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貞觀政要集論(3)

정관정요집론(3)

범례 |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정관정요집론(3)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貞觀二年 太宗謂侍臣曰 人言 作天子 則得自尊崇하여 無所畏懼라하되 朕則以爲正合自守謙恭하여 常懷畏懼
昔舜誡禹曰 汝惟不矜하나 天下莫與汝爭能이요 汝惟不伐하나 天下莫與汝爭功注+① 汝惟不矜……天下莫與汝爭功:虞書大禹謨之辭.이라하시고
又易曰 人道惡盈而好謙注+② 人道惡盈而好謙:惡‧好, 竝去聲. 易謙卦彖辭.이라하니
凡爲天子 若惟自尊崇하고 不守謙恭者 在身儻有不是之事 誰肯犯顔諫奏리오
朕每思出一言하며 行一事 必上畏皇天하며 下懼群臣하노라
하니 何得不畏리오 群公卿士 皆見瞻仰하니 何得不懼리오
以此思之하여 但知常謙常懼호대 猶恐不稱天心及百姓意也注+③ 猶恐不稱天心及百姓意也:稱, 去聲.하노라
魏徵曰 古人云 靡不有初 鮮克有終注+④ 靡不有初 鮮克有終:鮮, 上聲. 詩大雅蕩篇之辭.이라하니
願陛下守此常謙常懼之道하여 하면 則宗社永固하여 無傾覆矣리니
唐虞所以太平 實用此法이니이다
【集論】呂氏祖謙曰 無逸之書 稱商之享國하고 而周公蔽之以一言하여 曰畏而已라하다
蓋惟天子之尊으로 苟以無所畏之心而自恃하면 則治易忘亂하고 安易忘危하여 危亂而不自知矣
惟能以有畏爲心하면 則上焉天心享之하고 下焉臣民歸之하니 如是而不安者 未之有也
太宗貞觀之治 所以致之者 固有其道호대 而大要莫先於此라하다
愚按 昔史臣贊堯曰 라하고 贊舜曰 이라하니라
夫堯舜 五帝之盛帝也 聖德輝光 在謙讓而已
易之謙曰 이라하니 天道而非下濟하면 則亢矣 何自而見其光明哉리오
太宗謂天子不當自尊崇하고 正合謙恭이라하니 此帝王之盛德也
魏徵於此時하고 而擧詩之靡不有初 鮮克有終하고 望其君謂常謙常懼하여 日愼一日이니
唐虞所以太平 寔用此法이라하니 是固有以知太宗之心矣
蓋以堯舜之所以謙讓終始如一 非一時之言也 後之人君 志於帝王之道者 勉之哉인저


정관貞觀 2년(628)에 태종太宗근신近臣에게 말하였다. “사람들의 말에 천자가 되면 자기를 높일 수 있어서 두려울 것이 없다고 하지만, 짐은 천자가 스스로 겸손과 공경을 지켜서 항상 두려운 마음을 지니는 것이 합당하다고 생각하오.
옛날 임금이 에게 훈계하여 말하기를 ‘그대가 능력을 자랑하지 않으나 천하에 그대와 더불어 능력을 다툴 자가 없고, 그대가 공을 자랑하지 않으나 천하에 그대와 더불어 공을 다툴 자가 없다.’고 하였고注+서경書經》 〈우서虞書 대우모大禹謨〉의 말이다.,
또 《주역周易겸괘謙卦단전彖傳〉에 말하기를 ‘사람의 도는 가득함을 미워하고 겸손함을 좋아한다.’고 하였소.注+(싫어하다)와 (좋아하다)는 모두 거성去聲이다. 《주역周易겸괘謙卦단전彖傳〉의 말이다.
무릇 천자가 만일 스스로를 높이고 겸손과 공경을 지키지 않는 자여서, 그 몸에 혹시 옳지 않은 일이 있게 되면 누가 안색을 범하면서 간쟁하려 하겠소.
짐은 항상 한 마디 말을 내거나 한 가지 일을 행할 때마다 반드시 위로는 하늘을 두려워하고 아래로는 여러 신하들을 두려워해야 한다고 생각하오.
하늘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의 말을 다 들으니, 어찌 두려워하지 않을 것이며, 여러 공경과 선비들이 모두가 우러러 보고 있으니 어찌 두려워하지 않을 수 있겠소.
이를 생각하면 다만 항상 겸손하고 항상 두려워해야 함을 알지만, 그래도 하늘의 뜻과 백성의 뜻에 부합되지 않을까 두렵소.”注+(걸맞다)은 거성去聲이다.
위징魏徵이 말하였다. “옛사람이 말하기를 ‘처음을 잘하지 않는 경우는 없으나 끝을 잘 맺는 경우는 드물다.’고 하였습니다.注+(드물다)은 상성上聲이다. 《시경詩經》 〈대아大雅 의 말이다.
바라건대 폐하께서도 이와 같이 항상 겸손하고 항상 두려워하는 도를 지키면서 날마다 더욱 삼가신다면 종묘사직은 영원히 굳건하여 기울거나 전복되는 일이 없을 것입니다.
당우唐虞의 시대에 태평하였던 것은 실로 이 법을 사용하였기 때문입니다.”
여조겸呂祖謙이 말하였다. “《서경書經》 〈주서周書 무일無逸〉의 글에 나라 삼종三宗이 나라를 향유한 것을 말하고서 주공周公이 한마디 말로 총괄하여 말하기를 ‘〈삼종이〉 두려워하였다.’라고 하였다.
오직 천자의 존귀함으로도 진실로 두려워하는 마음이 없이 자신만을 믿으면, 다스려질 때 어지러움을 잊기가 쉽고 편안할 때 위태로움을 잊기가 쉬워서, 어지럽고 위태로워지는데도 스스로 알지 못한다.
두려워하는 것으로 마음가짐을 삼을 수 있다면 위로는 천심天心을 누리고 아래로는 신민臣民이 귀부하게 될 것이니, 이와 같이 하고 편안하지 않은 이는 아직 없었다.
태종太宗정관지치貞觀之治가 이루어진 까닭은 진실로 방도가 있었는데 큰 요점은 이보다 우선하는 것이 없다.”
내가 살펴보건대, 옛날에 사신史臣임금을 찬미하여 “진실로 공손하고 능히 겸양하시어 광채가 사방에 퍼졌다.” 라고 하고, 임금을 찬미하기를 “깊고 명철하고 문채나고 밝으시며 온화하고 공손하고 성실하고 독실하시다.” 라고 하였다.
요순은 오제五帝의 시대에 성대한 임금이라, 성스러운 덕과 밝은 빛이 겸양에서 나올 뿐이었다.
주역周易겸괘謙卦단전彖傳〉에 말하기를 “천도天道는 아래로 교제交際하여 광명光明하다.” 라고 하였는데, 천도天道가 아래로 교제하지 않으면 너무 높이 올라갈 것이니, 어찌 스스로 광명光明을 드러낼 수 있겠는가.
태종太宗이 ‘천자는 스스로 높이는 것이 마땅하지 않고 마땅히 겸손하고 공경하는 마음을 지녀야 한다.’고 하였으니, 이것이 제왕의 성대한 덕이다.
위징魏徵이 이때에 그 아름다움을 그대로 받들어 따르지 않고 《시경詩經》 〈대아大雅 〉편의 “처음을 잘하지 않는 경우는 없으나 끝을 잘하는 경우는 드물다.” 를 거론하고, 임금에게 기대하여 말하기를 “항상 겸손하고 항상 두려워하여 날마다 더욱 삼가소서.
당우시대唐虞時代에 태평하였던 것은 실로 이 법을 사용하였기 때문입니다.” 라고 하니, 이는 진실로 태종의 마음을 안 것이다.
요순이 시종일관 겸양했던 것은 한때의 말이 아니니, 후대의 임금 중에 제왕의 도에 뜻을 두는 이들은 힘써야 할 것이다.


역주
역주1 天高聽卑 : 《史記》 〈宋微子世家〉에 보인다.
역주2 日愼一日 : 《淮南子》 〈主術訓〉에 보인다.
역주3 三宗 : 殷나라의 中宗‧高宗‧祖甲을 가리킨다.
역주4 允恭克讓 光被四表 : 《書經》 〈虞書 堯典〉에 보인다.
역주5 濬哲文明 溫恭允塞 : 《書經》 〈虞書 舜典〉에 보인다.
역주6 天道下濟而光明 : 《周易》 謙卦 〈彖傳〉에 보인다.
역주7 將順其美 : 《孝經》 〈事君〉에 보인다.

정관정요집론(3) 책은 2019.03.14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