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唐宋八大家文抄 柳宗元(1)

당송팔대가문초 유종원(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당송팔대가문초 유종원(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蒼蔚可誦이라
秀才足下
僕避師名久矣
往在京師 後學之士到僕門 日或數十人이라
僕不敢虛其來意하여 有長必出之하고 有不至必惎之하니라
雖若是 當時無師弟子之說하니
其所不樂爲者 非以師爲非하고 弟子爲罪也 有兩事 故不能하니
自視以爲不足爲 一也 世久無師弟子어늘 決爲之 且見非하고 且見罪일새 懼而不爲 二也
其大說具答韋中立書 今以往하니 可觀之하라
秀才貌甚堅하고 辭甚强하여 僕自始覿으로 固奇秀才하고 及見兩文 愈益奇
雖在京都 日數十人到門者라도 誰出秀才右耶
前已必秀才可爲成人이라하여 僕之心固虛矣 又何互鄕於尺牘哉리오
秋風益高하고 暑氣益衰하니 可偶居卒談이라
秀才時見咨 僕有諸內者 不敢愛惜하리라
大都文以行爲本하니 在先誠其中이라
其外者當先讀六經하고 次論語孟軻書皆經言이라
左氏國語莊周屈原之辭 稍采取之하고
穀梁子太史公甚峻潔하니 可以出入이요
餘書俟文成異日討
其歸在不出孔子 此其古人賢士所懍懍者니라
求孔子之道 不於異書
秀才志於道 愼勿怪勿雜하고 勿務速顯하라
道苟成則勃然爾 久則蔚然爾니라
源而流者 歲旱不涸하고 蓄穀者 不病凶年하며 蓄珠玉者 不虞殍死矣니라
然則成而久者其術可見이니 雖孔子在爲秀才計라도 未必過此리라
不具
宗元白하노라


13. 스승이란 명칭을 피한다는 내용으로 원군진袁君陳 수재秀才에게 답한 편지
기운이 생동하여 읽을 만하다.
수재秀才 족하足下에게 고하네.
나는 스승이라는 명칭을 피한 지 오래되었네.
지난날 도성에 있을 때 내 집에 찾아오는 후학들이 하루에 어떤 날은 수십 명씩 될 때가 있었네.
나는 감히 그들이 찾아온 뜻을 헛되게 하지 못해 장점이 있으면 반드시 내세워주고 부족한 점이 있으면 반드시 가르쳐주었네.
비록 그렇게 하긴 했지만 당시에 스승이니 제자니 하는 말은 없었네.
그런 말을 하기를 좋아하지 않았던 것은 스승이 되는 것이 잘못이라거나 제자가 되는 것이 죄라고 여겨서 그런 것은 아니고 두 가지 이유가 있었기 때문에 그러지 못한 것이네.
스스로 보기에 내 자신이 스승이 되기에 충분치 못한 것이 첫 번째 이유이고, 세상에 오랫동안 스승이니 제자니 하는 사례가 없었는데 그것을 결행했다가는 〈세상으로부터〉 비난당하고 죄악시될 것이므로 그것이 두려워서 하지 못한 것이 두 번째 이유이네.
자세한 내용은 위중립韋中立에게 답한 편지에 들어 있는데, 지금 이것을 동봉해 보내니 살펴보기 바라네.
수재秀才외모外貌가 매우 야무지고 언사言事가 매우 씩씩하여 내가 처음 볼 때부터 사실 수재秀才를 기특하게 여겼고, 두 편의 글을 보고서는 더더욱 기특하게 여겼네.
내가 도성에 있을 당시 매일 내 문전에 찾아왔던 수십 명의 재사才士와 견주어보더라도 수재秀才보다 나은 자가 누가 있었겠는가.
나는 전에 이미 수재秀才재덕才德을 겸비한 인물이 될 것으로 인정하여 내 마음을 본디 비워두었으니, 새삼스레 편지 속에서 곤붕鯤鵬이 될 것이라고 또 거론할 게 뭐가 있겠는가.
가을바람이 더욱 높아지고 더위는 더욱 물러가니 함께 만나 나머지 이야기를 마쳤으면 하네.
수재秀才가 수시로 물어오면 나도 내 안에 있는 것을 감히 아끼지 않겠네.
대체로 문장이란 를 행하는 것을 근본으로 삼아야 하니, 〈그러기 위해서는〉 먼저 마음을 진실하게 갖는 일에 달려 있네.
그 외적인 것으로는 마땅히 먼저 육경六經을 읽어야 하고, 다음으로 《논어論語》와 맹가孟軻의 글도 모두 경전의 말씀이네.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국어國語》‧《장자莊子》와 굴원屈原의 《초사楚辭》에서도 조금씩 취해야 하네.
곡량자穀梁子태사공太史公의 글은 매우 근엄하고 깔끔하니 섭렵해볼 만하네.
나머지 글들은 자신의 문장이 이루어진 후일에 읽더라도 좋을 것이네.
그 귀착점은 모두 공자孔子의 도를 벗어나지 않는 데에 있으니, 이는 옛날 현자賢者들이 전전긍긍 노력했던 바이네.
공자孔子의 도를 구하는 것은 다른 책에서는 안 되네.
수재秀才가 도에 뜻을 두었다면 부디 괴이한 것을 찾지 말고, 잡다한 것을 찾지 말며, 세상에 속히 드러나려고 힘쓰지 말게.
도가 이루어지면 문장에 생기가 돌고 세월이 오래 되면 성대해질 것이네.
깊은 근원에서 솟아 흐르는 물은 날이 가물어도 마르지 않고, 곡식을 쌓아둔 사람은 흉년을 걱정하지 않고, 주옥珠玉을 쌓아둔 사람은 굶어죽을 걱정을 하지 않네.
그렇다면 도가 이뤄지고 또 오래되어 성대해지는 것은 그 방법이 무엇인지 알 수 있으니, 비록 공자孔子가 살아 있어서 수재秀才를 위해 조언을 한다 해도 이 이상은 없을 것이네.
이만 줄이네.
종원宗元은 고하네.


역주
역주1 報袁君陳秀才避師名書 : 元和 8년(813) 永州司馬로 있을 때 쓴 편지이다. 袁君陳의 사적은 알 수 없다.
역주2 {其敎也} : 章士釗의 《柳文指要》에 “이 세 글자는 독자가 ‘惎’자의 뜻을 풀이한 주석인데, 편집한 사람의 실수로 인해 본문에 편입된 것이다.”라고 하였다. 이에 근거하여 이 세 자는 衍字로 보아 번역하지 않았다. ‘其’자도 ‘惎’자의 오자이다.
역주3 鯤鵬 : 전설 속에 나오는 큰 물고기와 큰 새이다. 잘 변화한다고 하여 흔히 젊은 사람에게 장차 큰 인물이 될 것을 기원하는 말로 쓰인다. 《莊子》 〈逍遙遊〉에 나온다.
역주4 〈可〉 : 저본에는 없으나, 何焯의 《義門讀書記》에 “‘討’자 아래에 ‘可’자가 있다.”라고 한 것에 근거하여 보충하였다.

당송팔대가문초 유종원(1)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