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唐宋八大家文抄 柳宗元(2)

당송팔대가문초 유종원(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당송팔대가문초 유종원(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事奇文亦奇하니 古來絶調
貞元十八年月日 趙公矜 年四十二 客死於柳州하니 官爲斂葬於城北之野
元和十三年 孤來章始壯하여徒行求其葬이나 不得이라
而名其人이나 皆死無能知者
來章日哭於野하니 凡十九日이라
惟人事之窮 則庶於卜筮
五月甲辰 卜秦誗兆之曰 하여以貴
其墓直하니 在道之右
南有貴神하여 是守
乙巳於野 宜遇西人하리라
深目而髥하리니 其得實因하리라
七日發之라야 乃覯其神하리라하니라
明日求諸野하니 有叟荷杖而東者하여 問之하니 曰 是故趙丞兒耶
吾爲曹信이니 是邇吾墓
今則夷矣 直社之北二百擧武
吾爲子蕝焉하리라하니라
辛亥啓土하니 有木焉하고 發之하니 緋衣緅衾 凡自家之物皆在
州之人皆爲出涕
誠來章之孝 神付是叟하고 以與龜偶하니 不然이면 其協焉如此哉리오
六月某日就道하여 月日葬於汝州龍城縣期城之原하니라
夫人河南源氏 先沒而祔之
矜之父曰漸이니 南鄭尉
祖曰倩之 鄆州司馬
曾祖曰弘安이니 金紫光祿大夫 國子祭酒
始矜由明經爲舞陽主簿하고
犯難來歸하여 擢授襄城主簿하고하며 後爲襄陽丞이라
其墓自曾祖以下皆族以位
時宗元刺柳하여 用相其事하고 哀而旌之以銘이라
銘曰
誗也하고
信也蕝之하니
有朱其紱하여
神具列之
懇懇來章
神實恫汝하여
錫之老叟하여
告以兆語
靈其鼓舞하여
從而父祖하니
孝斯有終
宜福是與
蓁蓁
羈鬼相望이나
有子而孝하여
獨歸故鄕하니
涕盈其銘하여
旌爾勿忘이라


06. 양양승襄陽丞 조군趙君묘지명墓誌銘
상황이 기괴하고 문장 또한 기괴하니, 고금의 걸작이다.
정원貞元 18년(802) 모월 모일에 천수天水 조공趙公 이 나이 42세 때 객지인 유주柳州에서 죽었는데, 관가에서 시신을 거두어 성 북쪽 들판에 묻었다.
원화元和 13년(818)에 그의 아들 내장來章이 비로소 장성하여 양주襄州로부터 걸어서 유주柳州로 와 아버지의 장지를 수소문하였으나 찾지 못했다.
그의 아버지와 관계가 있는 사람들의 이름자를 써서 벽보로 내걸어 그들을 널리 찾아보았으나 모두 이미 세상을 떠나 그 무덤이 어디에 있는지 아는 사람이 없었다.
그러자 내장來章이 날마다 들판에서 울었는데, 그렇게 하기를 19일 동안 하였다.
사람의 일이 막다른 지경에 이르게 되면 만에 하나 있을 수 있는 희망을 점괘에 의지하기 마련이다.
5월 갑진일(21일)에 점쟁이 진점秦誗가 거북점을 쳐 점괘가 나왔는데, “이 비스듬히 묵획墨劃을 침범하여 화방火方이 이로 인해 귀해졌다.
그 무덤은 곧 축방丑方을 마주보고 길 오른쪽에 있다.
남방에 존귀한 신령이 있으니, 그는 토지신으로 거기에서 무덤을 지키고 있다.
을사일에 들판에 나가면 서녘 사람을 만날 것이다.
그는 두 눈이 움푹 들어가고 구레나룻이 나 있으니, 그를 통해 실정을 알 수 있다.
7일 후에 땅을 파 널을 열면, 부친의 영령을 만날 수 있을 것이다.” 하였다.
그 이튿날 들판에 나가 둘러보고 있을 때 지팡이를 메고 동쪽으로 오는 한 노인이 있어 물었더니, “이 사람이 죽은 조현승趙縣丞의 아들인가?
나는 조신曹信인데 조승趙丞의 무덤이 내 무덤에서 가깝다.
아, 지금은 무덤이 이미 내려앉아 평지가 되었으니, 토지신 사당이 있는 곳에서 북쪽으로 200걸음을 걸어가라.
내가 그대를 위해 땅 위에 띠풀을 묶어 표시해두겠다.”라고 했다.
신해일(28일)에 흙을 파니 널이 그 속에 있었고, 뚜껑을 열었더니 붉은 관복과 검붉은 이불을 위시하여 자기 집의 물건들이 모두 있었다.
유주柳州 사람들은 〈그의 효성에 감동하여〉 모두 눈물을 흘렸다.
이는 분명 신령이 내장來章의 효성에 감동하여 그 노인을 통해 거북점과 들어맞게 했던 것이니, 그렇지 않다면 어떻게 이 정도까지 들어맞을 수 있었겠는가.
6월 모일 길을 떠나, 모월 모일 여주汝州 용성현龍城縣기성期城 들판에 장례를 지냈다.
부인은 하남河南 원씨源氏로, 먼저 세상을 떠났는데 한 자리에 합장하였다.
조긍趙矜의 부친의 이름은 으로, 남정현위南鄭縣尉를 지냈다.
조부의 이름은 천지倩之로, 운주사마鄆州司馬를 지냈다.
증조부의 이름은 홍안弘安으로,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 국자좨주國子祭酒를 지냈다.
당초에 조긍趙矜명경과明經科에 급제하여 무양현주부舞陽縣主簿를 지냈다.
채주蔡州 군사가 반란을 일으켰을 때 위험을 무릅쓰고 빠져나와 조정에 귀순하여 양성주부襄城主簿로 발탁되고 비어대緋魚袋를 하사받았으며, 나중에 양양현승襄陽縣丞이 되었다.
그 집안의 분묘는 조긍趙矜의 증조부 이하가 모두 〈한 장소에 합장되어 있고〉 존비尊卑의 서열이 분명하다.
이때 종원宗元유주자사柳州刺史를 맡고 있었으므로 그 일을 도왔고, 그를 동정하여 이 묘지명墓誌銘을 써 세상에 알린다.
명문銘文은 다음과 같다.
진점秦誗내장來章 위해 점을 쳐주고,
조신曹信은 무덤 장소 띠풀로 묶어,
붉은색의 인끈이 발견되었고,
여러 가지 부장품 함께 나왔네.
아비 위해 정성을 다하는 내장來章,
신명神明이 실로 너를 가슴 아파해,
한 노인을 너에게 내려보내어,
점괘에 나온 무덤 알려주었네.
무덤 속의 영령이 기뻐 춤추며,
부친 조부 곁으로 돌아갔으니,
아들 효심 유종有終의 미를 거두어,
집안 행복 마땅히 누리고 말고.
백월百越 땅 초목들이 무성한 이곳,
고향 못 간 귀신들 득실대는데,
당신은 이와 같은 효자를 두어,
유독 혼자 고향 땅 돌아왔기에.
감동 겨워 눈물로 명문銘文을 써서,
이 효심 잊지 말길 표창한다네.


역주
역주1 : 元和 13년(818) 柳州刺史로 있으면서 쓴 글이다. 趙君은 곧 趙矜(761~ 802)으로, 조상의 고향은 河南 新安이다. 그가 柳州에서 죽은 지 17년이 지난 뒤에 장성한 그의 아들 趙來章이 襄陽에서 柳州로 와, 신령의 도움으로 잃어버린 아버지의 무덤을 찾아내 고향의 선영에 안장하게 된 과정을 비중 있게 다룸으로써 그의 지극한 효성을 선양하였다.
역주2 天水 : 지금의 甘肅 天水이다. B.C. 227년에 趙王 遷이 秦나라에 멸망당하였을 때 그의 아들 代王 嘉와 嘉의 아들 公輔가 西戎의 군주가 되어 隴西 天水縣 서부에 머물렀다. 그 뒤에 趙矜의 먼 조상이 天水로부터 河南 新安으로 옮겨 살았다.
역주3 襄州 : 지금의 湖北 襄樊 일대이다. 襄州에서 廣西 柳州까지의 거리는 약 800킬로미터이다.
역주4 徵書 : 오늘날의 이른바 광고문을 적은 광고판이나 벽보와 비슷한 뜻이다.
역주5 金食其墨 : 옛날 거북점을 칠 때 거북 등판을 불에 구워 그 터진 무늬를 살펴보아 길흉을 판단하였다. 그것을 불에 굽기에 앞서 먹물로 거북 등판에 획을 긋는데, 그어진 획을 ‘墨’이라 부른다. 터진 무늬가 만약 비스듬하게 뻗어 墨劃과 서로 닿으면 이것을 ‘金이 墨을 먹었다.[金食墨]’고 말한다.
역주6 : 곧 火方으로, 남방을 가리킨다.
역주7 : 곧 丑方으로, 동북방을 가리킨다.
역주8 冢土 : 토지의 신을 가리킨다.
역주9 蔡師反 : 淮西節度使 吳少陽의 아들 吳元濟(783~817)가 憲宗 元和 9년(814)에 지금의 河南 汝南인 蔡州에서 반란을 일으켜 舞陽‧葉縣‧魯山‧襄城을 공격하고 洛陽까지 위협을 가한 사건을 가리킨다. 뒤에 裴度와 장수 李愬에 의해 평정되었다.
역주10 緋魚袋 : 緋衣와 魚符袋를 가리킨다. 조정관리의 복장이다. 緋衣는 붉은색의 관복이고, 魚符袋는 허리에 차는 것으로 魚符를 보관하는 주머니이다.
역주11 : 契와 같은 글자로, 거북 등판을 정으로 내리쳐 갈라지는 선의 형태를 보고 점을 치는 것을 가리킨다. 불에 굽는 방법 이외에 또 다른 방법이다.
역주12 百越 : 지금의 浙‧閩‧粵‧桂 등지로, 중국 고대 越나라 지역의 총칭이다.

당송팔대가문초 유종원(2)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