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唐宋八大家文抄 柳宗元(2)

당송팔대가문초 유종원(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당송팔대가문초 유종원(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柳子疾世之獲其利而復擠之死者 故有是文하니 亦可以刺世矣
有鷙曰鶻者하니 穴於長安有年矣
浮圖之人室宇於其下者 伺之甚熟하고 爲余說之曰
冬日之夕 是鶻也 必取鳥之盈握者完而致之하여 以燠其爪掌하되 左右而易之하고
旦則執而上浮圖之跂焉하여 縱之하고 延其首以望하여 極其所行往하고 必背而去焉이라
苟東矣 則是日也不東逐하고 南北亦然이라하니라
嗚呼 孰謂爪吻毛翮之物而不爲仁義器耶
是固無號位爵祿之欲 里閭親戚朋友之愛也하고
出乎鷇卵하여 而知攫食決裂之事爾 不爲其他
凡食類之饑 唯旦爲甚이어늘
今忍而釋之하여 以有報也하니 是不亦卓然有立者乎
用其力而愛其死하여 以忘其饑하고 又遠而違之하니 非仁義之道耶
恒其道하고 一其志하여 不欺其心하니 斯固世之所難得也로다
余又疾夫今之說曰 以煦煦而黙하고 徐徐而俯者 善之徒라하고 以翹翹而厲하고 炳炳而白者 暴之徒
今夫梟鵂 晦於晝而神於夜하며 하고 循牆而走하니 是不近於煦煦者耶
今夫鶻 其立趯然하고 其動砉然하고 其視的然하고 其鳴革然하니 是不近於翹翹者耶
由是而觀其所爲 則今之說爲未得也니라
孰若鶻者
吾願從之하노라
毛耶翮耶 胡不我施
寂寥泰淸 樂以忘饑호라


04. 송골매에 관한 해설
유자후柳子厚가, 이익을 얻고서도 오히려 이익을 준 사람을 죽음으로 밀어넣는 세상 사람을 미워하였기 때문에 이 문장을 쓴 것인데, 세상의 못된 풍조를 훈계할 만하다.
맹금류猛禽類 가운데 송골매라는 것이 있는데, 이 새가 장안長安천복사薦福寺 불탑에 둥지를 튼 지 여러 해가 되었다.
그 아래에 집을 짓고 사는 중이, 새가 활동하는 것을 자세히 관찰하고 나에게 다음과 같이 말해주었다.
“겨울에 석양 무렵이 되면 이 송골매란 놈은 반드시 자기 발에 가득 쥘 만한 크기의 새를 골라, 산 채로 잡아와 자기의 발을 좌우로 번갈아 바꿔가며 따뜻하게 데웁니다.
그리고 아침이면 새를 쥐고 탑 꼭대기로 올라가 놓아주고는, 목을 길게 빼고서 그 새가 다 사라지도록 바라보다가 반드시 반대 방향으로 날아갑니다.
그 새가 동쪽으로 날아갔으면 그날은 새를 잡으러 동쪽으로는 가지 않으니, 남쪽이나 북쪽으로 날아갈 경우에도 마찬가지입니다.”
아, 발톱과 부리와 깃털과 날개가 달린 것들은 인의仁義를 지닌 동물이 될 수 없다고 그 누가 말했던가.
이들은 사실 인간처럼 관직官職이나 작위爵位에 대한 욕심도 없으며, 주위 마을의 친척이나 벗들과의 애정도 없다.
알에서 나와 먹이를 움켜쥐고 찢는 것만 알 뿐, 다른 것은 모른다.
먹이를 먹는 동물이 배고픔을 느끼는 것은 아침에 특히 심하다.
그런데도 지금 이 송골매가 그것을 참고 놓아줘 보답하였으니, 탁월하게 원칙을 지키는 존재가 아니겠는가.
그 새의 도움을 받았다 하여 그가 죽는 것이 안쓰러워 배고픔도 잊고 멀리 날려 보내고 또 그쪽을 피해 다른 방향으로 갔으니, 이것이 인의仁義의 도리가 아니겠는가.
그 도리를 변함없이 유지하고 그 뜻을 하나같이 지켜 자신의 마음을 속이지 않으니, 이는 실로 인간세상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일이다.
나는 또 지금 사람들이, 화기애애한 모습으로 말이 없고 완만한 행동으로 몸을 굽히는 사람을 선한 부류라 하고, 행동이 출중하여 맹렬하고 기품이 활달하여 솔직한 사람을 흉포한 부류라고 말하는 것을 미워한다.
지금 저 올빼미는 낮에는 못 보다가 밤이 되면 활동이 자유자재로 능숙하고, 쥐는 종묘宗廟에는 구멍을 뚫지 못하고 담 밑만 따라 돌아다니니, 이들은 곧 화기애애한 모습으로 말이 없는 자에 가깝지 않은가.
그리고 지금 저 송골매는 서 있는 모습은 금방 뛰어오를 것만 같고 몸을 움직이면 휘익 바람이 일고 사물을 살피는 눈은 매섭고 울어대면 그 소리가 날카로우니, 이 새는 곧 행동이 출중한 자에 가깝지 않은가.
이를 통해 사람들의 행위를 살펴본다면 지금 사람들이 하는 그런 말은 옳지 않다.
이 세상에 저 송골매 같은 자가 누가 있는가.
나는 저 송골매를 따르고 싶다.
깃털이여 날개여, 어찌하여 내게는 생겨나지 않았는가.
〈이것이 나에게 있다면〉 적막한 저 허공에서 인의仁義의 도리를 즐기면서 배고픔도 잊으련만.


역주
역주1 : 施子愉의 《柳宗元年譜》에 의하면, 永州司馬로 있던 기간에 썼으며 정확한 연도는 알 수 없다 하였다. 長安 薦福寺의 중이 들려준 송골매에 관한 이야기를 주제로 삼아 당시 집권층의 몰염치한 행태를 신랄하게 풍자하였다.
송골매는 감성이나 지능은 거의 없고 오로지 먹이활동만 할 줄 아는 鳥類에 지나지 않는데도 작은 새를 잡아 그 새의 온기로 추위에 시린 발을 데운 뒤에 배가 고파도 차마 잡아먹지 않고 살려 보내주니, 利慾에 빠져 배은망덕한 인간보다 낫다는 것이다.
역주2 薦福浮圖 : 薦福은 陝西省 西安市 남쪽에 있는 薦福寺를 가리킨다. 唐 高宗의 명복을 빌기 위해 그가 죽은 이듬해인 睿宗 文明 원년(684)에 세웠다. 唐나라 때 佛經을 번역하는 장소로 사용되었다.
浮圖는 中宗 景龍(707~709) 연간에 어떤 궁녀가 돈을 거두어 薦福寺 뜰에 세운 佛塔으로, 小雁塔이라 불린다. 원래 벽돌로 쌓아올린 15층 磚塔이었는데, 여러 번의 지진으로 인해 꼭대기가 무너지고 塔身이 부서져 지금은 13층만 남았으며 높이는 43미터이다.
역주3 鼠不穴寢廟 : 寢廟는 天子와 諸侯가 조상에게 제사를 올리는 사당 건물로, 寢은 뒤쪽에 있고 廟는 앞쪽에 있다. 쥐의 속성은 사람을 피해 숨어사는 동물이므로 많은 사람이 드나드는 큰 건물인 宗廟에는 무서워서 감히 구멍을 파지 못한다. 그러므로 제 한 몸의 안전을 도모하느라 사람들 앞에 감히 나서지 못하고 뒤에 숨어 있는 小人輩를 그에 비유한 것이다.

당송팔대가문초 유종원(2)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