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唐宋八大家文抄 柳宗元(1)

당송팔대가문초 유종원(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당송팔대가문초 유종원(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亦風刺之言이라
宋淸 長安西部藥市人也
善藥하니 有自山澤來者 必歸宋淸氏하고하니라
長安醫工得淸藥輔其方이면 輒易하여 咸譽淸하니라
疾病疕瘍者 亦皆樂就淸求藥하여 冀速已하고 淸皆樂然響應하여 雖不持錢者라도 皆與善藥하니라 積券如山이나
未嘗詣取直(値)하고
或不識遙與券이라도 淸不爲辭하며
歲終 度不能報 輒焚券하여 終不復言이라
市人以其異 皆笑之曰 淸 蚩妄人也라하고 或曰 淸其有道者歟인저하니
淸聞之曰 淸逐利以活妻子耳 非有道也
然謂我蚩妄者亦謬니라하니라
淸居藥四十年 所焚券者百數十人이라
或至大官하고 或連數州하여 受俸博하여 其餽遺淸者 相屬於戶
雖不能立報하고 而以死者千百이라도 不害淸之爲富也
淸之取利遠하고 遠故大하니
豈若小市人哉리오
一不得直(値) 則怫然怒하고 再則罵而仇耳
彼之爲利 不亦翦翦乎
吾見蚩之有在也로다
淸誠以是得大利하되 又不爲妄하고 執其道不廢하여 卒以富니라
求者益衆 其應益廣이라
或斥棄沈廢라도 親與交하고 視之落然者 淸不以怠하여 遇其人善藥如故하니라
一旦復이면 益厚報淸하니 其遠取利 皆類此하니라
吾觀今之交乎人者 하여 鮮有能類淸之爲者로되
世之言 徒曰市道交라하니라
嗚呼 市人也 今之交有能望報如淸之遠者乎
幸而庶幾 則天下之得不死亡者衆矣리니
市道交豈可少耶
或曰 淸 非市道人也라하니
柳先生曰
淸居市不爲市之道
然而居朝廷 居官府 居庠塾鄕黨하여 以士大夫自名者 反爭爲之不已하니 悲夫
然則淸非獨異於市人也라하니라


16. 송청宋淸에 관한 전기
이 문장 또한 풍자諷刺하는 말이다.
송청宋淸장안長安 서쪽 약재시장의 상인이다.
그의 집에는 좋은 약재를 쌓아두고 있었는데, 〈사람들이〉 산이나 늪지에서 약을 캐오는 일이 있으면 반드시 송청宋淸에게 찾아왔고 송청宋淸도 그들을 잘 대우하였다.
장안長安의 의원들이 송청宋淸의 약재로 처방하여 조제하면 쉽게 효과를 보았으므로 모두들 송청宋淸을 칭찬하였다.
병이 나거나 두창이 생겨 아픈 사람도 모두 기꺼이 송청宋淸에게 찾아와 약재를 구해 빨리 낫기를 기대하였고, 송청宋淸은 이들 모두에게 기꺼이 응하여 비록 돈을 가져오지 않은 자라도 항상 좋은 약재를 제공하여 외상보증서가 산더미처럼 쌓였다.
그러나 그는 빚을 받으러 찾아간 적이 없었다.
혹은 모르는 사람이 멀리서 찾아와 외상을 달라 하더라도 송청宋淸은 거절하지 않았다.
연말에는 상대가 외상을 갚지 못할 것을 헤아려 그 증서를 태워버리고는 끝내 다시 말을 꺼내지 않았다.
시장 사람들은 그의 행위가 다른 상인과 다르다는 것을 알고 모두 비웃기를 “송청宋淸은 멍청한 사람이다.” 하고, 어떤 사람은 “송청宋淸은 아마도 를 지닌 사람일 것이다.”라고도 말했다.
송청宋淸은 그런 말을 들으면 “나는 이익을 추구해 처자를 먹여 살릴 뿐이지 도를 지닌 것은 아니다.
그러나 나를 멍청하다고 하는 것도 틀렸다.”라고 하였다.
송청宋淸이 약재를 쌓아둔 이후 40년 동안 외상증서를 태워버린 것이 백수십 명이나 되었다.
그들 중 어떤 이는 고관高官이 되기도 하고 어떤 이는 여러 를 관할하며 많은 봉록俸祿을 받기도 하여, 송청宋淸에게 선물을 가져오는 이들이 문앞에 줄을 이었다.
비록 바로 갚지 못하고 빚을 진 채로 죽은 이도 수백 수천 명이나 되었지만, 그래도 송청宋淸이 부자가 되는 데에는 문제가 되지 않았다.
송청宋淸이 이익을 취하는 방식은 멀리 내다보는 것이었고 그랬기 때문에 이익은 더 컸다.
그러니 어찌 시시한 장사꾼과 같겠는가.
그들은 어쩌다가 물건 값을 받지 못하면 발끈 화를 내고 정도가 심할 경우에는 욕을 하며 원수로 여길 뿐이다.
그러니 그들의 이익 추구는 너무 천근淺近하지 않은가.
내가 보기에는 멍청이가 따로 있다.
송청宋淸은 실로 그렇게 하여 큰 이익을 얻고도 함부로 행동하지 않았으며, 그 방법을 끝까지 유지하고 버리지 않아 끝내 부자가 되었다.
찾아오는 손님은 더욱 늘어났고 상대하는 범위도 더욱 넓어졌다.
간혹 쫓겨나 버려진 사람이라도 가깝게 교유하였고 쇠락한 사람을 보기를 송청宋淸은 하찮게 여기지 않아 그들을 만나면 반드시 예전처럼 좋은 약을 주었다.
그러므로 그들이 어느 날 다시 권력을 잡으면 더욱 후하게 송청宋淸에게 보답하였으니, 그가 멀리 내다보고 이익을 취하는 방식은 모두 이와 비슷하였다.
내가 보기에 오늘날 남들과 교유하는 자들은 세력이 있으면 달라붙고 세력이 없어지면 버릴 뿐 송청宋淸처럼 행동하는 자가 드물다.
세상 사람들은 〈송청宋淸의 행동을〉 그저 “장사꾼의 도리로 교유한 것이다.”라고 말한다.
아, 송청宋淸은 시장 상인商人이지만 오늘날 교유하는 사람 중에 그처럼 멀리 그 보답을 바랄 줄 아는 자가 있는가.
다행히 그와 비슷한 사람이 또 있다면, 천하에 곤궁하고 버려져 모욕을 당한 사람이라도 죽음에 이르지 않을 자가 많을 것이다.
이렇게 보면 ‘장사꾼의 도리로 교유하는 것’을 어찌 하찮게 여길 수 있겠는가.
어떤 사람은 말하기를 “송청宋淸은 시장에서 순수하게 물건을 매매하는 장사꾼이 아니다.”라고 한다.
하지만 유선생柳先生은 다음과 같이 말한다.
송청宋淸은 시장에서 물건을 매매하지만 〈이익을 중시하는 일반적인〉 시장의 방식을 따르지 않았다.
그런데 조정에 있거나 관청에 있거나 또는 고을 학교와 향리에 있으면서 자칭 사대부士大夫라 하는 자들은 〈그와는 달리〉 도리어 앞다투어 〈이익을 중시하는〉 행위를 서슴없이 하고 있으니, 서글프다.
이로 보면 송청宋淸은 그저 일반 상인에 비해서만 다른 것이 아니다.”


역주
역주1 宋淸傳 : 이 글은 永州司馬로 있을 때 지은 것으로 추정된다. 藥材商 宋淸이 이익보다 도리를 중시하여 빈 손으로 와서 藥을 달라 하더라도 외상보증서만 받고서 좋은 약을 제공하고 나중에 그 값을 추심하지도 않았으나, 그가 제공하는 약재의 품질이 좋고 친절하였으므로 찾아오는 손님이 많아 결국 부자가 되었다고 하였다. 이와 같은 宋淸과 달리 눈앞의 이익을 중시하여 먼 장래를 보지 못하는 일반 장사꾼, 더 나아가 권력과 명예만을 중시하는 지식층의 잘못된 世態를 諷刺하는 내용이다. 작자가 永州로 폄적된 뒤 조정에서 활동 중인 평소의 知人들에게 구제의 손을 내밀었으나, 세력가의 눈치를 보느라 모두 외면하고 모른 체한 것에 대한 유감의 의미도 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역주2 : 《書經》 〈虞書 益稷〉에 “있는 것을 없는 곳으로 힘써 옮김으로써 쌓아둔 재물을 유통시킨다.[懋遷有無 化居]”라고 한 데서 인용한 것이다. 흔히 居積으로 표기한다.
역주3 優主之 : 주인의 도리를 다해 손님을 우대한다는 말이다. 之는 山川에서 藥을 채집하여 팔러 온 사람을 가리킨다.
역주4 : 여기서는 應驗, 效果의 뜻이다. 《史記》 〈孝武本紀〉에 “그의 方術이 이미 바닥이 나서 대부분 효과가 없었다.[其方盡 多不讐]”라고 한 데서 인용한 것이다.
역주5 : 물건을 외상으로 사 간 뒤에 상환을 연기한다는 뜻이다.
역주6 (以)[與] : 저본에는 ‘以’로 되어 있으나, 《柳河東集》에 근거하여 ‘與’로 바로잡았다.
역주7 柄用 : 柄은 權柄으로 권력을 잡는다는 것이고, 用은 用事로 권력을 행사한다는 뜻이다.
역주8 炎而附 寒而棄 : 炎寒은 炎涼과 같다. 炎은 부귀하여 세력이 있는 자이고, 寒은 빈천하여 세력을 잃은 자를 의미한다. 기후가 따뜻하고 차가운 것이 무상한 것을 가지고 인정이 좋아하고 싫어하는 것을 비유한 것이다.
역주9 窮困廢辱 : 窮은 세상의 외롭고 불쌍한 부류인 鰥寡孤獨을 말하고, 困은 衣食이 없는 형편을 말한다. 廢辱은 남에게 폐기되어 굴욕을 받는다는 뜻이다.

당송팔대가문초 유종원(1)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