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唐宋八大家文抄 王安石(2)

당송팔대가문초 왕안석(2)

범례 |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당송팔대가문초 왕안석(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通篇亦無一實事하고 俱虛語相點綴하니 형공荊公所自爲本色 在此 형공荊公所自爲可喜處 亦在此하니
古名家之於傳記碑碣所載 其不苟如此
予先君女子三人 其季嫁심씨택子也
他日 有問予先君之壻어늘 而予告以심자沈子하니 其知심자沈子之家者 必曰是其父能文學이라하다
他日심자沈子동릉현銅陵하야 而遊觀其동릉현이러니 동릉현人得심자沈子하면 必曰是其父能政事라하다
已而 予求其父所爲書於심자沈子하니 심자沈子曰 先君卒於逆旅하야 其書悉爲人取去하야 無在者라하다
又問其政事하니 曰 吾嘗聞於祖母矣호니 先君爲지주池州귀지현貴池縣주부主簿 현령不能而귀지현大治者 先君之力也라하고
嘗攝동릉현銅陵縣지사 동릉현人有兄弟爭財者러니 先君能爲辨其曲直하야 而卒使之感寤讓財하고 相與同居하니
其去也 兩縣人 追送涕泣遠焉而後去라호라
其施設之方 則吾不得其詳也라하다
심자沈子遂言曰 先君事生嚴하고 喪死哀하며 自族人至於婚友 無所不盡其心하시다
終身好書하야 未嘗一日不讀하고 而於酣樂嫚戱 未嘗豫也하시다
循道守官하야 以不諂其上하야 而幾至於殆者數矣 故其仕嘗有去志하야 而無留心하시다
唯不得壽考富貴 以卒其學問하고 究其施設이라 故其문장文章不多見이나 而獨爲士友所知 其行義不博聞이나 而獨爲親黨所稱이요 其政事不大傳이나 而獨爲邑人所記니라
日月行矣 不卽論次 懼將卒於無傳也일새 吾願以此屬子矣로라
予應曰 然하다
子之先君固賢하고 而又有賢子하야 其後世將必大하리니 不可使無考也라하고 於是 爲之論次曰
君諱某 再世家於항주杭州전당錢塘이나 而其先 호주湖州之武康人也
무강武康之族顯久矣 至唐有기제旣濟하니상서예부원외랑尙書禮部員外郞이요전사傳師하니상서이부시랑尙書吏部侍郞하고이부상서吏部尙書
상서尙書하니노주자사潞州刺史 소의군절도사昭義軍節度使
소의군절도사昭義以上三世 皆有名迹하야 열전於國史하고
소의군절도사昭義하니서주단련판관舒州團練判官이요 서주단련판관舒州하니 강남江南이씨李氏요주자사饒州刺史
요주자사饒州生廷연빈하니호주군사추관濠州軍事推官이요 호주군사추관濠州승해하니 大宋爲명주明州정해현주부定海縣主簿하야 累贈광록경光祿卿하다
광록경光祿하니 尙書屯田郞中하고 지사진주眞州지군주사軍州事하니 진주眞州之子 천성天聖二年 以進士起家하야 초주楚州사법참군司法參軍하고 再調爲지주池州귀지현주부貴池縣主簿러니 年三十六 疾卒於경사京師之逆旅하니라
夫人원씨元氏 生男子백장伯莊계장季長숙통叔通하니 皆爲진사進士계장季長則予先君之壻也
以某年某月某甲子진주성眞州城北之原하다
蓋其行義문학文學政事 皆如其子之言云이라


04. 귀지주부 심군의 묘표
문장文章 전체에 실제의 사적事蹟을 기술한 것이 하나도 없고 모두 논리에 맞추어 돋보이게 드러냈을 뿐이니, 형공荊公문장文章 본래의 면목面目으로 삼은 근본根本이 여기에 있고, 형공荊公이 스스로 기쁘게 여긴 부분도 여기에 있다.
옛 명가의 행적을 비갈碑碣에 실어 기술한 문장에, 구차하지 않은 점이 이와 같다.
나의 선친先親께서 딸 셋을 두셨는데, 그 막내가 심씨택沈氏宅 아드님에게 출가出嫁하였다.
어느 날 어떤 사람이 선친께서 어떤 사람을 사위로 삼았느냐고 내게 묻기에, 내가 심자沈子라고 대답해주었는데, 심자沈子의 집안을 아는 사람들은 반드시 말하기를 “이 사람을 사위로 삼은 것은 그의 부친이 문학文學해서이다.”라고 하였다.
동릉현銅陵縣에서 심자沈子를 따라 그 을 유람한 일이 있는데, 고을 사람들 가운데 심자沈子를 만나는 사람들은 반드시 말하기를 “이 사람을 사위로 삼은 것은 그의 부친이 정사政事에 능해서이다.”라고 하였다.
그 후에 내가 심자沈子에게 그의 부친이 지은 글을 보기를 원하니, 심자沈子가 말하기를 “선친께서 여행 중에 작고하셔서 지으신 글들은 다른 사람이 모두 가져가고 남아 있는 것이 없습니다.” 하였다.
또 그분이 행하신 정사政事에 대하여 물으니, 대답하기를 “제가 전에 할머니께 들었는데, 선친께서 지주池州 귀지현貴池縣주부主簿로 계실 때에 현령縣令무능無能했는데도 이 크게 잘 다스려진 것이 선친의 능력 때문이었다고 하셨고,
일찍이 동릉현銅陵縣 지사知事직무職務대행代行할 때에, 현인縣人 가운데 형제兄弟가 재물을 다투는 사람이 있었는데, 선친께서 그 곡직曲直을 잘 판별判別해주셔서, 마침내 그들로 하여금 감동하고 깨닫게 하여, 재물을 서로 사양하면서 함께 살게 되었으며,
선친께서 떠나시자 두 사람들이 멀리까지 뒤따르며 눈물을 흘리다가 돌아갔다 합니다.
그러나 선친께서 시행施行하고 베푸신 방략方略에 대해서는 제가 세세한 면까지는 알지 못합니다.” 하였다.
심자沈子가 이어서 말하기를 “선친께서 부모님이 생존해 계실 때에는 섬기기를 법도에 맞게 엄격하게 하셨고, 돌아가시자 상례喪禮를 치를 때에는 슬픔을 극진하게 하셨으며, 친족親族으로부터 인척姻戚붕우朋友에 이르기까지 극진한 마음으로 대하지 않은 일이 없습니다.
을 마치실 때까지 글을 좋아하셔서 일찍이 하루도 독서를 중단하신 일이 없고, 술에 취해 흥겨워하며 난잡한 행동을 하는 무리에 일찍이 동참하신 일이 없습니다.
에 합당하게 직무를 수행하시고 그 윗사람에게 아첨하는 일이 없어, 거의 위태로운 지경에 이른 일도 자주 있었으며, 그 때문에 벼슬하시는 동안 항상 떠날 생각을 지니시고 머물고자 하는 마음이 없으셨습니다.
다만 장수長壽고종명考終命를 누리지는 못하셨으나 이로써 그 학문學問을 이룰 수 있었고, 시행施行하고 베푸는 일에만 진력하였기 때문에 그 문장文章을 많이 볼 수는 없었으나 사우師友들에게는 알려졌고, 그분의 행실과 의리가 널리 소문나지는 않았으나 친족과 고장 사람들에게는 칭송받았으며, 그분이 행하신 정사政事가 크게 해지지는 않았으나 고을 사람들은 기억하고 있습니다.
세월은 흘러가는데 선후先後사적事績논정論定해놓지 않는다면 장차 끝내는 해지는 일이 없게 될까 두렵기에, 저는 이 일을 그대에게 위촉委囑하고자 합니다.” 하였다.
내가 응답하기를 “그러하오.
그대의 선군先君께서 진실로 어지셨고 또한 어진 아들을 두셨으므로, 그 후세後世에 장차 반드시 크게 될 것이니, 이를 고찰하여 기록해놓지 않으면 안 될 것이오.” 하고, 이에 선후先後사적事績을 다음과 같이 논정論定하였다.
이고, 이며, 두 동안 항주杭州전당錢塘에 살았고, 그 선조先祖들은 호주湖州무강인武康人이었다.
무강武康 심씨沈氏들은 오래도록 현달顯達하였으며, 당대唐代에 이르러 기제旣濟라는 분이 계셨는데, 상서예부원외랑尙書禮部員外郞을 지냈고, 전사傳師를 낳으니 상서이부시랑尙書吏部侍郞을 지내고 이부상서吏部尙書추증追贈되었다.
상서尙書께서 을 낳으니, 노주자사潞州刺史 소의군절도사昭義軍節度使를 지냈다.
소의군절도사昭義軍節度使 위로 3는 모두 명성과 업적이 있어서 국사國史열전列傳에 수록되었다.
소의군절도사昭義軍節度使께서 을 낳으니, 서주단련판관舒州團練判官을 지냈고, 서주단련판관舒州團練判官께서 를 낳으니, 강남江南이씨李氏가 세운 남당南唐에서 요주자사饒州刺史를 지냈다.
요주자사饒州刺史께서 연빈延蘋을 낳으니, 호주군사추관濠州軍事推官을 지냈고, 호주군사추관濠州軍事推官께서 승해承海를 낳으니, 대송대大宋代명주明州 정해현주부定海縣主簿를 지냈으며, 여러 차례 증직贈職되어 광록경光祿卿이 되었다.
광록경光祿卿께서 을 낳으니, 상서둔전낭중尙書屯田郎中 진주眞州 군주軍州지사知事를 지냈는데 이 바로 진주眞州 지군주사知軍州事의 아드님으로, 천성天聖 2년(1024)에 진사시進士試에 급제하여 벼슬에 나아가 초주楚州사법참군司法參軍이 되었으며, 다시 선발되어 지주池州귀지현주부貴池縣主簿가 되었다가 향년享年 36세로 경사京師의 여관방에서 병사病死하였다.
부인夫人원씨元氏이고, 아들 백장伯莊계장季長숙통叔通이 모두 진사進士들이니, 계장季長이 바로 내 선친先親의 사위이다.
모년某年 모월某月 모갑자某甲子진주성眞州城 북쪽의 언덕에 안장安葬하였다.
대체로 그의 로운 행실行實문학文學정사政事는 모두 그 아드님이 한 말을 그대로 기술한 것이다.


역주
역주1 貴池主簿沈君墓表 : 本 墓表의 墓主 沈播의 아들 沈季長은 王安石의 妹夫인데, 本文은 沈季長이 그의 父親에 대하여 한 말을 거의 그대로 옮겨놓았다.

당송팔대가문초 왕안석(2) 책은 2021.01.06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