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貞觀政要集論(1)

정관정요집론(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정관정요집론(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貞觀十一年 所司 奏凌敬注+凌, 平聲. 凌姓, 敬名. 初仕竇建德, 爲祭酒.之狀커늘 太宗 責侍中魏徵等濫進人한대
徵曰
臣等 每蒙顧問이어든 常具言其長短호니
有學識하고 强諫諍 是其所長이요 愛生活하고 好經營注+好, 去聲. 是其所短이니이다
今凌敬 爲人作碑文注+爲, 去聲.하고 敎人讀漢書하여 因玆附托하여 回易求利하니 與臣等所說不同이니이다
陛下未用其長하고 惟見其短하사 以爲臣等欺罔하니 實不敢心伏이니이다하니
太宗納之하다
夫寸有所長하고 尺有所短이면 人君 用其所長하고 棄其所短 可也
善乎
魏徵之言 曰 有學識하고 强諫諍 凌敬之所長也 愛生活하고 好經營 凌敬之所短也라하니
太宗 旣不能用其所長하고 顧欲因其所短하여 責及擧者하니 豈用人之道乎리오
向非鄭公之諫이런들 太宗好賢之意 荒矣


정관貞觀 11년(637)에 담당관이 능경凌敬注+평성平聲이다. 이고 은 이름이다. 애초에 두건덕竇建德에게 벼슬하여 좨주祭酒를 역임했다. 돈을 빌려 쓰는 행위에 대해 상주하자, 태종太宗시중侍中 위징魏徵 등에게 함부로 사람을 추천한 것에 대해 꾸짖었다.
위징이 말하였다.
“신들이 에게 질문을 받을 때마다 언제나 그의 장점과 단점에 대해 말씀드렸습니다.
학식學識을 갖추고 강력하게 간언을 하는 것은 그 장점이고, 생계生計를 걱정하고 경영하기를 좋아하는 것은注+(좋아하다)는 거성去聲이다. 그의 단점입니다.
지금 능경이 남을 위하여 비문碑文을 짓고注+(위하다)는 거성去聲이다. 남에게 《한서漢書》를 가르쳐서 이를 이용하여 관리에게 부탁을 하고 바꾸어 이익을 추구하였으니, 이것은 신들이 말한 것과 다른 부분입니다.
폐하陛下께서는 그의 장점을 쓰지 않고 단점만을 보고서 신 등이 기만했다고 하시니, 실로 감히 마음에 승복하지 못하겠습니다.”
그러자 태종이 받아들였다.
【集論】내가 살펴보건대, 공자孔子가 말하기를 “맹공작孟公綽나라 대부大夫 조씨趙氏위씨魏氏가로家老(家臣의 우두머리)가 되기에는 충분하지만 나라와 나라의 대부大夫가 될 수는 없다.”라고 하였으니,
한 치의 장점이 있고 한 자의 단점이 있을 때 임금은 그 장점만을 쓰고 그 단점을 버리면 된다.
훌륭하구나.
위징魏徵의 말에 “학식이 있고 강력하게 간언을 하는 것은 능경凌敬의 장점이고, 생계生計를 걱정하고 경영하기를 좋아하는 것은 능경의 단점입니다.”라고 하였는데,
태종太宗이 그 장점은 쓰지도 못하고 도리어 그의 단점으로 인해 천거한 자에게까지 책임을 물으려 하였으니 이것이 어찌 사람을 쓰는 방법이겠는가.
만일 정공鄭公(魏徵)의 간언이 아니었다면 태종太宗의 현자를 좋아하는 마음이 황폐해졌을 것이다.”


역주
역주1 (貧)[貸] : 저본에는 ‘貧’으로 되어 있으나, 《魏鄭公諫録》 卷4 〈對凌敬乞貸責所舉〉에 의거하여 ‘貸’로 바로잡았다.
역주2 [官人] : 저본에는 ‘官人’이 없으나, 《魏鄭公諫錄》 권1 〈對凌敬乞貸責所舉〉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
역주3 孟公綽……不可爲滕薛大夫 : 《論語》 〈憲問〉에 보인다.

정관정요집론(1) 책은 2019.06.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