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唐宋八大家文抄 王安石(1)

당송팔대가문초 왕안석(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당송팔대가문초 왕안석(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托通判與客相對之言하고 而又托之書하야 以爲一篇文案이라
爲閣於其舍之西偏하고 旣成 與客升以飮하야 而爲之名曰 見山이라하고
且言曰
吾人 脫於兵火하고 洗沐仁聖之膏澤하야 以休其父子者 餘百年이라
於今天子恭儉하사 陂池苑囿臺榭之觀 有堙毁로되 而無改作하시니 其不欲有所騷動하야 而思稱祖宗所以憫仁元元之意殊甚이라
故人得私其智力하야 以逐於利而窮其欲하고 自雖蠻夷湖海山谷之聚 大農富工豪賈之家라도 往往能廣其宮室하고 高其樓觀하야 以與通邑大都之有力者 爭無窮之侈
夫民之富溢矣로되 吏獨不當因其有餘力하야 有以自娛樂이면 稱上施耶
又況撫之爲州 山耕而水蒔하고 牧牛馬 用虎豹하니 爲地千里 而民之男女以萬數者 五六十이라 地大人衆如此하고 而通判與之하야 爲之父母하니 則其人 奚可不賢이리오
雖賢이나 豈能無勞於爲治리오
獨無觀遊食饗之地하야 以休其暇日이면 殆非先王
吾所以樂爲之就此而忘勞者 非以爲吾之不肖 能長有此 顧不如是 不足以待後之賢者爾니라
且夫人之慕於賢者 爲其所樂 與天下之志 同而不失이니 然後能有餘以與民하야 而使皆得其所願이라
而世之說者曰 召公爲政於周할새 方春 舍於蔽芾之棠하야 聽男女之訟焉하고 而不敢自休息於宮하니
恐民之從我者勤하야 而害其田作之時
此殆非召公之實事 詩人之本指 吝細褊迫者之所好 而吾之所不能爲라하니라
於是酒酣 客皆歡하야 相與從容譽施侯所爲하고 而稱其言之善하니라
又美大其閣하고 而嘉其所以名之者하야
閣之上 流目而環之 則邑屋草木川原阪隰之無蔽障者皆見이어늘
施侯獨有見於山하야 而以爲之名 何也
豈以山之在吾左右前後 하고 若伏若騖하야 爲獨能適吾目之所觀邪
其亦吾心有得於是而樂之也라하니라
施侯 以客爲知言하고 而以書抵予曰 吾所以爲閣而名之者如此하니 子其爲我記之하라하다
數辭로되 不得止하고 則又因吾叔父之命以取焉이어늘 遂爲之記하야 以示後之賢者하야 使知夫施侯之所以爲閣而名之者하노니 其言如此하니라


05. 무주撫州 통판청通判廳견산각기見山閣記
통판通判과 대화한 말에 가탁假託하고, 또 받은 편지에 가탁하여 이로써 한 편의 문장을 지었다.
무주撫州통판通判이신 태상박사太常博士 시후施侯께서 청사廳舍의 서쪽 곁에 누각樓閣을 건축하고, 건물이 완성되자 빈객賓客들과 함께 누각에 올라가서 잔치를 열고, 그 누각의 이름을 ‘견산見山’이라 지었다.
그리고 말하기를,
“우리들이 전쟁을 겪지 않고 어질고 성스러운 황상皇上의 은택에 젖어서 그 부모와 자식과 함께 편안하게 지낼 수 있게 된 것이 백여百餘 이 되었소.
지금의 천자天子께서는 겸손하고 검소하셔서, 피지陂池원유苑囿대사臺榭의 훌륭한 경관景觀이 매몰되고 파괴되었어도 고쳐 짓지를 않으시고, 백성들을 번잡하게 동원하고자 하지 않으시며, 선대先代의 제왕들이 백성들을 가련히 여기고 인자하게 구휼救恤하려 하였던 뜻에 맞추기를 매우 열심히 하고 계시오.
그렇게 되자 사람들이 그들의 지혜를 사익私益을 위해 쓰게 되어, 이익利益을 추구하며 그들의 사욕私慾을 끝까지 다 채우려 하게 되었고, 이렇게 되자 비록 변방邊方만이蠻夷가 거주하는 호해湖海 산곡山谷취락聚落 가운데도 대농大農, 부공富工, 대상인大商人의 집들은 왕왕 그 건물을 넓게 짓고 그 누관樓觀을 높게 짓기도 하면서, 사통팔달한 대도시의 유력자들과 사치스러움을 끝없이 경쟁하고 있소.
대저 백성들의 재부財富가 넘쳐나는데, 오직 관리들만이 여력餘力이 있어도 스스로 즐길 수 있는 건물을 짓는 것을 부당하다고 한다면, 이것이 어찌 황상皇上께서 배푸시는 뜻에 합당한 일이겠소.
또 더군다나 무주撫州 땅은 산에는 밭을 일구어 갈고 물이 있는 곳에는 논을 만들어 모내기를 하며, 소와 말을 기르고 호랑이와 표범을 사냥하며, 땅은 천리千里에 이르고 남녀男女 백성들은 5,60에 달하여, 땅의 넓음과 사람의 많음이 이와 같고, 통판通判이 그들과 함께 하면서 그들의 부모노릇을 하니, 그 사람을 어찌 어질다 하지 않을 수 있겠소.
그러나 비록 어질다 해도 그들을 다스리는데 어찌 수고로움이 없을 수 있겠소.
그런데 다만 관람觀覽하며 노닐고 빈객賓客을 접대하며, 이렇게 그 한가한 때를 보낼 만한 곳이 없다면, 이는 아마도 선왕先王께서 백성들로 하여금 통치자를 힘껏 봉양奉養하게 한 뜻에 맞지 않을 듯하오.
내가 이곳에 취임하여 즐겁게 이를 건축建築하며 수고로움을 잊은 것은, 못난 이 사람이 이것을 길이 소유하려 한 것이 아니고, 다만 이렇게 해놓지 않는다면 후일後日현자賢者를 대우하기에 부족하다고 여겨서였소.
또한 인민들이 그런 현자賢者를 사모한다면, 그가 즐기는 것이 천하 사람들의 지향志向과 서로 같을 것이고, 이를 실추시키지 않은 후에야 이로써 백성들과 더불어 넉넉히 지낼 수 있게 될 것이며, 그들로 하여금 모두 그들의 소원所願을 이룰 수 있게 하는 것이 될 것이오.
그런데 세상에 이를 비판하는 사람은, ‘소공召公나라에서 정사政事를 처리할 때에 봄이 되자 무성한 팥배나무 아래에 머물면서 백성들의 쟁송爭訟을 처리하고 감히 스스로 좋은 건물에서 쉬지를 않았으니,
이는 백성들이 나를 받들기를 지나치게 부지런히 하느라 농사지을 시기를 해칠까 두려워해서였다.
대체로 그 어렵고 괴로움을 숨기고 스스로 백성들이 잘되도록 애씀이 이와 같았으므로, 그 백성들이 사랑하고 사모하여 시가詩歌를 지어 읊고 노래하며 그분이 머물렀던 감당甘棠나무를 차마 베지 못함에 이르렀으니, 지금 전해오는 《시경詩經》의 〈감당甘棠〉이 바로 이것이다.’라고 말하는데, 슬프도다!
이는 아마도 소공召公 때에 실제로 있었던 일이 아니고, 이 를 지은 시인詩人의 본 뜻도 이런 것이 아니었던 듯하며, 다만 묵자墨子의 비루한 말과 불필요한 군더더기 행위이거나, 인색하고 자질구레한 일을 쩨쩨하게 따지는 국량局量이 협소한 자들이 좋아하는 것일 뿐이니, 나는 그렇게 하지는 않을 것이요.” 하였다.
이에 술이 거나해지자 빈객賓客들이 모두 기뻐하며, 서로 조용히 시후施侯한 바를 칭찬하고 그의 말이 훌륭함을 찬양하였다.
한편 그 건물의 아름답고 웅대함과 건물의 이름을 붙인 소이所以를 찬미하여 말하기를,
견산각見山閣 위에서 눈을 돌려 둘러보니, 고을의 집들과 초목과 개울 및 평원과 높고 낮은 땅들이 막히는 것이 없이 모두 보이는데,
시후施侯께서는 유독 만 보이시는지 견산각見山閣으로 이름을 지으신 것은 무슨 이유에서입니까.
어쩌면 나의 전후와 좌우에 펼쳐져 있는 들이, 이 서려 있는 듯, 호랑이가 걸터앉은 듯, 엎드려 있는 듯, 내달리는 듯한 것들이 유독 내 눈으로 관람하는 바에 딱 들어맞음이 있어서인가요?
또한 내 마음이 이에 얻는 것이 있어서 이를 즐거워해서일 것입니다.” 하였다.
시후施侯는 그 빈객이 말을 제대로 할 줄 아는 사람이라고 여겨서 이를 적어서 내게 주며 말하기를, “내가 건물을 세우고 이름을 지은 이유가 이와 같아서이니 그대는 나를 위해 이런 뜻으로 를 지어 주시오.” 하였다.
몇 차례 사양하였지만 포기하지를 않고 내 숙부叔父를 통하여 지어 주도록 요청하기에, 드디어 를 지으면서, 이를 뒷날의 현자賢者들에게 보여서, 그들로 하여금 시후施侯께서 건물을 짓고 이름을 붙인 소이所以를 알게 하고자 하였으니, 그분의 말씀이 이와 같았던 것이다.


역주
역주1 撫州通判廳見山閣記 : 本 記는 撫州 通判 施아무개(名과 生涯 未詳)가 民財와 民力을 이용하여 樓閣을 세우고, 장황하게 이를 합리화하는 辯明을 한 것을 그대로 기록하여, 겉으로는 施侯의 功業을 찬양하였으나, 실은 그의 非行을 諷刺한 것이다. 撫州는 現 江西省에 속한 땅이다.
역주2 通判撫州太常博士施侯 : 太常寺에 두었던 4人의 博士로서, 五禮의 儀式과 諡號의 制定 등을 관장하였다. 施侯가 어떤 인물인지는 未詳이다.
역주3 使小人以力養君子之意 : 이곳에서 말한 小人은 平民 百姓을, 君子는 統治者를 지칭한다. 이 句는, 《孟子》 〈滕文公 上〉에, “통치자가 없으면 백성을 다스릴 수가 없고 백성이 없으면 통치자를 봉양할 수가 없다.[無君子莫治野人 無野人莫養君子]”라고 한 말을 援用한 것이다.
역주4 而世之說者曰……今甘棠之詩是也 : 《詩經》 〈召南 甘棠〉과 그 註를 인용한 말로서, 〈甘棠〉 第1章에는, “무성한 팥배나무 자르지도 말고 베지도 말라. 우리 소백께서 머물던 곳이니라.[蔽芾甘棠 勿剪勿伐 召伯所茇]” 하였고, 이에 대한 孔穎達의 疏에, “武王 때에 召公이 西伯이 되어 南土에 政敎를 行하여 작은 팥배나무아래에서 爭訟을 처리하니 그 敎化가 南國에 밝게 드러나게 되어 이에 民心을 결속시켰으므로 이 詩를 지어 讚美하였음을 이르는 것이다.[謂武王之時 召公爲西伯 行政於南土 決訟於小棠之下 其敎著明於南國 爰結於民心 故作是詩以美之]”라고 한 말을 원용한 것이다.
역주5 特墨子之餘言贅行 : 이 말은 戰國時代 墨子가 節用을 강조하여 貴族들의 사치와 낭비를 반대한 言行을 비웃으며, 자신이 見山閣을 建造한 것을 합리화한 것이다.
역주6 若蟠若踞 : 龍이 서려 있고 호랑이가 걸터앉은 듯하다는 의미로, 《太平御覽》 卷156에, “鍾山은 용이 서려 있는 듯하고 바위 위는 호랑이가 걸터앉아 있는 듯하니, 제왕이 도읍으로 정할 만한 곳입니다.[鍾山龍蟠 石斗虎踞 帝王之宅也]”라 한 데서 根源한 말이다.

당송팔대가문초 왕안석(1)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