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貞觀政要集論(3)

정관정요집론(3)

범례 |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정관정요집론(3)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貞觀十六年 太宗謂諫議大夫褚遂良曰 卿知起居하니 比來注+① 比來:比, 音鼻.記我行事善惡
遂良曰 史官之設 君擧必書하나니 善旣必書하고 過亦無隱이니이다
太宗曰 朕今勤行三事 亦望史官不書吾惡이라
一則鑑前代成敗事하여 以爲하고 二則進用善人하여 共成政道하고 三則斥棄群小하여 不聽讒言하노니 吾能守之하여 終不轉也하노라
【集論】唐氏仲友曰 太宗所言 皆君道 然謂守而不失하고 亦望史官不書吾惡하니 則有護過之意矣
伐遼之監不遠而窮兵하고 用魏徵而仆碑於身後하고 하니 謂守而不失 未免自矜也
愚按 善惡直書하여 而義自見 此史臣之職也 揜其不善하여 而著其善 此人情之常也
爲人上者 其於言行之際 知善而力行之하고 知惡而力改之 在我而已 史臣直筆 吾不知也
太宗嘗欲觀史矣한대 而復問起居所記之行事하니 是欲史臣每有以彰其善하고 而有不善者어든 則削而不書也
所行果出於善하여 始終如一하면 史臣豈得而揜其善乎
勤行三事之言 雖爲君道之善이나 而表襮於起居注之臣하니 則似有矜善之意矣


정관貞觀 16년(642)에 태종太宗간의대부諫議大夫 저수량褚遂良에게 말하였다. “기거起居의 직무(황제의 언행을 기록하는 직무)를 담당하는데 근래에注+(근래)는 이다. 내가 일을 행한 기록이 좋은가 나쁜가.”
저수량이 대답하였다. “사관史官의 설치는 군주의 거동을 반드시 기록하는 것입니다. 선한 일은 반드시 기록되고 과실 또한 숨김이 없습니다.”
태종이 말하였다. “짐이 지금 세 가지 일을 부지런히 행하고 있는 것은 또한 〈내가 악행을 저지르지 않아서〉 사관이 나의 악행을 기록할 일이 없기를 바라는 것이오.
첫째는 전대의 성공과 실패한 일을 거울삼아 이로써 훌륭한 본보기로 삼으며, 둘째는 선한 사람을 등용하여 함께 정치의 도를 이루는 것이고, 셋째는 소인들을 물리쳐서 참언을 듣지 않게 하는 것이오. 나는 능히 이것을 지켜서 끝까지 바꾸지 않고자 하오.”
당중우唐仲友가 말하였다. “태종太宗이 말한 것은 모두 임금의 도이다. 그러나 지켜서 잃지 않겠다고 말하고 또 사관이 자신의 악행을 기록할 일이 없기를 바라니 잘못을 옹호하려는 뜻이 있다.
요동遼東을 정벌하였던 경계가 멀지 않은데 전쟁을 끝까지 추구하고, 위징魏徵을 등용하였다가 위징이 죽은 뒤에는 비석을 뒤엎어버리고, 우문사급宇文士及이 아첨하는 줄을 알았지만 우스갯소리로 자신을 해명하였으니, 지켜서 잃지 않겠다고 말한 것은 스스로 자랑함을 면하지 못한다.”
내가 살펴보건대, 선악을 곧바로 기록하여 의리가 저절로 나타나는 것은 사관의 직책이고, 불선을 가려서 선을 드러내는 것은 인지상정이다.
윗사람이 된 자는 말과 행동을 할 때에 선을 알아 힘써 그것을 행하고 악을 알아 힘써 그것을 고치려고 하는 것은 나에게 있을 뿐이니, 사관史官직필直筆은 나는 알지 못하는 것이다.
태종太宗이 일찍이 사초史草를 보려고 한 적이 있는데 또 기거起居(사관)가 기록한 일의 행적을 물었으니, 이는 사관에게 매양 자기의 선을 드러내게 하고, 불선이 있거든 삭제하여 기록하지 않게 하려는 것이다.
행한 것이 과연 선에서 나와서 처음과 끝이 똑같다면 사관이 어찌 그의 선을 가릴 수 있겠는가.
부지런히 세 가지 일을 행한다는 말은 비록 임금의 도이지만 《기거주起居注》(황제의 언행록)를 담당하는 신하에게 드러내었으니, 선을 자랑하는 뜻이 있는 듯하다.


역주
역주1 元龜 : 훌륭한 본보기를 뜻한다.
역주2 知宇文士及佞而游言自解 : 太宗 자신이 “隋 煬帝는 사치하며 스스로 현명하다고 하다가 몸이 필부(煬帝의 신하 宇文化及)의 손에 죽었으니 또한 비웃을만하오.[隋煬帝奢侈自賢 身死匹夫之手 亦爲可笑]” 하였다. 《貞觀政要集論 論貪鄙 1章》

정관정요집론(3) 책은 2019.03.14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