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唐宋八大家文抄 柳宗元(2)

당송팔대가문초 유종원(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당송팔대가문초 유종원(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總只是爲妙解
之道有三하니 一曰正蒙難이요 二曰法授聖이요 三曰化及民이라
實具玆道하여 以立於世
故孔子述之旨 尤殷勤焉하시니라
當紂之時하여 大道悖亂하니 天威之動 不能戒 聖人之言 無所用이라
無益吾祀 故不爲하며 與亡吾國이라 故不忍하니
具是二道하여 有行之者矣
是用保其明哲하여 與之俯仰하고 晦是謨範하여 辱於囚奴
昏而無邪하고 隤而不息이라
故在易曰 라하니 正蒙難也
及天命旣改하고 生人以正하니 乃出大法하여 用爲聖師하여 周人得以序彛倫而立大典이라
故在書曰 以箕子歸하여 作洪範이라하니 法授聖也
及封朝鮮 하니 惟德無陋하고 惟人無遠하여
用廣殷祀하여 俾夷爲華하니 化及民也
率是大道하여 藂於厥躬하여 天地變化하되 我得其正하니 其大人歟인저
於虖 當其周時未至하고 殷祀未殄 比干已死하고 微子已去하니 向使紂惡未稔而自斃하고 念亂以圖存인댄
國無其人이면 誰與興理리오
是固人事之或然者也
然則先生隱忍而爲此 其有志於斯乎인저
唐某年 作廟汲郡하고 歲時致祀하니 嘉先生獨列於易象일새 作是頌云이라
蒙難以正하고
授聖以謨하니
其蘇
憲憲大人이라
顯晦不渝하고
聖人之仁이라
道合隆汙로다
明哲在躬하니
不陋爲奴
沖讓居禮하니
高而無危하고
卑不可踰
有懷故都
時詘而伸하니
卒爲世模하고
易象是列하여
大明宣昭하여
古闕頌辭러니
繼在後儒로다


02. 기자묘箕子廟의 비문
무엇보다 사방득謝枋得이 간추려 말한 몇 마디가 절묘한 설명이라 할 수 있다.
대체로 대인大人의 도가 세 가지 있으니, 첫째는 정도를 지키다가 고난을 당하는 것이고, 둘째는 법을 성인聖人에게 전수해주는 것이고, 셋째는 교화가 백성에게 미치는 것이다.
나라에 기자箕子라는 인인仁人이 있어 그가 실로 이 도를 구비하여 세상에 우뚝 섰다.
그러므로 공자孔子육경六經의 뜻을 기술할 때 그에 대해 한층 더 간곡하게 하였다.
주왕紂王의 때를 당하여 대도大道가 무너지고 혼란해져 하늘의 위엄을 동원해도 경계할 수 없었고 성인聖人의 말씀도 소용이 없었다.
죽음을 각오하고 간언을 올려 목숨을 바치는 것이 참으로 어질다 할 수는 있으나 내 종묘제사를 보존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게 없으므로 그렇게 할 수 없고, 새 왕조에 헌신하여 종묘제사를 보존하는 것이 참으로 어질다 할 수는 있으나 그러기 위해서는 먼저 내 조국을 떠나야 하기 때문에 차마 그렇게 할 수 없는 일이다.
그런데 이 두 가지를 다 갖추면서 무리 없이 행한 사람이 있었다.
그가 그처럼 했기 때문에 그는 자신의 명철함을 보존하여 세상과 더불어 부침했고, 자기의 계책과 법도를 숨기고서 옥에 갇히고 노예가 되는 치욕을 당하였다.
세상이 어두워도 사악한 마음이 없었고, 희망이 무너져도 노력을 멈추지 않았다.
그러므로 《주역周易》에 “기자箕子의 밝음이 묻혔다.” 하였으니, 이는 바른 도를 따르다가 어려움을 당한 것이다.
천명天命이 바뀌어 나라가 들어서고 백성들이 바른 길로 나아가자, 마침내 큰 법을 내놓아 성군의 스승이 됨으로써 나라가 이로써 윤리를 정리하고 큰 법령을 확립할 수 있게 하였다.
그러므로 《서경書經》에 “기자箕子를 데리고 돌아와 〈홍범洪範〉을 지었다.” 하였으니, 이는 법을 성인聖人에게 전수해준 것이다.
조선朝鮮에 봉해진 뒤에 예의의 도를 보급하고 풍속을 변화시키자, 모두 덕을 지녀 풍속이 고루하지 않았고 원근을 막론하고 모든 사람이 교화되었다.
그리하여 나라 왕실 제사의 규모를 더 넓히고 먼 변방의 민족을 중화中華와 대등하게 만들었으니, 이는 교화가 백성에게 미친 것이다.
이 세 가지 성인의 큰 도를 따라 행하여 그것을 자신에게 집중시킴으로써 천지가 바뀌더라도 자신은 바른 도를 꿋꿋하게 지킬 수 있었으니, 이것이 대인大人인 것이다.
아, 나라 시대가 아직 이르지 않고 나라 왕실 제사가 아직 끊기지 않았을 때에 비간比干이 죽고 미자微子가 이미 떠나갔으니, 가령 의 죄악이 극에 이르기 전에 스스로 죽고 무경武庚이 나라가 혼란할 것을 염려하고 나라를 보존할 것을 도모했다고 가정해보자.
이때 만약 나라에 뛰어난 인물이 없다면 누구와 함께 태평성대를 일으키겠는가.
이는 진실로 인간사에 있어서 혹 있을 수 있는 일이다.
그렇다면 선생이 자신의 존재를 숨기고 치욕을 참으면서 그처럼 행동했던 것은 이 점에 대해 생각하신 게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나라 모년에 급군汲郡에 사당을 짓고 해마다 때에 따라 제사를 올리니, 나는 선생이 홀로 역상易象에 나열된 것을 가상히 여겨 이 을 짓는다.
정도를 따르다가 화를 당하고,
계책을 성군에게 전해준 뒤에,
나라의 왕실 또한 번창해지고,
동쪽 나라 백성도 살아났다네.
덕 밝고 성대하신 대인大人이기에,
드러나든 묻히든 변함없었고,
넓고 거룩하신 성인聖人이기에,
치세이건 난세건 도가 맞았네.
안전하게 몸 보전 슬기를 지녀,
노예가 되는 것도 달게 여겼고,
온화하고 겸양한 예법 지키어,
군주가 된 뒤에도 아니 자만해.
높아도 위태로운 일이 없었고,
낮아도 누가 감히 넘지 못했지.
죽지 않고 가지도 아니한 것은,
고국이라 옛 도읍 그립기 때문.
굽혔다 폈다 하길 때에 맞추니,
마침내 온 세상의 모범이 되고,
역상易象 중에 하나로 들어가서는,
문왕文王과 대등하신 무리 되었네.
이제 와서 그 덕을 크게 밝히고,
숭배하여 정성껏 제사 올리니,
예전엔 칭송하는 글이 없다가,
후학들이 뒤이어 칭송한다네.


역주
역주1 : 작자가 永州로 폄직되기 이전에 쓴 작품이라는 설이 있을 뿐, 정확한 시기를 가늠할 만한 자료는 없다.
箕子는 殷 紂王의 叔父로 이름은 胥餘이고 벼슬은 太師에 이르렀으며, 지금의 山東 太谷 동북쪽에 있었던 箕나라에 봉해졌다. 紂가 포악한 것을 보고 간했지만 듣지 않자, 머리를 풀고 미친 척 가장하여 노예가 되었다가 紂에 의해 구금되었다. 周 武王이 商나라를 멸망시키고 紂를 죽인 뒤에 箕子를 석방하고 천하를 다스리는 법에 관해 물었다. 지금의 《尙書》에 〈洪範〉이 있는데, 箕子가 武王을 위해 지었다고 한다. 武王이 그를 朝鮮에 책봉하였다.
이 작품은 지금의 河南 汲縣인 汲郡에 있는 箕子廟의 廟庭에 세운 비문이다. 서두에서, 도덕이 높은 大人은 본디 바른 도를 견지함으로 인해 화를 당하고, 천하의 법도를 성현에게 전수하여 만대의 준칙이 되게 하고, 교화의 공이 백성에게 두루 미치는 등 세 가지 품행이 있는데, 오직 箕子가 이 표준에 부합한다고 하였다.
역주2 謝枋得所摘數言 : 謝枋得(1226~1289)은 宋나라 信州 弋陽 사람으로 자는 君直이고 호는 疊山이다. 그가 편찬한 《文章軌範》 권6에 실린 〈書箕子廟碑陰〉에 이 문장의 핵심 부분인 “當其周時……意者有在於斯乎”의 66자를 인용하고 다음과 같이 논평하였다.
“이런 유의 문장은 천지간에 몇 편만 있어 많이 볼 수가 없다. 오직 杜牧이 쓴 절구 한 수가 이와 비슷하다. 〈題烏江項羽廟〉에 ‘전술에서 승패란 예단할 수 없는 법, 치욕을 참는 것이 진정한 남아라네. 강동 지방 자제들 호걸들이 많으니, 권토중래 그날이 있을지도 모르리.[勝敗兵家不可期 包羞忍恥是男兒 江東子弟多豪俊 卷土重來未可知]’라고 하였다.”
역주3 大人 : 덕행이 높고 포부가 원대한 사람을 가리킨다. 《孟子》 〈告子 上〉에 “그 大體를 따르는 사람은 대인이 되고 그 小體를 따르는 사람은 소인이 된다.”라고 하였다. 大體는 사람의 몸이 지닌 것 가운데 중요한 기관으로, 본성이 선하다는 것을 생각해내는 능력을 말하고, 小體는 이목구비 등 동물적인 감각기관을 말한다.
역주4 殷有仁人曰箕子 : 《論語》 〈微子〉에 “微子는 떠나고 箕子는 종이 되고 比干은 간하다 죽었다. 孔子가 말씀하기를 ‘殷나라에 세 仁人이 있었다.’ 했다.”라고 한 데서 나온 말이다.
역주5 六經 : 《詩經》‧《書經》‧《禮記》‧《易經》‧《樂經》‧《春秋》 등 여섯 종의 유가의 고대 경전을 가리킨다. 六藝라고도 한다.
역주6 進死以倂命 誠仁矣 : 比干의 경우를 말한다. 比干은 紂王의 叔父인데, 일설에는 庶兄이라고 한다. 紂王이 淫亂한 행동을 자행하는 것을 보고 강력하게 간하자, 노하여 “나는 聖人의 심장에 일곱 개의 구멍이 있다는 말을 들었는데 정말 그런지 모르겠다.”고 하면서 그 심장을 갈라 죽였다고 한다. 《史記 권38 宋微子世家》
역주7 委身以存祀 誠仁矣 : 微子의 경우를 말한다. 微子의 이름은 啓로, 商王 武乙의 맏아들이자 紂王의 이복형제이다. 紂王이 嫡子였기 때문에 그가 왕위를 계승하였다. 紂王에게 여러 번 간했으나 받아들이지 않자, 나라를 떠났다가 周 武王이 商나라를 멸망시킨 뒤에 周나라 신하가 되었다. 周公 旦이 紂의 아들 武庚을 죽인 다음 微子에게 殷나라 종족을 통솔할 것을 명하고 宋나라에 책봉하여 宋나라 시조가 되었다. 《史記 권38 宋微子世家》
역주8 箕子之明夷 : 《周易》 明夷卦 六五에 나온다. 明은 ‘태양’이고 夷는 ‘소멸되다, 묻히다’의 뜻으로 태양이 땅속으로 들어간 것을 가리키는데, 이것으로 賢者가 구금되거나 폄척당한 것을 비유한 것이다.
역주9 推道訓俗 : 箕子가 朝鮮으로 와서 여덟 조항의 금지령을 행한 것을 가리킨다. 살인자는 죽이고, 남을 상해한 자는 곡물로 변상하고, 도둑질한 자는 그 집의 종이 된다는 등 세 조항만 전한다.
역주10 武庚 : 紂王의 아들로 자는 祿父이다. 周 武王이 商나라를 멸망시킨 뒤에 殷나라 임금으로 봉해졌다. 나중에 管叔‧蔡叔과 연합하여 周나라를 배반했다가 周公에 의해 패배하고 살해되었다.
역주11 宗祀用繁 : 宗祀는 본디 朝宗 제사의 약칭이나, 여기서는 나라의 왕실을 범칭한 것으로 보인다. 箕子가 조선에 봉해진 뒤 40여 대를 내려가 朝鮮侯 箕準에 이르러 왕이라 자칭하였다.
역주12 夷民 : 東夷의 백성이란 뜻으로 조선의 백성을 가리킨다.
역주13 不盈稱孤 : 稱孤는 제왕을 가리킨다. 箕子가 조선왕이 되었으면서 겸손하여 자만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역주14 非死非去 : 比干은 紂王에게 간하다가 죽었고, 微子는 殷나라를 떠났지만, 箕子는 그들처럼 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역주15 易象是列 文王爲徒 : 箕子가 紂王이 폭정을 행할 때 자기의 존재를 드러내지 않고 숨긴 것이 文王이 紂王에 의해 羑里에 구금되어 있었던 경우와 같아, 이 두 사람이 어려운 상황에 처했을 때 취한 태도가 《周易》 明夷卦에 모범적인 사례로 거론된 것을 말한다.
明夷卦의 彖辭에 “광명이 땅속으로 들어간 것이 明夷이다. 안으로는 문명을 지키고 밖으로는 유순함을 드러내 큰 어려움을 만난 것이니, 이는 文王이 紂王에 의해 구금당했을 때 따랐던 태도이다. ‘어려울 때 바른 도를 지키는 것이 이롭다.’는 것은 그 광명을 숨긴 것을 말한다. 안으로 어렵더라도 능히 그 뜻을 바르게 갖는 것이니, 이는 箕子가 어려움을 만났을 때 따랐던 태도이다.” 하였다.
역주16 大明宣昭 崇祀式孚 : 唐나라 때 처음으로 箕子의 사당을 세우고 제사를 지냈으므로 하는 말이다.

당송팔대가문초 유종원(2)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