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唐宋八大家文抄 王安石(1)

당송팔대가문초 왕안석(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당송팔대가문초 왕안석(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覽之 如遊峭壁邃谷이라
而神林鬼冢魑魅之穴 與夫僊人釋子恢譎之觀 咸附託焉이라 至其淑靈和淸之氣하야는 盤礴委積於天地之間이로되
萬物之所不能得者 乃屬之於人하니 而處士君實生其址
君姓 吳氏 家於山阯하야 豪傑之望으로 臨吾一州者 蓋五六世러니 而後 處士君出焉하니라
其行孝悌忠信하고 其能以文學으로 知名於時로되 惜乎其老矣
不得與夫虎豹翬翟之文章 楩柟豫章竹箭之材하야 俱出而爲用於天下하고 顧藏其神奇하야 而與龍蛇 雜此土以處也로다
然君 有以自養하야 遨遊於山川之間하고 嘯歌謳吟하야 以寓其所好하야 終身樂之不厭하고 而有詩數百篇하야 傳誦於閭里
他日 出靈谷三十二篇하야 以屬其甥曰 爲我讀而序之하라하다
惟君之所得 蓋有伏而不見者하니 豈特盡於此詩而已리오
雖然이나 觀其鑱刻萬物하야 而接之以藻繢 非夫詩人之巧者 亦孰能至於此리오


06. 《영곡시靈谷詩》의 서문序文
이 글을 읽으면 마치 가파르고 높은 산과 깊숙한 골짜기를 유람하는 듯한 느낌을 갖게 된다.
우리 고을 동남쪽에 영곡靈谷이라는 이 있는데, 강남江南지방의 명산名山이다.
은둔隱遁해 사는 신선神仙과 화려한 문채가 있는 호랑이, 표범, 꿩 등이 있고, 편남楩枏, 예장豫章, 죽전竹箭 등의 재목材木들이 모두 그 에서 생산된다.
그리고 신선이 사는 숲, 귀신이 사는 무덤, 도깨비 굴과 도사, 승려, 기이한 도관道觀 등이 모두 이 산에 의지해 있으며, 그 신령神靈하고 조화롭고 맑은 기운에 이르러서는 울퉁불퉁 기이한 경치가 천지 사이에 층층이 쌓여 있다.
이렇게 수많은 것들 중에서도 구할 수 없는 것은 곧 사람에 속한 것이니, 처사군處士君께서는 실로 그 산을 터전으로 하여 출생하신 것이다.
처사군의 오씨吳氏이니, 그 산을 터전으로 삼아 거주하였는데, 대대로 호방하고 걸출하다는 명망名望을 지니고, 우리의 이 고을에 정착하여 거주한 것이 대략 5, 6에 이른 뒤에 처사군處士君께서 탄생하셨다.
그는 효제孝悌 충신忠信의 도리를 행하고 문학에 능한 것으로 당시에 이름이 알려졌으나, 애석하게도 속절없이 늙어버렸다.
호랑이, 표범, 꿩과 같은 빛나는 문장과 편남楩枏, 예장豫章, 죽전竹箭 같은 훌륭한 재주를 모두 드러내어 세상에 쓰이지를 못하고, 이에 그의 신묘한 식견을 감추고 이 땅에서 용사龍蛇와 뒤섞여 지내었다.
그러나 처사군이 호연지기浩然之氣를 스스로 기른 바가 있어서 산천山川자연自然 사이를 거리낌없이 노닐면서 를 읊고 노래하며 이로써 그가 좋아하는 바를 삼고, 종신終身토록 즐겁게 지내면서 싫증을 내는 일이 없었고, 창작한 수백數百 이 있어서 그 고장에 전해지며 암송되고 있다.
후일에 《영곡시靈谷詩》 32을 내놓으면서 그 생질甥姪인 나에게 부탁하기를, “날 위해 읽어보고 서문序文을 지어주게.” 하셨다.
생각해보건대 처사군께서 지으신 들을 대부분 숨겨두고 드러내지를 않았으니, 실제로 지은 작품이 어찌 다만 이 시들에 그칠 뿐이겠는가.
비록 그러하나 그분이 만물萬物을 아로새겨 표현한 것과 정묘精妙하게 수식修飾하여 묘사描寫한 것들을 관찰해 보니, 대저 사물事物정교精巧하게 표현할 수 있는 훌륭한 시인詩人이 아니라면 또한 누가 이런 경지境地에 이를 수 있겠는가.


역주
역주1 靈谷詩序 : 《靈谷詩》의 作者는 王安石의 외삼촌인 吳氏로, 이 글에서 보듯이 평생 鄕里에서 布衣로 지냈고 詩歌에 능한 인물이었다는 것 外에는 알 수가 없으며, 《靈谷詩》는 현재 전해지지 않는다.
역주2 吾州之東南……江南之名山 : 靈谷山은 臨川의 동남쪽에 있으며, 산의 남쪽은 왕안석의 外家가 있던 金鷄縣으로, 이 산이 임천과 금계의 경계를 이루고 있다.
역주3 龍蛇之神 : 《周易》 〈繫辭 下〉에, “용과 뱀이 동면을 하는 것은 이로써 그 몸을 보존하기 위해서이다.[龍蛇之蟄 以存身]”라 하였는데, 그 이후로 龍蛇는 隱遁을 뜻하게 되었으며, 이 句에서는 《靈谷詩》의 作者를 隱喩하여 표현한 것이다.
역주4 虎豹翬翟之文章 : 翬翟은 꿩과에 속하는 鳥類의 총칭이다. 文章은 여러 색이 섞인 화려한 무늬를 지칭한다.
역주5 楩柟豫章竹箭之材 : 楩楠과 豫章은 건축에 쓰이는 좋은 재목이고, 竹箭은 화살의 대로 쓰이는 細竹이다.
역주6 浩然 : 正大剛直한 氣象으로, 《孟子》 〈公孫丑 上〉에, “나는 내가 지닌 호연한 기상을 잘 길렀다.[我善養吾浩然之氣]” 한 데서 유래하였다.

당송팔대가문초 왕안석(1)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