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唐宋八大家文抄 韓愈(1)

당송팔대가문초 한유(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당송팔대가문초 한유(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韓公本色이라
愈白陳生하노라
今之負名譽享顯榮者
足下求호되 不於其人하고 廼以訪愈하니
是所謂借聽於聾하고 求道於盲이라 雖其請之勤勤하고 敎之이라도 리라
愈之志 在古道하고어늘 觀足下之書 及十四篇之詩컨대 亦云有志於是矣로다
而其所問則名이요 所慕則科
故愈於其對焉이라
蓋君子 하고 而事親以誠이라
所謂病乎在己者 仁義存乎內 彼聖賢者 어늘 而我爲衆人이라
所謂順乎在天者 貴賤窮通之來 平吾心而隨順之하야 니라
所謂待己以信者 己果能之어든 人曰不能이라도 勿信也하고
己果不能이어든 人曰能之라도 勿信也 孰信哉 信乎己而已矣니라
所謂事親以誠者 盡其心하고 先乎其質而後乎其文者也니라
盡其心不夸於外者 不以己之得於外者 爲父母榮也 名與位之謂也니라
先乎其質者 行也 後乎其文者 飮食旨甘以其外物供養之道也
誠者 不欺之名也 待於外而後爲養하고 薄於質而厚於文이면 斯其不類於欺歟
果若是 子之汲汲於科名하야 以不得進爲親之羞者
古之學者 惟義之問하니
誠將學於大學이라도 愈猶守是說而竢見焉하리라
愈白하노라


01. 진생陳生에게 준 편지
한공韓公본색本色이다.
진생陳生 족하足下에게 고합니다.
오늘날 명예를 지니고서 영달을 누리는 자 중에 고관高官의 지위에 있는 사람이 얼마나 많습니까?
그런데 족하는 빨리 출세하는 방법을 찾으면서 그 사람들에게 묻지 않고 나에게 물으시니,
이는 이른바 ‘귀머거리에게 귀를 빌리고 소경에게 길을 묻는다.’는 꼴이라서, 아무리 간절히 청하고 아무리 자세히 일러주더라도 소득이 없을 것입니다.
나는 뜻이 옛 를 행하는 데 있고 또 옛 문장을 매우 좋아하는데, 족하足下서신書信 및 14를 보건대 족하 또한 옛 도와 옛 문장에 뜻을 두었다고 하겠습니다.
그러나 묻는 것은 명예를 구하는 방법이고, 사모하는 것은 등과登科하는 일이었습니다.
그러므로 나는 어떻게 대답해야 할지 결정하지 못하고 머뭇거렸습니다.
그러나 두터운 은정恩情을 대가 없이 공짜로 받을 수 없으므로 우선 족하를 위해 내가 알고 있는 도리를 서술敍述하겠습니다.
대체로 군자는 자기에게 있는 것[仁義]만을 근심하고 하늘에 달린 것[運命]은 순하게 받아들이며, 자신을 성신誠信으로 지키고 어버이를 효성孝誠으로 섬깁니다.
이른바 ‘자기에게 있는 것을 근심한다.’는 것은 마음속에 있는 인의仁義를 저 성현들은 미루어 널리 시행하였는데 나는 우매愚昧범인凡人이 된 것을 근심하는 것을 이르고,
이른바 ‘하늘에 달린 것을 순하게 받아들인다.’는 것은 부귀富貴빈천貧賤, 곤궁困窮이나 영달榮達이 닥쳤을 때에 내 마음을 화평하게 지니고서 순하게 받아들여 본성本性에 해를 끼치지 않는 것을 이르며,
이른바 ‘자신을 성신으로 지킨다.’는 것은 내가 과연 그 일을 할 수 있으면 남들이 ‘할 수 없다.’고 하더라도 믿지 말고,
내가 과연 그 일을 할 수 없으면 남들이 ‘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믿지 않는 것이니, 자기를 믿을 뿐 누구를 믿겠느냐는 말이고,
이른바 ‘어버이를 효성으로 섬긴다.’는 것은 자기의 마음을 다할 뿐 외부의 것으로 과시하지 않는 것이니, 실질을 앞세우고 형식을 뒤로 여기는 것을 이릅니다.
자기의 마음을 다할 뿐 외부의 것으로 과시하지 않는 것은, 자기가 외부에서 얻은 것(부귀富貴공명功名)을 부모의 영광으로 삼지 않는 것이니, 명예와 지위를 이릅니다.
실질을 앞세우는 것은 〈자식의〉 덕행德行이고, 형식을 뒤로 여기는 것은 맛난 음식 등 외물로써 봉양하는 도리입니다.
성실은 속이지 않는 명의名義(뜻)이니, 외부에서 얻기를 기다린 뒤에 어버이를 봉양하는 것으로 여기고, 실질을 가벼이 여기고 형식을 중요하게 여긴다면 이 어찌 속이는 것과 같지 않겠습니까?
과연 내 말대로라면 그대가 과거에 합격하여 명예를 구하는 일에 급급하여 벼슬을 얻지 못하는 것을 어버이의 수치로 여기는 것은 미혹迷惑된 것입니다.
〈내가 알고 있는〉 빨리 출세하는 방법은 이와 같을 뿐입니다.
옛날의 학자들은 오직 도의道義만을 물었습니다.
가령 그대가 장차 태학太學에 와서 배운다 하더라도 나는 오히려 이상에 한 말들을 굳게 지키면서 그대를 만나기를 기다리겠습니다.
합니다.


역주
역주1 與陳生書 : 《韓文考異》에 “ ‘生’자 밑에 ‘商’자가 있다.”고 하였으니, 이는 陳商이 進士試에 及第하기 전에 四門博士로 있는 韓愈에게 가르침을 청한 편지이다. 진상이 편지를 통해 빨리 출세하는 방법을 가르쳐주기를 청하면서 출세하지 못하는 것을 부모께 羞恥를 끼치는 것으로 여겼기 때문에 한유가 이렇게 회답한 것이다.
역주2 足下 : 아랫사람이 윗사람을 칭할 때, 또는 同輩 사이에 칭하는 敬語이다.
역주3 在上位幾人 : 高官의 지위에 있는 자가 몇 사람이냐는 말인데, 잘못 보면 몇 사람이 되지 않는다는 말로 오해할 수 있으므로 ‘많다’는 말로 바꾸어 번역하였다.
역주4 速化之術 : 빨리 출세하는 방법을 이른다.
역주5 云云 : 여러 가지 뜻이 있는데, 여기서는 ‘자세하다’는 뜻으로 쓰였다.
역주6 未有見其得者 : 《韓文考異》에는 “ ‘有’자가 ‘其’자 아래에 있어야 한다.”고 하였다. 이를 글자대로 해석하면 ‘그런 자들 중에 소득이 있는 자를 아직까지 보지 못하였다.’로 번역해야 한다. 그러나 글자대로 번역하지 않고 이상과 같이 번역하였다.
역주7 甚好其言辭 : 其는 古代를 이른 代詞이고, 言辭는 文章을 이르니, 곧 고대의 문장을 매우 좋아한다는 말이다.
역주8 : 遲疑(망설이며 결정을 하지 못함)이다.
역주9 厚意不可虛辱 : 厚意는 두터운 恩情이고, 虛辱의 虛는 空이고 辱은 承蒙(받음)이니, 아무 대가 없이 공짜로 남의 두터운 은정을 받는다는 말이다.
역주10 聊爲足下誦其所聞 : 聊는 우선이고, 所聞은 알고 있는 것이고, 誦은 敍述이다.
역주11 病乎在己 : 病은 憂이니, 내 마음속에 있는 仁義를 실행하지 못한 것을 근심한다는 말이다.
역주12 順乎在天 : 하늘이 정한 운명을 순순히 받아들인다는 말이다.
역주13 待己以信 : 待는 持守(굳게 지킴)이니, 誠信으로 자신을 지킨다는 말이다.
역주14 能推 : 저본에는 ‘推能’으로 되어 있으나, 本集에 의거하여 ‘能推’로 바로잡아 번역하였다.
역주15 推而廣之 : 미루어 널리 시행함이다.
역주16 蠢焉 : 愚昧한 모양이다.
역주17 不以累於其初 : 其初는 타고난 天性을 이르니, 富貴나 貧賤으로 인해 천성을 해치지 않는다는 말이다.
역주18 不夸於外 : 外部에서 얻은 富貴‧功名으로 과시하지 않는 것이다.
역주19 : 판단력이 흐려 是非를 분간하지 못함이다.
역주20 速化之術 如是而已 : 내가 알고 있는 빨리 출세하는 방법은 이와 같을 뿐이라는 말이다.

당송팔대가문초 한유(1)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