
		                       		
		                       		
		                       		
		                        
		                        	
		                        		
		                            	雍氏宗이 有寵於宋莊公이라 故誘祭仲而執之하고 曰 不立突하면 將死라하고 亦執厲公而求賂焉하다
		                            	 
									
                        			
                        			
                        		
	                     		
			                       	
			                       	
	                     		
	                     		
		                        
                        	
                        	
                        	
                        	
                        		
                        		
                        		
                        			
                        			
		                       		
		                       		
		                       		
		                        
		                        	
		                        		
									
                        			
                        			
                        		
	                     		
			                       	
			                       	
	                     		
	                     		
		                        
                        	
                        	
                        	
                        	
                        		
                        		
                        		
                        			
                        			
		                       		
		                       		
		                       		
		                        
		                        	
		                        		
									
                        			
                        			
                        		
	                     		
			                       	
			                       	
	                     		
	                     		
		                        
                        	
                        	
                        	
                        	
                        		
                        		
                        		
                        			
                        			
		                       		
		                       		
		                       		
		                        
		                        	
		                        		
									
                        			
                        			
                        		
	                     		
			                       	
			                       	
	                     		
	                     		
		                        
                        	
                        	
                        	
                        	
                        		
                        		
                        		
                        			
                        			
		                       		
		                       		
		                       		
		                       			
		                        			
		                        				
		                        				 
		                        			
		                       			
		                       			
		                       			
		                       				注
		                       		
		                        
		                        	
		                        		
		                            	【主意】爲國而依人以爲重이나 不惟人不足依요 而禍實生於所依焉이라
		                            	 
									
                        			
                        			
                        		
	                     		
			                       	
			                       	
	                     		
	                     		
		                        
                        	
                        	
                        	
                        	
                        		
                        		
                        		
                        			
                        			
		                       		
		                       		
		                       		
		                        
		                        	
		                        		
		                            	使鄭忽不辭而取文姜이면 則彭生之禍가 不在魯而在鄭矣리라
		                            	 
									
                        			
                        			
                        		
	                     		
			                       	
			                       	
	                     		
	                     		
		                        
                        	
                        	
                        	
                        	
                        		
                        		
                        		
                        			
                        			
		                       		
		                       		
		                       		
		                        
		                        	
		                        		
									
                        			
                        			
                        		
	                     		
			                       	
			                       	
	                     		
	                     		
		                        
                        	
                        	
                        	
                        	
                        		
                        			
                        			
                        				
                        				 
                        			
			                        
			                        	爲國者
는 當使人依己
注+勢强故人依己요 不當使己依人
注+勢弱故依於人이라 
                        		
                        		
                        		
	                     		
			                       	
			                       	
	                     		
	                     		
		                        
                        	
                        	
                        	
                        	
                        		
                        			
                        			
			                        
			                        	己不能自立
하고 而依人以爲重
이면 未有不窮者也
注+以上是第(二)[一]節意니라 
                        		
                        		
                        		
	                     		
			                       	
			                       	
	                     		
	                     		
		                        
                        	
                        	
                        	
                        	
                        		
                        			
                        			
			                        
			                        	所依者不能常盛
하니 有時而衰
注+盛則可依 衰則失所依矣하며 所依者不能常存
하고 有時而亡
注+存則可依 亡則失所依矣이니 一旦驟失所依
注+或衰或亡면 將何所恃乎
注+以上是第節意아 
                        		
                        		
                        		
	                     		
			                       	
			                       	
	                     		
	                     		
		                        
                        	
                        	
                        	
                        	
                        		
                        			
                        			
			                        
                        		
                        		
                        		
	                     		
			                       	
			                       	
	                     		
	                     		
		                        
                        	
                        	
                        	
                        	
                        		
                        			
                        			
			                        
                        		
                        		
                        		
	                     		
			                       	
			                       	
	                     		
	                     		
		                        
                        	
                        	
                        	
                        	
                        		
                        			
                        			
			                        
			                        	抑有甚者焉
注+轉第二節意하니 使所依者常盛而不衰
하고 常存而不亡
이면 可謂得所依矣
注+似乎可恃라 
                        		
                        		
                        		
	                     		
			                       	
			                       	
	                     		
	                     		
		                        
                        	
                        	
                        	
                        	
                        		
                        			
                        			
			                        
                        		
                        		
                        		
	                     		
			                       	
			                       	
	                     		
	                     		
		                        
                        	
                        	
                        	
                        	
                        		
                        			
                        			
			                        
			                        	晉方主盟諸夏
注+晉自文公以來 爲諸侯之盟主에 宋深結而謹事之
注+宋人 背楚而事晉하야 倚以自固
하니 想其心
自以爲得所依矣
注+宋人 謂晉疆盛可依之以爲重리라 
                        		
                        		
                        		
	                     		
			                       	
			                       	
	                     		
	                     		
		                        
                        	
                        	
                        	
                        	
                        		
                        			
                        			
			                        
			                        	及阨於楚師之圍
注+楚莊王圍宋 在宣公十四年하야 析骸而炊
하고 易子而食
注+宋人糧盡 至於易子而食之 析骸而薪之이나 晉迫於狄
하야注+其時晉國 自有狄難 坐視而莫能救也
하니라注+宣公十五年 宋人 告急于晉 晉侯欲救之 伯宗曰不可 
                        		
                        		
                        		
	                     		
			                       	
			                       	
	                     		
	                     		
		                        
                        	
                        	
                        	
                        	
                        		
                        			
                        			
			                        
			                        	 當時諸侯之强盛者
가 莫如晉
注+晉方主盟諸夏이요 諸侯之可依者
가 亦莫如晉
이로되 
                        		
                        		
                        		
	                     		
			                       	
			                       	
	                     		
	                     		
		                        
                        	
                        	
                        	
                        	
                        		
                        			
                        			
			                        
			                        	晉猶不可依
注+告急而不之救온 況其他乎
注+以上是第二節意 言常盛常存 猶不足依아 
                        		
                        		
                        		
	                     		
			                       	
			                       	
	                     		
	                     		
		                        
                        	
                        	
                        	
                        	
                        		
                        			
                        			
			                        
                        		
                        		
                        		
	                     		
			                       	
			                       	
	                     		
	                     		
		                        
                        	
                        	
                        	
                        	
                        		
                        			
                        			
			                        
                        		
                        		
                        		
	                     		
			                       	
			                       	
	                     		
	                     		
		                        
                        	
                        	
                        	
                        	
                        		
                        			
                        			
			                        
			                        	抑又有甚者焉
注+轉第三節意하니 魏孝武脅於高歡
注+北史 高歡魏之强臣 孝武帝畏其簒弑하야 日有簒奪之憂
에 所恃以爲依者
는 宇文泰耳
注+宇文泰在長安 帝欲往依也라 
                        		
                        		
                        		
	                     		
			                       	
			                       	
	                     		
	                     		
		                        
                        	
                        	
                        	
                        	
                        		
                        			
                        			
			                        
			                        	一旦脫身虎口
注+虎口謂高歡하야 自杖入關
注+宇文泰迎帝於東關 遂入長安하야 捨所畏而得所依
注+所畏謂歡 所依謂泰하니 天下之樂
이 有過于是乎
注+依得其人故樂아 
                        		
                        		
                        		
	                     		
			                       	
			                       	
	                     		
	                     		
		                        
                        	
                        	
                        	
                        	
                        		
                        			
                        			
			                        
			                        	然孝武之禍
가 不在於所畏之高歡
注+帝旣入關 高歡推淸河王亶子善見爲主 徙都鄴 魏遂分東西하고 而在於所依之宇文泰
注+하니 以是論之
注+卽此事而論之면 非惟人之不可依
라 而禍實生於所依也
注+以上 是第三節意 니라 
                        		
                        		
                        		
	                     		
			                       	
			                       	
	                     		
	                     		
		                        
                        	
                        	
                        	
                        	
                        		
                        			
                        			
			                        
			                        	外物之變
을 不可勝窮
注+世故反覆 其事不常이나 恃外以爲安者
는 其患
이 夫豈一端耶
注+總結上文三節之意리오 
                        		
                        		
                        		
	                     		
			                       	
			                       	
	                     		
	                     		
		                        
                        	
                        	
                        	
                        	
                        		
                        			
                        			
			                        
			                        	人皆咎鄭忽之辭昏
注+入本題事齊女
하야 不能依大國以自固
注+如祭仲言子無大援 將不立鄭 詩有女同車序云 卒以無大國之助 至於見逐之類하니 殆非也
注+東萊斷云 咎忽辭昏者非也라 
                        		
                        		
                        		
	                     		
			                       	
			                       	
	                     		
	                     		
		                        
                        	
                        	
                        	
                        	
                        		
                        			
                        			
			                        
			                        	使忽不辭
注+齊侯先欲以文姜妻之 忽固辭 故以妻魯威公而取文姜
이면 則彭生之禍
가 不在魯而在鄭矣
注+桓十八年 公及文姜 如齊 齊侯通焉 公謫之 以告 齊侯享公 使公子彭生 乘公而載之 此事卽彭生之禍也리라 
                        		
                        		
                        		
	                     		
			                       	
			                       	
	                     		
	                     		
		                        
                        	
                        	
                        	
                        	
                        		
                        			
                        			
			                        
			                        	豈有禍魯而福鄭者耶
注+均一文姜 於魯則爲禍 於鄭則爲福 決無此理아 
                        		
                        		
                        		
	                     		
			                       	
			                       	
	                     		
	                     		
		                        
                        	
                        	
                        	
                        	
                        		
                        			
                        			
			                        
			                        	自古小國連姻大國
하야 得其所依者蓋無幾
요 而啓釁召兵
하니 如銅斗摩笄之禍者
注+가 皆是也
라 
                        		
                        		
                        		
	                     		
			                       	
			                       	
	                     		
	                     		
		                        
                        	
                        	
                        	
                        	
                        		
                        			
                        			
			                        
			                        	然則忽之辭昏
은 固亦未可厚非也
注+言鄭忽自合辭昏 不可以重責之也어늘 後世徒見其終以微弱致禍
注+謂鄭逐忽而立突하고 遂幷以辭昏譏之
注+遂責其辭昏 以失大國之助하니 殊不知忽前得之於辭昏
注+不辭則蹈彭生之禍 故其辭昏爲是하고 後失之於微弱
注+忽以微弱爲人所逐 非關於辭昏也이라 
                        		
                        		
                        		
	                     		
			                       	
			                       	
	                     		
	                     		
		                        
                        	
                        	
                        	
                        	
                        		
                        			
                        			
			                        
			                        	一是一非
를 兩不相掩
注+辭昏則是 微弱則非이니 烏得以後之非
로 廢前之是哉
注+發盡主意아 
                        		
                        		
                        		
	                     		
			                       	
			                       	
	                     		
	                     		
		                        
                        	
                        	
                        	
                        	
                        		
                        			
                        			
			                        
			                        	忽之言曰
注+引自求多福之語結尾議論 自求多福
注+出大雅文王篇은 在我而已
注+鄭忽得詩自求之意니 大國何爲
注+言多福在我自求 非依大國而得之也리오 信斯言也
는 實先王之法言
이요 古今之篤論也
注+篤實也 東萊深取鄭忽此語라 
                        		
                        		
                        		
	                     		
			                       	
			                       	
	                     		
	                     		
		                        
                        	
                        	
                        	
                        	
                        		
                        			
                        			
			                        
			                        	在我之福
注+此下幾明自求之意은 以堯爲父而不能與丹朱
注+堯能自求 丹朱不自求也하고 以周公爲兄而不能與管蔡
注+하며 以周宣爲子而不能與厲王
注+能自求 厲王不能求也 福非在外之物 故至親不能相與하니 以大國亦何有於我哉
注+豈依大國而可以得福哉리오 
                        		
                        		
                        		
	                     		
			                       	
			                       	
	                     		
	                     		
		                        
                        	
                        	
                        	
                        	
                        		
                        			
                        			
			                        
			                        	苟忽能
是言
注+設使能充在我之言이면 則洪範之五福
注+一曰壽 二曰富 三曰康寧 四曰攸好德 五曰考終命과 之百祿
注+天保詩云 受天百祿이 皆我有也
注+在我之福 惟自求則有之니 尙何微弱之足患乎
注+何至微弱而爲鄭人所逐乎아 
                        		
                        		
                        		
	                     		
			                       	
			                       	
	                     		
	                     		
		                        
                        	
                        	
                        	
                        	
                        		
                        			
                        			
			                        
			                        	論者不譏忽之不能蹈其言
하고注+蹈謂踐履 而反譏其言之失
하니注+左傳 君子曰善自爲謀 蓋譏之也 亦惑矣
注+如此論忽 誠不可曉로다 
                        		
                        		
                        		
	                     		
			                       	
			                       	
	                     		
	                     		
		                        
                        	
                        	
                        	
                        	
                        		
                        			
                        			
			                        
			                        	後之君子 苟
注+鄭忽爲人 固不足道 而其言甚當理廢言
하고 而深味其言
이면 釋然深悟
注+君子因此言而自得於心하야 天下之福
이 皆備于我
하니 無在我之外者
注+所謂自求하야 攀援依附
를 一掃俱除
하고 天下無對
하고 制命在內
리라 
                        		
                        		
                        		
	                     		
			                       	
			                       	
	                     		
	                     		
		                        
                        	
                        	
                        	
                        	
                        		
                        			
                        			
			                        
			                        	忽言之於千載之上
하고 我用之於千載之下
하니 是忽雖不能自用
이나 適所以留爲我之用也
니 豈曰小補之哉
注+鄭忽在我一語 其補益於我 豈不大哉리오 
                        		
                        		
                        		
	                     		
			                       	
			                       	
	                     		
	                     		
		                        
                        	
                        	
                        	
                        	
                   			
                    			
                   			
                        	
                        	
                        	
                        	
	                       	
	                       	
	                       	
	                       	
							                       	
	                        
	                        
	                        	
	                        
	                        	
	                        
	                        	
	                        
	                        	
	                        
	                        	
	                        
	                        	
	                        
	                        	
	                        
	                        	
	                        
	                        	
	                        
	                        	
	                        
	                        	
	                        
	                        	
	                        
	                        	
	                        
	                        	
	                        
	                        	
	                        
	                        	
	                        
	                        	
	                        
	                        	
	                        
	                        	
	                        
	                        	
	                        
	                        	
	                        
	                        	
	                        
	                        	
	                        
	                        	
	                        
	                        	
	                        
	                        	
	                        
	                        	
	                        
	                        	
	                        
	                        	
	                        
	                        	
	                        
	                        	
	                        
	                        	
	                        
	                        	
	                        
	                        	
	                        
	                        	
	                        
	                        	
	                        
	                        	
	                        
	                        	
	                        
	                        	
	                        
	                        	
	                        
	                        	
	                        
	                        	
	                        
	                        	
	                        
	                        	
	                        
	                        	
	                        
	                        	
	                        
	                        	
	                        
	                        	
	                        
	                        	
	                        
	                        	
	                        
	                        	
	                        
	                        	
	                        
	                        	
	                        
	                        	
	                        
	                        	
	                        
	                        	
	                        
	                        	
	                        
	                        	
	                        
	                        	
	                        
	                        	
	                        
	                        	
	                        
	                        	
	                        
	                        	
	                        
	                        	
	                        
	                        	
	                        
	                        	
	                        
	                        	
	                        
	                        	
	                        
	                        	
	                        
	                        	
	                        
	                        	
	                        
	                        	
	                        
	                        	
	                        
	                        	
	                        
	                        	
	                        
	                        	
	                        
	                        	
	                        
	                        	
	                        
	                        	
	                        
	                        	
	                        
	                        	
	                        
	                        	
	                        
	                        	
	                        
	                        	
	                        
	                        	
	                        
	                        	
	                        
	                        	
	                        
	                        	
	                        
	                        	
	                        
	                        	
	                        
	                        	
	                        
	                        	
	                        
	                        	
	                        
	                        	
	                        
	                        	
	                        
	                        	
	                        
	                        	
	                        
	                        	
	                        
	                        	
	                        
	                        	
	                        
	                        	
	                        
	                        	
	                        
	                        	
	                        
	                        	
	                        
	                        	
	                        
	                        	
	                        
	                        	
	                        
	                        	
	                        
	                        	
	                        
	                        	
	                        
	                        
	                        
                        	
		                        
		                        
		                        
		                        
                        		
                        	
		                        
		                        
		                        
		                        	
		                        	
		                        
		                        
                        		
                        		
                        			
			                        
			                        	정鄭나라 태자太子 홀忽이 제齊나라와의 혼인婚姻을 사절하다
			                              
                        			
                        		
                        		
	                     		
			                       	
			                       	
	                     		
		                        
                        	
		                        
		                        
		                        
		                        
                        		
                        	
		                        
		                        
		                        
		                        	
		                        	
		                        
		                        
                        		
                        		
                        			
			                        
			                        	정鄭나라 태자太子 홀忽이 제齊나라와의 혼인婚姻을 사절하다
			                              
                        			
                        		
                        		
	                     		
			                       	
			                       	
	                     		
		                        
                        	
		                        
		                        
		                        
		                        
                        		
                        	
		                        
		                        
		                        
		                        
                        		
                        		
                        		
                        			
                        			
		                       		
		                       		
		                       		
		                       			
		                       			
		                       			
		                       				傳
		                       		
		                       		
		                        		
			                            	환공桓公 6년, 제후齊侯가 문강文姜을 정鄭나라 태자太子 홀忽에게 시집보내려 하였는데 태자太子 홀忽이 사양하였다.
			                             
									
                        			
                        			
                        		
	                     		
			                       	
			                       	
	                     		
		                        
                        	
		                        
		                        
		                        
		                        
                        		
                        	
		                        
		                        
		                        
		                        
                        		
                        		
                        		
                        			
                        			
		                       		
		                       		
		                       		
		                       		
		                        		
			                            	어떤 사람이 그 까닭을 묻자, 태자太子가 말하기를 “사람에게는 각각 합당한 짝이 있는 것이다.
			                             
									
                        			
                        			
                        		
	                     		
			                       	
			                       	
	                     		
		                        
                        	
		                        
		                        
		                        
		                        
                        		
                        	
		                        
		                        
		                        
		                        
                        		
                        		
                        		
                        			
                        			
		                       		
		                       		
		                       		
		                       		
		                        		
			                            	제齊나라는 강대强大하니 강대한 나라의 딸은 나의 배우자配偶者로 적합하지 않다.
			                             
									
                        			
                        			
                        		
	                     		
			                       	
			                       	
	                     		
		                        
                        	
		                        
		                        
		                        
		                        
                        		
                        	
		                        
		                        
		                        
		                        
                        		
                        		
                        		
                        			
                        			
		                       		
		                       		
		                       		
		                       		
		                        		
			                            	《시경詩經》에 ‘스스로 많은 복을 구한다.’라고 하였으니 나에게 달렸을 뿐이다.
			                             
									
                        			
                        			
                        		
	                     		
			                       	
			                       	
	                     		
		                        
                        	
		                        
		                        
		                        
		                        
                        		
                        	
		                        
		                        
		                        
		                        
                        		
                        		
                        		
                        			
                        			
		                       		
		                       		
		                       		
		                       		
		                        		
			                            	대국大國이 무슨 도움이 되겠는가.”라고 하였다.
			                             
									
                        			
                        			
                        		
	                     		
			                       	
			                       	
	                     		
		                        
                        	
		                        
		                        
		                        
		                        
                        		
                        	
		                        
		                        
		                        
		                        
                        		
                        		
                        		
                        			
                        			
		                       		
		                       		
		                       		
		                       		
		                        		
			                            	이에 대해 군자君子는 논평論評하기를 “자신을 위한 계책은 훌륭하였다.”라고 하였다.
			                             
									
                        			
                        			
                        		
	                     		
			                       	
			                       	
	                     		
		                        
                        	
		                        
		                        
		                        
		                        
                        		
                        	
		                        
		                        
		                        
		                        
                        		
                        		
                        		
                        			
                        			
		                       		
		                       		
		                       		
		                       		
		                        		
			                            	정鄭나라 태자太子 홀忽이 북융北戎의 군대를 격파함에 미쳐 제후齊侯가 또 사위 삼기를 청하였는데, 홀忽이 굳이 사양하였다.
			                             
									
                        			
                        			
                        		
	                     		
			                       	
			                       	
	                     		
		                        
                        	
		                        
		                        
		                        
		                        
                        		
                        	
		                        
		                        
		                        
		                        
                        		
                        		
                        		
                        			
                        			
		                       		
		                       		
		                       		
		                       		
		                        		
			                            	어떤 사람이 그 까닭을 물으니 태자가 말하기를 “제齊나라에 아무 일이 없다 하더라도 내 감히 아내를 취娶할 수 없었는데, 지금 임금의 명령을 받고 제나라의 위급함을 구원하러 왔다가 아내를 얻어 돌아간다면 이는 전쟁을 이용하여 혼인하는 것이니, 백성들이 나를 뭐라 하겠는가.”라 하고, 마침내 정백鄭伯에게 고하여 사절하게 하였다.
			                             
									
                        			
                        			
                        		
	                     		
			                       	
			                       	
	                     		
		                        
                        	
		                        
		                        
		                        
		                        
                        		
                        	
		                        
		                        
		                        
		                        	
		                        	
		                        
		                        
                        		
                        		
                        			
                        				
                        				 
                        			
			                        
			                        	정鄭 소공昭公이 북융北戎을 패배시킨 일에서부터 소공昭公이 위衛나라로 달아난 일까지
			                              
                        			
                        		
                        		
	                     		
			                       	
			                       	
	                     		
		                        
                        	
		                        
		                        
		                        
		                        
                        		
                        	
		                        
		                        
		                        
		                        
                        		
                        		
                        		
                        			
                        			
		                       		
		                       		
		                       		
		                       			
		                        			
		                       			
		                       			
		                       			
		                       				傳
		                       		
		                       		
		                        		
			                            	환공桓公 11년, 정鄭 소공昭公이 북융北戎의 군대를 패배敗北시켰을 때 제인齊人이 딸을 그의 아내로 주고자 하니, 소공昭公은 사양하였다.
			                             
									
                        			
                        			
                        		
	                     		
			                       	
			                       	
	                     		
		                        
                        	
		                        
		                        
		                        
		                        
                        		
                        	
		                        
		                        
		                        
		                        
                        		
                        		
                        		
                        			
                        			
		                       		
		                       		
		                       		
		                       		
		                        		
			                            	그러자 채중祭仲이 소공昭公에게 말하기를 “반드시 취하십시오.
			                             
									
                        			
                        			
                        		
	                     		
			                       	
			                       	
	                     		
		                        
                        	
		                        
		                        
		                        
		                        
                        		
                        	
		                        
		                        
		                        
		                        
                        		
                        		
                        		
                        			
                        			
		                       		
		                       		
		                       		
		                       		
		                        		
			                            	현재 임금께는 사랑하는 여자가 많으니 세자世子(昭公)께 강력한 외원外援이 없으면 임금이 될 수 없을 것이고, 세 공자公子가 모두 임금이 될 가망이 있습니다.”라고 하였으나, 소공은 그의 말을 따르지 않았다.
			                             
									
                        			
                        			
                        		
	                     		
			                       	
			                       	
	                     		
		                        
                        	
		                        
		                        
		                        
		                        
                        		
                        	
		                        
		                        
		                        
		                        
                        		
                        		
                        		
                        			
                        			
		                       		
		                       		
		                       		
		                       		
		                        		
									
                        			
                        			
                        		
	                     		
			                       	
			                       	
	                     		
		                        
                        	
		                        
		                        
		                        
		                        
                        		
                        	
		                        
		                        
		                        
		                        
                        		
                        		
                        		
                        			
                        			
		                       		
		                       		
		                       		
		                       		
		                        		
			                            	〈당초에 제祭의 봉인封人 중족仲足이 장공莊公에게 총애를 받아 장공莊公이 그를 경卿으로 삼았다.
			                             
									
                        			
                        			
                        		
	                     		
			                       	
			                       	
	                     		
		                        
                        	
		                        
		                        
		                        
		                        
                        		
                        	
		                        
		                        
		                        
		                        
                        		
                        		
                        		
                        			
                        			
		                       		
		                       		
		                       		
		                       		
		                        		
			                            	채중祭仲이 장공을 위해 등만鄧曼을 부인夫人으로 맞이하게 하였는데 등만이 소공昭公을 낳았다.
			                             
									
                        			
                        			
                        		
	                     		
			                       	
			                       	
	                     		
		                        
                        	
		                        
		                        
		                        
		                        
                        		
                        	
		                        
		                        
		                        
		                        
                        		
                        		
                        		
                        			
                        			
		                       		
		                       		
		                       		
		                       		
		                        		
			                            	그러므로 장공이 죽은 뒤에〉 채중祭仲이 소공昭公을 임금으로 세운 것이다.
			                             
									
                        			
                        			
                        		
	                     		
			                       	
			                       	
	                     		
		                        
                        	
		                        
		                        
		                        
		                        
                        		
                        	
		                        
		                        
		                        
		                        
                        		
                        		
                        		
                        			
                        			
		                       		
		                       		
		                       		
		                       		
		                        		
			                            	송宋나라 옹씨雍氏도 딸 옹길雍姞을 정鄭 장공莊公에게 시집보내어 여공厲公을 낳았다.
			                             
									
                        			
                        			
                        		
	                     		
			                       	
			                       	
	                     		
		                        
                        	
		                        
		                        
		                        
		                        
                        		
                        	
		                        
		                        
		                        
		                        
                        		
                        		
                        		
                        			
                        			
		                       		
		                       		
		                       		
		                       		
		                        		
			                            	옹씨雍氏의 종족이 송宋 장공莊公의 총애를 받았기 때문에 채중祭仲을 송宋나라로 유인誘引하여 억류抑留하고서 “돌突(厲公)을 임금으로 세우지 않으면 죽이겠다.”라고 위협하고, 또 여공厲公까지 억류하고 뇌물賂物을 요구하였다.
			                             
									
                        			
                        			
                        		
	                     		
			                       	
			                       	
	                     		
		                        
                        	
		                        
		                        
		                        
		                        
                        		
                        	
		                        
		                        
		                        
		                        
                        		
                        		
                        		
                        			
                        			
		                       		
		                       		
		                       		
		                       		
		                        		
			                            	채중祭仲이 송인宋人과 맹약盟約하고서 여공厲公을 데리고 돌아가서 임금으로 세우기로 하였다.
			                             
									
                        			
                        			
                        		
	                     		
			                       	
			                       	
	                     		
		                        
                        	
		                        
		                        
		                        
		                        
                        		
                        	
		                        
		                        
		                        
		                        
                        		
                        		
                        		
                        			
                        			
		                       		
		                       		
		                       		
		                       		
		                        		
			                            	〈가을 9월 정해일丁亥日에〉 소공이 위衛나라로 도망가니 기해일己亥日에 여공厲公이 즉위하였다.
			                             
									
                        			
                        			
                        		
	                     		
			                       	
			                       	
	                     		
		                        
                        	
		                        
		                        
		                        
		                        
                        		
                        	
		                        
		                        
		                        
		                        
                        		
                        		
                        		
                        			
                        			
		                       		
		                       		
		                       		
		                       		
		                        		
			                            	15년에 정백鄭伯 돌突이 채蔡나라로 도망가니, 정鄭나라 세자世子 홀忽이 다시 정나라로 돌아갔다.
			                             
									
                        			
                        			
                        		
	                     		
			                       	
			                       	
	                     		
		                        
                        	
		                        
		                        
		                        
		                        
                        		
                        	
		                        
		                        
		                        
		                        
                        		
                        		
                        		
                        			
                        			
		                       		
		                       		
		                       		
		                       			
		                        			
		                        				
		                        				 
		                        			
		                       			
		                       			
		                       			
		                       				注
		                       		
		                       		
		                        		
			                            	나라를 다스리는 자들은 남에게 의지하여 자신의 권위를 높이려 하지만, 남은 의지할 만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화禍가 실로 의지한 대상에게서 생겨난다.
			                             
									
                        			
                        			
                        		
	                     		
			                       	
			                       	
	                     		
		                        
                        	
		                        
		                        
		                        
		                        
                        		
                        	
		                        
		                        
		                        
		                        
                        		
                        		
                        		
                        			
                        			
		                       		
		                       		
		                       		
		                       		
		                        		
			                            	가령 정鄭나라 공자公子 홀忽이 사절하지 않고 문강文姜을 아내로 취하였다면 팽생彭生의 화가 노魯나라에 있지 않고 정鄭나라에 있었을 것이다.
			                             
									
                        			
                        			
                        		
	                     		
			                       	
			                       	
	                     		
		                        
                        	
		                        
		                        
		                        
		                        
                        		
                        	
		                        
		                        
		                        
		                        
                        		
                        		
                        		
                        			
                        			
		                       		
		                       		
		                       		
		                       		
		                        		
			                            	홀이 나라를 잃은 것은 홀이 미약한 탓이지 혼인을 사절한 탓이 아니다.
			                             
									
                        			
                        			
                        		
	                     		
			                       	
			                       	
	                     		
		                        
                        	
		                        
		                        
		                        
		                        
                        		
                        	
		                        
		                        
		                        
		                        	
		                        	
		                        
		                        
                        		
                        		
                        			
                        				
                        				 
                        			
			                        
			                        	나라를 다스리는 자는 남이 나에게 의지하게 해야지
注+세력이 강하기 때문에 남이 나에게 의지한다., 내가 남에게 의지해서는 안 된다
注+세력이 약하기 때문에 남에게 의지한다..
      
                        			
                        		
                        		
	                     		
			                       	
			                       	
	                     		
		                        
                        	
		                        
		                        
		                        
		                        
                        		
                        	
		                        
		                        
		                        
		                        	
		                        	
		                        
		                        
                        		
                        		
                        			
			                        
			                        	내가 자립하지 못하고 남에게 의지하여 자신의 권위를 높이고자 한 사람 치고 곤궁해지지 않은 자가 없었다
注+한 편의 주의主意가 이 말에 담겨 있다..
      
                        			
                        		
                        		
	                     		
			                       	
			                       	
	                     		
		                        
                        	
		                        
		                        
		                        
		                        
                        		
                        	
		                        
		                        
		                        
		                        	
		                        	
		                        
		                        
                        		
                        		
                        			
			                        
			                        	의지하는 상대가 항상 강성할 수 없고 쇠약해질 때도 있으며
注+강성할 때에는 의지할 수 있으나, 쇠약해지면 의지할 곳을 잃게 된다., 의지하는 상대가 항상 보존될 수 없고 망할 때도 있으니
注+보존될 때에는 의지할 수 있으나, 망하면 의지할 곳을 잃게 된다., 하루아침에 갑자기 의지할 곳을 잃는다면
注+쇠약해지기도 하고, 망하기도 한다. 장차 무엇을 믿겠는가?
注+이상은 제1절의 뜻이다.      
                        			
                        		
                        		
	                     		
			                       	
			                       	
	                     		
		                        
                        	
		                        
		                        
		                        
		                        
                        		
                        	
		                        
		                        
		                        
		                        	
		                        	
		                        
		                        
                        		
                        		
                        			
			                             
                        			
                        		
                        		
	                     		
			                       	
			                       	
	                     		
		                        
                        	
		                        
		                        
		                        
		                        
                        		
                        	
		                        
		                        
		                        
		                        	
		                        	
		                        
		                        
                        		
                        		
                        			
			                        
			                        	이것은 다만 의지하는 상대가 항상 강성할 수 없다는 것을 논한 것일 뿐이다
注+윗글을 맺어 아랫글을 일으킨 것이다..
      
                        			
                        		
                        		
	                     		
			                       	
			                       	
	                     		
		                        
                        	
		                        
		                        
		                        
		                        
                        		
                        	
		                        
		                        
		                        
		                        	
		                        	
		                        
		                        
                        		
                        		
                        			
			                        
			                        	이보다 심한 경우가 있으니
注+제2절의 뜻을 전환한 것이다., 가령 의지하는 상대가 항상 강성하고 쇠약해지지 않으며, 항상 보존되고 망하지 않는다면 의지할 상대를 잘 골랐다고 할 수 있다
注+믿을 만할 듯하다..
      
                        			
                        		
                        		
	                     		
			                       	
			                       	
	                     		
		                        
                        	
		                        
		                        
		                        
		                        
                        		
                        	
		                        
		                        
		                        
		                        	
		                        	
		                        
		                        
                        		
                        		
                        			
			                        
			                        	그러나 여전히 〈안심하고〉 믿기에는 부족하다
注+비록 강성하고 비록 보존되더라도 오히려 믿을 만하지 못한 경우가 있다..
      
                        			
                        		
                        		
	                     		
			                       	
			                       	
	                     		
		                        
                        	
		                        
		                        
		                        
		                        
                        		
                        	
		                        
		                        
		                        
		                        	
		                        	
		                        
		                        
                        		
                        		
                        			
			                        
			                        	진晉나라가 
제하諸夏(中國)의 
회맹會盟을 주재할 때에
注+진晉나라는 문공文公 이래로 제후의 맹주가 되었다.송宋나라는 
진晉나라와 깊이 결탁하여 조심해 섬기면서
注+송인宋人은 초楚나라를 배반하고 진晉나라를 섬겼다.진晉나라에 의지하여 나라를 공고히 지켰으니, 송나라 임금은 마음속으로 반드시 의지할 상대를 잘 골랐다고 생각하였을 것이다
注+송인宋人은 진晉나라가 강성하니 〈진나라에〉 의지하여 자국自國의 권위를 높일 수 있다고 여긴 것이다..
 
			                              
                        			
                        		
                        		
	                     		
			                       	
			                       	
	                     		
		                        
                        	
		                        
		                        
		                        
		                        
                        		
                        	
		                        
		                        
		                        
		                        	
		                        	
		                        
		                        
                        		
                        		
                        			
			                        
			                        	그러나 
초군楚軍에 포위되는 환난을 당하자
注+초楚 장왕莊王이 송宋나라를 포위한 일은 선공宣公 14년에 있었다., 해골을 쪼개어 밥을 짓고 자식을 바꾸어 잡아먹는 〈참혹한 지경에 이르렀으나,〉
注+송인宋人은 식량이 다 떨어져 자식을 바꾸어 잡아먹고 해골을 쪼개어 땔감으로 삼는 지경에 까지 이르렀다. 진나라는 
적인狄人의 위협을 받아
注+그때 진晉나라에는 적인狄人이 침입한 난리가 있었다. 앉아서 구경만 하고 송나라를 구원하지 못하였다
注+선공宣公 15년에, 송인宋人이 진晉나라에 위급함을 고하여 진후晉侯가 송나라를 구원하려고 하자, 백종伯宗이 불가하다고 반대하였다..
      
                        			
                        		
                        		
	                     		
			                       	
			                       	
	                     		
		                        
                        	
		                        
		                        
		                        
		                        
                        		
                        	
		                        
		                        
		                        
		                        	
		                        	
		                        
		                        
                        		
                        		
                        			
			                        
			                        	당시에 진나라보다 더 강성한 제후가 없었고
注+진晉나라가 이때 중국의 회맹을 주재하였다. 진나라보다 더 의지할 만한 제후도 없었다.
      
                        			
                        		
                        		
	                     		
			                       	
			                       	
	                     		
		                        
                        	
		                        
		                        
		                        
		                        
                        		
                        	
		                        
		                        
		                        
		                        	
		                        	
		                        
		                        
                        		
                        		
                        			
			                        
			                        	이런 진나라도 오히려 의지할 수 없었는데
注+위급함을 고하였는데도 진晉나라는 송宋나라를 구원하지 않았다., 하물며 다른 나라이겠는가?
注+이상은 제2절의 뜻이다. 항상 강성하고 항상 보존되어도 오히려 의지하기에 부족하다는 말이다.      
                        			
                        		
                        		
	                     		
			                       	
			                       	
	                     		
		                        
                        	
		                        
		                        
		                        
		                        
                        		
                        	
		                        
		                        
		                        
		                        	
		                        	
		                        
		                        
                        		
                        		
                        			
			                             
                        			
                        		
                        		
	                     		
			                       	
			                       	
	                     		
		                        
                        	
		                        
		                        
		                        
		                        
                        		
                        	
		                        
		                        
		                        
		                        	
		                        	
		                        
		                        
                        		
                        		
                        			
			                        
			                        	이것은 다만 남을 의지할 것이 못 된다는 것을 논한 것일 뿐이다
注+윗글을 맺어 아랫글을 일으킨 것이다..
      
                        			
                        		
                        		
	                     		
			                       	
			                       	
	                     		
		                        
                        	
		                        
		                        
		                        
		                        
                        		
                        	
		                        
		                        
		                        
		                        	
		                        	
		                        
		                        
                        		
                        		
                        			
			                        
			                        	이보다 더 심한 경우가 있으니
注+제3절의 뜻을 전환한 것이다., 
위魏 효무제孝武帝가 
고환高歡에게 협박을 받아
注+《북사北史》에 “고환高歡은 위魏나라의 강신强臣이므로 효무제孝武帝는 그가 자기를 죽이고 나라를 빼앗을까 두려워하였다.”고 하였다. 날마다 찬탈당할 것을 근심할 때에 믿고서 의지할 상대는 오로지 
우문태宇文泰뿐이었다
注+우문태宇文泰가 장안長安에 있으므로 효무제孝武帝가 가서 의지하고자 한 것이다..
      
                        			
                        		
                        		
	                     		
			                       	
			                       	
	                     		
		                        
                        	
		                        
		                        
		                        
		                        
                        		
                        	
		                        
		                        
		                        
		                        	
		                        	
		                        
		                        
                        		
                        		
                        			
			                        
			                        	하루아침에 
호구虎口를 탈출하여
注+호구虎口는 고환高歡을 이른다. 말을 달려 
동관東關으로 들어가
注+우문태宇文泰가 동관東關에서 효무제孝武帝를 맞이하니 효무제는 마침내 장안長安으로 들어갔다. 두려운 상대를 버리고 의지할 상대를 얻었으니
注+두려운 상대는 고환高歡을 이르고, 의지하는 상대는 우문태宇文泰를 이른다. 천하에 이보다 즐거운 일이 있었겠는가?
注+알맞은 사람을 얻어 의지하였으므로 즐거워한 것이다.      
                        			
                        		
                        		
	                     		
			                       	
			                       	
	                     		
		                        
                        	
		                        
		                        
		                        
		                        
                        		
                        	
		                        
		                        
		                        
		                        	
		                        	
		                        
		                        
                        		
                        		
                        			
			                        
			                        	그러나 효무제의 화가 두려워했던 고환에게서 생기지 않고
注+효무제孝武帝가 관중關中으로 들어간 뒤에 고환高歡은 청하왕淸河王 원단元亶의 아들 원선견元善見을 추대하여 군주로 삼고 업성鄴城으로 천도하니 위魏나라가 마침내 동서東西로 양분되었다. 의지했던 우문태에게서 생겼으니
注+효무제孝武帝가 독살의 화를 만나 붕어하였다. 이는 우문태宇文泰가 시해한 듯하다., 이로써 논하면
注+이 일을 가지고 논한다는 말이다. 남은 의지할 만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화가 실로 의지하는 데에서 생겨난다
注+이상은 제3절의 뜻이니, 한 편의 중요한 주의主意가 여기에 있다..
      
                        			
                        		
                        		
	                     		
			                       	
			                       	
	                     		
		                        
                        	
		                        
		                        
		                        
		                        
                        		
                        	
		                        
		                        
		                        
		                        	
		                        	
		                        
		                        
                        		
                        		
                        			
			                        
			                        	외물의 변화를 이루 다 궁구할 수 없으나
注+세상일은 반복이 끝이 없고, 그 일은 변화가 무상하다는 말이다., 
외인外人을 믿고서 자신의 안정을 찾으려는 자는 그 환난의 꼬투리가 어찌 하나뿐이겠는가?
注+상문上文의 세 절節의 뜻을 한데 묶어 결론을 지은 것이다.      
                        			
                        		
                        		
	                     		
			                       	
			                       	
	                     		
		                        
                        	
		                        
		                        
		                        
		                        
                        		
                        	
		                        
		                        
		                        
		                        	
		                        	
		                        
		                        
                        		
                        		
                        			
			                        
			                        	사람들은 모두 
정鄭나라 
홀忽이 
제齊나라 여자와의 혼인을 사절하여
注+〈여기부터〉 본편의 일로 들어간다. 대국에 의지해 자기의 지위를 공고히 하지 못하였다고 나무라니
注+채중祭仲이 “그대는 대국의 도움이 없으면 장차 정나라의 임금이 될 수 없을 것이다.”라고 한 말과, 《시경詩經》 〈정풍鄭風 유녀동거有女同車〉의 소서小序에 “끝내 대국의 도움이 없어 축출당하는 데에 이르렀다.”라고 한 유類 같은 것이다. 이는 자못 옳지 않다
注+동래東萊는 혼인을 사절한 것으로 정鄭나라 홀忽을 비난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논단論斷하였다..
      
                        			
                        		
                        		
	                     		
			                       	
			                       	
	                     		
		                        
                        	
		                        
		                        
		                        
		                        
                        		
                        	
		                        
		                        
		                        
		                        	
		                        	
		                        
		                        
                        		
                        		
                        			
			                        
			                        	가령 정나라 홀이 사절하지 않고
注+당초에 제후齊侯가 문강文姜을 정鄭나라 홀忽에게 시집보내고자 하였으나 정나라 홀이 굳이 사절하였기 때문에 노魯 환공桓公에게 시집보낸 것이다.문강文姜을 아내로 맞이하였다면 
팽생彭生의 화가 
노魯나라에 있지 않고 정나라로 옮겨갔을 것이다
注+환공桓公 18년에 환공이 문강文姜과 제齊나라에 갔다. 문강이 제후齊侯와 간통하니 환공이 문강을 꾸짖었다. 〈문강이〉 이 일을 제후에게 고해바치니, 제후는 연회를 열어 환공을 접대하고는 공자公子 팽생彭生에게 환공이 수레에 오르는 것을 도와주고 환공과 함께 수레를 타게 하였는데, 〈팽생이 수레 안에서 환공의 갈비뼈를 부러뜨려 죽였다.〉 이 일이 바로 ‘팽생의 화’이다..
      
                        			
                        		
                        		
	                     		
			                       	
			                       	
	                     		
		                        
                        	
		                        
		                        
		                        
		                        
                        		
                        	
		                        
		                        
		                        
		                        	
		                        	
		                        
		                        
                        		
                        		
                        			
			                        
			                        	어찌 노나라에 화를 끼친 여인이 정나라에 복을 끼치겠는가?
注+동일한 문강文姜이 노魯나라에는 화禍가 되고 정鄭나라에는 복福이 되겠는가? 결코 이런 이치는 없다.      
                        			
                        		
                        		
	                     		
			                       	
			                       	
	                     		
		                        
                        	
		                        
		                        
		                        
		                        
                        		
                        	
		                        
		                        
		                        
		                        	
		                        	
		                        
		                        
                        		
                        		
                        			
			                        
			                        	 예로부터 소국이 대국과 
통혼通婚(連婚)하여 비호를 받은 경우는 몇이 되지 않고, 도리어 분쟁의 빌미를 야기하여 병란을 불렀으니, ‘
동두마계銅斗摩笄의 
화禍’ 같은 것이
注+《사기史記》 〈조세가趙世家〉에 보인다. 모두 이런 경우이다.
      
                        			
                        		
                        		
	                     		
			                       	
			                       	
	                     		
		                        
                        	
		                        
		                        
		                        
		                        
                        		
                        	
		                        
		                        
		                        
		                        	
		                        	
		                        
		                        
                        		
                        		
                        			
			                        
			                        	그렇다면 정나라 홀이 혼인을 사절한 것은 진실로 크게 비난할 일이 아닌데
注+정鄭나라 홀忽이 스스로 혼인을 사절한 것을 합당하게 여겼으니 심히 꾸짖는 것은 옳지 않다는 말이다., 후세 사람들은 다만 그가 끝내 미약하여 화를 초래한 것만을 보고서
注+정인鄭人이 홀忽을 축출하고 돌突(厲公)을 임금으로 세운 것을 이른다. 드디어 혼인을 사절한 것까지 아울러 비난하니
注+마침내 혼인을 사절하여 대국의 원조를 잃었다고 꾸짖은 것이다., 이는 자못 정나라 홀이 처음에 명성을 얻은 것은 혼인을 사절하였기 때문이고
注+혼인을 사절하지 않았다면 팽생彭生의 화를 겪었을 것이다. 그러므로 그가 혼인을 사양한 것은 옳았다., 뒤에 실패한 것은 미약하였기 때문임을 모른 것이다
注+정鄭나라 홀忽이 미약하여 축출을 당한 것이니 혼인을 사절한 것과는 무관하다..
      
                        			
                        		
                        		
	                     		
			                       	
			                       	
	                     		
		                        
                        	
		                        
		                        
		                        
		                        
                        		
                        	
		                        
		                        
		                        
		                        	
		                        	
		                        
		                        
                        		
                        		
                        			
			                        
			                        	한 번은 옳았고 한 번은 옳지 않았으니 이 두 가지를 
상쇄相殺해서는 안 되는데
注+혼인을 사절한 것은 옳았고, 미약해서 실패한 것은 옳지 않았다., 어찌 뒤의 잘못으로 앞의 잘한 일까지 폐기해서야 되겠는가?
注+주의主意를 다 드러내었다.      
                        			
                        		
                        		
	                     		
			                       	
			                       	
	                     		
		                        
                        	
		                        
		                        
		                        
		                        
                        		
                        	
		                        
		                        
		                        
		                        	
		                        	
		                        
		                        
                        		
                        		
                        			
			                        
			                        	정鄭나라 
홀忽이 말하기를
注+‘자구다복自求多福’이란 말을 인용하여 결미結尾의 의론으로 삼았다. “스스로 많은 복을 구하는 것은
注+《시경詩經》 〈대아大雅 문왕文王〉편에 나온다. 나에게 달렸을 뿐이니
注+정鄭나라 홀忽은 《시경詩經》에서 말한 ‘자구自求’의 뜻을 안 것이다., 대국이 무슨 상관이 있는가?”라고 하였으니
注+많은 복은 내가 스스로 구하기에 달린 것이니, 대국에 의지하여 얻을 수 있는 것이 아니라는 말이다., 진실로 이 말은 
선왕先王의 바른 말씀이고, 
고금古今의 독실한 의론이다
注+독篤은 진실眞實이다. 동래東萊는 정鄭나라 홀忽의 이 말을 심취深取(힘을 다해 본보기로 취함)하였다..
 
			                              
                        			
                        		
                        		
	                     		
			                       	
			                       	
	                     		
		                        
                        	
		                        
		                        
		                        
		                        
                        		
                        	
		                        
		                        
		                        
		                        	
		                        	
		                        
		                        
                        		
                        		
                        			
			                        
			                        	나에게 있는 복은 〈누구에게도 줄 수 없다. 그러므로〉
注+이 이하에 몇 차례 ‘자구自求’의 뜻을 밝혔다.요堯임금처럼 어진 아비로서도 그 아들 
단주丹朱에게 줄 수가 없었고
注+요堯는 자구自求하였으나, 단주丹朱는 자구自求하지 못하였다., 
주공周公처럼 어진 형으로서도 그 아우 
관숙管叔과 
채숙蔡叔에게 줄 수가 없었으며
注+주공周公은 자구自求하였으나, 관숙管叔과 채숙蔡叔은 자구自求하지 못하였다., 
주周 선왕宣王처럼 어진 아들로서도 그 아버지 
여왕厲王에게 줄 수가 없었으니
注+선왕宣王은 자구自求하였으나, 여왕厲王은 자구自求하지 못하였다. 복은 몸 밖에 있는 물건이 아니기 때문에 지친至親 사이에도 서로 줄 수 없는 것이다., 큰 나라가 나에게 무슨 도움이 되겠는가?
注+어찌 대국에 의지하여 복을 얻을 수 있겠는가?      
                        			
                        		
                        		
	                     		
			                       	
			                       	
	                     		
		                        
                        	
		                        
		                        
		                        
		                        
                        		
                        	
		                        
		                        
		                        
		                        	
		                        	
		                        
		                        
                        		
                        		
                        			
			                        
			                        	 만약 정나라 홀이 〈
자구다복自求多福이란〉 이 말을 충실히 실천하였다면
注+‘가령 〈정鄭나라 홀忽이〉 「나에게 달려 있다」는 말을 충실히 실천할 수 있었다면’이라는 말이다. 〈
홍범洪範〉의 ‘
오복五福’과
注+《서경書經》 〈주서周書 홍범洪範〉의 오복五福은 수壽‧부富‧강녕康寧‧유호덕攸好德‧고종명考終命이다. 〈
주아周雅〉의 ‘
백복百福’이
注+《시경詩經》 〈소아小雅 천보天保〉에 “하늘의 온갖 복을 받았네.”라고 하였다. 모두 그의 소유가 되었을 것이니
注+복은 나에게 달린 것이니, 스스로 구하면 복을 향유享有할 수 있다는 말이다., 어찌 미약함을 근심할 것이 있었겠는가?
注+어찌 미약하여 정인鄭人에게 축출당하는 데 이르렀겠느냐는 말이다.      
                        			
                        		
                        		
	                     		
			                       	
			                       	
	                     		
		                        
                        	
		                        
		                        
		                        
		                        
                        		
                        	
		                        
		                        
		                        
		                        	
		                        	
		                        
		                        
                        		
                        		
                        			
			                        
			                        	의론하는 자들은 정나라 홀이 자기의 말을 실천하지 않은 것은 비난하지 않고
注+‘도蹈’는 실천을 이른다. 도리어 그 말이 잘못되었다고 비난하였으니
注+《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에 군자가 “자신을 위한 계책은 잘하였다.”고 한 것은 정鄭나라 홀忽을 기롱한 것이다., 이 또한 미혹(시비를 분간하지 못함)된 것이다
注+이와 같이 정鄭나라 홀忽을 평론한 것은 진실로 그를 모른 것이다..
      
                        			
                        		
                        		
	                     		
			                       	
			                       	
	                     		
		                        
                        	
		                        
		                        
		                        
		                        
                        		
                        	
		                        
		                        
		                        
		                        	
		                        	
		                        
		                        
                        		
                        		
                        			
			                        
			                        	후세의 군자가 가령 사람이 시원찮다 하여 그 사람의 좋은 말까지 폐기하지 않고
注+정鄭나라 홀忽의 사람됨은 진실로 말할 가치도 없지만, 그의 말은 매우 이치에 맞았다. 깊이 그 말을 음미한다면
注+군자가 이 말로 인하여 스스로 마음속으로 터득한 것이다., 천하의 복이 모두 내 몸에 구비되어 있고 내 몸 밖에 있는 복은 없다는 것을 분명하게 깨달아
注+이른바 ‘자구自求’이다., 타인에게 의지하여 빌붙는 짓을 모두 버리고, 천하에 누구도 원망[對]하지 않고 운명을 자신의 마음으로 제정할 수 있을 것이다.
      
                        			
                        		
                        		
	                     		
			                       	
			                       	
	                     		
		                        
                        	
		                        
		                        
		                        
		                        
                        		
                        	
		                        
		                        
		                        
		                        	
		                        	
		                        
		                        
                        		
                        		
                        			
			                        
			                        	정나라 홀이 천 년 전에 말한 것을 우리가 천 년 뒤에 채용하니, 이는 홀이 비록 스스로 쓰지 못하였으나 그 말을 남겨 우리가 쓰게 하였으니, 어찌 도움이 작다 하겠는가?
注+정鄭나라 홀忽의 ‘나에게 달렸다’는 한마디 말이 우리에게 도움되는 바가 어찌 크지 않은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